曰 鵬之徙於南冥也
에 水擊三千里
하고 而上者九萬里
하야
而後
에야 乃今
하고 背負靑天而
者
한 而後
에야 乃今將
하나니라
者
는 三
而反
하야도 腹猶
하고 適百里者
는 하고 適千里者
는 三月聚糧
하나니
楚之南
에 有
者
하니 以五百歲
로 爲春
하고 五百歲
로 爲秋
하며
而
는 乃今
에 以久
로 特聞
이어늘 하나니 不亦悲乎
아
絶雲氣하며 負靑天한 然後圖南하야 且適南冥也하나니라
북녘 검푸른 바다에 물고기가 있으니 그 이름을 곤鯤이라고 한다.
어느 날 이 물고기가 변신을 해서 새가 되니 그 이름을 붕鵬이라고 한다.
이 붕새의 등 넓이는 이 또한 몇천 리가 되는지 알 수 없다.
온몸의 힘을 다해 날면 그 활짝 편 날개는 하늘 한쪽에 가득히 드리운 구름과 같다.
이 새는 바다가 움직이면 남쪽 끝의 검푸른 바다로 날아가려고 한다.
제해齊諧라고 하는 사람은 괴이한 일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다.
“붕鵬이 남쪽 바다로 날아 옮겨 갈 때에는 〈그 큰 날개로〉 바다의 수면水面을 3천 리나 치고서 회오리바람을 타고서 9만 리 꼭대기까지 올라간다.
그리하여 여기 북쪽 바다 상공을 떠나서 6개월을 계속 난 뒤에 비로소 한 번 크게 숨을 내쉬는 것이다.”
공중에 떠 있는 아지랑이와 티끌은 〈천지 사이의〉 살아 있는 생물들이 입김을 서로 내뿜는 데서 생겨나는 현상이다.
하늘이 푸르고 푸른 것은 그 본래의 제 빛깔인가.
붕鵬이 〈9만 리 꼭대기에서〉 아래를 내려다볼 때에도 또한 이와 같을 것이다.
그런데 물이 괴어 쌓인 것이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만한 힘이 없다.
그러니 한 잔의 물을 마루의 움푹 패인 자리 위에 엎지르면 기껏 티끌 정도가 그 위에 떠서 배가 되지만 거기에 잔을 놓으면 뜨지 못하고 바닥에 닿고 만다.
바람이 두터이 쌓이지 않으면 큰 날개를 짊어져 띄울 만한 힘이 없다.
그러므로 9만 리의 높이까지 올라가야만 〈붕의 큰 날개를 지탱할 만한〉 바람이 비로소 아래에 쌓이게 된다.
그런 뒤에 이제서야 붕은 바람을 타고 푸른 하늘을 등에 진 채 갈 길을 막는 장애障碍가 하나도 없게 된 뒤에 비로소 남쪽으로 날아가는 것을 도모하려고 한다.
매미나 작은 비둘기가 이것을 비웃으며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후닥닥 있는 힘을 다해 날아올라 느릅나무나 다목나무 가지 위에 머무르되, 때로는 혹 거기에도 이르지 못하고 땅바닥에 동댕이쳐지는 경우도 있을 따름이다.
그러니 무엇 때문에 붕새는 9만 리 꼭대기까지 올라가 남쪽으로 갈 필요가 있겠는가.”
가까운 교외郊外의 들판에 나가는 사람은 세 끼니의 밥만 먹고 돌아와도 배가 아직 부르고, 백 리 길을 가는 사람은 전날 밤에 식량을 방아 찧어 준비해야 하고, 천 리 길을 가는 사람은 3개월 전부터 식량을 모아 준비해야 한다.
그러니 이 두 벌레가 〈이처럼 큰 일에는 큰 준비가 필요한 이치를〉 또 어찌 알 수 있겠는가.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짧은 수명은 긴 수명에 미치지 못한다.
