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6)

통감절요(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壬子] 〈宋泰豫元年이요 魏延興二年이라
四月 宋主彧하고 太子卽皇帝位하니 時方十歲러라
[史略 史評]史斷曰
明帝頗好文義하야 舊臣才學之士 多見拔擢이라
이나 猜疑諱忌하야 言語文字 有禍敗凶喪疑似之語應回避者하야 犯卽加戮하고 而又하고 하야 晩年之重으로 하니 作宋史者 當於明帝之崩 直書劉氏之絶 斯實錄矣로다


임자(472) - 나라 태예泰豫 원년元年이고, 나라 연흥延興 2년이다. -
4월에 송주宋主 유욱劉彧이 죽고 태자太子황제皇帝에 즉위하니, 이때 나이가 열 살이었다.
[史略 사평史評]史斷에 말하였다.
명제明帝(劉彧)는 문사文辭를 자못 좋아하여 옛 신하 중에 재주와 학문이 있는 선비들이 많이 발탁되었다.
그러나 시기하고 의심하여, 언어와 문자 중에 마땅히 회피해야 할 화패禍敗흉상凶喪 및 이와 유사한 내용이 있어서 이것을 범하면 즉시 주륙을 가하였고, 또 양자養子를 보호하여 사랑하고 동기간들을 죽여서 만년에 중요한 신기神器이씨李氏의 자식에게 맡겼으니, 나라 역사를 저술하는 자는 마땅히 명제明帝가 죽었을 때에 유씨劉氏가 끊어졌다고 곧바로 쓰는 것이 실록實錄이라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保字螟蛉 : 螟蛉은 뽕나무벌레로 養子를 지칭한다. 《詩經》 〈小雅 小宛〉에 “명령의 새끼를 나나니벌이 업어 간다. 네 자식을 잘 가르쳐 너를 닮게 하라.[螟蛉有子 蜾蠃負之 敎誨爾子 式穀似之]” 하였는 바, 螟蛉은 남의 자식을 데려다가 키우는 것에 비유하여 養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한다. 明帝는 본래 아들이 없었으니, 蒼梧王 劉昱은 실로 嬖人 李道兒의 자식이었다.
역주2 勦拉同氣 : 同氣는 형제간으로 明帝가 병이 점점 심해지고 太子 劉昱이 아직 나이가 어리자, 明帝는 자신의 아우인 休祐‧休仁‧休若 등을 꺼려서 모두 賜死하였다.
역주3 神器 : 帝位를 상징하는 玉璽와 같은 보물을 이른다.
역주4 付諸李氏之子 : 李氏의 자식은 蒼梧王을 가리키는 바, 明帝가 宮人인 陳氏를 嬖人 李道兒에게 내려 陳氏가 임신하였는데 明帝가 다시 그녀를 맞아들여 蒼梧王을 낳으니, 세간에서 蒼梧王을 가리켜 李道兒의 아들이라고 하였다.

통감절요(6)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