凡欲興師動
인댄 君相
이 與訏謀於廟堂之上
하여 校計彼我之情
하여 見勝乃擧
라
故로 有不戰이언정 戰必勝이니 其法則五事七計也라
故로 經之以五事하고 校之以計하여 而索其情하나니
經은 如經緯之經이니 彼我未分也요 校는 較量也니 彼我形也라
一曰道요 二曰天이요 三曰地요 四曰將이요 五曰法이라
道者는 令民與上同意하여 可與之死하고 可與之生하여 而不畏危也요
凡此五者는 將莫不聞이로되 知之者는 勝하고 不知者는 不勝이라
故
로 이라하니 夫然後
에 可與之生死
하여 而不計危亡也
라
時制者
는 陰陽寒暑
를 以時制宜也
니 謂
하며 年穀豐登
하고 民無夭札也
라
故
로 料敵制勝
에 計險易遠近
이니 는 所以無虞
요 은 恃此無恐也
라
高陽爲生이요 下濕爲死니 行軍曰 前死後生이 是也라
曲制, 官道, 主用은 謂部曲各有節制하고 百官各遵其道하고 軍用專有主者라
故로 先道, 次天, 次地하고 而將與法이 又次之하니라
曰 主孰有道며 將孰有能이며 天地孰得이며 法令孰行이며 兵衆孰强이며 士卒孰練이며 賞罰孰明고하니 吾以此知勝負矣로라
하여 用之必勝
이어든 留之
하고 將不聽吾計
하여 用之必敗
어든 去之
니라
雖主有道하고 天地得하고 法令行이나 而兵强卒練하고 信賞必罰은 在將得其人이라
苟或傲狠自用하여 剛不可使면 則必得算少하여 而勝不在我라
故로 能而示之不能하고 用而示之不用하며 近而示之遠하고 遠而示之近하며 利而誘之하고 亂而取之하며 實而備之하고 强而避之하며 怒而撓之하고 卑而驕之하며 佚而勞之하고 親而離之하며 攻其無備하고 出其不意라
能而示之不能
은 如
이니 以其無名也
요 用而示之不用
은 如
라
凡此는 皆君主爲之勢也니 皆詭道也니 勝由詭立이라
夫未戰而廟算勝者는 得算多也요 未戰而廟算不勝者는 得算少也라
多算이면 勝하고 少算이면 不勝이어든 而況於無算乎아
무릇 군대를 일으키고 병력을 동원하려 하면 군주와 정승이 서로 묘당廟堂(朝廷)의 위에서 큰 계책을 세워 피아彼我의 실정을 비교하고 헤아려서 승리를 발견하여야 비로소 군대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싸우지 않을지언정 싸우면 반드시 승리하는 것이니, 그 방법은 다섯 가지 일과 일곱 가지 계책이다.
승산勝算을 얻음이 많고 적음에 따라 승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시계始計〉를 맨 앞에 놓은 것이다.
죽고 삶이 달려 있는 자리이며 나라가 보존되고 멸망하는 갈림길이니,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
전傳(옛 책)에 이르기를 “나라의 큰일은 제사와 전쟁에 있다.” 하였고, 오기吳起가 말하기를 “병사들이 싸우는 전장戰塲은 시신이 쌓여 있는 곳이니, 필사必死의 각오로 싸우면 살고 요행으로 살기를 바라면 죽는다.” 하였다.
군대의 승패勝敗는 국가의 존망存亡에 관계되므로 모름지기 자세히 살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섯 가지 일로써 다스리고 계책으로써 비교하여 그 실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경經’은 경위經緯의 경經과 같으니 적敵과 우리가 아직 나뉘지 않은 것이요, ‘교校’는 비교하여 헤아림이니 적敵과 우리가 나타난 것이다.
‘색索’은 찾음이요, ‘정情’은 승부의 실정이다.
첫 번째는 도道요, 두 번째는 천시天時요, 세 번째는 지리地利요, 네 번째는 장수將帥요, 다섯 번째는 법령法令(제도와 호령)이다.
도道란 백성(병사)들로 하여금 윗사람과 뜻을 함께하여 함께 죽고 함께 살아서 위태로움을 두려워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천시天時란 음陰과 양陽, 추위와 더위를 때에 따라 제재制裁(조절)하는 것이다.
지리地利란 거리의 멀고 가까움과 지형의 험하고 평탄함과 넓고 좁음과 죽고 사는 지역이다.
장수란 지혜와 신의와 인자함과 용맹함과 엄격함이다.
법령法令이란 부곡部曲(部隊)에는 각기 절제節制가 있고, 백관百官은 각기 자기 도리를 따르고, 군용軍用은 오로지 주장하는 자가 있음을 이른다.
