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4.1 不立하고
[注]物尙進則失安이라 故曰企者不立이라하니라
24.2 跨者 不行하니 自見者 不明하고 自是者 不彰하고 自伐者 無功하고 自矜者 不長이니
其在道也 曰餘食贅行이라하니
[注]唯於道而論之컨대 盛饌之餘也하니라
本雖美 更可薉也 本雖有功而自伐之 故更爲肬贅者也하니라
24.3 物或惡之 故有道者 不處니라


제24장은 자신의 능력을 어찌 쓸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겅중겅중 걸으면 오래 갈 수 없다. 스스로 드러내면 밝지 못하다. 스스로 옳다고 하면 드러나지 않는다. 스스로 자랑하면 공이 없다. 스스로 뽐내면 오래가지 못한다.” 왕필은 ‘물상진즉실안物尙進則失安’이라고 해서 “나아가는 것을 숭상하면 안정을 잃는다.”고 했다. 나아간다는 건 ‘(출사)’을 말하는데, 발돋움해 출사하면 즉, 자기 능력보다 지나치게 앞서 나아가면 편안하지 않아 오래 서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앞서 가는 게 뛰어나고 좋은 것 같아 보여도 그게 “다 먹다 남은 음식이요, 군더더기 행동”이라고 충고하고 있다.
’는 ‘고대 도인술導引術의 한 동작’을 가리키는 단어로 ‘발뒤꿈치를 든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한편으론 내 능력을 넘어서는 것을 말한다. 왕필은 인간 사회의 바람직한 모습을 ‘각득기소各得其所’한 상태라고 보았다. 즉, 각자()가 있어 마땅한 자리, 능력에 맞는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각득기소各得其所’란 원래 《한서漢書》 〈동방삭전東方朔傳〉에 나오는 이야기로 생각해볼 수 있다.
한 무제漢 武帝 때, 무제의 누이인 융여공주隆慮公主는 아들 소평군昭平君을 한 무제의 딸과 맺어주었는데, 소평군이 망나니였나 보다. 병으로 위독하던 융려공주가 황금과 돈을 무제에게 바치고 다음과 같이 부탁까지 했다고 한다.
한 무제漢 武帝(《만고제회도상萬古際會圖像》)한 무제漢 武帝(《만고제회도상萬古際會圖像》)
“이 담에 내 아들이 죽을죄를 짓더라도 부디 용서해주세요.”
어머니의 기우대로 소평군은 날로 교만해졌고, 술에 취해 공주 보모를 죽여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사법을 담당하던 관리가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하자, 한 무제 주위에 있던 신하들은 모두 소평군 편을 들었다.
“돌아가신 융려공주의 아드님이니 봐주시지요. 전에 속죄금까지 바치지 않았습니까?”
무제는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는데, 동생에 대한 동정보다는 임금의 도리를 택하고 만다. 그것을 본 동방삭이 임금의 용기 있는 행동을 칭송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신이 듣건대, 성왕聖王께서는 정사를 베푸시매 상을 줌에는 원수도 꺼리지 아니하고, 죄 지은 자를 죽임에 골육지친骨肉之親이라도 골라내지 않는다 했습니다. 《상서尙書》에 이르기를 ‘한 곳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무리를 짓지 아니하니 왕의 길은 넓고도 넓도다.’라고 했습니다. 이 두 가지 것은 오제五帝께서 소중히 여기신 법이며, 삼왕三王도 하기 어려워한 일이었습니다. 그런데도 폐하께서는 행하셨으니 이로써 사해四海의 만백성들은 모두 자기의 맡은 바를 지키며 살 수 있을 것이니[시이사해지내是以四海之內 원원지민元元之民 각득기소各得其所] 천하를 위해서는 매우 다행한 일입니다.”
