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李衛公問對直解

이위공문대직해

해제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太宗曰
太公云 以步兵與車騎戰者 必依丘墓險阻라하고 又孫子曰 天隙之地 丘墓故城 兵不可處라하니 如何
原注
太宗曰
太公戰步篇云 步兵 若與車騎戰者 必依丘墓險阻라하고 又孫子云 天隙之地 丘墓故城 兵不可處라하니 此說如何
靖曰
用衆 在乎心一이요 心一 在乎禁祥去疑하니 儻主將 有所疑忌 則群情搖하고 群情搖 則敵乘而至矣니이다
安營據地 便乎人事而已 若澗井陷隙之地 及如牢如羅之處 人事不便者也
兵家引而避之하여 防敵乘我니이다
原注
靖對曰
用衆 在乎心志專一이요 心志專一 在乎禁止妖祥之事하고 除去狐疑之心이니이다
儻主將 心有所疑惑避忌 則群情皆動搖하리니 則敵人乘釁而至니이다
凡安營據地 要便乎人事而已 近水草하고 依林木하며 利馳逐하고 宜戰守 此人事之便也
若絶澗, 天井, 天陷, 天隙之地 及如牢如羅之處 皆人事不便者也
兵家宜引而避之하여 防備敵來乘我耳니이다
解見孫子行軍篇하니라
丘墓故城 非絕險處 我得之爲利 豈宜反去之乎잇가
太公所說 兵之至要也니이다
原注
丘墓故城 非絶險之處 我得之爲利 豈宜反去之乎잇가
太公所說 兵家之至要也니이다
原注
○按孫子行軍篇 止言六害之地 必亟去之하여 勿近也하고
下文 又云 丘陵隄防 必處其陽而右背之라하고
無丘墓故城 兵不可處二句하니 未審太宗何所據而言이로라
太宗曰
朕思 凶器 無甚於兵者하니
行兵 茍便於人事 豈以避忌爲疑리오
今後諸將 有以陰陽拘忌 失於事宜者어든 卿當丁寧誡之하라
原注
太宗言
朕思호니 凶器 無有甚於兵者하니
行兵 誠有便於人事 豈以避忌爲嫌疑리오
今後諸將 有以陰陽拘忌之說 失於事宜者어든 卿當丁寧誡諭之하라
靖再拜謝曰
臣按尉繚子云 黃帝以德守之하고 以刑伐之라하니 是謂刑德이요 非天官時日之謂也니이다
이나 詭道 可使由之 不可使知之 後世庸將 於術數
是以 多敗하니 不可不誡也
陛下聖訓 臣宜宣告諸將호리이다
原注
靖再拜謝曰
臣按尉繚子天官篇云 黃帝以德自守하고 以刑伐人이라하니 此謂之刑德이요 非陰陽家天官時日之謂也니이다
이나 詭詐之道 可使人由之 不可使知之 後世庸常之將 拘泥於術數
此所以多敗 不可不告誡也
陛下聖訓 臣宜宣告諸將知之호리이다
太宗曰
有分聚하여 各貴適宜하나니 前代事迹 孰爲善此者
原注
太宗問曰
有分有聚하여 各貴適其宜爾 前代行過事迹 誰爲善此者
靖曰
苻堅 總百萬之衆하여 而敗於淝水하니 兵能合而不能分之所致也니이다
原注
靖答曰
秦苻堅 總百萬之衆하여 而敗於淝水之上하니 乃兵能合而不能分之所致니이다
吳漢 討公孫述할새 與副將劉尚으로 分屯하여 相去二十里러니 來攻漢이어늘 出合擊하여 大破之하니 兵分而能合之所致也니이다
原注
吳漢討公孫述 在建武十二年하니라
公孫述 字子陽이요 茂陵人이니 爲淸水長이라가 更始元年 起兵於蜀이러니 至是 吳漢 討平之하니라
太公云 分不分 爲縻軍이요 聚不聚 爲孤旅라하니이다
原注
太公云 欲分而不能分 爲縻繫之軍이요 라하니 卽此謂也니이다
太宗曰
하다
苻堅 初得王猛 實知兵하여 遂取中原이러니 及猛卒 堅果敗하니 縻軍之謂乎인저
吳漢 爲光武委任하여 兵不遙制 漢果平蜀하니 不陷孤旅之謂인저
得失事迹 足爲萬代鑒이로다
原注
太宗曰
하다
苻堅 初得王猛 實知兵法하여 遂取中原이러니 及王猛卒 하니 縻軍而不能分之謂也
吳漢 爲光武所委任하여 兵不遙制 하니 不陷孤旅而能合之謂也
漢光之得 苻堅之失 其事迹 足可爲萬代之鑒이라
王猛 字景略이요 北海劇人이니 家于魏郡이러니 苻堅用之하여 歲中五遷하여 權傾內外하니라
太宗曰
朕觀호니 千章萬句 不出乎多方以誤之一句而已로라
原注
太宗問曰
朕觀兵書호니 千章萬句 不出乎一句而已로라
靖良久曰
誠如聖語하니이다
大凡用兵 若敵人不誤 則我師安能克哉잇가
譬如奕碁 兩敵均焉이라가或失하면 竟莫能救하나니
是古今勝敗 率由一誤而已 況多失者乎잇가
原注
靖良久對曰
誠如陛下聖語하니이다
大凡用兵 若敵人不差誤 則我師安能勝哉잇가
譬如奕碁之法 兩敵均焉이라가 一著或有差失이면 畢竟莫能救矣
是則古今勝敗 大率只由一時差誤而已 況於多失者乎잇가
太宗曰
攻守二事 其實 一法歟인저
孫子言 善攻者 敵不知其所守하고 善守者 敵不知其所攻이라하여
卽不言敵來攻我어든 我亦攻之하고 我若自守어든 敵亦守之하니 其術奈何
原注
太宗曰
攻與守二事 其實 爲一法歟인저
孫子書 言善能攻者 敵人 不知其所守之處하고 라하여
卽不曾言敵來攻我어든 我亦就而攻之하고 我若自守어든 敵亦因而守之하니
攻守之法 兩家勢均力敵이면 其術奈何
靖曰
前代似此相攻相守者 多矣니이다
皆曰 守則不足, 攻則有餘 便謂不足爲弱하고 有餘爲強이라하니 蓋不悟攻守之法也니이다
原注
靖對曰
前代似此相攻相守者 甚多하니이다
皆言 守則不足, 攻則有餘 便謂不足爲力之弱하고 有餘爲力之強이라하니 蓋不曉悟攻守之法也니이다
臣按孫子云 不可勝者 守也 可勝者 攻也라하니 謂敵未可勝이면 則我且自守라가 待敵可勝이면 則攻之爾 非以強弱爲辭也니이다
後人 不曉其義하여 則當攻而守하고 當守而攻하여 二役旣殊 不能一其法하니이다
原注
臣按孫子書云 不可勝者 守也 라하니
謂敵人 未有可勝之機 則我且守라가 待敵有可勝之隙이면 則攻之爾 非以力之強弱爲辭也니이다
後人 不曉其義하여 則敵當攻而反守之하고 我當守而反出攻之하여 二役旣殊異 不能一其法이니이다
太宗曰
信乎
有餘不足 使後人惑其強弱하여 殊不知守之法 要在示敵以不足이요 攻之法 要在示敵以有餘也로다
示敵以不足이면 則敵必來攻하리니 此是敵不知其所攻者也 示敵以有餘 則敵必自守하리니 此是敵不知其所守者也니라
原注
太宗曰
信乎
有餘不足 使後人惑其強弱之形하여 殊不知守之法 要在示敵以勢力之不足이요 攻之法 要在示敵以勢力之有餘也
示敵以勢力之不足이면 則敵必來攻我하리니 此是敵人不知其所攻者也 示敵以勢力之有餘 則敵必自守而不敢出하리니 此是敵人不知其所守者也
攻守一法이나 敵與我分而爲二事하니
若我事得則敵事敗하고 敵事得則我事敗 得失成敗 彼我之事分焉이요 攻守者 一而已矣
得一者 百戰百勝이라
曰 知彼知己 百戰不殆라하니 其知一之謂乎인저
原注
攻與守只一法耳 但敵與我分而爲二事하니
若我事旣得이면 則彼事必敗 敵事若得이면 則我事必敗 一得一失 一成一敗 彼我之事 分而爲二焉이니
攻守者 其法一而已矣
能得一者 百戰而百勝이라
靖再拜曰
深乎
聖人之法也
攻是守之機 守是攻之策이니 同歸乎勝而已矣니이다
若攻不知守하고 守不知攻이면 不唯二其事 抑又二其官하여 雖口誦孫吳라도 而心不思妙하리니 攻守兩齊之說 其孰能知其然哉잇가
原注
李靖再拜曰
深遠乎
聖人之法也
攻是守得發動之機 守是攻得運籌之策하여 同歸乎勝而已矣니이다
知攻而不知守하고 知守而不知攻이면 不唯二其攻守之事 又二其攻守之官하여 雖口誦孫吳之事라도 而心不思妙用하리니 攻守兩齊之說 其孰能知其然哉잇가
太宗曰
司馬法 言國雖大 好戰必亡이요 天下雖安이나 忘戰必危라하니 此亦攻守一道乎
原注
太宗曰
靖曰
有國有家者 曷嘗不講乎攻守也리오
夫攻者 不止攻其城, 擊其陳而已 必有攻其心之術焉이며
守者 不止完其壁, 堅其陳而已 必也守吾氣而有待焉이니
大而言之하면 爲君之道 小而言之하면 爲將之法이니이다 夫攻其心者 所謂知彼者也 守吾氣者 所謂知己者也니이다
原注
靖對曰
有國有家者 曷嘗不講究攻守之道리오
夫攻者 不止攻敵人之城, 擊敵人之陳而已 必有攻其心之術焉이니이다
守者 不止完全壁壘, 堅固軍陳而已 必也守吾氣而有所待焉이라
