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6)

통감절요(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丙戌]九年이라
太史令傅奕 上疏하야 請除佛法曰 佛在西域하야 言妖路遠이러니
漢譯胡書注+[釋義]西胡之書難曉 以漢語譯之하니 後秦姚興 使鳩摩羅什으로 翻譯西域經論하니라하야 恣其假託하야 使不忠不孝 削髮而揖君親하고 遊手遊食으로 易服以逃租賦하며
僞啓三途注+[頭註]釋氏 以地獄, 餓鬼, 畜生 爲三途라하여 言人之爲惡者 必墜此地라하니라하고 謬張六道注+[頭註]又添阿修羅, 天神, 地祇하야 遂使愚迷 妄求功德하고 不憚科禁하야 輕犯憲章하니이다
且生死壽夭 由於自然이요 刑德威福 關之人主 貧富貴賤 功業所招어늘 而愚僧矯詐하야 皆云由佛이라하야 竊人主之權하고 擅造化之力하니 其爲害政 良可悲矣니이다
自漢以前으로 初無佛法호되 君明臣忠하고 祚長年久러니
自立胡神注+[頭註]謂佛也 漢明帝 始遣使하야 之天竺하야 求其道하고 得其書하니라으로 羌, 戎亂華하야 主庸臣佞하고 政虐祚短하니 梁武, 齊襄注+[頭註]北齊文襄이니 名澄이라[通鑑要解]梁武帝 餓死臺城하고 齊文襄 爲膳奴所弑也 足爲明鏡이라
今天下僧尼 數盈十萬하니 請令匹配 卽成十萬餘戶
産育男女하야 十年長養하고 一紀注+[頭註]十二年이라敎訓이면 可以足兵하리이다
詔百官하야 議其事하니 唯太僕卿注+[通鑑要解]掌邦國廐牧車輿之政令이라張道源 稱奕言合理
蕭瑀曰 佛 聖人也어늘 而奕 非之하니 非聖人者 無法이니
當治其罪니이다 奕曰 人之大倫 莫如君父어늘 佛以世嫡而叛其父하고 以匹夫而抗天子注+[通鑑要解]釋典 佛以王太子 出家故 言以世嫡叛其父 釋氏之法 不拜君親이라 故言以匹夫而抗天子라하니라
蕭瑀不生於空桑注+[釋義]列子云 伊尹 生於空桑이라하고 傳記曰 伊尹母旣孕 夢神告之曰 臼出水어든 而東走하라 明日 視臼出水하고 東走十里하야 而顧其邑하니 盡爲水 身因化爲空桑이러니 有莘氏女採桑이라가 得嬰兒於空桑中하고 命之曰伊尹이라 長而賢하야 爲殷湯相이라하니라 按此 乃妄誕之說이어늘 引之 但以證傅奕之言耳이어늘 乃遵無父之敎하니 瑀之謂矣니이다
瑀不能對하고 但合手注+[通鑑要解]相合하야 表心敬이라地獄之設 正爲是人이로이다
上亦惡沙門, 道士 苟避征徭하고 不守戒律하야 皆如奕言이라
乃下詔命有司하야 沙汰注+[通鑑要解] 擇也 謂選擇之有所棄斥者也天下僧, 尼, 道士注+[頭註] 事也 身心順理하야 唯道是從하야 從道爲事 故曰道士하다
〈傅奕傳〉
○ 六月丁巳 하다
秦王世民 旣與太子建成 齊王元吉 有隙이라
以洛陽形勝注+[頭註]得形勢之勝便이니 地形險固故 能勝人也之地一朝有變하야 欲出保之어늘
亦謂世民曰 首建大謀하야 削平海內 皆汝之功이라
吾欲立汝爲嗣러니 汝固辭하고 且建成 年長하야 爲嗣日久하니 吾不忍奪로라
觀汝兄弟하니 似不相容注+[通鑑要解]建成 夜召世民하야 飮酒而酖之하니 世民 暴心痛하야 吐血數升이라가 更甦也 故云不相容也이라
同處京邑이면 必有紛競하리니 當遣汝還行臺하리니
居洛陽하야 自陝以東 皆主之하라
仍命汝建天子旌旗하야 如漢梁王故事注+[頭註]漢景帝同母弟也 賜天子旌旗하야 出警入蹕 擬於天子하리라 世民 涕泣하고 辭以不欲遠離膝下하다
建成, 元吉 與後宮으로 日夜譖訴世民於上하니 上信之
元吉 密請殺秦王한대 上曰 彼有定天下之功하고 罪狀 未著하니 何以爲辭 元吉曰 但應速殺이니 何患無辭릿고
不應하다
世民 腹心長孫無忌, 高士廉, 尉遲敬德等 日夜勸世民하야 誅建成, 元吉이어늘 世民歎曰 骨肉相殘 古今大惡이라
吾誠知禍在朝夕이나 欲俟其發然後 以義討之하노니 不亦可乎
衆曰 大王 以舜爲何如人이닛고 曰 聖人也시니라
衆曰 使舜浚井不出注+[釋義]舜之母蚤死어늘 舜父瞽瞍 再娶而生象하니 愛之하야 常欲殺舜하다 嘗使舜穿井하고 舜旣入深 瞽瞍下土實井이나 舜乃爲匿空이라가 旁出去하니라이면 則爲井中之泥 塗廩不下注+[釋義]瞽瞍使舜上塗廩하고 舜旣上 瞽瞍從下焚廩이나 舜乃以兩笠自扞而下하야 獲免하니라 則爲廩上之灰 安能澤被天下하고 法施後世乎리잇고