무릇 이 다섯 가지는 장수가 듣지 못한 자가 없으나, 이것을 아는 자는 승리하고 알지 못하는 자는 승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계략으로써 비교하여 그 실정을 찾는 것이다.
도道는 맹자孟子가 말한 “백성들이 모두 윗사람을 친애親愛하고 어른을 섬긴다.”는 것과, 순경荀卿이 말한 “자제子弟가 부형父兄을 호위하고 손과 팔이 머리와 눈을 막아낸다.”는 것과 같아서 억지로 힘씀을 기다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삼략三略》에 이르기를 “지체肢體가 서로 따르듯이 하고 골절骨節이 서로 구원하듯이 해서 천도天道가 자연히 그러하여 그 교묘함이 간격이 없다.” 하였으니, 이렇게 한 뒤에야 병사들과 더불어 생사生死를 함께하여 위태로움과 멸망함을 헤아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시제時制는 음陰과 양陽, 더위와 추위를 때에 맞춰 알맞게 조절하는 것이니, 날이 개고 비 오는 것이 때에 순하며, 봄과 여름의 펴짐과 가을과 겨울의 쇠잔해짐이 시령時令에 응하며, 곡식이 풍년 들고 백성들이 역병으로 일찍 죽는 일이 없는 것이다.
하늘을 위주하여 말했으므로 아래의 글에 “천시天時와 지리地利를 누가 얻었는가?”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적敵을 헤아려 승리할 적에 지형의 험하고 평탄함과 거리의 멀고 가까움을 계산하는 것이니, 안과 밖에 산하山河가 막고 있음은 근심이 없는 것이요, 한수漢水와 방성方城은 이것을 믿고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높고 양지바른 곳을 살 땅이라 하고, 낮고 저습한 곳을 죽을 땅이라 하니, 아래 〈행군行軍〉에 “앞에는 죽을 땅을 두고 뒤에는 살 땅을 둔다.”는 것이 이것이다.
장수의 다섯 가지 덕德에 하나만 없어도 불가하나, 지혜가 더욱 앞에 있다.
곡제曲制, 관도官道, 주용主用은 부곡部曲(部隊)에는 각기 절제節制가 있고 백관百官은 각기 자기 도리道理를 따르고 군용軍用은 오로지 주장하는 자가 있음을 이른다.
전傳(옛 책)에 이르기를 “백관百官이 각자 지위를 상징하는 깃발을 세우고서 여기에 맞게 행동하여 군정軍政이 경계하지 않아도 닦인다.” 하였으며,
《삼략三略》에 이르기를 “인자한 자로 하여금 재물을 주관하게 하지 말라.” 하였고,
《맹자孟子》에 이르기를 “천시天時가 지리地利만 못하고, 지리地利가 인화人和만 못하다.” 하였고, 또 이르기를 “적을 포위하여 공격할 적에 반드시 천시天時를 얻을 때가 있다.” 하였으니,
이는 천관天官의 고허孤虛를 말한 것이므로 그 말이 이와 같으나, 여기서는 날이 개고 비가 오는 것과 재앙과 상서를 말하였다.
그러므로 맨 앞에 도道를 말하고, 다음에 하늘(天時)을 말하고, 다음에 땅(地利)을 말하고, 장수와 법法이 또 그 다음이 된 것이다.
군주는 누가 더 도道가 있으며, 장수는 누가 더 재능이 있으며, 천시天時와 지리地利를 누가 얻었으며, 법령을 누가 더 잘 행하며, 병력은 누가 더 강하며, 사졸士卒은 누가 더 훈련되었으며, 상과 벌은 누가 더 분명한가를 비교하니, 나는 이것을 가지고 승부를 아노라.
이 일곱 가지는 적과 우리에게 누가 더 많은가를 비교하여 헤아리는 것이다.
장수가 나(군주)의 계책을 잘 따라서 그를 임용하여 반드시 승리할 경우에는 머물러 있게 하고, 장수가 나의 계책을 따르지 않아서 그를 임용하여 반드시 실패할 경우에는 제거해야 한다.
비록 군주에게 도道가 있고 천시天時와 지리地利를 얻고 법령法令이 행해지더라도, 군대가 강하고 사졸士卒이 훈련되고 신상필벌信賞必罰을 내리는 것은 훌륭한 장수를 얻음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일곱 가지로 계산하되 오사五事를 네 가지로 총괄하고 나머지 세 가지는 장군에게 중점을 돌렸다.
이 때문에 장수를 임명함에 삼가고 신중히 하는 것이다.
만일 혹시라도 장수가 오만하고 난폭하며 자신의 의견만을 주장해서, 장수가 강하여 임금이 부릴 수 없으면 반드시 승산이 적어서 승리가 우리에게 있지 못하게 된다.
