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高以下爲基요 貴以賤爲本이요 有以無爲用이니 此其反也라
注
[注]天下之物은 皆以有爲生이로되 有之所始는 以無爲本이니
제40장은 뒤의 제42장과 연결된다. 제40장은 《도덕경道德經》에서 가장 짧은 장이지만 가장 잘 알려진 장이면서 철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장이기도 하다. 크게 보면 이 장은 도道의 운동과 작용 그리고 만물萬物의 기원과 관련하여 유무有無에 관해 언급하는 내용이다. 또한 이 부분은 죽간본竹簡本에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 노자老子의 사상 가운데 아주 핵심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
특히 주목할 것은 기존에 천하만물天下萬物은 유有에서, 유有는 무無에서 비롯된다는 명확한 논리가 죽간본竹簡本에는 천하만물天下萬物이 유有와 무無에서 동시에 비롯된다고 말하고 있어서 커다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통상적으로 도道는 무無와 가깝고 만물萬物은 유有와 가까운 것으로 이해되어 왔는데, 죽간본竹簡本에 따르면 유와 무 모두 도道에 가까운 것이 된다.
유有와 무無는 오늘날 많은 경우 서양철학西洋哲學의 존재론적存在論的 개념인 존재存在(being)와 비존재非存在(non-being)의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데, 그레이엄(Angus C. Graham)은 이 두 말의 의미가 “……에 있다.(there is)” 혹은 “……에 없다.(there is not)”라는 뜻이 기본 의미라는 점을 상기시킨다. 이로부터 더 나아가서 보다 추상화된 의미를 갖게 되더라도 그 의미는 존재와 비존재의 의미라기보다 ‘무엇이라고 규정하여 말할 수 있는 것(something)’과 ‘무엇이라고 규정하여 말할 수 없는 것(nothing 혹은 no- thing-ness)’이란 의미로 옮기기도 한다. 이러한 까닭에 최근의 영역자英譯者들은 이를 다른 방식으로 다양하게 옮기고 있는데, 에임스(Roger T. Ames)는 유무有無를 각각 ‘규정된 것(the determinate)’과 ‘규정되지 않은 것(the indeterminate)’으로, 에드먼드 라이덴(Edmund Lyden)은 ‘있음(being)’과 ‘없음(beingless)’으로 번역하였다. 이러한 번역어의 흐름은 동양의 전통개념이 어떻게 서양식으로 이해되는지 살피는 데 참고할 만하다.
또한 《노자老子》의 유명한 ‘역전[반反]’의 사상 혹은 역설의 논리가 표현된 곳이 이 장인데, 이 ‘역전’의 사상은 20세기 중국에서는 서양의 헤겔이나 마르크스의 변증법辨證法 사상과 전통철학을 연결하려는 시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이 역전의 사상을 변증법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하는 생각은 여전히 토론의 여지가 있다.
왕필王弼은 도道의 운동과 쓰임에 대한 《노자老子》의 생각을 그대로 따르지만, 도道와 유무有無의 관계에서는 우주론적 해석보다 쓰임의 입장에서 그 의미를 이해한다. 즉 유有에 대해 무無가 우선성[본本]을 갖는다는 것은 무無의 유有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有의 완전함을 위해 무無의 우선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 또한 왕필에게서 늘 반복하여 볼 수 있는 해석의 방식이다.
注
높임은 낮춤을 기반으로 삼고 귀함은 천함을 근본으로 하고 유有는 무無를 쓰임[용用]으로 삼으니, 이렇게 〈서로 상대되는 것이 순환하는 것이 도의〉 되돌아감이다.
움직일 때에 모두 무無로 나아가면 만물이 통한다.
이 때문에 “되돌아가는 것은 도의 운동이다.”라고 했다.
〈도의〉 부드러움과 약함은 〈다하지 않는〉 도의 쓰임이다.
注
〈도의〉 부드러움과 약함은 〈만물에〉 똑같이 통하니 〈그 쓰임이〉 다할 수 없다.
천하天下의 만물萬物은 유有에서 생겨나고 유有는 무無에서 생겨난다.
注
천하天下의 만물은 모두 유有로 해서 생겨나지만 유가 시작되는 곳에서는 무無를 근본으로 삼는다.
장차 유有를 온전케 하려면 반드시 무無로 되돌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