是以 하니 蓋所存者大故也니이다
世民 命卜之러니 幕僚張公謹 自外來라가 見之하고 取龜投地曰 卜以決疑어늘
今事在不疑러니 尙何卜乎잇가
卜而不吉이라도 庸得已乎注+[通鑑要解] 豈也잇가 於是 定計하다
己未 太白 復經天注+[釋義]王氏曰 按天官書컨대 太白出不經天하니 經天則天下革政이라 韓詩外傳云 太白 春見東方以晨 爲啓明이요 秋見西方以夕 爲長庚이라 晉氏曰 太白 陰星이니 上公, 大將軍之象이라 出東이면 當伏東이요 出西 當伏西 過午爲經天이니 謂晝見午上也[通鑑要解]經 謂如織經之往來也이어늘 傅奕 密奏호되 太白 見秦分注+[釋義]王氏曰 禮春官保章氏 以星土辨九州하야 所封 〈封〉域 皆有分星하야 以觀妖祥이라 鶉首 秦也 星經云 東井, 輿鬼 秦之分野 雍州也하니 秦王 當有天下하리이다
以其狀授世民하니
於是 世民 密奏호되 建成, 元吉 淫亂後宮이라하고
且曰 臣於兄弟 無絲毫負어늘 今欲殺臣하니 似爲世充, 建德報讐니이다
省之하고 愕然注+[頭註] 驚也報曰 明注+[頭註] 謂明日이라當鞫問하리니 汝宜早參注+[頭註]이라하라
庚申 世民 遂帥長孫無忌等하고하야 伏兵於玄武門이라가 世民 射建成殺之하고 尉遲敬德 將七十騎繼至하야 左右射元吉墜馬러니 世民馬逸入林下라가 爲木枝所하야 墜不能起
元吉 遽至하야 奪弓將扼注+[通鑑要解] 與搤同하니 捉也어늘 敬德 躍馬叱之하니
元吉 步欲趨武德殿이어늘 敬德 追射殺之하다
謂裴寂等曰 不圖今日 乃見此事하니 當如之何
蕭瑀, 陳叔達曰 建成, 元吉 疾秦王功高望重하야 共爲姦謀러니 今秦王 已討而誅之하니
秦王 功蓋宇宙하야 率土歸心이니이다
陛下若處以元良注+[頭註] 一人元良이면 萬國以貞이라하니 世子之謂也라하니라하야 委之國務 無復事矣리이다
上曰 善하다
吾之夙心라하고
癸亥 立世民하야 爲皇太子하고 又詔호되 自今으로 軍國庶事 無大小 悉委太子處決然後 聞奏하라하다
〈出本紀及建成等傳〉
溫公曰
立嫡以長注+[釋義]公羊傳隱元年 立嫡以長이요 不以賢하며 立子以貴 不以長이라한대 注云 嫡 謂嫡夫人之子 尊無與敵이라 故以齒也 謂左右媵及娣姪之子 位有貴賤하고 又防其同時而生이라 故以貴也라하니라 禮之正也
然高祖所以有天下 皆太宗之功이라
隱太子以庸劣居其右注+[釋義]隱太子 建成也 後追封息隱王하니라 庸劣 謂庸暗愚劣也 古者 일새 以右爲上也하니 地嫌勢逼하야 必不相容이라
曏使高祖有文王之明注+[釋義]記檀弓云 昔者 文王 舍伯邑考而立武王이라한대 文王之立武王 權也 伯邑考 文王長子也하고 隱太子有泰伯之賢注+[釋義]周太王三子 長泰伯이요 次仲雍이요 次季歷이라 季歷 生子昌하니 有聖德이어늘 太王 欲傳位於季歷하야 以及昌한대 泰伯知之하고 卽與仲雍으로 逃之荊蠻하니라하고 太宗有子臧之節注+[釋義]春秋 曹宣公庶子子臧 乃負芻之兄이라 宣公卒 負芻殺其太子하고 自立이어늘 晉厲公執之하다 諸侯以子臧賢이라하야 欲立之한대 子臧辭而奔宋하니라이면 則亂何自而生哉
旣不能然인댄 太宗始欲俟其先發然後 應之하니 如此 則事非獲已 猶爲愈也리라
旣而 爲群下所迫하야 遂至蹀血注+[釋義] 履也 謂殺人(而)[血]流 履涉之也禁門하고 推刃同氣하야 貽譏千古하니 惜哉
夫創業垂統之君 子孫之所儀刑也 彼中, 明, 肅, 代注+[頭註] 中宗이요 明皇이요 肅宗이요 代宗이니 竝以兵淸內難而繼統이라 明皇 不稱廟號之傳繼 得非有所指擬하야 以爲口實乎
孫甫曰
立嫡以長者 所以止爭奪之心也 行之平世 固爲常法이어니와
若夫古之世子不賢이면 尙求聖人하야 以傳大位어든 況長子不賢하고 次子聖乎
安得局於常法也리오
唐有天下 本秦王之謀
功德之大하야 海內屬望하니 其勢可終爲人臣乎
建成 自擧兵以來 無一事可道어늘 但以年長으로 使居聖子上하니 雖至愚者라도 知其不可也
胡不虛其位하야 待天命之定乎
況受禪之初 天下未定하니 何汲汲於立子也리오
善哉
寧王憲注+[附註]睿宗長子也 初名成器 嘗爲太子러니 玄宗 爲楚王하야 有大功한대 而憲讓之하니 封爲宋王이라 玄宗七年 徙宋王成器爲寧王하고 이라 二十九年薨하니 追諡讓皇帝하니라 讓太子之言曰 時平則先嫡長하고 世亂則先有功이라하니 萬世不易之論也니라
