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言善治政者
는 無形無名無事
하고 無
可擧
하여 悶悶然
한대 卒至於大治
라
故曰 其政悶悶也라하니라 其民이 無所爭競하고 寬大淳淳이라 故曰 其民淳淳也라하니라
注
[注]立刑名
하고 明賞罰
하여 以檢姦僞
라 故曰
察察也
라하고
殊類分析하니 民懷爭競이라 故曰 其民缺缺이라하니라
58.3 禍兮여 福之所倚로다 福兮여 禍之所伏이로다
注
[注]言誰知善治之極乎
리오 唯無
擧
하고 無(可形)[形可]名
하여 悶悶然
하면 而天下大化
하니 是其極也
라
注
[注]以正治國이면 則便復以奇用兵矣라 故曰 正復爲奇하니라
注
[注]言人之迷惑失道固久矣니 不可便正善治以責이라
注
[注]以方導物하여 令去其邪하되 不以方割物이니 所謂大方無隅라하니라
注
以淸廉淸民
하여 令去其汙
하되 不以淸廉劌傷於物也
라
注
[注]以直導物
하여 令去其僻
하되 而不以直激
於物也
니 所謂
直若屈也
라
注
[注]以光鑑其所以迷하되 不以光照求其隱慝也니 所謂明道若昧也라
제58장의 첫째 부분은 제57장의 둘째 부분과 연결된다. 훌륭한 통치자는 앞에 나서지 않고서도 다스린다. 그는 가만히 숨어 있듯 하면서 어떠한 명령도 제한도 가하지 않는다. 만약 그의 통치가 소박함을 지키면 백성들 또한 자연스럽게 소박하고 만족스러운 삶에 이르게 될 것이다. 만약 통치자가 어떤 행동을 취하게 되면 백성들 또한 음모를 꾸미고 다투게 될 것이다.
《노자》는 확실히 모든 사람들의 정치 참여를 권장하는 시민사회市民社會(a civil society)를 주창하지 않는다. 최선의 통치는 백성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고 또한 정권에 참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제도를 만드는 그런 것과는 무관하다. 《노자》에서 훌륭한 통치란 은밀하고 ‘자동적으로’ 작동한다. 백성들은 자신들이 다스림을 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고, 또한 스스로 통치에 참여해야겠다는 욕구를 느끼지 못한다.
둘째 부분은 하나의 금언禁言에서 시작한다. 행운과 불운은 상호의존적이다. 《노자》는 천지天地의 운행運行과 사회적 삶을 길흉吉凶이 수반되는 사건(a rhythm of fortunate and unfortunate events)의 리듬으로 묘사한다. 사물의 진행은 하나의 상황에서 그 다음 상황으로 변화하면서 나아가며, 오늘 행운이라 여겨지는 것, 예를 들어 로또 당첨과 같은 것이 다음날에는 불운으로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당신이 돈을 주고 산 차로 사고가 났을 때가 그렇다. 행운과 불운이란 단지 순간적인 인간의 평가일 뿐이며 하나의 특수한 관점에서 의존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전혀 고정된 범주가 아니다.
〈군주의〉 정사가 어리숙하면 백성의 〈삶이〉 순박하고,
注
정사를 잘 다스리는 사람은 형체도 없고 이름도 없고 일삼음도 없고 열거할 만한 정책도 없어 어리숙한데 어느새 큰 다스림에 이르렀다.
그래서 “〈군주의〉 정사가 어리숙하다.”고 했다. 〈또 그가 다스리는〉 백성이 싸우고 다투는 일이 없이 너그럽고 순박하다. 그래서 “백성의 〈삶이〉 순박하다.”고 했다.
〈군주의〉 정사가 깐깐하게 살피면 백성의 〈삶이〉 퍽퍽하다.
注
법률[형명刑名]을 세우고 상벌賞罰의 〈조목을〉 밝혀 간사하고 거짓된 행동을 단속하기 때문에 “〈군주의〉 정사가 깐깐하게 살핀다.”고 했다.
부류에 따라 나누고 쪼개니 백성이 싸우고 다투려는 마음을 품기 때문에 “백성의 〈삶이〉 퍽퍽하다.”고 했다.
재앙이여! 복이 거기에 기대어 있도다. 복이여! 재앙이 거기에 숨어 있도다.
누가 그 〈선정善政의〉 극치를 알겠는가? 〈선정善政의 극치를 아는 자는〉 아마도 바름을 세우는 일이 없을 것이다.
注
‘누가 훌륭한 다스림의 극치를 알겠는가? 오직 열거할 만한 바름도 없고 이름 지을 만한 형체도 없이 어리숙하면 천하가 크게 교화되니, 이것이 〈다스림의〉 극치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注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면 결국 다시 기이한 계책으로 군대를 운용하게 된다. 그래서 “바름은 다시 기이함이 된다.”고 했다.
注
선善이라는 〈기준을〉 세워 만물을 이롭게 하면 결국 다시 요사스럽게 아첨하는 우환이 있게 된다.
注
사람이 미혹되어 도를 잃은 지 진실로 오래되었으니, 곧 선치善治로 바르게 되기를 책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모남으로 〈만물을〉 해치지 않고,
注
모남으로 만물을 인도하여 사악한 것을 제거하게 하되 그 모남으로 만물을 해치지 않으니, 이른바 〈경經41.11에서 말하였듯〉 ‘크게 모난 것은 모서리가 없다.’라는 것이다.
注
염廉은 ‘청렴하다’는 뜻이고, 귀劌는 ‘상하게 하다’는 뜻이다.
청렴함으로 백성을 깨끗하게 하여 그 더러움을 없애게 하되 그 청렴함으로 만물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곧게 하되 〈다른 사람에게〉 뻗대지 아니하며,
注
곧음으로 만물을 인도하여 편벽됨을 없애게 하되 곧음으로 만물을 쳐서 다치게 하지 않으니, 이른바 〈경經45.3에서 말하였듯이〉 ‘크게 곧은 것은 구부러진 듯하다.’는 것이다.
注
빛으로 그 미혹된 까닭을 비추되 그 빛으로 깊이 숨겨져 있는 것까지 비추지 않으니, 이른바 〈경經31.3에서 말하였듯이〉 ‘밝은 도는 어두운 듯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두 근본을 받들어 말단을 그치게 하자는 것이고, 다스리지 않고도 돌아가게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