太宗曰
誠哉
朕常臨陳 先料敵之心與己之心孰審然後 彼可得而知焉이요 察敵之氣與己之氣孰治然後 我可得而知焉이라
是以 兵家大要 今之將臣 雖未知彼라도 苟能知己 則安有失利者哉리오
原注
太宗嘆曰
誠哉
朕常臨陳 先料敵人之心與己之心誰審然後 彼之虛實 可得而知焉이요 察敵人之氣與自己之氣誰治然後 我之強弱 可得而知焉이라
是以 知彼知己 爲兵家之大要 今之將臣 雖未能知彼之虛實이라도 苟能知自己之強弱이면 則安有失利者哉리오
靖曰
孫武所謂 先爲不可勝者 知己者也 以待敵之可勝者 知彼者也라하고
又曰 不可勝 在己 可勝 在敵이라하니 臣斯須不敢失此誡로이다
原注
靖對曰
孫武所謂 先爲自己有不可勝之備者 能知己者也 以待敵人有可勝之隙者 能知彼者也니이다
라하니 臣斯須之間 不敢失此誡로이다
太宗曰
孫子言 三軍 可奪氣之法이니 朝氣銳하고 晝氣惰하고 暮氣歸하나니 善用兵者 避其銳氣하고 擊其惰歸라하니 如何
原注
太宗問曰
孫子言 三軍 可以奪氣之法이니
敵人 早朝初至하면 其氣銳盛이요 待至晝時하면 其氣怠惰 日暮饑疲하면 其氣欲歸하나니
善能用兵者 避敵人新氣之銳盛하고 擊其晝라하니 此說如何
三軍可奪氣 至擊其惰歸 詳見孫子軍爭篇하니라
靖曰
夫含生禀血 鼓作闘爭하여 雖死不省者 氣使然也
用兵之法 必先察吾士衆하여 激吾勝氣라야 乃可以擊敵焉이니이다
原注
靖對曰
夫人 含生禀血 鼓舞動作하여 與敵闘爭하여 雖至死不省悟者 氣使之然也니이다
用兵之法 必先審察吾之士衆하여 激發吾之勝氣라야 乃可擊敵焉이니이다
吳起四機 以氣機爲上 無他道也
能使人人自闘 則其銳莫當이니 所謂朝氣銳者 非限時刻而言也 擧一日始末爲喩也니이다
凡三鼓而敵不衰不竭이면 則安能必使之惰歸哉잇가
蓋學者 徒誦空文하여 而爲敵所誘하나니 苟悟奪之之理 則兵可任矣리이다
原注
以氣機爲上 無他道也
將能使人人自闘 則鋒銳莫當이니 孫子所謂朝氣銳者 非限以時刻而言也 但擧一日始末하여 爲譬喩也니이다
則安能必使之惰歸哉잇가
蓋學兵書者 徒能讀誦空文하여 而爲敵人所誘하나니 苟悟曉奪氣之理 則兵可任使矣리이다
太宗曰
卿嘗言李勣能兵法이라하니 久可用否
이나 非朕控御 則不可用也 他日 太子治若何御之
原注
太宗問靖曰
卿嘗言李勣能兵法이라하니 久後 可任用否
이나 非朕控御之 則不可使用이니 他日 如何控御之
太子名也
李勣李勣
靖曰
爲陛下計컨대 莫若黜勣하여 令太子復用之 則必感恩圖報 於理 有損乎잇가
太宗曰
하다
朕無疑矣로라
原注
靖對曰
爲陛下計컨대 莫若黜退世勣하여 令太子他日復用之 則必感太子之恩하여 圖補報於國爾 於理 亦何損乎잇가
太宗曰
卿言甚善하니 朕無所疑矣로라
原注
○按唐紀컨대 貞觀二十三年 太宗謂太子曰
李世勣才智有餘 然汝與之無恩하니 我今黜之하리니 若其卽行이어든 俟我死하여 汝用爲僕하여 親任之하고 若徘徊顧望이어든 當殺之耳라하고
乃左遷世勣하여 爲疊州都督이러니 世勣受詔 不至家而去하니라
原注
○范氏曰
太宗以世勣爲何如人哉
以爲愚也인댄 則不可托幼孤而寄天下矣 以爲賢也인댄 當任而勿疑어늘 乃憂後嗣之不能懷服하여 先黜之而後用하니 以犬馬畜之也
夫欲奪其心而折之以威하고 欲奪其力而懷之以恩이니所不爲也
苟以是心待其臣이면 則利祿之士 可使也어니와 豈得而用之哉
原注
○孫氏曰
君待臣以道하면 臣以道報之하고 君待臣以利하면 臣以利報之하니 必然之理也
太宗以勣輔太子로되 而爲此詭計하니 勣之機 豈不曉以利誘乎
하니 雖勣無大臣之節義 太宗以利啓其心也니라
原注
○愚謂 太宗非不聰明也로되 而以僞道馭世勣하고 衛公 非不智術也로되 而以詐謀勸太宗하여 君臣上下 一於詭詐하니 又烏可與言仁義哉 又烏可與論管仲爲王佐哉
然則 但得仁義之末節이요 而不識仁義之本體 衛公以管仲爲王佐 則亦不能深知如何而爲王佐也
今觀衛公勸太宗馭世勣之術하면 五伯豈肯爲之哉
高宗廢立之際 而世勣以一言决之하여 皆勣之由 其禍博矣
論者皆責太宗知人之不明하고 而不能究李靖爲謀之不忠也하니 惜哉
太宗曰
李世勣 若與長孫無忌 共掌國政이면 如何
原注
太宗曰
李世勣 若與長孫無忌 共掌國之大政이면 他日二人如何
無忌 之兄也
靖曰
勣忠義 臣可保任也어니와 無忌 이요 陛下以으로 委之輔相하니이다
然外貌下士 內實嫉賢이라
尉遲敬德 面折其短하고 遂引退焉하며 侯君集 恨其忘舊하여 因以犯逆하니 皆無忌致其然也니이다
陛下詢及臣하시니 臣不敢避其說하노이다
太宗曰
勿泄也하라
朕徐思其處置호리라
原注
靖對曰
世勣忠義 臣可保而任之어니와 長孫無忌 有佐命大功이요 陛下以肺腑之親으로 委之하여 爲輔相之職하니이다
이나 外貌雖若下士 內實嫉惡賢者
今陛下詢問臣하시니 臣不敢辭避其說이니이다
太宗曰
卿勿泄漏也하라
朕徐思其處置之道하리라
原注
○愚謂 靖之論世勣無忌 似涉不當이라
世勣 出自群盜하니 才智則有之 詭佞則有之어니와 而忠義則無也
이니 而靖又安能之리오
高宗廢立 成於世勣之一言이라
起滔天之禍하여 而幾墜唐室者 皆世勣爲之也
高宗謂侍臣曰 朕虛心求謀어늘 而竟無諫者 何也 世勣獨對曰 陛下所爲盡善하여 群臣無得而諫이라하니 觀此二事하면 謂之忠義可乎
無忌嫉賢 不特尉遲敬德, 侯君集二事而已
其後하고 하고 賜金寶繒綿十車而輒受하니 此蓋恃寵貪利하여 不學無術之所致也로되
侯君集 貞觀十四年 領兵滅高昌이러니 十七年 勸太子承乾反이라가 被誅하니라
太宗曰
漢高祖能將將이로되 其後 韓彭見誅하고 蕭何下獄하니 何故如此
原注
太宗問曰
漢高祖善能將將이로되 其後 韓信, 彭越見誅夷하고 하니 何故 至於如此
呂后殺韓信하고 夷三族하며 高祖殺彭越하고 夷三族 皆在十一年이요 下相國何廷尉獄 在十二年하니라
漢 高祖漢 高祖
蕭何蕭何
靖曰
臣觀劉項 皆非將將之君이니이다
當秦之亡也하여 張良 本爲韓報仇 陳平, 韓信 皆怨楚不用이라 假漢之勢하여 自爲奮爾니이다
至於蕭曹樊灌하여는 悉由亡命이니 高祖因之하여 以得天下
設使六國之後復立하여 人人各懷其舊하면 則雖有能將將之才 豈爲漢用哉잇가
原注
靖對曰
臣觀劉高祖, 項王 皆非是能將將之君이니이다
當秦氏之亡也하여 張良 家世相韓이러니 及韓滅 爲韓報仇하고
陳平 陽武人이니 事魏王咎하여 爲太僕이나 不用이어늘하여 事項羽하다
殷王反 羽使平擊降之어늘
還拜都尉하고 賜金二十鎰하다
及漢下殷 羽怒하여 將誅定殷將吏한대 平懼하여 乃封其金與印하여 使使歸羽하고 挺身仗劍하여 間行歸漢이라
因魏無知하여 求見하여 卽日 하다
韓信 淮陰人이니 項梁渡淮 信仗劍從之하고 又數以策干羽호되 不用이어늘 亡歸漢이나 未知名하고
坐法當斬이러니 滕公奇之하여 釋不殺하고 言於王이나 王亦未之奇也
後因蕭何之言하여 遂立爲大將이라
是二人者 皆怒楚不用이라
假借漢之威勢하여 自爲奮發爾니이다
至於하여는 悉由逃亡性命이러니 漢祖因而用之하여 以得天下하니
設使六國之後復立하여 人人各懷思其舊하여 歸事其主하면 則漢王雖有能將將之才 豪傑之士 豈爲漢用之哉잇가
曹參曹參
臣謂漢得天下 由張良借之謀 蕭何漕轉之功也라하노이다
原注
按漢紀컨대侵奪漢하여 漢乏食한대
曰 昔湯放桀하고 武王伐紂 皆封其後러니 秦伐諸侯 滅其社稷하니
今誠能立六國後하면 君臣百姓 必皆戴德慕義하여 願爲臣妾하리니 大王 南嚮而霸하면 楚必斂袵而朝하리이다
王曰 善하다
刻印하여 先生因行佩之하라하다
未行 張良來謁이어늘 王方食이라가 具以告良한대 良曰
臣請借前筯하여 爲大王籌之하리이다
昔湯武封桀紂之後者 能制其死生之命也어니와 今大王 能制項籍之死命乎잇가
武王入殷 發粟散錢하고 偃革爲軒하며 休馬放牛하여 示不復用이러니 今大王能之乎잇가
且天下游士 離親戚하고 棄墳墓하여 從大王游者 徒欲望咫尺之地어늘
今復立六國後하여 游士各歸事其主하면 大王 誰與取天下乎잇가
