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使我介然有知하여 行於大道면 唯施是畏라
注
[注]言若使我可介然有知
하여 行大道於天下
면 唯施爲
是畏也
라
注
[注]言大道蕩然正平이어늘 而民猶尙舍之而不由하고 好從邪徑하니 況復施爲以塞大道之中乎리오
53.5 服文綵하고 帶利劍하고 厭飮食호대 財貨有餘면 是謂盜夸로다 非道也哉인저
제53장은 1인칭 시점視點으로 말을 시작한다. 한스 게오르그 묄러(Hans-Georg Moeller)는 여기에 언급된 ‘나’는 저자著者가 아니고, 차라리 독자讀者나 청자聽者가 동일시하리라 생각되는 그 ‘나’를 가리킨다고 보았다.
도는 하나의 평탄한 길이다. 그러나 너무 평탄하기에 그 길을 걷는 사람들을 ‘흥분시킬 만한’ 또 다른 길을 찾게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행동에 옮겨 평탄한 길을 떠나 더욱 고된 길로 가는 것은 성공으로 이끌지 못한다.
제53장의 나머지 부분은 무질서의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명백하게 도에서 벗어난 지배 엘리트는 그 나라의 부富를 거두어들이고, 통치의 의무는 소홀히 한다. 그러한 통치자들은 ‘도적놈’에 비교되고 있다. 그런데 도적놈을 뜻하는 ‘도盜’는 ‘도道’와 발음이 같다. 백성을 착취하는 통치자들의 도道는 도적놈의 도盜이지 진정한 도道가 아니다.
내가 조금이라도 아는 바가 있어 〈천하에〉 큰 도道를 행하게 된다면 오로지 〈자연스러움을 거슬러 하는 것을〉 베풀게 될까 두려울 뿐이다.
注
만약 내가 조금이라도 아는 바가 있어 천하에 큰 도를 행하게 된다면 오로지 그것이 〈자연스러운 본성에 거슬러〉 하는 것을 베풀게 될까 두렵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큰 길은 매우 평탄한데, 백성들은 샛길을 좋아한다.
注
큰 길이 널찍하고 바르며 평평한데 백성들은 오히려 그 길을 버려둔 채 다니지 않고 샛길로 다니기를 좋아하니, 하물며 다시 〈자연스러움을 거슬러〉 하는 일을 베풀어 큰 길의 한가운데를 막음에 있어서랴라고 말한 것이다.
그래서 “큰 길은 매우 평탄한데, 백성들은 샛길을 좋아한다.”고 했다.
注
조朝는 궁궐의 뜻이고, 제除는 깨끗하고 좋다는 뜻이다.
〈농사짓는〉 밭은 〈잡초가〉 무성하고 창고는 텅텅 비며,
注
궁궐 안이 너무 깨끗하면 〈농사짓는〉 밭은 잡초가 무성하고 창고는 텅텅 비게 되니,
〈군주가 궁궐〉 하나를 설치하여 수많은 해로움이 생겼다는 뜻이다.
아름다운 무늬로 꾸민 비단옷을 입고 날카로운 검을 차고 싫증나도록 먹고 마시고도 재산이 남아돈다면 이런 이들을 일컬어 도둑질하여 사치 부리는 놈이라 한다. 〈도둑질한 것이지〉 도道가 아니다!
注
어떤 물건이든 마땅한 도리로 얻은 게 아니면 모두 잘못된 것이요, 잘못된 것은 도둑질한 것이다.
귀한 〈지위는〉 마땅한 도리로 얻은 게 아니면 지위를 훔친 것이니, 훔친 것이라면 사치 부리는 것일 뿐이다.
그래서 도가 아닌 것을 들어 밝혔으니, 도리가 아니라면 모두 도둑질하여 사치 부리는 것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