洗馬魏徵 常勸太子建成하야 早除秦王이러니
及建成敗 世民 召徵하야 謂曰 汝何爲離間我兄弟
爲之危懼호되 擧止自若하야 對曰 先太子早從徵言이런들 必無今日之禍하리이다
世民 素重其才하야 改容禮之하고 引爲詹事注+[頭註] 省也, 供也主簿하고 亦召王珪, 韋挺於雋州注+[釋義]先是 楊文幹 與建成親善이러니 文幹反 珪, 挺 皆爲太子官屬이라 高祖委罪於二人而流於雋州하니라하야 皆以爲諫議大夫하다
范祖禹曰
齊桓公 殺公子糾하니 召忽 死之어늘 管仲 不死하고 又相桓公以霸 何哉
桓公, 子糾 皆以公子出奔하니
子糾 未嘗爲世子也 桓公 先入而得齊 非取諸子糾也
桓公旣入 而殺子糾하니 惡則惡矣 然納桓公者 齊也
春秋 書公伐齊納糾라하야 不稱子하니 不當立者也 齊小白入于齊라하야 以小白繫之齊注+[釋義]小白 齊桓公之名이라 以小白繫之齊 謂春秋 以小白 繫于齊字下하니 當立者也
又曰齊人取子糾殺之라하야 稱子糾하니 所以惡齊也
是以 管仲 不得終讐桓公하고 而得以之爲君이라
今建成 爲太子하고 且兄也 秦王 爲藩王하고 又弟也
王, 魏受命하야 爲東宮之臣이면 則建成 其君也 豈有人殺其君이어늘 而可北面爲之臣乎
且以弟殺兄하고 以藩王殺太子하야 而奪其位하니 王, 魏不事太宗 可也
夫食君之祿而不死其難하고 朝以爲讐라가 暮以爲君하야 於其不可事而事之하니 皆有罪焉이라
臣之事君 如婦之從夫也 其義不可以不明이라
苟不明於君臣之義而委質於人이면 로라
[史略 史評]朱子曰
王, 魏 先有罪而後有功하니 則不以相掩 可也니라
世民 命縱禁苑鷹犬하고 罷四方貢獻하며 聽百官各陳治道하야 政令 簡肅하니 中外大悅이러라
○ 八月癸亥 詔傳位於太子하니 太宗 卽皇帝位於東宮顯德殿하고 赦天下注+[釋義]此已下稱上者 竝是太宗이라하다
〈竝出太宗紀〉
高祖贊曰
唐有天下 幾三百年이니 可謂盛哉
豈非人厭隋亂而蒙德澤이리오
繼以太宗之治 制度紀綱之法 後世有以憑藉扶持而能永其天命歟인저
[史略 史評]史斷曰
唐之興 蓋以人厭隋亂이라
高祖起太原하야 初伐西河하야 首斬佞臣하고 慰撫居民하야 秋毫無犯하니 義聲所曁 聞者響應이라
於是 取霍邑하고 克汾, 絳하고 降馮翊하고 守潼關하고 徇渭北하야 乘勝攻圍하야 遂克長安하야 雄據京邑하니 興王之業 已定於此
自時厥後 降李密於黎陽하고 俘建德於河北하고 擒世充於東都하고 芟武周於幷州하고 翦黑闥於山東하고 夷蕭銑於江陵하고 殄薛仁杲於涇水하야 六年之間 海內咸服하니 其成功 何其速哉
蓋以太宗爲之子也
惜其擧事之初 設詐罔衆하고 殺人利己
況昵裴寂之邪而受宮女하고 聽劉文靜之說而臣突厥이온여
以此貽謀하니 何以爲訓이리오
是以 唐世 人主無正家之法하고 戎狄多猾夏之禍하니 蓋高祖以此始也일새라
이나 能定律令하고 置學校하고 旌擢孫伏伽, 李素立等하며 又錄隋之子孫하야 量才授任하니 由魏晉以降으로 最爲忠厚
其享國久長 豈無自而然哉리오
詔以宮女衆多하야注+[釋義]閉也可愍하니 宜簡注+[頭註]與揀通이라出之하야 各歸親戚하야 任其適人하라하다
〈出太宗紀〉
○ 己卯 突厥 進寇高陵이어늘 辛巳 涇州道行軍總管尉遲敬德 與突厥 戰於涇陽하야 大破之하다
癸未 頡利可汗 進至渭水便橋注+[釋義]王氏曰 長安城北面西頭門曰便門이니 卽平門也 古者 平, 便 字通이라 漢武於此作橋하야 跨渭水上하야 以趨茂陵하니 其道易直하고 橋正與便門相對할새 因號便橋하니라之北하야 遣其腹心執失思力注+[釋義]執失 虜複姓也 思力 名也하야 入見以觀虛實할새
思力 盛稱頡利, 突利二可汗 將兵百萬하야 今至矣라하니
上讓之曰 吾與汝可汗으로 面結和親하고 贈遺金帛 前後無算이어늘
汝可汗 自負盟約하고 引兵深入하니 於我 無愧
汝雖戎狄이나 亦有人心이어늘 何得全忘大恩하고 自誇彊盛
我今先斬汝矣리라 思力 懼而請命注+[頭註]謂請貸其死命也이어늘
蕭瑀, 封德彛請禮遣之한대 上曰 我今遣還이면 虜謂我畏之라하야 愈肆憑陵이라하고 乃囚思力於門下省注+[通鑑要解] 音生이니 上聲이라 禁署也 漢以避元后父諱하야 改名省中하야 以禁中爲省中也하다
自出玄武門하야 與高士廉, 房玄齡等六騎 徑詣渭水上하야 與頡利 隔水而語할새 責以負約하니 突厥 大驚하야 皆下馬羅拜러라