夫楚唯無彊이요 六國 復撓而從之하면 大王 焉得而臣之리잇가
誠用客謀하시면 大事去矣리이다
漢王 輟食吐哺하고 罵曰 로다하고 令趣銷印하니라
漢王如滎陽할새 命蕭何하여 守關中이러니 何計關中戶口하여 轉漕以給軍하여 未嘗乏絶하니라
以此言之하면 韓彭見誅하고 范增不用 其事同也
故謂劉項皆非將將之君이라하노이다
原注
以此言之하면 韓信, 彭越 皆見誅夷하고 范增 不見聽用 其事則同也
故謂劉高祖, 項王 皆非是能將將之君이라하노이다
楚圍漢王於滎陽하여이라
漢王請和한대 羽使至어늘 陳平爲大牢具하여 擧進이라가 而佯驚曰 吾以爲亞父使也라하고 乃持去하고 而更以惡草具進하다
使歸以報한대 羽大疑亞父
亞父欲急攻下滎陽호되 羽不聽이어늘 亞父怒曰 天下事大定矣 君王 自爲之하라
이라하고라가 未至彭城하여 疽發背死하니라
范增 居巢人也
太宗曰
光武中興 能保全功臣하여 不任以吏事하니 此則善於將將乎
原注
太宗又問曰
漢光武中興 能保全功臣하여 雖鄧寇耿賈之賢이라도 皆不任以吏事하니 此則善於將將者乎
靖曰
光武雖藉前構하여 易於成功이나 然莽勢 不下於項籍이요 鄧寇未越於蕭曹어늘 獨能推赤心하고 用柔治하여 保全功臣하니 賢於高祖遠矣
以此論將將之道하면 臣謂光武得之라하노이다
原注
靖對曰
光武雖憑藉前構하여 易於成功이라이나 王莽之勢 不下於項籍하고 之才 未過蕭何曹參이어늘 하니 賢於漢高祖 遠矣
以此評論將將之道하면 臣謂光武爲得之라하노이다
原注
○愚謂李靖云 莽勢不下於項籍이요 鄧寇未越於蕭曹 非確論也
夫王莽 簒國之大賊이라 天下切齒하고 民心思漢하니 雖王尋, 王邑 擁百萬之衆하여 威震四海 昆陽一敗 莽不旋踵而就戮이라
項羽 自破秦軍, 虜王離之後 諸侯將入轅門 膝行而前하여 莫敢仰視하고 鴻門之會 幾斃沛公하며 其後破於 死者二十餘萬人이요 圍漢王於滎陽하여 幾破其城하니 若非漢王天授 楚其可滅乎
如何莽勢不下於項籍也리오
鄧禹 仁義之將也 首勸光武以修德하고 寇恂 公輔之器也 亦嘗給食於河內러니 光武欲保全功臣이라 不任以大政이라
蕭何, 曹參 皆起秦刀筆吏하여 但能守畫一之法하여 以致海宇之寧 論其純正하면 蕭曹烏得與鄧寇比哉
太宗曰
古者出師命將 齋三日하고 授之以鉞曰 從此至天 將軍制之하라하고
又授之以斧曰 從此至地 將軍制之하라하고
又推其轂曰 進退唯時라하며
旣行이면 軍中 但聞將軍之令하고 不聞君命이라하니
朕謂此禮久廢 今欲與卿參定遣將之儀하노니 何如
原注
太宗曰
古者 帝王出師命將 齋戒三日하고 授之以鉞하여 命之曰 從此至天 將軍制之하라하니
鉞者 揚也 有向上之義故 曰天이라
又授之以斧하고 命之曰 從此至地 將軍制之하라하니
斧者 戚也 有俯下之義故 曰地
又推其車轂하여 命之曰 進退唯時라하니
轂者 兵車之轂이니 外持輻하고 內受軸者也 主旋轉運動故 因以進退唯時 戒之
旣行이면 軍中 但聞將軍之令하고 不聞君之命也
朕謂此命將之禮 久已廢壞 今欲與卿參定遣將之儀하노니 卿謂何如
靖曰
臣竊謂 聖人制作 致齋於廟者 所以假威於神也 授斧鉞하고 又推其轂者 所以委寄以權也니이다
今陛下每有出師 必與公卿議論하고 告廟而後遣하시니 此則邀以神 至矣
每有任將 必使之便宜從事하시니 此則假以權 重矣 何異於致齋推잇가
盡合古禮하여 其義同焉하니 不須參定이니이다
上曰 善하다하고 乃命近臣하여 書此二事하여 爲後世法하니라
原注
靖對曰
臣竊謂 聖人制禮 致齋於宗廟者 所以假借威靈於神也 授斧鉞하고 又推車轂者 所以委寄以生殺之權也
今陛下每有出師 必與公卿議論可否하고 告於宗廟而後遣하시니 此則邀以神之威靈 亦至也
每有任用將帥 必使之便宜從事於軍前하시니 此則假借以威權 重矣 何異於致齋推轂邪잇가
此皆盡合古帝王之禮하여 其義相同焉하니 更不須參定이니이다
上曰 卿言甚善이라하고 乃命近侍之臣하여 書此二事하여 爲後世人君之法하니라
原注
○愚謂 古禮之不可復 非禮之自壞 乃人壞之也
太宗 欲參定遣將之儀하니 是軍禮將自此而復也
軍禮復이면亦可從而復之耳어늘 靖乃以諛言沮之 亦獨何哉
終唐之世而禮樂不興者 二公之過也니라
太宗曰
陰陽術數 廢之可乎
靖曰
不可하니 兵者 詭道也
託之以陰陽術數하면 則使貪使愚하니 玆不可廢也니이다
原注
太宗曰
陰陽與術數 廢之不用 可乎
靖對曰
不可廢也
兵者 詭詐之道
假託以陰陽術數하면 則可使貪使愚하니 此所以不可廢也니이다
太宗曰
卿嘗言天官時日 明將不法하고 闇將拘之라하니 廢亦宜然이로다
原注
太宗又問曰
卿嘗言天官時日 明哲之將 不以爲法하고 昏暗之將 則拘泥라하니 廢而不用 亦宜
靖曰
紂以甲子日亡하고 武王以甲子日興하니 天官時日 甲子一也로되 殷亂周治하여 興亡異焉이니이다
原注
靖對曰
以甲子日 用師而亡하고 武王 以甲子日 用兵而興하니 以天官時日言之하면 甲子則一也로되 殷室亂하고 周室治하여 興亡斯異焉이니이다
又宋武帝劉裕 以往亡日起兵하여 伐南燕한대 軍吏以爲不可어늘 帝曰 我往而彼亡이라하더니 果克慕容超하니
由此二事言之하면 可廢明矣니이다
然而田單 爲燕所圍러니 單命一人爲神하여 拜而祠之하고
神言燕可破라한대 單於是 以火牛出擊燕하여 大破之하니 此是兵家詭道 天官時日 亦猶此也니이다
原注
然而田單守卽墨할새 爲燕人所圍러니 單故命一人하여 假爲神師하여 拜而祠之하고
하니 此是兵家詭詐之道 天官時日 亦似此耳니이다
按史記曰 單守卽墨할새 乃令城中人으로 食必祭先祖於庭한대 飛鳥皆翔舞而下하니 燕人怪之
單因宣言曰 當有神師下敎我라하더니 有一卒曰 臣可以爲師乎아하여늘 單遂師之하여 每有約束 必稱神師하니라
火牛火牛
太宗曰
田單 托神恠而破燕하고 太公 焚蓍龜而滅紂하여 二事相反 何也
原注
太宗曰
齊田單 假神恠而破燕兵하고 하여 二事相反 又何也
靖曰
其機一也 或逆而取之하고 或順而行之 是也니이다
原注
靖對曰
其機則一也 或逆而取之하고 或順而行之 是也니이다
田單 託神恠而破燕 逆而取之也 太公 焚蓍龜而滅紂 順而行之也
太公佐武王하여 至牧野하여 遇雷雨하여 旗鼓毁折한대 散宜生 欲卜吉而後行하니 此則因軍中疑懼하여 必假卜以問神焉이라
太公 以謂腐草枯骨이라 無足問이요 且以臣伐君하니 豈可再乎아하니이다
이나 觀散宜生 發機於前하고 太公 成機於後하니 逆順雖異 其理致則同이라
臣前所謂術數不可廢者 蓋存其機於未萌也 及其成功하여는 在人事而已矣니이다
原注
太公佐武王하여 至牧野하여 遇大雷驟雨하여 旗與鼓皆毁壞損折한대 散宜生 欲卜得吉而後行하니 此則軍中疑懼하여 欲假借占卜以問神焉이라
이나 觀散生 發機於其前하고 太公 成機於其後하니 逆與順雖殊異 其理致則相同이라
臣前所謂術與數俱不可廢者 蓋存其機於未萌耳 及其成功하여는 在盡人事而已矣니이다
太宗曰
當今將帥 唯李勣, 道宗, 薛萬徹이니 除道宗以親屬外 孰堪大用
原注
太宗問曰
當今將帥 唯李勣, 江夏王道宗, 薛萬徹이니 除道宗以親屬外 誰堪大任者
靖曰
陛下嘗言 勣道宗用兵 不大勝이요 亦不大敗어니와 萬徹 若不大勝이면 卽須大敗라하니이다
原注
靖對曰
陛下嘗言 世勣與道宗 凡與敵戰 不求大勝이요 亦不致於大敗어니와 萬徹 若不大勝이면 卽大敗라하니이다
貞觀十八年 以薛萬徹 爲右衛大將軍할새 嘗有是言이라
高宗永徽四年 萬徹으로 謀反被誅하니라
臣愚思聖言호니 不求大勝이요 亦不大敗者 節制之兵也 或大勝하고 或大敗者 幸而成功者也
孫武云 善戰者 立於不敗之地하여 而不失敵之敗也라하니 節制在我云爾니이다
原注
臣愚思聖上之言호니 不求大勝이요 亦不大敗者 乃節制之兵也 或大勝하고 或大敗者 僥倖而成功者也
라하니 節制之法 在我云爾니이다
太宗曰
兩陳相臨이면 欲言不戰이나 安可得乎
原注
太宗問曰
兩陳이나 安可得而不戰乎
靖曰
晉師伐秦이라가 交綏而退하고 司馬法曰 逐奔不遠하고 縱綏不及이라하니 臣謂 綏者 御轡之索也
