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孟子[ㅣ] 曰 居下位而不獲於上이면 民不可得而治也ㅣ리라(ㅣ리니) 獲於上이 有道니 不信於友ㅣ면 弗獲於上矣리라(오) 信於友ㅣ 有道니 事親弗悅이면 弗信於友矣리라(오) 悅親이 有道니 反身不誠이면 不悅於親矣리라(오) 誠身이 有道니 不明乎善이면 不誠其身矣리라
集註
獲於上은 得其上之信任也라 誠은 實也니 反身不誠은 反求諸身而其所以爲善之心이 有不實也라 不明乎善은 不能卽事窮理여 無以眞知善之所在也라 游氏曰 欲誠其意인댄 先致其知니 不明乎善이면 不誠乎身矣리라 學至於誠身이면 則安往而不致其極哉리오 以內則順乎親이요 以外則信乎友요 以上則可以得君이요 以下則可以得民矣리라
是故[로] 誠者 天之道也ㅣ오 思誠者 人之道也ㅣ니라
集註
誠者는 理之在我者 皆實而無僞니 天道之本然也요 思誠者는 欲此理之在我者 皆實而無僞니 人道之當然也라
至誠而不動者ㅣ 未之有也ㅣ니(ㅣ며) 不誠이면(이오) 未有能動者也ㅣ니라
集註
至는 極也라 楊氏曰 動은 便是驗處니 若獲乎上, 信乎友, 悅於親之類 是也라 ○ 此章은 述中庸孔子之言니 見思誠爲修身之本이요 而明善又爲思誠之本이니 乃子思所聞於曾子요 而孟子所受乎子思者라 亦與大學相表裏니 學者宜潛心焉이니라
12.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을 다스리지 못할 것이다. 윗사람에게 신임을 얻는 데 방법이 있으니, 벗에게 믿음을 얻지 못하면 윗사람의 신임을 얻지 못할 것이다. 벗에게 믿음을 얻는 데 방법이 있으니, 어버이를 섬겨 기쁘게 하지 못하면 벗에게 믿음을 얻지 못할 것이다. 어버이를 기쁘게 하는 데 방법이 있으니, 자신을 반성해보아 진실하지 못하면 어버이를 기쁘게 하지 못할 것이다. 자신을 반성하여 진실하게 하는 데 방법이 있으니, 선(善)을 밝게 알지 못하면 자신을 성실하게 하지 못할 것이다.
[James Legge] Mencius said, 'When those occupying inferior situations do not obtain the confidence of the sovereign, they cannot succeed in governing the people. There is a way to obtain the confidence of the sovereign:-- if one is not trusted by his friends, he will not obtain the confidence of his sovereign. There is a way of being trusted by one's friends:-- if one do not serve his parents so as to make them pleased, he will not be trusted by his friends. There is a way to make one's parents pleased:-- if one, on turning his thoughts inwards, finds a want of sincerity, he will not give pleasure to his parents. There is a way to the attainment of sincerity in one's self:-- if a man do not understand what is good, he will not attain sincerity in himself.
그러므로 성실함 그 자체는 하늘의 도이고, 성실함을 추구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James Legge] 'Therefore, sincerity is the way of Heaven. To think how to be sincere is the way of man.
지극히 성실하면서 남을 감동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있지 않으니, 성실하지 못하면서 남을 감동시킬 수 있는 자는 있지 않다.”
[James Legge] Never has there been one possessed of complete sincerity, who did not move others. Never has there been one who had not sincerity who was able to move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