계산하여 우리가 이롭고 장수가 또 나를 믿고 따르거든 마침내 세勢를 만들어 그 밖을 도와야 한다.
세勢라는 것은 이로움을 따라 권변權變(임기응변)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능하면 능하지 못한 것처럼 보이고 유능한 사람을 등용하면 등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 가까이하려 하면 멀리할 것처럼 보이고, 멀리하려 하면 가까이할 것처럼 보이며, 이익으로 적을 유인하고 적을 혼란하게 만들어 취하며, 적이 견실堅實하면 대비하고 적이 강하면 피하며, 적장을 노하게 하여 흔들리게 하고 말을 낮추어 적장이 교만하게 하며, 적이 편안하면 수고롭게 하고 적이 상하 간에 친하면 이간질하며, 적이 대비하지 않는 곳을 공격하고 적이 예상하지 않은 곳으로 출동해야 한다.
이는 병가兵家의 승리하는 방도이니, 미리 전(누설)해서는 안 된다.
‘계산하여 우리가 이롭고 장수가 또 나를 믿고 따른다.’는 것은 헤아리고 비교하여 이미 이롭고 장수가 또 군주의 말을 잘 따름을 말한 것이다.
‘세勢’는 ‘능하면 능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는 것 이하의 14가지 조항이다.
이는 모두 ‘이로움을 따라 권변權變을 만듦’을 말한 것인데, 모두 그 ‘밖’의 일을 돕는 것이다.
‘외外’는 장수가 밖에서 전제專制하게 함을 이른다.
‘능하면 능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은 손권孫權이 육손陸遜에게 육구陸口를 맡긴 것과 같으니, 그가 명성이 없었기 때문이요, ‘유능한 사람을 등용하면 등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은 진秦나라가 백기白起를 등용하면서 누설하지 말라고 경계한 것과 같은 것이다.
멀고 가까움은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니, 혹은 공격하고 정벌하는 지역이고 혹은 군대를 일으키는 시기이다.
지백智伯이 숙요夙繇에게 종鍾을 보내면서 병사를 뒤따르게 한 것은 ‘이익으로 적을 유인한 것’이요, 제齊나라가 자지子之의 혼란으로 인하여 연燕나라를 점령한 것은 ‘적을 혼란하게 하여 취한 것’이다.
수후隨侯가 계량季梁의 말을 듣고 정사를 잘 닦은 것은 ‘적이 견실堅實하면 대비한 것’이고, 구천句踐이 오吳나라를 섬긴 것은 ‘적이 강하면 피한 것’이다.
진晉나라가 완춘宛春을 구속한 것은 ‘적장을 노하게 하여 흔들리게 한 것’이고, 당唐 고조高祖가 이밀李密을 항복시킨 것은 ‘자신을 낮추어 적장이 교만하게 한 것’이다.
오吳나라가 군대를 셋으로 나누어 초楚나라를 수고롭게 한 것은 ‘적이 편안하면 수고롭게 한 것’이고, 한漢나라가 진평陳平에게 맡겨서 초楚나라의 군주君主와 신하를 이간질시킨 것은 ‘적이 상하 간에 친하거든 이간질시킨다는 것’이다.
진晉나라가 괵虢나라를 멸滅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虞나라를 습격한 것은 ‘적이 대비가 없는 것을 공격한 것’이고, 한漢나라가 잔도棧道를 불태워 동쪽으로 진출할 뜻이 없음을 보이고 한신韓信을 보내어 삼진三秦을 평정한 것은 ‘적이 예상하지 않은 곳으로 출동한 것’이다.
무릇 이것은 다 군주가 세勢를 만드는 것으로 모두 속임수이니, 승리는 속임수로 말미암아 확립된다.
싸우기 전에 묘당廟堂에서 계산하여 우세한 자는 승산을 얻음이 많은 것이요, 싸우기 전에 묘당에서 계산하여 우세하지 않은 자는 승산을 얻음이 적은 것이다.
승산이 많으면 이기고 승산이 적으면 이기지 못하는데, 하물며 승산이 없음에랴.
내가 이것을 가지고 관찰하면 이기고 지는 형세가 나타난다.
울료자尉繚子가 말하기를 “갑옷을 꺼내어 햇볕에 말리지 않고도 승리하는 것은 군주가 승리하는 것이다.” 하였고, 또 말하기를 “군대가 조정朝廷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있다.” 하였으니, 이것은 승산이 많음을 이른 것이다.
이정李靖이 말하기를 “고대의 전투는 대부분 작은 계책으로 계책이 없는 자를 이겼고, 조금 잘하는 것으로 잘하지 못하는 자를 이겼다.” 하였으니, 이것은 계책이 적음과 계책이 없음을 이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