조균朝菌은 한 달을 알지 못하고 쓰르라미는 봄, 가을을 알지 못하니 이것이 짧은 수명의 예例이다.
초나라 남쪽에 명령冥靈이라는 나무가 있으니 5백 년을 봄으로 하고 5백 년을 가을로 삼는다.
옛날 상고上古에 대춘大椿이라는 나무가 있었으니 8천 년을 봄으로 하고 8천 년을 가을로 삼았다.
그런데 팽조彭祖는 지금 장수로 유독 유명하여 세상 사람들이 그와 비슷하기를 바라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은殷나라의 탕湯임금이 현자賢者로 이름 높은 극棘에게 물어서 들은 내용도 이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
“초목이 나지 않는 불모지의 북녘에 검푸르고 어두운 바다가 있으니 그것은 하늘의 못, 천지天池입니다.
거기에 물고기가 있는데 그 넓이는 수천리이고 그 길이는 아는 이가 아무도 없습니다.
거기에 새가 있으니 그 이름을 붕鵬이라고 합니다.
등은 태산 같고 날개는 하늘 한 쪽에 가득히 드리운 구름과 같습니다.
〈이 새는〉 회오리바람을 타고 양羊의 뿔처럼 빙글빙글 선회하면서 9만 리 꼭대기까지 올라갑니다.
구름 위로 뚫고 나가 푸른 하늘을 짊어진 연후에 남쪽으로 가기를 도모하며 바야흐로 남쪽 바다를 향해 떠나가려고 합니다.
메추라기가 이것을 비웃으며 말하기를 ‘저것은 도대체 어디로 가겠다고 하는 것인가.
나는 힘껏 날아올라도 몇 길을 지나지 않고 도로 내려와 쑥대밭 사이를 날아다닐 뿐이다.
이것이 또한 내가 날아다닐 수 있는 최상의 경지이다.
그런데 저것은 도대체 어디로 가려〈고 9만 리 꼭대기까지 올라 가〉는 것인가.’ 라고 하였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 지식知識은 한 관직을 맡아 공적을 올릴 만하고 행실은 한 고을의 인망人望에 비합比合하며 능력은 군주의 마음에 들어 한 나라에 쓰여지는 사람들도 그 스스로를 보는 것이 이 메추라기와 같을 것이다.
그런데 송영자宋榮子는 이런 자기 만족의 인물들을 빙그레 비웃는다.
그리하여 그는 온 세상이 모두 그를 칭찬하더라도 더 힘쓰지 아니하며 온 세상이 모두 그를 비난하더라도 더 기氣가 꺾이지 아니한다.
그러니 그는 자기의 내면內面과 밖의 외물外物의 구분을 확립하고 영예나 치욕 따위가 바깥 경역境域의 일임을 변별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세상의 평가에 대해 초연하기는 하나 비록 그러나 아직 〈무엇에 의지하지 않고 홀로 서는〉 주체성이 수립樹立되지 않고 있다.
저 열자列子는 바람을 조종하여 하늘을 날아다녀 가뿐가뿐 즐겁게 잘 날아서 15일이 지난 뒤에 땅 위로 돌아온다.
그는 〈세상의 평가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세속의 행복을 구하는 일에 대해서도 초연하다.
그러나 이런 사람은 비록 걸어다니는 번거로움으로부터는 해방되었으나 아직 무엇엔가 의존하는 것이 있는 것이다.
저 〈바람 정도가 아닌〉 하늘과 땅의 바른 기氣를 타고 육기六氣의 변화를 조종하여 끝없는 경지에 노닐 줄 아는 사람이라면 그는 대체 무엇을 의존할 것이겠는가.
그래서 ‘지인至人은 자기가 없고 신인神人은 공적이 없고 성인聖人은 명예가 없다’고 한다.
1
제1장(1)
754
2
제1장(2)
648
3
제1장(3)
704
4
제1장(4)
299
5
제1장(5)
609
6
제1장(6)
609
7
제1장(7)
513
8
제1장(8)
693
9
제1장(1)
3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