我兵旣有節制하고 彼敵亦正行伍하면 豈敢輕戰哉잇가
有出而交綏하고 退而不逐하니 各防其失敗者也니이다
原注
靖對曰
帥師伐秦이라가 交綏而退하고
臣謂 綏者 御轡之索이니 니이다
我兵 旣有節制하고 彼敵亦正行伍하면 豈敢輕易出戰哉잇가
古人有出而交綏하고 退而不逐하니 各隄防其失敗者也니이다
按春秋左傳 晉趙盾 命三軍皆出하여 與秦戰이라가 交綏라한대 注曰 軍退爲綏라하니라
又引司馬法云 從綏不及이라하니 是縱與從同也
蓋兩家將士 車馬嚴整하여 執轡臨陳하여 有必戰之勢하면 各防其失而交退하니
以綏爲不戰而退軍之名也
左傳 交綏下 無而退二字하니 恐此爲衍文이라
孫武云 勿擊堂堂之陳하고 無邀正正之旗라하니
若兩陳體均勢等이어늘 苟一輕肆하여 爲其所乘이면 則或大敗 理使然也
是故 兵有不戰하고 有必戰하니 夫不戰者 在我 必戰者 在敵이니이다
原注
孫武有云 勿擊堂堂之陳하고 無邀正正之旗라하니
二句 解見軍爭篇하니라
若彼此兩陳 體又均하고 勢又等이어늘 苟一失於輕肆하여 爲彼所乘이면 則或至於大敗 理勢使之如此也니이다
是故 兵有不戰하고 有必戰하니 夫不戰者 在我之所守 必戰者 在敵勢之虛니이다
太宗曰
不戰在我 何謂也
靖曰
孫武云 我不欲戰者 畫地而守之라도 敵不得與我戰者 乖其所之也라하니 敵有人焉이면 交綏之間 未可圖也
曰 不戰 在我라하니이다
原注
太宗問曰
不戰在我 此言何謂也
靖對曰
敵若有人焉이면 兩軍交退之間 未可以圖謀也
曰 不戰 在我之自守也라하니이다
夫必戰在敵者 孫武云 善動敵者 形之 敵必從之하고 予之 敵必取之하여 以利動之하고 以本待之라하니
敵無人焉하여 則必來戰이면 吾得以乘而破之
曰 必戰者 在敵이라하니이다
原注
若夫必戰在敵者
善能動敵者 示以形之弱이면 敵必來從之하고 予之利 敵必來取之하여
以利動敵人而使之來하고 以本待其至而破之라하니이다
謂修我之奇正하고 繕我之甲兵하고 嚴我之隊伍하고 明我之號令이라
敵若無人焉하여 不知我之虛實하고 見我引誘하여 必來求戰이면 吾得以乘其勢而破之
曰 必戰者 在敵勢之虛라하니이다
太宗曰
深乎
節制之兵이여
得其法則昌하고 失其法則亡하나니 卿爲纂述歷代善於節制者하여 具圖來上하라
朕當擇其精微하여 垂於後世호리라
原注
太宗曰
深乎哉
古人節制之兵이여
得其法則國必昌하고 失其法則國必亡하나니 卿爲纂述歷代以來善於節制之兵者하여 具圖來上하라
朕當選擇其精微者하여 垂之後世矣리라
太宗曰
兵法 孰爲最深者
靖曰
臣嘗分三等하여 使學者 當漸而至焉하니 一曰道 二曰天地 三曰將法이니이다
原注
太宗問曰
兵法 誰爲最深妙者
靖對曰
臣嘗分而爲三等하여 使學者 當以漸而至焉하니 一曰道 二曰天地 三曰將法이니이다
蓋孫武子
夫道之說 至精至微하니 易所謂聰明睿智神武而不殺者 是也니이다
原注
夫道之說 至精細하고 至微妙하니 易繫辭所謂聰明睿智神武而不殺者是也니이다
聰明睿智 聖之四德也 是無所不聞이요 是無所不見이요 是無所不通이요 是無所不知
變化不測之謂神이요 戡定禍亂之謂武
不殺者 言不用威刑而服萬方也
神聖之極致 而常人之所不能學也
孫子論道 止云 令民與上同意하여 可與之死하고 可與之生하여 而不畏危也하니
中人以上之資 皆可學而至 若易之所言하여는 非上聖之資 不可企而及也
夫天之說 陰陽이요 地之說 險易
善用兵者 能以陰奪陽하고 以險攻易하나니 孟子所謂 天時, 地利者 是也니이다
原注
夫天之說 陰與陽이요 地之說 險與易 善能用兵者 能以陰奪陽이니이다
如范蠡所謂盡敵陽節하고 盈吾陰節而奪之
能以險奪易하니
二者 是也
夫將法之說 在乎任人利器하니 三略所謂得士者昌이요 管仲所謂器必堅利者 是也니이다
原注
若夫將法之說 則在乎任用賢智之人하고 便利戰守之器하니
太宗曰
하다
吾謂不戰而屈人之兵者 上也 百戰百勝者 中也 深溝高壘以自守者 下也
以是較量하면 孫武著書 三等皆具焉이로다
原注
太宗曰
하다
吾謂不與人戰而能屈服人之兵者 上也 與人百戰而百勝者 中也 深溝高壘以自固守者 下也라하니 以此校量하면 孫武著書 三等 皆全備焉이라
靖曰
觀其文하고 迹其事하면 亦可差別矣니이다
若張良, 范蠡, 孫武 脫然高引하여 不知所往하니 此非知道 安能爾乎잇가
原注
靖對曰
觀其所著之文하고 迹其所行之事하면 亦可得而差別矣니이다
此三人者 脫然高蹈引去하여 不知所往하니 非知道 安能如此乎잇가
謂三人所著之文이요 謂三人所行之事蹟也
若樂毅, 管仲, 諸葛亮 戰必勝하고 守必固하니 此非察天時地利 安能爾乎잇가
原注
戰必勝하고 守必固하니 此非審察天時地利者 安能如此者乎잇가
其次 王猛之保秦 謝安之守晉이니 非任將擇材하고 繕完自固 安能爾乎잇가
原注
其次이니 非任用將帥하고 選擇材能하고 繕完甲兵하여 以自固 安能如此者乎잇가
習兵之學 必先繇下以及中하고 繇中以及上이면 則漸而深矣니이다
不然이면 則垂空言하여 徒記誦이니 無足取也니이다
原注
習兵家之學者 必先自下以及中하고 由中以及上이면 則漸入深妙矣
若不如此 則是垂空言하여 徒記誦이니 無足可取也니이다
李靖 蓋以道爲上하고 天地爲中하고 將法爲下也
太宗曰
道家忌三世爲將者 不可妄傳也 亦不可不傳也 卿其慎之하라
靖再拜出하여 盡傳其書하여 與李勣하니라
原注
太宗曰
道家者流 忌三世爲將者 不可妄傳於人이요 亦不可不傳於人이니 卿其愼之하라
靖再拜而出하여 盡傳其書하여 與李世勣하니라
秦使 擊趙하여 圍趙王及張耳鉅鹿城한대 或曰 王離 秦之名將也
今將強秦之兵하여 攻新造之趙하니 擧之必矣리라
客曰 不然하다
夫爲將三世者 必敗하나니 必敗者 何也
以其所殺伐多也 其後 受其不祥하나니
今王離已三世將也라하더니 居無何 項羽하여 擊秦軍하여 果虜王離하니라
此云 道家忌三世爲將者 未知其出於何書하니 恐道字作兵字爲是
原注
○愚謂 孫子始計篇 論道天地將法하니 五者 乃經國之大事 闕一而不可也
今李靖分而三之하여 以道爲至精至微하여 聰明睿智神武而不殺者是也라하고 以天地爲次하고 以將法爲下하며
又以張良, 范蠡, 孫武脫然高引하여 不知所往으로 爲知道하고 以樂毅, 管仲, 諸葛亮戰必勝, 守必固 爲察天時地利하고 以王猛, 謝安으로 爲任將擇材
又言 習兵之學 必先繇下以及中하고 繇中以及上이라하니 愚不得不辯이로라
原注
夫道者 事物當然之理 人之所共由者也
大而君臣, 父子, 夫婦, 長幼, 朋友 小而動靜, 食息, 事物細微 曷莫非道之寓哉
有國有家者 必敎民以孝悌忠信, 禮義廉恥하여 使知君臣有君臣之道하고 父子有父子之道하고 夫婦, 長幼, 朋友 知有夫婦, 長幼, 朋友之道하며 而又以仁義漸摩之하고 禮樂維持之
然後 民皆親其親하고 長其長하여 與君同心而一德焉이니
原注
若周易繫辭所謂聰明睿智神武不殺者 乃聖神之極致 非學者之所能及也
라하고하니 此神武而不殺者也
此聖武而以殺者也 其視神武不殺之事하면 而湯武猶以爲病焉이라
原注
張良 本爲韓報仇하여 初無心求富貴也
及見韓彭誅夷하고 蕭何繫獄하여는 乃曰 知足不辱이요 知止不殆라하고
遂辟穀不食하여 託以從遊而去하며
范蠡 謂大名之下 不可久居라하고하여 遂歸相印而去하며
孫武 以兵法干吳王闔閭한대 闔閭用以爲將이러니 後不知所往하니
此三人者 謂之明哲保身則可 謂知進退之道則可어니와 謂之神武不殺則不可
李靖 旣以道爲至精至微하여 聰明睿智神武不殺하고 而又以三子脫然高引하여 不知所往으로 爲知道
張良 依託黃老하고 范蠡 孶孶爲利하고 孫子 權謀詭詐어늘 而靖以堯舜聖神之事 擬之하니 其可乎哉
若樂毅, 管仲, 諸葛亮 戰必勝하고 守必固 固能察天時地利矣어니와 抑又不能任將擇材乎
王猛之保秦 謝安之守晉 固能任將擇材하고 繕完自固矣어니와 抑不能察天時地利乎
原注
天地之間 不可一日而無此道也
子思作中庸 首曰 라하시니
