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
이 與宋申錫
注+[頭註]同平章事라 으로 謀誅宦官
할새 申錫
이 引吏部侍郞王
하야 爲京兆尹
하고 以密旨諭之
러니 璠
이 泄其謀
라
鄭注, 王守澄
이 知之
하고 誣告申錫
이 謀立漳王
注+[頭註]名湊니 文宗弟也니 貶爲巢縣公하니라 이라하고 貶申錫爲開州司馬
러니 申錫
이 竟卒於貶所
하니라
○ 西川節度使李德裕奏 吐蕃維州副使悉怛謀請降이어늘 已遣兵하야 入據其城이라하고 具奏其狀하고 且陳出師之利라
牛僧孺曰 比來에 修好하야 約罷戍兵하니 中國禦戎은 守信爲上이니이다
上以爲然하야 詔德裕하야 以其城歸吐蕃하고 執悉怛謀及所與偕來者하야 悉歸之한대 吐蕃이 盡誅之於境上하야 極其慘酷이라
상上은
송신석宋申錫과 함께
注+[頭註]송신석宋申錫은 동평장사同平章事이다. 환관宦官을 죽일 것을 모의할 적에
송신석宋申錫이
이부시랑吏部侍郞 왕번王璠을 천거하여
경조윤京兆尹으로 삼고
밀지密旨를 그에게
유시諭示하였는데,
왕번王璠이 그 계책을 누설하였다.
정주鄭注와
왕수징王守澄이 이것을 알고는
송신석宋申錫이
장왕漳王을 황제로 세울 것을 모의한다고
注+[頭註]장왕漳王은 이름이 주湊이니, 문종文宗의 아우인데, 소현공巢縣公으로 강등당하였다. 무고誣告하고
송신석宋申錫을
개주사마開州司馬로 좌천시켰는데,
송신석宋申錫이 끝내 좌천된 곳에서 죽었다.
서천절도사西川節度使 이덕유李德裕가 아뢰기를 “토번吐蕃의 유주부사維州副使 실달모悉怛謀가 항복할 것을 청하므로 이미 군대를 보내 성城에 들어가 점거하였습니다.” 하고는 그 상황을 자세히 아뢰며 또 출병의 이로움을 아뢰었다.
이 일을 상서성尙書省에 내려 백관들을 불러 모아 의논하니, 모두 이덕유李德裕의 계책과 같이 할 것을 청하였다.
그러나 우승유牛僧孺가 말하기를 “근래에 토번吐蕃과 우호를 맺어 변방을 지키는 수병戍兵을 파하기로 약속하였으니, 중국에서 오랑캐를 방어하는 것은 신의를 지키는 것이 최상입니다.” 하였다.
상上이 그의 말을 옳게 여기고 이덕유李德裕에게 명하여 점거한 성城을 토번吐蕃에게 돌려주고 실달모悉怛謀와 그가 데리고 온 자들을 잡아 모두 돌려보내게 하였는데, 토번吐蕃이 국경에서 이들을 모두 죽여 참혹함이 지극하였다.
이덕유李德裕가 이로 말미암아 우승유牛僧孺를 원망함이 더욱 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