俄而 諸軍 繼至하니 頡利見執失思力不返하고 而上挺身注+[通鑑要解] 超拔也輕出하며 軍容甚盛하고 有懼色이러라
麾諸軍注+[通鑑要解] 又與하니 以手指麾也하야 使却而布陳하고 獨留하야 與頡利語하다
蕭瑀以上輕敵이라하야 叩馬注+[頭註] 音扣 持也固諫이어늘 上曰 吾籌之已熟하니 非卿所知
突厥 所以敢傾國而來하야 直抵 以我國內有難하고 朕新卽位하야 謂我不能扞禦故也
我若示之以弱하야 閉門拒守 虜必放兵大掠하야 不可復制
輕騎獨出하야 示若輕之하고 又震耀軍容하야 使知必戰하야 出虜不意하야 使之失圖 虜入我地旣深하야 必有懼心이라
與戰則克하고 與和則固矣리니
制服突厥 在此一擧 第觀之注+[頭註] 但也하라
是日 頡利請和어늘 詔許之하고 上卽日還宮하다
乙酉 又幸城西하야 하야 與頡利 盟于便橋之上하니 突厥 引兵退하다
蕭瑀請於上曰 突厥未和之時 諸將 爭請戰호되 陛下不許하시니 臣等 亦以爲疑러니
旣而 虜自退하니 其策 安在잇고
上曰 吾觀突厥之衆하니 雖多而不整하고 君臣之志 唯賄是求
當其請和之時하야 可汗 獨在水西하고 達官 皆來謁我하니 我若醉而縛之하고 因襲擊其衆이면 勢如注+[頭註] 折也
又命長孫無忌, 李靖하야 伏兵於幽州以待之라가 虜若奔歸어든 伏兵 邀其前注+[通鑑要解] 遮也하고 大軍 躡其後 覆之如反掌로되
所以不戰者 吾卽位日淺하야 國家未安하고 百姓未富하니 且當靜以撫之
一與虜戰이면 所損 甚多 虜結怨旣深하고 懼而修備 則吾未可以得志矣
卷甲韜戈하야 以金帛이니
彼旣得所欲이면 理當自退 志意驕惰하야 不復設備하리니 然後 養威俟釁이면 一擧可滅
將欲取之인댄 必固與之注+[頭註]老子語 此之謂也
卿知之乎 瑀再拜曰 非所及也니이다
突厥頡利 獻馬三千匹 羊萬口어늘 不受하고 但詔歸所掠中國戶口하고 徵溫彦博하야 還朝注+[附註]乙酉七月 突厥寇邊이어늘 詔左衛大將軍張瑾禦之러니 敗績하니 長史溫彦博 被執이라 虜問國家兵糧虛實호되 彦博不對하니 虜遷之陰山하니라하다
〈出突厥傳及政要〉
○ 上 引諸衛將卒하야 習射於顯德殿庭할새 諭之曰 戎狄侵盜 自古有之하니 患在邊境小安이면 則人主逸遊忘戰이라
是以 寇來 莫之能禦
今朕 不使汝曹穿池築苑하고 專習弓矢하야 居閑無事 則爲汝師하고 突厥入寇 則爲汝將하노니 庶幾中國之民 可以少安乎인저
於是 日引數百人하야 敎射於殿庭할새 親臨試하야 中多者 賞以弓刀帛하고 其將帥 亦(可)[加]하니 群臣 多諫注+[通鑑要解]諫曰 於律 以兵刃至御在所者어늘 今使將卒習射殿庭하시니 萬一狂夫竊發하야 出於不意 非所以重社稷也니이다 上曰 王者 視四海云이라이라
皆不聽曰 王者 視四海 如一家하나니 封域之內 皆朕赤子注+[頭註]嬰兒 體色赤이라 故曰赤子
朕常推心하야 置其腹中하노니 奈何宿衛注+[頭註]宿 守也之士 亦加猜忌乎 由是 人思自勵하야 數年之間 悉爲精銳하니라
范祖禹曰
有國家者 雖不可忘戰이나 然而敎士卒習射者 有司之事 殿庭 非其所也
苟將師得其人이면 何患乎士之不勇 技之不精乎
夫以萬乘之主 而爲卒伍之師하니 非所以示德也
且人君始卽位하야 不以敎化禮樂爲先務하고 而急於習射하니 志則陋矣
雖士勵兵强하야 征伐四克하야 威加海外 非帝王之盛節이니 亦不足貴也니라
嘗言호되 吾自少 經略四方하야 頗知用兵之要
每親敵陳이면 則知其彊弱하야 常以吾弱當其彊하고 彊當其弱하노니 彼乘吾弱이면 逐奔 不過數(千)[十]百步로되 吾乘其弱이면 必出其陳後하야 返擊之하니 無不潰敗
所以取勝 多在此也로라
〈出政要〉
○ 上 面定勳臣長孫無忌等爵邑할새 命陳叔達하야 於殿下 唱名示之하고
且曰 朕敍卿等勳賞 或未當이어든 宜各自言하라
於是 諸將 爭功하야 紛紜不已
淮安王神通曰 臣 擧兵關西하야 首應義旗어늘
今房玄齡, 杜如晦等 專弄刀筆注+[頭註] 所以削書 古者 用簡牒이라 故吏皆以刀筆隨하니라하고 功居臣上하니 臣竊不服하노이다
上曰 義旗初起 叔父雖首唱擧兵이나 蓋亦自營脫禍
玄齡等 運籌帷幄하야 坐安社稷하니 論功行賞 固宜居叔父之先이라
叔父 國之至親이니 誠無所愛 但不可以私恩으로 濫與勳臣同賞耳로라
