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본서는 송대(宋代)의 저명한 유학자이자 사상가인 주희(朱熹)의 저술로서 《사서혹문(四書或問)》 가운데 하나이다. 문헌의 성격상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닌다.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대학(大學)》의 경문(經文)과 전문(傳文)에 대한 문헌적, 해석적 논의를 담고 있다.

2. 저자

(1) 성명:주희(朱熹)(1130~1200)
(2) 자(字)·별호(別號):자(字)는 원회(元晦), 중회(仲晦), 호(號)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산인(雲谷山人), 창주병수(滄洲病叟), 둔옹(遯翁) 등
(3) 출생지역:복건성(福建省) 우계(尤溪)
(4) 주요활동과 생애
주희는 송대 신유학의 집대성(集大成)을 이룬 철학자이자 사상가이다. 남송(南宋) 초에 태어나 관료이자 교육자로서 평생을 헌신했다. 14세 때 아버지 주송(朱松)을 여윈 후 아버지의 친구인 호헌(胡憲), 유면지(劉勉之), 유자휘(劉子翬)의 가르침을 받았다. 19세에 과거에 급제했으며, 24세 때 처음 이통(李侗)을 대면하면서 유학에 더욱 침잠하게 되었고, 특히 이정(二程) 이래 양시(楊時), 나종언(羅從彦), 이통으로 전수된 이른바 도남학(道南學) 계열의 학문을 접했다. 1163년 이통이 세상을 떠난 뒤 장식(張栻)과 밀접하게 교유하면서 도남학에서 벗어나 이정에서 사량좌(謝良佐)를 거쳐 호굉(胡宏)으로 이어진 이른바 호남학(湖南學) 계열의 학문에 경도되었다. 이후 중화구설(中和舊說)을 건립했지만 재차 도남학과 호남학을 종합한 이른바 중화신설(中和新說) 체계를 확립하여 학문적, 사상적 종지를 세웠다.
주희는 관료로서도 다양한 업적을 쌓았지만, 생애의 많은 시간을 서원(書院)을 짓고 강학(講學)에 헌신하는 등 연구와 저술에 종사했다. 예컨대 여조겸(呂祖謙)과 함께 《근사록》을 편찬하여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의 학문을 정리, 종합했으며, 《사서집주(四書集註)》를 편찬하여 경학(經學) 체제의 혁신을 이루었다. 또한 이기(理氣), 심성(心性), 격물궁리(格物窮理), 주경함양(主敬涵養) 등의 개념을 통해 본체론, 심성론, 공부론을 아우르는 방대한 성리학(性理學) 이론을 완성했다. 이밖에 공맹(孔孟) 이래의 도통(道統)의 성격을 둘러싸고 육구연(陸九淵), 진량(陳亮) 등과 학술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경원(慶元) 6년(1200) 71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5) 주요저작
그의 저술로는 《사서집주(四書集註)》를 비롯하여 《주자문집(朱子文集)》, 《주역본의(周易本義)》, 《시집전(詩集傳)》, 《태극도설해(太極圖說解)》, 《통서해(通書解)》, 《서명해(西銘解)》, 《사서혹문(四書或問)》 등이 있다. 한편 여정덕(黎靖德)은 주희의 어록을 종합하여 《주자어류(朱子語類)》를 편찬했다.

3. 서지사항

《대학》 경전(經傳)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문답 형식으로 해설한 책이다. 상하(上下) 두 권(卷) 체제이다. 순희(淳熙) 4년(1177) 무렵에 《논어혹문(論語或問)》, 《맹자혹문(孟子或問)》, 《중용혹문(中庸或問)》 등과 함께 편찬했다. 《주자문집》의 내용을 참고할 때, 늦어도 순희 6년(1179) 이전에 초고가 확정되었으며, 그 이후로도 꾸준히 내용을 교정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판본은 중국 상해도서관(上海圖書館)에 소장된 원극문백송서장(袁克文百宋書藏) 《사서장구집주》에 부록으로 첨부된 《대학혹문》이다. 이것은 원대(元代)에 간행된 판본으로서, 명대 이후에 간행된 《대학혹문》은 대체로 이 판본과 내용이 동일하다.
각 항목의 구성을 보면 혹문(或問) 두 글자 아래에 질문이 나오고, 각 질문에 대한 대답이 이어진다. 주희는 생전에 《대학혹문》을 비롯한 《사서혹문》을 정식으로 출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문인(門人)이나 민간의 서적상(書籍商)에 의해 널리 열람, 유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내용