若道天地將法 分而爲三이면 樂毅, 管仲, 諸葛亮, 王猛, 謝安之世 而全無此道也 天典民彝 容可一日已乎
若使學兵書者 先學將法하고 次學天地하고 後學道하여 由下以及中하고 由中以及上이면 是學將法者 不可以天時地利言之歟
學天時地利者 不可以道言之歟
原注
太宗 又以不戰而屈人之兵으로 爲上하고 百戰百勝者 爲中하고 深溝高壘以自守者 爲下
夫兵法 不可執一이니 豈可拘此三者하여 分而爲上中下乎
若田穰苴明法令하고 撫士卒 燕晉聞之退하니 是不戰而屈人之兵者也
假使燕晉之兵不退 穰苴果必於不戰乎
假使秦人 按甲休兵하여 不臨境上이면 起安得而不守乎
司馬懿與諸葛亮對壘 終不出戰하니 是深溝高壘以自守者也어니와
前旣云 攻守一法하고 此又分戰守爲二하니 何其言之自相矛盾乎
原注
이나 兵又不可分而爲三歟
曰 可하다
上焉者 仁義之兵也 中焉者 節制之兵也 下焉者 權詐之兵也
權詐不如節制 節制不如仁義 仁義之兵 道天地將法五者悉備焉이요 節制之兵 天地將法則有之어니와 論道則不過假仁義而已矣 權詐之兵 或有因天時而取勝者하고 或有因地利而取勝者하며 將法 未嘗不有焉이어니와 而道 不過恩信惠愛以結人心耳 學仁義之兵不得이면 則爲節制之兵 可也 學節制之兵不得이면 則爲權詐之兵 亦可也
當戰則戰하고 當守則守
兵者 凶器
傷人害物 莫此爲甚하니 苟不用戰而屈人之兵이면 亦奚務必欲與之戰乎
而道天地將法五者 俱不可闕而不講也니라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태공太公이 말하기를 ‘보병步兵을 데리고 전차병戰車兵, 기병騎兵과 싸우는 자는 반드시 구묘丘墓와 험한 곳을 의지하라.’ 하였고, 또 《손자孫子》에는 ‘천극天隙의 땅과 구묘丘墓와 옛 성터에 군대를 주둔해서는 안 된다.’ 하였으니, 어떠한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태공太公의 《육도六韜》 〈전보戰步〉에 이르기를 ‘보병步兵이 만약 전차병戰車兵, 기병騎兵과 싸울 적에는 반드시 구묘丘墓와 험한 곳을 의지하라.’ 하였고, 또 《손자孫子》에는 ‘천극天隙의 땅과 구묘丘墓와 옛 성터에는 군대를 주둔해서는 안 된다.’ 하였으니, 이 말이 어떠한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병력을 운용함은 마음이 전일專一함에 달려있고, 마음이 전일專一함은 요상한 일을 금지하고 의심스러움을 제거하는 데에 달려있으니, 혹시라도 주장主將이 의심하고 꺼리는 바가 있으면 병사들의 마음이 흔들리고, 병사들의 마음이 흔들리면 적이 틈을 타고 옵니다.
진영을 편안히 설치하고 땅을 점거함은 사람의 일에 편리하게 할 뿐이니, 시내와 우물과 움푹 파인 지역과 감옥과 같고 그물과 같은 곳은 사람의 일에 불편한 곳입니다.
그러므로 병가兵家가 군대를 이끌고 이러한 곳을 피해 가서 이 우리를 덮칠 것을 방비하는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병력을 운용함은 심지心志전일專一함에 달려있고, 심지心志전일專一함은 요상한 일을 금지하고 호의狐疑의 마음을 제거하는 데에 달려있습니다.
혹시라도 주장主將의 마음에 의혹하고 꺼리는 바가 있으면 병사들의 마음이 모두 동요하니, 병사들의 마음이 동요하면 적이 반드시 틈을 타고 이릅니다.
무릇 진영을 편안히 설치하고 땅을 점거함은 사람의 일에 편리하게 하고자 할 뿐이니, 수초水草에 가깝게 하고 숲과 나무를 의지하며 말을 달리기에 편리하고 전투하고 수비하기에 마땅함은 이는 사람의 일에 편리한 것입니다.
예컨대 끊긴 시내와 천정天井천함天陷천극天隙의 땅과 감옥과 같고 그물과 같은 곳은 모두 사람의 일에 불편한 곳입니다.
그러므로 병가兵家들이 마땅히 병력을 이끌고 이러한 곳을 피하여 이 와서 우리를 덮치는 것을 방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여섯 가지 해로운 지역은, 해석이 《손자孫子》 〈행군行軍〉에 보인다.
구묘丘墓와 옛 성터 중에 매우 험한 곳이 아니면 우리가 얻어서 편리함으로 삼을 수 있으니, 어찌 도리어 떠나가야 하겠습니까.
태공太公이 말한 것은 병가兵家의 지극히 중요한 것입니다.”
原注
구묘丘墓와 옛 성터 중에 매우 험한 곳이 아니면 우리가 얻어서 편리함으로 삼을 수 있으니, 어찌 도리어 떠나가야 하겠습니까.
태공太公이 말한 것은 병가兵家의 지극히 중요한 것입니다.”
原注
○살펴보건대 《손자孫子》 〈행군行軍〉에 다만 “여섯 가지 해로운 지역을 반드시 급히 떠나가서 가까이하지 말라.”고 말하였고,
아랫글에 또 “구릉丘陵과 제방에는 반드시 양지바른 곳에 처하고, 〈이러한 지역을〉 오른쪽과 등 뒤에 두라.”고만 말하였고,
구묘丘墓와 옛 성터에 군대를 주둔해서는 안 된다.”는 두 가 없으니, 태종太宗이 무엇을 근거로 이렇게 말했는지 알 수 없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 생각해보니, 흉기凶器는 병기보다 더 심한 것이 없다.
군대를 운용할 적에는 진실로 사람의 일에 편리하면, 어찌 의심하여 피하고 꺼릴 것이 있겠는가.
지금 이후로 여러 장수 중에 음양설陰陽說에 구애되어 일의 마땅함을 잃는 자가 있거든 이 마땅히 간곡히 경계하라.”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 생각해보니, 흉기凶器는 병기보다 더 심한 것이 없다.
군대를 운용함에 진실로 사람의 일에 편리한 것이 있으면, 어찌 혐의하여 피하고 꺼릴 것이 있겠는가.
지금 이후로 여러 장수 중에 음양陰陽에 구애되는 말로 인하여 일의 마땅함을 잃는 자가 있거든 이 마땅히 간곡히 경계하고 타일러라.”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사례하였다.
이 살펴보니, 《울료자尉繚子》에 이르기를 ‘황제黃帝으로 지키고 형벌刑罰로 정벌하였다.’ 하였으니, 이것은 형벌刑罰을 말한 것이고, 천관天官시일時日을 말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속임수는 따르게만 하고 알게 해서는 안 되니, 후세의 용렬한 장수들은 술수術數에 집착합니다.
이 때문에 패함이 많으니,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폐하陛下의 성스러운 가르침을 이 마땅히 여러 장수들에게 자세히 말하겠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사례하였다.
이 살펴보니, 《울료자尉繚子》 〈천관天官〉편에 이르기를 ‘황제黃帝으로써 스스로를 지키고 형벌刑罰로써 남을 정벌하였다.’ 하였으니, 이것은 형벌刑罰을 말한 것이고 음양가陰陽家에서 말하는 천관天官시일時日을 가리킨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군대의 속임수는 사람들로 하여금 따르게만 하고 알게 해서는 안 되니, 후세의 용렬한 장수는 술수術數에 구애되고 집착합니다.
