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 以正治國하고 以奇用兵하니 以無事取天下하니라
注
[注]以道治國
하면 則國平
하고 以正治國
하면 하니 以無事
하면 則能取天下也
라
上章云 其取天下者는 常以無事하니 及其有事하여는 又不足以取天下也라하니라
故以正治國하면 則不足以取天下하여 而以奇用兵也라
夫以道治國은 崇本以息末이요 以正治國은 立辟以攻末이니 本不立而末淺하고 民無所及이라
注
[注]利器는 凡所以利己之器也니 民强則國家弱하니라
注
[注]民多智慧면 則巧僞生하니 巧僞生하면 則邪事起하니라
注
[注]立正欲以息邪
나 而奇兵用
하고 多忌諱欲以
貧者也
나 而民彌貧
하고 利器欲以强國者也
나 而國愈昏
하니
57.5 故
로 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하고 我好靜而民自正
하고 我無事而民自富
하고 이라하니라
제57장은 두 가지 방식의 통치, 즉 어떠한 과업(tasks)도 가지지 않음으로써 천하를 인수하는 ‘무위無爲의 통치(nonactive rulership)’와 사회를 불안케 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유위有爲의 통치(active rulership)’를 대조시키고 있다.
훌륭한 통치는 소박함에 근거한다. 그것은 단순한 방식의 지배로써 지배당하는 사람들에게 단순하지만 만족스러운 삶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제49장과 제55장에서 말하듯 백성들로 하여금 무지無知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어린이나 갓난아기와 같이 되게 한다. 백성들을 우쭐거리게 하지 않고 가혹하게 다루지도 않는다.
군주의 의무란 백성들로 하여금 자연 상태 속에서 어떠한 이기적 욕망 - 물론 식욕食欲과 같이 자연스러운 생리적 욕구는 제외하고 - 도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군주 자신이 무욕無欲의 상태에 있을 때에만, 군주는 오로지 백성들이 그러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군주가 만약 욕망을 내보이게 되면 백성들 또한 마찬가지로 그러한 욕망들을 발전시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만약 군주가 어떤 종류의 지배나 규칙을 도입하게 되면 군주는 사회의 자연스러운 조화와 소박함을 손상시키게 될 것이다. 군주가 사회를 더욱 복잡하게 하면 할수록 질서를 유지하기란 더욱 더 어려워질 것이다. 규칙이 많다고 해서 삶이 더 나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더 많이 다투게 할 뿐이다. “줄일수록 늘어난다.(less is more)”는 것이야말로 도가적道家的 통치술의 핵심이다.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하니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면 천하를 취할 수 있다.
注
도道로 나라를 다스리면 나라가 평안해지고,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면 기병奇兵이 일어나니,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면 천하를 취할 수 있다.
앞의 〈제48장에서〉 말하기를, “천하를 취하는 것은 늘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니, 일삼음이 있게 되면 또한 천하를 취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했다.
그러므로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면 천하를 취하기에 부족하여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한다고 한 것이다.
대저 도道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근본을 받들어 말단을 그치게 하는 것이요,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법을 세워 말단을 다스리는 것이니, 근본이 서지 않으면 말단이 천박해지고 백성들이 미칠 곳이 없다.
그래서 반드시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하는 데에 이르는 것이다.
내가 어떻게 그렇다는 것을 알겠는가? 이 때문이다.
천하에 꺼리고 피해야 할 것이 많으면 백성은 더욱 가난해지고 백성에게 이로운 기물이 많으면 국가는 더욱 혼란해진다.
注
이기利器는 무릇 자신을 이롭게 하는 기물이니 백성이 강하면 국가는 약해진다.
사람에게 지혜가 많아지면 사악한 일이 더욱 일어나고,
注
백성에게 지혜가 많아지면 교묘함과 거짓이 생기니, 교묘함과 거짓이 생기면 사악한 일이 일어난다.
注
바름을 세워 사악함을 없애려 하나 기병奇兵이 사용되고, 꺼리고 피해야 할 것을 많게 해서 가난을 그치게 하려 하나 백성은 더욱 가난해지고, 이로운 기물을 많게 해서 나라를 강하게 하려 하나 나라는 더욱 혼란스럽고 약해진다.
이 모두가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리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상태에 이르른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내가 무위無爲하면 백성이 저절로 교화敎化되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면 백성이 저절로 바르게 되고, 내가 일삼음이 없으면 백성이 저절로 부유해지고, 내가 무욕無欲을 바라면 백성이 저절로 소박해진다.”고 했다.
注
내가 바라는 게 오로지 무욕이면 백성 또한 욕심을 없애고 저절로 소박해진다.
이 네 가지는 근본을 숭상하여 말단을 그치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