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북송(北宋) 경력(慶曆) 원년(1041)년에 왕요신(王堯臣)(1003~1058), 구양수(歐陽脩) 등이 왕명을 받아 사관(四館)에 소장된 장서 3,445부 30,699권의 서적의 현황과 개요를 수록하고 있는 책으로, 송대의 첫 번째의 관수서목(官修書目)이자 북송 최대 규모의 목록집.

2. 저자

(1) 성명:왕요신(王堯臣)(1003~1058)
(2) 字·別號:왕요신은 자(字)는 백용(伯庸), 시호(諡號)는 문안(文安)
(3) 출생지역:응천부(應天府) 우성(虞城)(현 하남성(河南省) 상구(商丘))
(4) 주요활동과 생애
송 인종(仁宗) 천성(天聖) 5년(1027)에 장원에 급제하여, 감승(監丞), 통판호주(通判湖州), 광주지사(光州知事)가 되었다. 경우(景祐) 4년(1037)에 지제고(知制誥)가 되었고, 한림학사(翰林學士) 지심관원(知審官院), 섬서체양안무사(陝西體量安撫使) 등을 역임했다. 1045년(경력(慶曆) 5)에는 편수관이 되어 《당서(唐書)》를 중수하기도 하였다.
(5) 주요저작:《숭문총목(崇文總目)》 외에 별도의 문집이 있으나 전해지지 않음.

3. 서지사항

5대10국의 분열을 끝내고 통일왕조를 수립한 송대에는 다양한 개혁과 문화정책을 실행하여 정치, 경제, 과학, 문화 등 제 방면에서 큰 발전을 이룩했다. 이 시기 목판인쇄술이 발명되어 서적의 유통이 대대적으로 추진되면서 목록학이 번영하였고 이미 성숙의 단계에 접어들었다.
진종(眞宗) 대중상부(大中祥符) 8년(1015)에 왕궁에 난 불로 인하여 숭문원(崇文院)과 비각(秘閣) 소장 장서가 모두 불에 타게 되었다. 이에 왕흠약(王欽若)에게 명하여 관각의 서적을 초사(抄寫)하고 교감하게 하였다. 인종(仁宗) 천성(天聖) 9년(1031)에는 숭문원을 신축하고서 서리를 추가로 모집하여 하여 도서를 필사하여 보완하도록 하였다. 이어 1034년((景祐) 원년)에는 한림학사 장관(張觀), 이숙(李淑), 송기(宋祁) 등에게 삼관(三館)(소문관(昭文館)・사관(史館)・집현원(集賢院))과 비각(秘閣)에 소장되어 있던 장서를 교정하고 정리하여 서목을 편찬하게 하였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곧이어 한림학사 왕요신, 사관검토(史館檢討) 왕수(王洙), 관각교감(館閣校勘) 구양수(歐陽脩) 등에게 조서를 내려 책의 존폐를 결정하고, 오류와 중복된 부분을 삭제하고 누락된 것을 보완하게 하는 등 조목을 교정하고 편차를 토론하게 했다. 당대(唐代)의 《개원군서사부록(開元群書四部錄)》을 모방하여 서목을 편집하고 배열하였다. 7년간 지속된 이 사업은 1041년(경력 원년)에 완성하였는데, 이 책을 왕요신이 상주(上奏)하자 황제가 《숭문총목》이라는 이름을 내려주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송대의 첫 번째 관수목록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목인 《숭문총목》은 왕명에 의해 편찬되었다.
《숭문총목》은 목록 66권과 서록(序錄) 2권으로 편찬되었으며, 그 안에 경・사・자・집의 사부(四部) 45류(類) 30,699권이 수록되어 있다. 당시 편찬된 《숭문총목》 68권본은 원대(元代) 이후에 실전하였고, 현존하는 판본은 청(淸) 가경(嘉慶) 시기에 전동원(錢東垣) 등이 편집한 5권만이 전해지고 있다.
현재 통행되는 판본으로는 천일각이 송판(宋版)을 명초에 필사한 1권본 소흥개정본(紹興改定本), 청 건륭연간에 사고관의 신하가 집석한 12권본, 가경(嘉慶)연간(1796-1819)에 전동원 등이 편집한 《숭문총목집석(崇文總目輯釋)》 5권본이 있다.