이 때문에 패함이 많으니, 말해주어 경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폐하陛下의 성스러운 가르침을 이 마땅히 제장諸將들에게 두루 고하여 알게 하겠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군대는 분산과 합침이 있어서 각각 마땅함에 맞게 함을 귀하게 여기니, 전대의 사적事跡에 이것을 잘한 자가 누구였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물었다.
“군대는 분산하는 경우가 있고 합치는 경우가 있어서 각각 그 마땅함에 맞게 함을 귀하게 여길 뿐이니, 전대의 지나간 사적事跡 중에 누가 이것을 잘하였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부견苻堅이 백만의 병력을 통솔하고서 비수淝水에서 패하였으니, 이는 군대를 합치기만 하고 분산시키지 못한 소치所致였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전진前秦부견苻堅이 백만의 병력을 거느리고서 비수淝水 가에서 패하였으니, 이는 바로 군대를 합치기만 하고 분산시키지 못한 소치所致였습니다.”
오한吳漢공손술公孫述을 토벌할 적에 부장副將 유상劉尚과 병력을 나누어 주둔해서 서로의 거리가 20리였는데, 공손술公孫述이 와서 오한吳漢을 공격하자 유상劉尚이 출병하여 합동으로 공격해서 크게 격파하였으니, 이는 군대를 분산시켰다가 잘 합친 소치所致였습니다.
原注
광무제光武帝오한吳漢에게 하여 공손술公孫述을 토벌할 적에 부장副將 유상劉尚과 군대를 나누어 주둔해서 서로의 거리가 20리였는데, 공손술公孫述이 와서 오한吳漢을 공격하자 유상劉尚이 군대를 내어 합동으로 공격해서 마침내 대파大破하였으니, 이는 군대를 분산시켰다가 잘 합친 소치所致였습니다.”
오한吳漢공손술公孫述을 토벌한 일은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 12년(A.D. 36)에 있었다.
공손술公孫述자양子陽이고 무릉茂陵 사람이니, 청수淸水이 되었다가 경시更始 원년元年(23)에 에서 군대를 일으켰는데, 이때 오한吳漢이 토벌하여 평정하였다.
태공太公이 말하기를 ‘분산하여야 할 때에 분산하지 않는 것을 얽매인 군대라 하고, 합쳐야 할 때에 합치지 않는 것을 외로운 군대라 한다.’ 하였습니다.”
原注
태공太公이 이르기를 ‘분산시키고자 해도 분산시키지 못하는 것을 얽매인 군대라 하고, 합치고자 해도 합치지 못하는 것을 외로운 군대라 한다.’ 하였으니, 바로 이것을 말한 것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참으로 옳다.
부견苻堅이 처음 왕맹王猛을 얻었을 적에는 실로 병법兵法을 알아 마침내 중원中原을 점령하였는데, 왕맹王猛이 죽자 부견苻堅이 과연 패하였으니, 이것을 얽매인 군대라 이를 것이다.
오한吳漢광무제光武帝의 위임을 받아 군대를 멀리서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라가 과연 땅을 평정하였으니, 이는 외로운 군대에 빠지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득실得失사적事跡이 충분히 만대萬代의 거울이 될 만하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참으로 옳다.
부견苻堅이 처음 왕맹王猛을 얻었을 적에는 〈왕맹王猛이〉 실로 병법兵法을 알아 마침내 중원中原을 점령했었는데, 왕맹王猛이 죽자 부견苻堅이 과연 비수淝水에서 패하였으니, 이는 군대를 옭아매어 분산하지 못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그리고 오한吳漢광무제光武帝의 위임을 받아 군대를 멀리 〈궁중에서〉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라 군대가 과연 황제를 참칭한 땅을 평정하였으니, 이는 외로운 군대에 빠지지 아니하여 능히 병력을 합침을 말한 것이다.
광무제光武帝의 잘함과 부견苻堅의 실수는 그 사적事跡이 충분히 만대萬代의 거울이 될 만하다.”
왕맹王猛경략景略이고 북해北海 땅 사람으로 위군魏郡에 거주하였는데, 부견苻堅이 등용하여 1년에 다섯 번 승진시켜 권세가 내외內外를 휩쓸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 살펴보니, 병법兵法의 수많은 장절章節과 수많은 가 ‘여러 방법으로 적을 그르친다.’는 한 에서 벗어나지 않을 뿐이다.”
原注
태종太宗이 물었다.
병서兵書를 살펴보니, 수많은 장절章節과 수많은 가 ‘여러 방법으로 방략을 설치하여 적을 그르친다.’는 한 에서 벗어나지 않을 뿐이다.”
이정李靖이 한동안 있다가 대답하였다.
“진실로 성상聖上의 말씀과 같습니다.
대체로 군대를 운용할 적에 이 만약 잘못하지 않는다면 우리 군대가 어떻게 승리할 수 있겠습니까.
비유하건대, 바둑을 둘 적에 두 적수가 대등하다가 한쪽에서 한 번 바둑알을 잘못 놓으면 끝내 구원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고금古今승패勝敗가 대체로 한 번의 실수에 달려있을 뿐이니, 하물며 실수를 많이 하는 자에 있어서이겠습니까.”
原注
이정李靖이 한동안 있다가 대답하였다.
“참으로 폐하의 성스러운 말씀과 같습니다.
대체로 용병用兵할 적에 만약 이 실수하여 잘못하지 않는다면 우리 군대가 어떻게 승리하겠습니까.
바둑을 두는 법에 비유하건대, 두 적수가 대등하다가 한쪽에서 한 번 혹 실수가 있으면 끝내 구제하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고금古今승패勝敗가 대체로 오직 한때의 실수에 달려있을 뿐이니, 하물며 실수를 많이 하는 자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공격과 수비는 두 가지 일이나 그 실제는 한 방법일 것이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공격을 잘하는 자는 적이 지킬 바를 알지 못하고, 수비를 잘하는 자는 적이 공격할 바를 알지 못한다.’ 하여,
이 와서 우리를 공격하거든 우리 또한 공격하고, 우리가 만약 스스로 수비하거든 적이 또한 수비하는 것을 말하지 않았으니, 공격과 수비에 있어 피아彼我의 세력이 대등하면 그 방법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공격과 수비는 두 가지 일이나 실제는 한 법이 될 것이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공격을 잘하는 자는 적이 지킬 곳을 알지 못하고, 수비를 잘하는 자는 적이 공격할 곳을 알지 못한다.’ 하여,
일찍이 이 와서 우리를 공격하면 우리 또한 나가서 공격하고, 우리가 만약 스스로 수비하면 적 또한 따라서 수비함을 말하지 않았으니,
공격과 수비에 있어 피아彼我의 세력이 대등하면 그 방법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전대前代에 이와 같이 서로 공격하고 서로 수비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들은 모두들 ‘수비는 부족한 것처럼 하고 공격은 유여有餘한 것처럼 한다.’라고 한 것을, 곧 부족한 것을 약한 것이라 생각하고, 유여有餘한 것을 강한 것이라 생각하니, 이는 공격하고 수비하는 방법을 제대로 깨닫지 못한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전대前代에 이와 같이 서로 공격하고 서로 수비한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모두들 ‘수비는 부족한 것처럼 하고 공격은 유여有餘한 것처럼 한다.’라고 한 것을, 곧 부족함은 힘이 약한 것이라 여기고 유여有餘함은 힘이 강한 것이라 여기니, 이는 공격하고 수비하는 방법을 제대로 깨닫지 못한 것입니다.”
이 살펴보니, 《손자孫子》에 ‘승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비하고, 승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공격한다.’ 하였으니, 적을 이길 수 없으면 우리가 우선 스스로 수비하다가 적에게 승리할 수 있는 기회가 오면 공격함을 말한 것이요, 강약強弱을 가지고 말한 것이 아닙니다.
후세 사람들은 그 방법을 깨닫지 못하여, 마땅히 공격해야 할 경우에 수비하고, 마땅히 수비해야 할 경우에 공격해서, 두 가지 일이 이미 다르기 때문에 그 법을 하나로 통일하지 못합니다.”
原注
이 살펴보건대,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승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비하고, 승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공격한다.’ 하였으니,
적에게 승리할 만한 기회가 있지 않으면 우리가 우선 수비하다가 적에게 승리할 만한 틈이 오기를 기다려 공격함을 말한 것이요, 힘의 강약強弱을 가지고 말한 것이 아닙니다.
후세 사람들은 이 뜻을 깨닫지 못하여, 적을 마땅히 공격해야 할 경우에 도리어 수비하고, 우리가 마땅히 수비해야 할 경우에 도리어 나가 공격해서, 두 가지 일이 이미 다르기 때문에 그 법을 통일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진실로 옳다.
유여有餘함과 부족하다는 말은 후인後人들로 하여금 힘의 강약強弱인 것으로 의혹하게 하여, 수비하는 법은 요점이 적에게 부족함으로써 보여줌에 달려있고, 공격하는 법은 요점이 적에게 유여함으로써 보여줌에 달려있음을 전혀 알지 못한다.
적에게 부족함으로써 보여주면 적이 반드시 와서 공격할 것이니, 이는 적이 그 공격할 바를 알지 못하는 것이요, 적에게 유여함으로써 보여주면 적이 반드시 스스로 수비할 것이니, 이는 적이 그 수비할 바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진실로 옳다.
유여함과 부족함은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강약強弱의 형세인 것으로 의혹하게 해서, 수비하는 방법은 요점이 적에게 세력이 부족한 것처럼 보임에 달려있고, 공격하는 방법은 요점이 적에게 세력이 유여한 것처럼 보임에 달려있음을 전혀 알지 못한다.
적에게 세력이 부족한 것처럼 보이면 적이 반드시 와서 우리를 공격할 것이니, 이는 적이 공격할 곳을 알지 못하는 것이요, 적에게 세력이 유여한 것처럼 보여주면 적이 반드시 스스로 수비하여 감히 출동해서 공격하지 못할 것이니, 이는 적이 수비할 바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공격과 수비는 한 방법이나, 적과 우리가 나누어서 두 가지 일이 된 것이다.