주희는 순희(淳熙) 4년(1177)에 《사서집주(四書集註)》 완성하고 서문을 지었다. 이로써 《논어집주(論語集註)》, 《맹자집주(孟子集註)》, 《대학장구(大學章句)》, 《중용장구(中庸章句)》를 근간으로 한 주희의 사서학(四書學) 체계가 완비되었으며, 주희는 이후에도 끊임없이 이들 저술을 수정, 보완하였다. 예컨대 《대학장구》와 《중용장구》의 서문이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은 순희 16년(1189)의 일이다. 한편 주희는 《사서집주》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사서혹문(四書或問)》을 저술했으며, 《대학혹문(大學或問)》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한편, 《대학장구》가 《대학》에 대한 표준적인 주석서 역할을 한다면 《대학혹문》은 문답식 구성을 통하여 보다 자유롭게 세부적인 문제나 이론적 고찰에 집중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예컨대 《대학》의 경(經)과 전(傳)의 분장(分章)과 구조에 대한 설명,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에 대한 해설, 격물치지(格物致知) 해석을 둘러싼 논쟁, 이정(二程), 사마광(司馬光) 등의 《대학》 해석에 대한 평가, 심성정(心性情)의 관계와 기능에 대한 논의 등 《대학》을 실마리로 성리학적 개념과 이론에 대한 주희의 논쟁과 성찰을 담고 있다.

5. 가치와 영향

《대학장구》는 주희의 사서학(四書學) 체계 중에서 입두처(入頭處) 역할을 하며, 《대학혹문》은 《대학장구》와 함께 《대학》에 대한 주희의 관점과 해석을 일별할 수 있는 핵심 저술이다. 특히 문답 형식을 통해 보다 직접적이고 논리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장구》의 논점과 내용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6. 참고사항

(1) 명언
‧ “학문의 대소는 참으로 다른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도가 되는 점은 한 가지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어렸을 때에는 《소학(小學)》을 학습하지 않으면 그 방심(放心)을 거두어들여 덕성(德性)을 함양해 《대학》의 기본으로 삼을 것이 없을 것입니다. 또 그가 성장한 뒤에 《대학》을 배우지 않으면 의리를 살펴 사업에 조처하여 《소학》의 성공을 거두어들일 수 없을 것입니다. 이것이 학문의 대소가 같지 않은 까닭입니다.[學之大小 固有不同 然其爲道則一而已 是以方其幼也 不習之於小學 則無以收其放心 養其德性 而爲大學之基本 及其長也 不進之於大學 則無以察夫義理 措諸事業 而收小學之成功 是則學之大小所以不同]” 〈篇題에 관한 논의〉
‧ “먼저 지선(至善)의 소재를 아는 바가 있지 않으면, 마땅히 그칠 바를 얻어서 거기에 머무는 것이 있을 수 없습니다. 예컨대 활을 쏘는 자는 진실로 정곡(正鵠)을 맞히고자 합니다. 그러나 먼저 정곡의 소재를 알지 않는다면 마땅히 적중할 목표를 얻어서 그곳에 적중하는 바가 있을 수 없습니다. 지지(知止)라고 말한 것은 격물치지하여 천하의 일에 대해 모두 지선의 소재를 앎이 있는 것입니다.[非先有以知夫至善之所在 則不能有以得其所當止者而止之 如射者固欲其中夫正鵠 然不先有以知其正鵠之所在 則不能有以得其所當中者而中之也 知止云者 物格知至 而於天下之事 皆有以知其至善之所在]” 〈經一章에 대한 논의〉
‧ “군자에게는 혈구지도(絜矩之道)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능히 자기의 호오(好惡)로써 백성들의 호오를 알며, 또 능히 백성들의 호오로써 자기의 호오를 삼습니다. 그들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여 그들을 위해 그것을 모으며, 그들이 싫어하는 것을 싫어하여 그것을 베풀지 않으면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참으로 부모가 자기 자식을 사랑하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그러면 저 백성들이 자기 윗사람을 친애하는 것이 어찌 자식이 자기 부모를 친애하는 것과 같지 않겠습니까.[君子有絜矩之道 故能以己之好惡知民之好惡 又能以民之好惡爲己之好惡也 夫好其所好而與之聚之 惡其所惡而不以施焉 則上之愛下 眞猶父母之愛其子矣 彼民之親其上 豈不亦猶子之愛其父母哉]” 〈傳十章에 관한 논의〉
(2) 색인어:주희(朱熹), 대학혹문(大學或問), 대학장구(大學章句), 사서혹문(四書或問), 사서집주(四書集註)
(3) 참고문헌
‧ 朱子全書(朱傑人 等 主編, 上海古籍出版社)
‧ 朱子大傳(束景南, 福建敎育出版社)
‧ 大學(주희 지음, 최석기 옮김, 한길사)
‧ 조선시대에 간행된 漢文本 大學의 諸板本에 관한 연구(송일기, 안현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권2호, 2005)
‧ 今本大學或問考略(孫逸超, 中國哲學史, 2019年5期)

【임헌규】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