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6)

통감절요(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甲寅] 〈宋主昱元徽二年이요 魏延興四年이라
魏顯祖勤於爲治하야 賞罰 嚴明하고 愼擇牧守하야 進廉退貪이라
尤重刑罰하야 大刑 多令覆鞫하야 或囚繫積年하니 群臣 多以爲言이어늘
上〈皇〉曰 滯獄 誠非善治 不猶愈於倉猝而濫乎
夫人(憂)[幽]苦則思善이라
智者 以囹圄爲福堂하나니 朕特苦之 欲其改悔而加矜恕爾로다
[史略 史評]史斷曰
蒼梧王 異姓之子
加以童孺之年 하고 暴虐 浮於桀紂하며 遊蕩罔節하고 誅戮無常하야 未五年間而遇弑하니
識者謂天厭劉氏 假異姓하야 以絶其國耳


갑인(474) - 송주宋主 유욱劉昱원휘元徽 2년이고, 나라 연흥延興 4년이다. -
나라 현조顯祖는 정사에 부지런하여 상벌賞罰이 엄격하고 분명하였으며 주군州郡의 지방관들을 신중히 택하여 청렴한 자를 등용하고 탐욕스러운 자를 물리쳤다.
형벌을 더욱 중하게 여겨 큰 형벌(사형 등의 중형)은 대부분 반복하여 국문하도록 명령해서 때로는 죄수를 옥에 가두어 두는 것이 여러 해에 이르기도 하니, 여러 신하들이 이에 대해 말이 많았다.
상황上皇이 말하기를 “옥사를 지체함은 참으로 좋은 정치가 아니나 그래도 창졸간에 처리하여 형벌을 남용하는 것보다는 낫지 않은가.
사람이 갇혀 있는 고통을 겪다 보면 〈지난날의 잘못을 고치고〉 선해질 것을 생각한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자는 감옥을 복당福堂으로 삼으니, 이 특별히 죄수들을 괴롭게 하는 것은 죄를 고치고 뉘우치게 하여 불쌍히 여기고 용서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다.” 하였다.
[史略 사평史評]史斷에 말하였다.
창오왕蒼梧王(劉昱)은 이성異姓의 자식이다.
게다가 어린 나이에 유씨劉氏 을 거짓으로 일컬은 것이 여진呂秦(秦始皇)과 유사하고 포학함이 보다 더하였으며, 놀고 방탕함이 절도가 없고 주륙함이 일정함이 없어서 5년이 채 못 되어 시해당하였으니,
식자識者들이 이르기를 ‘하늘이 유씨劉氏를 싫어하였기 때문에 이성異姓을 빌어서 그 나라를 끊은 것이다.’ 하였다.”


역주
역주1 冒僞類於呂秦 : 呂秦은 秦始皇을 가리킨다. 秦나라 莊襄王이 일찍이 趙나라에 볼모로 가 있을 적에 呂不韋가 자신의 아이를 임신한 寵姬를 바쳤는데, 그녀가 낳은 아이가 뒤에 진시황이 되었으므로 秦始皇은 莊襄王의 아들이 아니고 呂不韋의 아들이라 하여 呂秦이라 한 것이다.

통감절요(6)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