우리 일이 잘되면 적의 일이 실패하고 적의 일이 잘되면 우리 일이 실패할 것이니, 득실과 성패에 피아彼我의 일이 나누어진 것이요, 공격과 수비는 하나일 뿐이다.
하나임을 아는 자는 백 번 싸워 백 번 승리한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자기를 알고 적을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하였으니, 한 가지임을 앎을 말한 것이다.”
原注
“공격과 수비는 오직 한 가지 방법이나, 다만 적과 우리가 나누어서 두 가지 일이 된 것이다.
만약 우리 일이 잘되면 적의 일이 반드시 실패할 것이요, 적의 일이 잘되면 우리 일이 반드시 실패할 것이니, 한 번 잘하고 한 번 잘못함과 한 번 성공하고 한 번 실패함에 피아彼我의 일이 나누어져 둘이 된 것이다.
공격과 수비는 그 방법이 하나일 뿐이다.
능히 한 방법임을 아는 자는 백 번 싸워 백 번 승리한다.
그러므로 〈병서兵書에〉 이르기를 ‘적의 허실虛實을 알고 우리의 강약強弱을 알면 비록 남과 백 번 싸우더라도 위태롭지 않다.’ 하였으니, 이는 한 방법임을 앎을 말한 것이다.”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말하였다.
“심오합니다.
성인聖人이여!
공격은 바로 수비의 기틀이고, 수비는 공격의 계책이니, 똑같이 승리로 귀결될 뿐입니다.
만약 공격하면서 수비할 줄 모르고 수비하면서 공격할 줄 모르면, 그 일을 두 가지로 생각할 뿐만 아니요 또 그 관원을 두 가지로 하여, 비록 입으로는 《손자孫子》와 《오자吳子》의 병서兵書를 외우더라도 마음으로는 묘함을 생각하지 못할 것이니, 공격과 수비에 있어 피아彼我의 세력이 대등할 경우의 말이 옳음을 누가 알겠습니까.”
原注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말하였다.
“심오하고 원대합니다.
성인聖人이여!
공격은 바로 발동하는 기틀을 지키는 것이요, 수비는 바로 운용하는 계책을 공격하는 것이어서, 똑같이 승리로 돌아갈 뿐입니다.
공격할 줄만 알고 수비할 줄을 알지 못하며, 수비할 줄만 알고 공격할 줄을 모르면, 공격하고 수비하는 일을 두 가지로 생각할 뿐만 아니요, 또 공격하고 수비하는 관원을 둘로 두어서, 비록 입으로는 《손자孫子》와 《오자吳子》의 일을 외우더라도 마음에는 묘하게 운용함을 생각하지 못할 것이니, 공격과 수비에 있어 피아彼我의 세력이 대등할 경우에 대처하는 말을, 누가 그것이 옳은 줄 알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사마법司馬法》에 이르기를 ‘나라가 비록 크더라도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망하고, 천하天下가 비록 평안하더라도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롭다.’ 하였으니, 이 또한 공격과 수비가 한 방법인 것인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사마법司馬法》에 이르기를 ‘국가國家가 비록 크더라도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망하고, 천하天下가 비록 평안하더라도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로워진다.’ 하였으니, 이 또한 공격과 수비가 한 방법인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나라를 소유하고 집안을 소유한 자가 어찌 일찍이 공격과 수비를 강구하지 않겠습니까.
공격이란 적의 성을 공격하고 적의 진영을 공격함에 그칠 뿐만이 아니요, 반드시 적의 마음을 공격하는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수비는 다만 성벽을 완전히 하고 진영을 굳게 지킬 뿐만이 아니요, 반드시 자신의 기운을 지켜서 기다림이 있어야 합니다.
크게 말하면 군주君主가 된 도리이고 작게 말하면 장수가 된 방법이니, 마음을 공격하는 것은 이른바 적을 안다는 것이요, 자신의 기운을 지키는 것은 이른바 자기를 안다는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나라를 소유하고 집안을 소유한 자가 어찌 일찍이 공격하고 수비하는 방도를 강구하지 않겠습니까.
다만 강구하기를 분명히 하지 못할 뿐입니다.
공격이란 적의 성을 공격하고 적의 진영을 공격함에 그칠 뿐만이 아니요, 반드시 적의 마음을 공격하는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촉한蜀漢제갈량諸葛亮남중南中(南蠻)에 들어갈 적에, 마속馬謖이 전송하며 말하기를 “적의 마음을 공격하는 것이 이 되고 적의 성을 공격하는 것이 가 되며, 심리전心理戰이 되고 병력을 이용하여 싸우는 것이 가 됩니다.” 하였으니, 바로 이 뜻이다.
“지킨다는 것은 다만 자기의 성벽과 보루를 완전히 하고 군대의 진영을 견고히 할 뿐만이 아니요, 반드시 자신의 기운을 지켜서 기다리는 바가 있어야 합니다.
크게 말하면 군주君主가 된 도리이고 작게 말하면 장수가 된 방법이니, 마음을 공격하는 것은 이른바 적을 안다는 것이요, 자신의 기운을 지키는 것은 이른바 자기를 안다는 것입니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다스려진 군대로써 혼란한 적을 상대하고 고요한 군대로써 떠드는 적을 상대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참으로 옳다.
은 항상 적진을 대할 적에 먼저 적의 마음과 나의 마음이 누가 더 자세히 살피는가를 헤아린 뒤에 적을 알 수 있었고, 적의 기운과 나의 기운이 누가 더 잘 다스려졌는가를 살핀 뒤에 나를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적을 알고 자신을 아는 것은 병가兵家의 큰 요점이니, 지금 장수들이 비록 적을 알지 못하더라도 만일 자신을 잘 안다면 어찌 이로움을 잃는 자가 있겠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감탄하였다.
“참으로 옳다.
은 항상 적진을 대할 적에 먼저 적의 마음과 나의 마음이 누가 더 자세히 살피는가를 헤아린 뒤에 적의 허실虛實을 알 수 있었고, 적의 기운과 나의 기운이 누가 더 잘 다스려졌는가를 살핀 뒤에 나의 강약強弱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적을 알고 자신을 아는 것이 병가兵家의 큰 요점이 되는 것이니, 지금의 장수들이 비록 적의 허실虛實을 알지 못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강약強弱을 참으로 안다면 어찌 이로움을 잃는 자가 있겠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손무孫武의 이른바 ‘먼저 적이 승리할 수 없게 한다.’는 것은 자기를 아는 것이요, ‘적에게 승리할 수 있음을 기다린다.’는 것은 적을 아는 것입니다.
또 ‘승리할 수 없는 것은 자신에게 있게 하고, 승리할 수 있는 것은 적에게 있게 한다.’ 하였으니, 은 잠시도 감히 이 경계를 잊지 않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손무孫武의 이른바 ‘먼저 자신에게 승리할 수 없는 대비가 있게 한다.’는 것은 자기를 아는 것이요, ‘적에게 승리할 수 있는 틈이 있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적을 아는 것입니다.
손무孫武는 또 ‘승리할 수 없는 것은 자신의 견실함에 달려있고, 승리할 수 있는 것은 의 허약함에 달려있다.’라고 하였으니, 은 잠시도 감히 이 경계를 잊지 않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삼군三軍은 기운을 빼앗는 방법이 있으니, 아침 기운은 예리하고 낮 기운은 태만하고 저녁 기운은 돌아가려 하므로,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적의 예리한 기운을 피하고, 나태하여 돌아갈 때에 공격한다.’ 하였으니, 어떠한가?”
原注
태종太宗이 물었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삼군三軍은 기운을 빼앗는 방법이 있으니,
적이 이른 아침에 처음 이르면 그 기운이 정예롭고 성하며, 낮에 이르면 그 기운이 게으르고, 해가 저물고 굶주리고 피로하면 그 기운이 돌아가고자 하므로,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적이 새로 이르러 기운이 정예롭고 성할 때를 피하며, 낮에 태만해지고 날이 저물어 돌아가려 할 때를 공격하여야 한다.’ 하였으니, 이 말이 어떠한가?”
삼군가탈기三軍可奪氣’로부터 ‘격기타귀擊其惰歸’까지는 《손자孫子》 〈군쟁軍爭〉에 자세히 보인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생명生命을 간직하고 피를 가지고 있는 자가 고무鼓舞되어 싸워서, 비록 죽더라도 돌아보지 않는 것은 기운이 그렇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용병用兵하는 방법은 반드시 먼저 우리 병사들을 살펴보아서 우리의 승리할 수 있는 기운을 격동시켜야 비로소 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생명生命을 간직하고 피를 간직한 사람이 고무되어 출동해서 적과 싸워 비록 죽음에 이르더라도 살피고 돌아보지 않는 것은 기운이 그렇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용병用兵하는 방법은 반드시 먼저 우리의 병사들을 자세히 살펴서 우리의 승리할 수 있는 기운을 격발시켜야 비로소 적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오기吳起사기四機 중에 기기氣機를 최상으로 삼은 것은 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능히 사람마다 스스로 싸우게 하면 그 예기銳氣를 당할 수가 없으니, 이른바 ‘아침 기운이 예리하다.’는 것은 시각을 제한하여 말한 것이 아니요, 하루의 처음과 끝을 들어 비유한 것입니다.
무릇 세 번 북을 쳤는데도 적의 기운이 쇠하지 않고 고갈되지 않았으면 어떻게 적으로 하여금 반드시 태만해지고 돌아갈 마음을 품게 하겠습니까.