諸將 乃相謂曰 陛下至公하야 雖淮安王이라도 尙無所私하니 吾儕何敢不安其分이리오하고 遂皆悅服하니라
〈出玄齡傳〉
○ 房玄齡 嘗言호되 秦府舊人未遷官者 皆嗟怨하야 曰 吾屬 奉事左右 幾何年矣어늘 今除官注+[頭註]拜官曰除 除者 去舊官하야 就新官이라 反出前宮, 齊府注+[頭註]太子建成이요 齊府 齊王元吉이라人之後라한대
上曰 王者 至公無私故 能服天下之心이라
朕與卿輩 日所衣食 皆取諸民者也
設官分職 以爲民也
當擇賢才而用之어늘 豈以新舊爲先後哉
必也新而賢하고 舊而不肖 安可捨新而取舊乎
今不論其賢不肖하고 而直言嗟怨하니 豈爲政之體乎
〈出政要〉
○ 上 於弘文殿 聚四部書注+[附註] 經, 史, 子, 集이라 薛稷知集庫하고 馬懷素知經庫하고 沈佺期知史庫하고 武平一知子庫하니 通曰四部 又有甲, 乙, 丙, 丁部하니라[通鑑要解]自漢以來 史官 列其名氏篇第하야 以爲六藝七略이러니 至唐하야 始分爲四類하야 曰經, 史, 子, 集이라하고 以甲, 乙, 丙, 丁爲次하야 謂之四庫書 亦曰四部書二十餘萬卷하고 置弘文館於殿側하고 精選天下文學之士虞世南, 褚亮, 姚思廉, 歐陽詢, 蔡允恭, 蕭德言等하야 以本官으로 兼學士하야日宿直하고 聽朝之隙 引入內殿하야 講論前言往行하고 商確注+[頭註] 度也 擧其略也政事하야 或至夜分乃罷하다
又取三品已上子孫하야 充弘文館學生하다
〈出儒學傳序〉
○ 民部尙書裴矩奏호되 民遭突厥暴殘者 請戶給絹一匹하노이다 上曰 朕以誠信御下하야 不欲虛有存恤之名而無其實하노니
戶有小大하니 豈得雷同注+[釋義]雷之發聲 物無不同時應者 故曰雷同이라給賜乎아하고
於是 計口爲率하다
○ 上 與群臣으로 論止盜할새 或請重法以禁之어늘
之曰 民之所以爲盜者 由賦繁役重하고 官吏貪求하야 飢寒切身故 不暇顧廉恥
當去奢하고 輕徭薄賦하고 選用廉吏하야 使民衣食有餘
則自不爲盜하리니 安用重法耶
自是 數年之後 海內昇平하야 路不하고 外戶不閉注+[通鑑要解]扉從外闔하고 不用關閉之也 重門擊柝 本禦暴客이니 旣無盜竊이면 則戶無俟於閉也 〈外戶者〉 戶設於外而閉之向內也하고 商旅野宿이러라
[新增]范氏曰
季康子患盜하야 問於孔子한대 孔子曰 苟子之不欲이면 雖賞之라도 不竊이라하시니 信哉
斯言也
蓋君者 本也 民者 末也 君者 源也 民者 流也 本正則末正하고 源淸則流淸矣
是以 先王之治 必反求諸己하니 己正而物莫不應矣
夫重法以止盜 法繁而盜愈多하리니
去奢省費하고 輕徭薄賦 此淸源正本하야 止欲之道也
太宗行之 其效如此하니 君人者 無以迂言爲難行하고 而以峻法爲足恃 則知致治之方矣리라
又嘗謂侍臣曰 君依於國하고 國依於民하니 刻民以奉君이면 猶割肉以充腹이라 腹飽而身斃하고 君富而國亡이라
人君之患 不自外來 常由身出이니 夫欲盛則費廣하고 費廣則賦重하고 賦重則民愁하고 民愁則國危하고 國危則君喪矣
常以此思之故 不敢縱欲也하노라
○ 上謂裴寂曰 比多上書言事者어늘 朕皆粘之屋壁하고 得出入省覽하며 每思治道하야 或深夜方寢하노니
公輩 亦當恪勤職業하야 副朕此意하라
〈出政要〉
○ 上 勵精求治하야
數引魏徵入臥內하야 訪以得失하니 知無不言이라 皆欣然嘉納하다
〈出魏鄭公諫錄〉
○ 上 遣使點兵할새 封德彛奏호되 中男注+[通鑑要解]唐制 民年十六 謂之中男이라 十八 始成丁이요 二十一 爲丁하야 充力役이라雖未十八이나 其軀幹壯大者 亦可幷點注+[釋義] 與倂同이라이니이다 從之하다
勅出 魏徵 固執하야 以爲不可라하야 不肯署勅注+[頭註] 聯紙書行也 着押也 至于數四
上怒하야 召而讓之曰 中男壯大者 乃奸民詐妄하야 以避征役이니 取之何害완대 而卿 固執至此
對曰 夫兵 在御之得其道 不在衆多니이다
陛下取其壯健하야 以道御之 足以無敵於天下어늘 何必多取細弱하야 以增虛數乎잇가
且陛下每云吾以誠信御天下하야 欲使臣民으로 皆無欺詐라하시더니 今卽位未幾 失信者니이다
愕然曰 朕 何爲失信 對曰 陛下初卽位 下詔云 逋負注+[釋義] 亡也 受貸不償曰負官物 悉令이라하시더니
有司以爲負秦府國司者 非官物이라하야 徵督 如故하니이다
陛下以秦王으로 升爲天子하시니 國司之物 非官物而何니잇고
又曰 關中 免二年租調하고 關外注+[原註] 除其賦役也一年이라하시더니