능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흔히 적성適性이란 말을 많이 쓰는데, 적성이란 말이 원래 의미와는 약간 다르게 쓰인다. 적성이란 곽상郭象이 쓴 용어인데, 지금은 “타고난 재주와 능력”이라는 의미로 많이 쓰지만, 원래 의미는 “타고난 본분에 맞춘다.”는 뜻이다. 왕필이 말한 ‘적용適用’과 비슷한 의미이다. 하지만 왕필과 곽상은 방점을 찍는 부분이 다른데, 곽상은 즉 출신성분, 명분에 포인트를 두고 있지만 왕필은 에 포인트를 두고 있다. 곽상은 진대晉代 사상가로 《장자莊子》에 주석한 학자이다. 계층적 신분 질서를 천리天理라고 인정했고, 개별적인 개체도 ‘성분性分’이나 ‘위계位階’에 몸을 맡김으로써 자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발꿈치를 들고 서는 자는 제대로 서지 못하고,
만물이 나아감(출세)을 숭상하면 안정安定을 잃는다. 그래서 “발꿈치를 들고 서는 자는 제대로 서지 못한다.”고 했다.
겅중겅중 걷는 자는 오래 길을 다니지 못하니, 스스로 드러내는 자는 밝지 않고, 스스로 옳다고 하는 자는 드러나지 않고, 스스로 뽐내는 자는 공이 없고, 스스로 자랑하는 자는 오래가지 못한다.
그것을 에 있어 먹다 남은 음식이요 군더더기 행동이라고 하니,
오로지 도의 측면에서 논하자면 극지郤至의 행동과 잘 차려진 잔치상의 남은 음식과 같다.
본래 아름답다 해도 다시 더러워질 수 있으니, 본래 공이 있어도 스스로 자랑하는 까닭에 다시 쓸데없는 군더더기가 되는 것이다.
만물은 대체로 그런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도가 있는 자는 그렇게 처신하지 않는다.


역주
역주1 企者 : 河上公本은 ‘跂者’로 되어 있고, 帛書本은 ‘吹者’로 되어 있다. 帛書本의 경우 ‘吹’는 두 가지 해석이 있는데, 하나는 고대 導引術의 한 가지 동작으로 보는 견해와 다른 하나는 ‘吹噓(과장하다)’의 뜻으로 보는 견해이다. 후자의 해석에 근거하여 이석명은 《帛書老子》에서 ‘企者 不立’을 “허풍선이는 제대로 서지 못한다.”고 풀이하였다.
역주2 : 저본은 여기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易順鼎은 《讀老札記》에서 그 앞에 22章의 注文을 삽입하여 “〈《老子》의 22장 注에서 논했듯이〉 스스로의 밝음을 드러내지 않으면 온전해진다. 스스로를 옳다고 하지 않으면 그 옳음이 드러난다. 스스로 자랑하지 않으면 그 공이 있게 된다. 스스로 자만하지 않으면 그 덕이 자라난다.[不自見 則其明全也 不自是 則其是彰也 不自伐 則其功有也 不自矜 則其德長也]”를 보완하지만 經文과 注文이 잘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한다. 樓宇烈은 이를 따르지만 바그너는 따르지 않는다.
역주3 若郤至之行 : 郤至는 춘추시대 晉의 大夫로 그에 관한 고사는 《春秋左氏傳》 成公 16년에 실려 있다. “晉 厲公이 극지를 왕실로 보내 초나라의 포로를 바치게 했다. 그러자 극지는 왕실의 卿士 單襄公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주 자신의 공을 자랑했다. 이에 선양공이 왕실의 여러 대부들에게 말했다. ‘극지는 망하고 말 것이오. 그는 7인의 밑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가리려 하고 있소. 남의 원망을 모으는 것은 亂의 근본이오. 남의 원망을 많이 받는 것은 화란의 단초인데 그가 어떻게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겠소? 《書經》 〈夏書〉에 이르기를 ‘남의 원망이 어찌 분명히 드러난 것만 있겠는가. 눈에 띄지 않는 원한도 깊이 생각해야 한다.’고 했소. 이는 사소한 원한도 사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뜻이오. 지금 극지에 대한 원망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으니 그것이 과연 가한 일이겠소?’”(신동준 옮김, 《춘추좌전 2》)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