배우는 자가 단지 빈 글을 외워서 적에게 유인을 당하니, 만약 적의 기운을 빼앗는 이치를 깨닫는다면 군대를 맡겨 장수로 삼을 수 있습니다.”
原注
오기吳起사기四機를 논할 적에 기기氣機를 최상으로 삼은 것은 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장수가 병사들로 하여금 각자 스스로 싸우게 하면 그 예봉銳鋒을 당할 수가 없으니, 《손자孫子》에 말한 ‘아침 기운이 예리하다.’는 것은 시각을 제한하여 말한 것이 아니요, 다만 하루의 처음과 끝을 들어서 비유한 것입니다.
무릇 세 번 북을 쳐서 적의 기운이 고갈되지 않고 쇠하지 않았으면 어떻게 적으로 하여금 반드시 태만해지고 돌아갈 마음을 품게 하겠습니까.
병서兵書를 배우는 자들이 다만 빈 글을 읽고 외워서 적에게 유인을 당하는 것이니, 만약 적의 기운을 빼앗는 이치를 깨닫는다면 군대를 맡겨 장수로 삼을 수 있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 일찍이 말하기를 ‘이적李勣병법兵法에 능하다.’ 하였는데, 오랫동안 등용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이 제어하지 않으면 쓸 수가 없으니, 후일에 태자太子 가 어떻게 제어해야 하는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이 일찍이 말하기를 ‘이적李勣병법兵法에 능하다.’ 하였는데, 오랜 뒤에도 그를 임용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이 제어하지 않으면 부릴 수가 없으니, 후일 태자太子 가 어떻게 제어하여야 하는가?”
태자太子의 이름이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폐하陛下를 위하여 계책을 생각해보건대, 이적李勣을 내쳐서 태자太子로 하여금 다시 등용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으니, 이렇게 하면 이적李勣이 반드시 은혜에 감격하여 보답할 것을 도모할 것이요, 도리에도 잘못될 것이 있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대답하였다.
“좋다.
이 의심할 것이 없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폐하陛下를 위하여 계책을 생각하건대, 이세적李世勣(李勣)을 물리쳐서 태자太子로 하여금 후일 다시 등용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으니, 이렇게 하면 이세적李世勣이 반드시 태자太子의 은혜에 감격하여 나라를 돕고 보답할 것을 생각할 것이요, 도리에도 또한 무슨 잘못될 것이 있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의 말이 매우 좋으니, 은 의심할 것이 없다.”
原注
○《당서唐書》 〈태종본기太宗本紀〉를 살펴보면 정관貞觀 23년(649)에 태종太宗태자太子 에게 이르기를
이세적李世勣은 재주와 지혜가 충분하나, 네가 그에게 베푼 은혜가 없으므로, 내 지금 그를 내칠 것이니, 만약 그가 즉시 길을 떠나거든 내가 죽기를 기다려서 네가 등용하여 복야僕射로 삼아 친애하고 신임할 것이요, 만약 배회하고 관망하거든 마땅히 죽여야 한다.” 하고,
마침내 이세적李世勣을 좌천시켜 첩주도독疊州都督으로 삼았는데, 이세적李世勣은 명령을 받자 자기 집에 가지도 않고 즉시 임지로 떠났다.
原注
범씨范氏(范祖禹)가 말하였다.
태종太宗이세적李世勣을 어떤 사람이라고 여겼는가.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여겼으면 어린 아들을 부탁하여 천하를 맡길 수가 없는 것이고, 어질다고 여겼으면 마땅히 신임하고 의심하지 말아야 하는데, 후사後嗣가 회유하여 복종시키지 못할까 우려해서 먼저 내친 뒤에 등용하였으니, 이는 개와 말로 그를 대한 것이다.
그의 마음을 빼앗고자 하면서 위엄으로써 꺾고, 그의 힘을 빼앗고자 하면서 은혜로써 회유하는 것은 고조高祖경포黥布팽월彭越을 제어하던 방법으로 기회를 엿보아 속이는 술책이니, 이는 오패五霸도 하지 않은 짓이다.
만일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신하를 대한다면 이익과 녹봉을 탐하는 선비들은 부릴 수 있지만, 천하로써 녹봉을 주어도 돌아보지 않고 사천 필의 말을 묶어놓아도 보지 않는 자를 어떻게 얻어 등용할 수 있겠는가.”
原注
손씨孫氏가 말하였다.
“군주가 신하를 로써 대하면 신하가 로써 보답하고, 군주가 신하를 이익으로써 대하면 신하가 이익으로써 보답하니, 이는 필연적인 이치이다.
태종太宗이세적李世勣으로 태자太子를 보필하게 하되 이처럼 속임수를 썼으니, 이세적李世勣기지機智가 어찌 이익으로써 자신을 유인함을 몰랐겠는가.
황후皇后를 폐하고 세우는 즈음에 이세적李世勣이 충성을 다하려고 하지 않았으니, 이세적李世勣이 비록 대신大臣의 절의가 없었으나 이는 태종太宗이 이익으로써 그 마음을 계도啓導한 것이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태종太宗총명聰明하지 않은 것이 아니었으나 속이는 방법으로 이세적李世勣을 제어하였고, 위공衛公(李靖)이 지혜와 술책이 없지 않았으나 속임수로 태종太宗을 권하여, 군신君臣상하上下가 한결같이 속임수를 사용하였으니, 또 어찌 이들과 더불어 인의仁義를 말할 수 있으며, 또 어찌 이들과 더불어 관중管仲왕좌王佐가 될 만한 인물임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태종太宗이 ‘인의仁義를 행하여 이미 효험이 났다.’는 것은 다만 인의仁義의 지엽적인 일을 얻었을 뿐이요 인의仁義본체本體를 알지 못한 것이며, 위공衛公관중管仲왕좌王佐(王者의 보필)라고 한 것은 어떻게 하여야 왕좌王佐가 되는지를 깊이 알지 못한 것이다.
지금 위공衛公태종太宗에게 이세적李世勣을 제어하는 방법을 권한 것을 보면 오패五霸도 어찌 이런 짓을 즐겨 하였겠는가.
고종高宗황후皇后를 폐하고 세우는 즈음에 이세적李世勣이 한마디 말로 결정해서 친척과 현자들이 화를 당하여 나라 황실皇室이 중단된 것은 다 이세적李世勣 때문이니, 그 화가 참으로 크다.
의논하는 자들이 모두 태종太宗이 사람을 알아봄이 명철하지 못한 것을 책망하고 이정李靖이 충성스럽게 도모하지 못한 것을 구명究明하지 못하니, 애석하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세적李世勣이 만약 장손무기長孫無忌와 함께 국정國政을 관장하면 어떻겠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세적李世勣이 만약 장손무기長孫無忌와 함께 국가國家의 큰 정사政事를 관장하면 후일 두 사람이 어떻겠는가?”
장손무기長孫無忌장손황후長孫皇后의 오라비이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세적李世勣충의심忠義心이 보장할 수 있습니다마는, 장손무기長孫無忌좌명佐命한 큰 을 세웠고, 폐하陛下께서 폐부肺腑의 친척으로 보상輔相의 직책을 맡기셨습니다.
그러나 겉으로는 선비들에게 몸을 낮추나 내심은 실로 현자賢者들을 미워합니다.
그러므로 위지경덕尉遲敬德이 면전에서 그의 단점을 지적하고 마침내 몸을 이끌고 물러갔으며, 후군집侯君集은 그가 옛 정을 잊은 것을 하여 역모逆謀를 범하였으니, 이는 모두 장손무기長孫無忌가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폐하陛下께서 에게 물으시니 이 감히 그 말씀을 회피할 수가 없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 말을 누설하지 말라.
은 서서히 조처할 방법을 생각하겠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세적李世勣충의심忠義心이 보장하여 책임질 수 있습니다마는, 장손무기長孫無忌좌명佐命한 큰 이 있고, 폐하陛下께서 폐부肺腑의 친척으로 위임하여 보상輔相의 직책으로 삼으셨습니다.
그러나 겉으로는 비록 선비들에게 몸을 낮추는 듯하지만, 내심은 실로 현자賢者들을 미워합니다.
그러므로 울지경덕尉遲敬德이 면전에서 그의 단점을 꾸짖고는, 〈그의 중상모략을 두려워하여〉 마침내 몸을 이끌고 물러갔으며, 후군집侯君集은 그가 옛정을 잊은 것을 하여 군대를 일으켜서 역모逆謀를 범하였으니, 이는 모두 장손무기長孫無忌가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지금 폐하陛下께서 에게 자문하시니, 은 감히 그 말씀을 사양하고 피할 수가 없습니다.”
태종太宗이 대답하였다.
은 이 말을 누설하지 말라.
은 서서히 조처할 방법을 생각하겠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이정李靖이세적李世勣장손무기長孫無忌를 논한 것은 온당치 못한 듯하다.
이세적李世勣은 여러 도둑들 가운데에서 나온 인물이니, 재주와 지혜는 있고 속임수와 아첨함은 있지만 충의심忠義心은 없었다.
사람을 잘 아는 것은 명철明哲한 것이니 도 어렵게 여겼는데, 이정李靖이 또 어떻게 이것을 잘할 수 있었겠는가.
고종高宗황후皇后를 폐하고 세울 적에 이세적李世勣의 한마디 말에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하늘에 이르는 큰 화를 일으켜서 거의 나라 황실皇室을 망하게 한 것은 모두 이세적李世勣이 만든 것이다.
고종高宗이 모시는 신하들에게 이르기를 “이 허심탄회하게 계책을 구하는데도 끝내 간언하는 자가 없음은 어째서인가?” 하니, 이세적李世勣이 홀로 대답하기를 “폐하陛下께서 하시는 일이 모두 하시어 신하들이 할 것이 없습니다.” 하였으니, 이 두 가지를 보면 충의忠義롭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