旣而 繼有勅云 已役已輸者 以來年爲始라하야 散還之後 方復更徵注+[頭註]言旣散還其已輸之物而復徵之 賦也하시니 百姓 固已不能無怪니이다
今旣徵得物하고 復點爲兵하시니 何謂來年爲始乎잇가
又陛下所與共治天下者 在於守宰라하야 居常簡閱 咸以委之러시니 至於點兵하야는 獨疑其詐하시니 豈所謂以誠信爲治乎잇가
悅曰 曏者 朕以卿固執으로 疑卿不達政事러니 今卿 論國家大體 誠盡其精要
夫號令不信이면 則民不知所從하나니 天下何由而治乎
朕過深矣로다하고 乃不點中男하고 賜徵金甕하다 〈出鄭公諫錄〉
○ 張蘊古注+[頭註]이라上大寶箴注+[釋義] 戒也하니 其略曰 聖人受命하야 拯溺亨屯注+[釋義]王氏曰 出溺爲拯이니 拯溺 謂拯救天下之沒溺也 通也 難也 言亨通天下之屯難也이라
以一人治天下 不以天下奉一人이라하고 又曰 壯九重注+[釋義]楚辭 君之門九重이라한대 關門, 遠郊門, 近郊門, 城門, 皐門, 庫門, 雉門, 應門, 路門이라於內라도 所居 不過容膝이어늘 彼昏不知하야 瑤其臺而瓊其室注+[釋義]汲冢古文曰 桀作瓊宮, 瑤臺하고 紂作瓊室, 立玉門하니 其大三里 高千尺이니 七年乃成이라하니라하고
羅八珍於前注+[釋義]王氏曰 禮膳夫珍用八物 〈注〉에 一淳熬 沃也 煎也 煎醢加于陸稻上하고 沃之以膏하야 煎成之 二淳 毋讀作模하니 象也 作此象淳熬 三炮 取豚若牂刳之하야 實棗於其腹中하고 編萑以苴之하야 塗之以하야 炮之 四擣珍이니 取肉必脄 脄音梅 夾脊肉이요 捶之也 五漬 取牛肉新殺者하야 薄切하야 湛諸美酒하야 期朝而食之 六爲熬 於火上爲之하니 今火脯似矣 七糝이니 取牛羊豕肉호되 三如一하야 小切之하고 肉一, 稻米二하야 合以爲餠하야 煎之 八肝膋 取狗肝하야 幪之以其膋하야 濡炙之 腸間脂 音遼이라도 所食 不過適口어늘 惟狂罔念하야 丘其糟而池其酒注+[釋義]汲冢古文 桀作酒池하야 可以運船하고 糟堤可望十里하며 紂爲酒池하야 回(盤)[船]하고 糟丘而牛飮者 三千餘人爲輩라하니라라하고 又曰 勿沒沒注+[釋義]諸本 作汶汶하니 按王氏曰 左傳襄二十四年 何沒沒也註 沒沒 沈滅之言이니 一音妹라하니라而闇하고 勿察察而明하라
雖冕旒蔽目注+[釋義]王氏曰 旒 垂玉也 旒皆十二 不如是 不爲蔽明이라 其諸臣之旒 數雖不同이나 然垂皆過目이라이나 而視於未形하고纊塞耳注+[釋義] 黃色이요 新綿也 以黃綿爲丸하고 用組垂之於冕하야 當兩耳傍이니 所以塞聰하야 示不外聽也 而聽於無聲이라하야늘
嘉之하야 賜以束帛注+[附註]易賁卦注 五匹爲束이라하고 禮雜記 束五兩이요 兩五尋이라한대 一束 十卷也 八尺爲尋이요 五尋爲匹이니 四十尺也 從兩端卷至中이면 則每卷二十尺이요 合則四十尺이니 五匹 爲五箇兩卷이라 故曰束五兩이라하니 其實五匹也 猶匹偶之云이니 古人 每匹 作兩箇卷子하니라하고 除大理丞하다
〈出本傳〉
○ 上 患吏多受賕注+[釋義] 以財物 枉法相謝하야 密使左右試賂之러니 有司門令史注+[頭註]司門 屬刑部하니 掌天下門關出入之籍賦 有令史六人이라受絹一匹이어늘
上欲殺之한대 民部尙書裴矩諫曰 爲吏受賂하니 罪誠當死
但陛下使人遺之而受하니 乃陷人於法也
恐非所謂道之以德이요 齊之以禮니이다
하야 召文武五品已上하야 告之曰 裴矩能當官力爭하고 不爲面從하니 儻每事皆然이면 何憂不治리오
〈出本傳〉
溫公曰
古人有言호되 君明臣直이라하니
裴矩佞於隋注+[頭註]如說伐高麗之類而忠於唐하니 非其性之有變也 君惡聞其過 則忠化爲佞하고 君樂聞直言이면 則佞化爲忠하나니
是知君者 表也 臣者 景(影)注+[釋義] 古影字 後人이라 表動則景隨矣니라


무덕武德 9년(병술 626)
태사령太史令 부혁傅奕이 상소하여 불법佛法을 제거할 것을 청하여 말하기를 “불법佛法서역西域에 있어서 말이 요망하고 중국과의 거리가 먼데,
