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大人在上에 居無爲之事하고 行不言之敎하면 萬物作焉而不爲始라
注
[注]不能以無爲居事
하고 不言爲敎
일새 立善
하여 使下得親而譽之也
라
注
[注]不能法以正齊民하고 而以智治國일새 下知避之하고 其令不從이라
注
[注]言從上也라 夫御體失性하면 則疾病生하고 輔物失眞하면 則疵釁作하니라
17.6 悠兮其貴言하여 功成事遂나 百姓皆謂我自然이니라
注
[注]自然은 其端兆를 不可得而見也요 其意趣를 不可得而覩也라
無物可以易其言하여 言必有應이라 故曰 悠兮其貴言也하니라
제17장은 어떤 군주가 옳은 군주인지 군주의 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최상의 군주까지는 아니더라도 요즘 우리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우리는 불행히도 지극한 덕을 가졌다고 여겨지는 지도자도, 친근하고 자랑스럽게 여겨지는 지도자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한때 두려워했던 지도자가 있었고, 이제 지도자를 업신여기는 단계까지 나아갔다. ‘해 뜨면 일하고 해 지면 쉬고, 우물 파 물 마시고 밭 갈아 내 먹으니, 임금의 혜택이 내게 무엇이 있다더냐.’라며 〈격양가擊壤歌〉를 부를 수 있는 시대를 꿈꾸는 것은 옛 고전들이 함께 이야기하는 바인 듯하다.
대인大人이 윗자리에 앉아 다스릴 때에는 아래 백성들이 그가 있다는 것만 알 뿐이며,
注
태상太上은 〈《주역》에서 말하는〉 대인大人을 말한다. 대인이 윗자리에 있으므로 ‘태상太上’이라고 한 것이다.
대인이 윗자리에서 무위無爲의 일에 거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하면 만물이 그에 의해 지어지면서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아래 〈백성들이〉 그가 있다는 것만을 알 뿐이다.
그 다음 사람은 〈백성들이〉 그를 친하게 여기고 기리게 하며,
注
무위無爲로 자신의 일에 거하지 못하고 말하지 아니함으로 교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선善을 세우고 교화를 베풀어 아랫사람들로 하여금 친하게 여기고 기리도록 만든다.
그 다음 사람은 〈백성들이〉 그를 두려워하게 하며,
注
다시 은혜[사思]와 인자함[인仁]으로는 다른 사람을 부릴 수 없어 위엄과 권세에 의존하게 된다.
注
법을 만들어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지 못하고 ‘꼼수’로 나라를 다스리기 때문에 아랫사람들이 그를 피할 줄만 알게 되고 그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
〈나라를 다스리는 윗사람에게〉 믿음이 부족하면 〈백성들 사이에〉 불신不信이 생겨나니,
注
〈백성들이〉 윗사람을 따른다는 말이다. 무릇 몸을 다스림에 있어 타고난 본성을 잃게 되면 질병이 생기고, 다른 사람을 돕는 데 있어 타고난 진정성을 잃게 되면 종기가 생긴다.
〈윗사람에게〉 믿음이 부족하면 〈백성들 사이에〉 불신이 생겨나니, 이것은 자연의 도이다.
이미 부족한 상태에 처하였으므로 지모智謀로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그윽하여 보이지 않는 모습이 그의 말 한마디를 귀하게 여겨, 공이 이루어지고 일이 다 성취되어도 백성들이 모두 ‘나 스스로 그렇게 했다’고 말한다.
注
‘자연自然’이란 그 조짐을 볼 수가 없고 그 뜻을 볼 수가 없는 것이다.
어떤 것으로도 그 말을 바꿀 수 없어 말을 하면 반드시 그에 응함이 있기에 “그윽하여 보이지 않는 모습이 그의 말 한마디를 귀하게 여긴다.”고 한 것이다.
무위無爲의 일에 거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하며 드러난 외형으로 다른 사람을 세우지 않는다.
그래서 공이 이루어지고 일이 다 성취되어도 백성들은 그 까닭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