4. 내용

《숭문총목집석》에 따라 분류체계를 살펴보면, 경사자집(經史子集)의 4부(部)로 구성되어 있다. 경부는 역(易), 서(書), 시(詩), 예(禮), 악(樂), 춘추(春秋), 효경(孝經), 논어(論語), 소학(小學) 등 9류, 사부는 정사(正史), 편년(編年), 실록(實錄), 잡사(雜史), 위사(僞史), 직관(職官), 의주(儀注), 형법(刑法), 지리(地理), 씨족(氏族), 세시(歲時), 전기(傳記), 목록(目錄) 등 13류, 자부는 유가(儒家), 도가(道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묵가(墨家), 종횡가(縱橫家), 잡가(雜家), 농가(農家), 소설(小說), 병가(兵家), 유서(類書), 산술(算術), 예술(藝術), 의서(醫書), 복서(卜筮), 천문점서(天文占書), 역수(曆數), 오행(五行), 도서(道書), 석서(釋書) 등 20류, 집부는 총집(總集), 별집(別集), 문사(文史) 등 3류로 구성된다. 각 유(類)마다 소서(小序)가 있고, 각 책마다 해제를 수록하고 있다.

5. 가치와 영향

이 책은 왕요신과 구양수 등이 전인(前人)의 성과를 총결하고 계승하여 당시 관각에 소장된 전적을 분류하고 저술했을 뿐만 아니라, 각 학술 유파가 발전해온 상황을 분류하고 서술함으로써 당시의 학술 상황과 과학 문화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이러한 소서와 해제의 편찬방식은 해당 서적의 학술적 가치를 매우 높여줄 뿐만 아니라, 책의 분류 원칙과 저술 방법은 후대 도서의 분류와 저술 방법에 있어서도 귀감을 제공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간행한 기록은 없으나,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 책을 인용한 서적으로 1477년(성종 8)에 간행한 관찬의서인 《의방유취(醫方類聚)》, 15세기 역산학의 대가인 이순지(李純之)가 저술한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 등을 들 수 있다. 이후 18세기~20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다산 정약용의 《다산시문집》, 이규경(李圭景)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한치윤(韓致奫)(1765~1814)의 《해동역사(海東繹史)》, 황경원(黃景源)(1709~1787)의 《강한집(江漢集)》, 서형수(徐瀅修)(1749~1824)의 《명고전집(明皐全集)》, 김종정(金鍾正)(1722~1787)의 《운계만고(雲溪漫稿)》, 유장원(柳長源)(1724~1796)의 상변통고(常變通攷),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허훈(許薰)(1836~1907)의 《방산선생문집(舫山先生文集)》을 통해 전거문헌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숭문총목》은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에서 인용한 주요 전거문헌으로서 《문헌통고》를 통해 이 책의 내용이 전해지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사례로 이단상(李端相)(1628~1669)의 정관재집(靜觀齋集), 성해응(成海應)(1760~1839)의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인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틀림없이 장서가의 보배로운 원천이요 문장가의 아름다운 전포(田圃)(산지(産地))가 될 것이다.[固不失爲册府之驪淵 藝林之玉圃]” 《사고전서총목(四庫全書總目)》
• “목록저술이 원류를 참고하고 학술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매우 큰 역할을 하였다.[展示了目录著作在 ‘辨章学术, 考镜源流’上的巨大作用]” 〈《崇文总目》版本源流考及小序辨〉
• “《숭문총목》의 소서(小序)는 종종 매우 간결한 문자로 학술의 원류를 서술하였고, 도서의 분류 연혁과 유목(類目)의 성격‧내용‧변천과 사회적 의의 등을 소개하여 독자들이 하나의 학파와 하나의 학문분야가 형성에서 발전 및 후대에 끼친 영향 등에 이르는 일련의 문제에 대한 분명한 실마리를 그려놓았다.[《崇文总目》的小序往往以极简炼的文字叙述学术源流, 介绍图书的分类沿革及类目的性质‧内容‧发展流变和社会意义等, 为读者勾勒出了一个学派‧一门学科由形成到发展及对后世的影响等一系列问题的清晰线索]” 〈《崇文总目》版本源流考及小序辨〉
(2) 색인어:숭문총록(崇文總目), 구양수, 왕요신, 목록학(目錄學), 관수서목(官修書目)
(3) 참고문헌
• 崇文总目(藝文印書館, 1937)
• 《崇文总目》版本源流考及小序辨(李彩霞, 《河南图书馆学刊》 24, 2004)
• 중국의 관수목록에 대하여(강순애, 《서지학연구》 10, 1994)
• 《崇文总目》类序价值考辨(李建军, 《图书馆理论与实践》, 2008)

【김소희】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