나라 사람이 서역西域 오랑캐의 불경佛經을 번역하면서注+[釋義]서역西域 오랑캐의 서책이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한어漢語로 번역하였으니, 후진後秦요흥姚興구마라십鳩摩羅什으로 하여금 서역西域경론經論(經藏과 논장論藏)을 번역하게 하였다. 제멋대로 가탁假託하여, 임금에게 충성하지 않고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는 자들로 하여금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어서 군주와 어버이에게 만 하여 〈무릎 꿇고 절하지 않게 하고,〉 무위도식하는 자들로 하여금 의복을 바꾸어 승복僧服을 입고서 조세租稅전부田賦를 피하게 하며,
불교佛敎에서 삼도三途注+[頭註]불교에서는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삼도三途라 하여 나쁜 짓을 한 사람은 반드시 이곳에 떨어진다고 하였다. 를 거짓으로 열어놓고 육도六道注+[頭註]육도六道삼도三途에 다시 아수라阿修羅천신天神지기地祇를 더한 것이다. 를 잘못 펼쳐놓아서 마침내 어리석고 미혹된 자로 하여금 함부로 공덕功德을 바라고 금령禁令을 꺼리지 않아서 경솔하게 헌장憲章을 범하게 합니다.
또 살고 죽고 장수하고 요절함은 자연에 연유하고, 형벌과 덕과 위엄과 복은 인주人主에게 달려 있고, 빈부貧富귀천貴賤공업功業이 부르는 것인데, 어리석은 승려들이 속여서 모두 부처에게서 연유된다고 말하여 인주人主의 권한을 훔치고 조화造化을 제멋대로 쥐고 있으니, 정사를 해침이 진실로 슬퍼할 만합니다.
나라 이전에는 애당초 불법佛法이 없었지만 군주가 현명하고 신하가 충성하였으며, 국조國祚가 장구하고 역년歷年이 오래되었습니다.
그런데 〈나라 명제明帝가〉 서역西域에서 전래된 신불神佛注+[頭註]호신胡神은 부처를 이르니, 나라 명제明帝가 처음으로 사신을 보내어 천축국天竺國에 가서 그 를 구하고 그 책을 얻어오게 하였다. 을 세운 뒤로부터 강족羌族융족戎族이 중화를 어지럽혀 군주가 용렬하고 신하가 간사하며 정사가 포악해지고 국조國祚가 짧아졌으니, 나라 무제武帝(蕭衍)와 나라 문양제文襄帝(高澄)注+[頭註]齊襄은 북제北齊문양제文襄帝이니, 이름이 고징高澄이다. [通鑑要解]梁武帝는 대성臺城에서 굶어 죽었고, 북제北齊문양제文襄帝는 음식 만드는 종에게 시해당하였다. 가 충분히 밝은 거울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천하에 승려의 수가 10만을 넘으니, 청컨대 이들로 하여금 각자 배필을 맞이하게 한다면 바로 10여만 를 이룰 수 있습니다.
아들딸을 낳고 길러서 10년 동안 기르고 12년注+[頭註]일기一紀는 12년이다. 동안 가르치고 훈련시킨다면 군대를 강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였다.
백관百官에게 명하여 이 일을 의논하게 하니, 오직 태복경太僕卿注+[通鑑要解]태복경太僕卿은 나라의 구목廐牧(飼養과 방목放牧)과 수레의 정령政令을 관장하였다. 장도원張道源만이 부혁傅奕의 말이 이치에 부합한다고 말하였다.
소우蕭瑀가 말하기를 “부처는 성인聖人인데 부혁傅奕이 비방하니, 성인聖人을 비방하는 자는 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마땅히 그 죄를 다스려야 합니다.” 하니, 부혁傅奕이 말하기를 “사람의 큰 윤리가 군부君父만 한 것이 없는데, 부처는 를 이을 적자嫡子의 몸으로 아버지를 배반하였고 필부匹夫의 몸으로 천자天子에게 항거하였습니다.注+[通鑑要解]佛以世嫡而叛其父 이필부이항천자以匹夫而抗天子:불경佛經에 ‘부처는 왕태자王太子의 몸으로 출가했다.’ 하였기 때문에 대를 이을 적자嫡子의 몸으로 아버지를 배반했다고 말한 것이요, 불법佛法에 군주와 어버이에게 절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필부匹夫의 몸으로 천자天子에게 항거하였다고 말한 것이다.
