9. 孟子[ㅣ] 曰 伯夷 非其君不事며 非其友不友며(야) 不立於惡人之朝야(며) 不與惡人言더니(고) 立於惡人之朝야(와) 與惡人言호(을) 如以朝衣朝冠으로 坐於塗炭며 推惡惡之心야 思與鄕人立애 其冠不正이어든 望望然去之야 若將浼焉니(이라) 是故[로] 諸侯ㅣ 雖有善其辭命而至者ㅣ라도 不受也니 不受也者 是亦不屑就已니라
集註
塗는 泥也라 鄕人은 鄕里之常人也라 望望은 去而不顧之貌라 浼는 汚也라 屑은 趙氏曰 潔也라하고 說文曰 動作切切也라하니 不屑就는 言不以就之爲潔而切切於是也라 已는 語助辭라
柳下惠 不羞汚君며 不卑小官야(며) 進不隱賢야 必以其道며 遺佚而不怨며 阨窮而不憫더니 故[로] 曰 爾爲爾오(며) 我爲我ㅣ니 雖袒裼裸裎於我側이나(인) 爾焉能浼我哉리오니 故[로] 由由然與之偕而不自失焉야(며) 援而止之而止니 援而止之而止者 是亦不屑去已니라
集註
柳下惠는 魯大夫展禽이니 居柳下而諡惠也라 不隱賢은 不枉道也라 遺佚은 放棄也라 阨은 困也라 憫은 憂也라 爾爲爾로 至焉能浼我哉는 惠之言也라 袒裼은 露臂也요 裸裎은 露身也라 由由는 自得之貌라 偕는 並處也라 不自失은 不失其正也라 援而止之而止者는 言欲去而可留也라
孟子[ㅣ] 曰 伯夷 隘고 柳下惠 不恭니 隘與不恭은(을) 君子[ㅣ] 不由也ㅣ니라
集註
隘는 狹窄也요 不恭은 簡慢也라 夷惠之行이 固皆造乎至極之地나 然이나 旣有所偏이면 則不能無弊라 故로 不可由也니라
9.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이(伯夷)는 섬길 만한 군주가 아니면 섬기지 않았으며, 벗할 만한 사람이 아니면 벗하지 않았으며, 악(惡)한 사람의 조정(朝廷)에서는 벼슬하지 않고, 악한 사람과는 말하지 않았다. 악한 사람의 조정에서 벼슬하는 것과, 악한 사람과 말하는 것을, 마치 조정에서 입는 옷을 입고 조정에서 쓰는 관(冠)을 쓰고서 진흙탕과 숯구덩이에 앉아 있는 것처럼 여겼으며, 악을 미워하는 마음을 미루어 넓혀서 시골 사람과 함께 서 있을 때에 그 사람의 관이 바르지 않으면 마치 그가 자신을 더럽히기라도 할 것처럼 휑하니 떠났다. 이 때문에 제후들 중에 초빙(招聘)하는 말을 잘 꾸며서 찾아오는 자가 있어도 받아들이지 않았으니,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또한 벼슬에 나아가는 것을 좋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James Legge] Mencius said, 'Po-î would not serve a prince whom he did not approve, nor associate with a friend whom he did not esteem. He would not stand in a bad prince's court, nor speak with a bad man. To stand in a bad prince's court, or to speak with a bad man, would have been to him the same as to sit with his court robes and court cap amid mire and ashes. Pursuing the examination of his dislike to what was evil, we find that he thought it necessary, if he happened to be standing with a villager whose cap was not rightly adjusted, to leave him with a high air, as if he were going to be defiled. Therefore, although some of the princes made application to him with very proper messages, he would not receive their gifts.-- He would not receive their gifts, counting it inconsistent with his purity to go to them.
노(魯)나라 대부 유하혜(柳下惠)는 더러운 군주 섬기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으며, 작은 벼슬을 하찮게 여기지 않았다. 벼슬에 나아가면 자기의 현명함을 숨기지 않고 반드시 자기 도리를 다하였으며, 벼슬길에서 버림받아도 원망하지 않았고 곤액(困厄)을 당하여도 근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유하혜가 말하기를 ‘너는 너이고 나는 나이니[爾爲爾 我爲我], 네가 내 곁에서 옷을 걷고 맨 몸을 드러낸들 네가 어찌 나를 더럽힐 수 있겠는가?’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느긋하게 남들과 함께 있으면서도 스스로 올바름을 잃지 않아서 떠나려고 하다가도 만류하여 멈추게 하면 멈추었다. 만류하여 멈추게 하면 멈춘 것은 또한 떠나감을 좋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James Legge] 'Hûi of Liû-hsiâ was not ashamed to serve an impure prince, nor did he think it low to be an inferior officer. When advanced to employment, he did not conceal his virtue, but made it a point to carry out his principles. When neglected and left without office, he did not murmur. When straitened by poverty, he did not grieve. Accordingly, he had a saying,"You are you, and I am I. Although you stand by my side with breast and aims bare, or with your body naked, how can you defile me?" Therefore, self-possessed, he companied with men indifferently, at the same time not losing himself. When he wished to leave, if pressed to remain in office, he would remain.-- He would remain in office, when pressed to do so, not counting it required by his purity to go away.'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이는 도량이 좁고 유하혜는 공손하지 못하니, 도량이 좁고 공손하지 못한 것을 군자는 따르지 않는다.”
[James Legge] Mencius said, 'Po-î was narrow-minded, and Hûi of Liû-hsiâ was wanting in self-respect. The superior man will not manifest either narrow-mindedness, or the want of self-resp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