소우蕭瑀공상空桑에서 태어난 것이 아닌데注+[釋義]열자列子》에 이르기를 “이윤伊尹공상空桑에서 태어났다.” 하였고, 전기傳記에 이르기를 “이윤伊尹의 어머니가 이미 잉태하였을 적에 꿈속에 이 고하기를 ‘절구확에서 물이 나오거든 동쪽으로 달아나라.’ 하였다. 다음 날 절구확에서 물이 나오는 것을 보고 동쪽으로 10리를 달아나서 그 고을을 돌아보니, 다 물바다가 되었다. 그리고 몸이 인하여 공상空桑(속이 빈 뽕나무)으로 하였는데, 유신씨有莘氏의 딸이 뽕잎을 따다가 공상空桑 속에서 어린아이를 얻고는 이름하기를 이윤伊尹이라 하였다. 이윤伊尹은 장성하자 어질어서 나라 탕왕湯王의 정승이 되었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이것은 망령되고 허탄한 말인데 이것을 인용한 것은 다만 부혁傅奕의 말을 증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마침내 어버이를 무시하는 가르침을 따르고 있으니, ‘를 그르다고 하는 자는 어버이를 무시하는 것이다.’라는 것은 소우蕭瑀 같은 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하였다.
소우蕭瑀가 대답하지 못하고 다만 합장合掌注+[通鑑要解]합수合手는 두 손을 모아서 마음속의 공경을 표시하는 것이다. 하고서 말하기를 “지옥地獄을 만든 것은 바로 이런 사람 때문입니다.” 하였다.
사문沙門도사道士들이 구차하게 부역을 피하고 계율을 지키지 아니하여 모두 부혁傅奕의 말과 같음을 미워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 유사有司에게 명해서 천하의 비구승‧비구니‧도사道士注+[頭註]는 일삼음이니, 몸과 마음이 이치를 따라 오직 만을 따라서 를 따르는 것을 일삼기 때문에 도사道士라고 한 것이다. 를 도태시키게注+[通鑑要解]는 가리는 것이니, 사태沙汰는 가려서 버리고 배척함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 《당서唐書 부혁전傅奕傳》에 나옴 -
○ 6월 정사일丁巳日(1일)에 태백성太白星(金星)이 〈낮에 나타나〉 하늘에 뻗쳐 있었다.
진왕秦王 이세민李世民이 이미 태자太子 이건성李建成제왕齊王 이원길李元吉과 틈이 있었다.
그리하여 진왕秦王 이세민李世民낙양洛陽은 지형이 뛰어난注+[頭註]형승形勝은 형세의 우세함과 편리함을 얻은 것이니, 지형이 험하기 때문에 사람을 이길 수 있는 것이다. 곳이니, 하루아침 도성(長安)에 변란이 있을까 두려워하여 나가서 낙양洛陽을 보전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세민李世民에게 이르기를 “처음에 큰 계책을 세워서 해내海內를 평정한 것은 모두 너의 공이다.
내가 너를 세워 후사로 삼으려 하였는데 네가 한사코 사양하였고, 또 건성建成은 나이가 가장 많은데다 후사로 있었던 날짜가 오래니, 내가 차마 태자의 자리를 빼앗을 수 없다.
네 형제들을 살펴보니 서로 용납하지 못할 듯하다.注+[通鑑要解]이건성李建成이 밤에 이세민李世民을 불러 술을 먹이면서 술에 짐독酖毒을 타니, 이세민李世民이 갑자기 가슴의 통증을 호소하며 피를 몇 되나 토하다가 소생하였다. 그러므로 서로 용납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경읍京邑(長安)에 함께 머물면 반드시 분쟁이 있을 것이니, 마땅히 너를 보내어 낙양洛陽행대行臺로 돌아가게 할 것이다.
낙양洛陽에 머물면서 협주陜州 이동 지방을 다 주관하도록 하여라.
그런 다음 너에게 명하여 천자의 정기旌旗를 세워 나라 양효왕梁孝王고사故事注+[頭註]양효왕梁孝王(劉武)은 나라 경제景帝동모제同母弟이니, 경제景帝천자天子의 깃발을 내려주어 양효왕梁孝王이 나가고 들어올 때에 사람들을 경계하고 벽제辟除하는 것을 천자天子에 견주게 하였다. 와 같이 하겠다.” 하니, 이세민李世民이 눈물을 흘리며 슬하膝下를 멀리 떠나고 싶지 않다고 사양하였다.
이건성李建成이원길李元吉후궁後宮들과 함께 밤낮으로 에게 이세민李世民을 참소하니, 이 그 말을 믿었다.
이원길李元吉이 은밀히 진왕秦王을 죽일 것을 청하자, 이 말하기를 “저 진왕秦王은 천하를 평정한 공이 있고 죄상이 드러나지 않았으니, 무엇을 구실로 삼겠는가?” 하니, 이원길李元吉이 말하기를 “다만 빨리 죽여야 하니, 어찌 구실이 없음을 근심하십니까?” 하였다.
그러나 이 응하지 않았다.
이세민李世民심복心腹장손무기長孫無忌고사렴高士廉울지경덕尉遲敬德 등이 밤낮으로 이세민李世民에게 이건성李建成이원길李元吉을 죽이도록 권하니, 이세민李世民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골육간骨肉間에 서로 해침은 고금古今의 가장 큰 죄악이다.
내 진실로 조석朝夕 사이에 있음을 알지만 그들이 먼저 발동하기를 기다린 뒤에 의리로써 토벌하고자 하니, 이것이 옳지 않겠는가.”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