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본서는 한의학 이론의 고전인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총 81가지 중요한 난제들을 모아서 문답체(問答體)의 형태로 구성한 책이다. 원래 서명은 《황제팔십일난경(黃帝八十一難經)》인데 이를 줄여 《난경(難經)》 또는 《팔십일난경(八十一難經)》이라 한다. 전국시대(戰國時代)의 편작(扁鵲)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철저한 오행학설(五行學說)에 기반한 책의 내용으로 볼 때 한대(漢代) 이전의 책으로 생각할 수는 없고, 후대의 저작(著作)을 편작의 이름에 가탁(假託)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서가 편작에 가탁된 이유는 사마천(司馬遷)이 《사기(史記)》에서 “지금 천하에서 맥을 말하는 자는 모두 편작에서 유래하였다.[至今天下言脈者 由扁鵲也]”라고 평(評)한 것과 같이, 진단에서 맥을 중요시하는 학파의 저술이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2. 저자
(1)성명:진완(秦緩)(?~B.C. 311)
(2)자(字)·별호(別號):자는 월인(越人), 후대에 편작(扁鵲)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짐.
(3)출생지역:제(齊)나라 여읍(廬邑)(현 산동성(山東省) 장청현(長淸縣)) 또는 발해군(渤海郡) 막읍(鄚邑)(현 하북성(河北省) 임구시(任丘市)).
(4)주요활동과 생애
편작의 일생에 관한 사료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에 수록되어 있다. 그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일화는 장상군(長桑君)을 만나서 비술(祕術)을 전수받고 담장 너머와 사람의 몸을 꿰뚫어볼 수 있게 된 것과, 진(晉)나라 조앙(趙鞅)의 병을 치료하여 4만 무(畝)의 전답을 받은 것, 죽은 줄 알았던 괵(虢)나라의 태자를 침약(鍼藥)으로 소생시킨 것, 제 환공(齊桓公)에게 피부에 병이 있다고 하였으나 환공이 듣지 않자 5일이 지나 병이 골수(骨髓)에 들어가서 편작을 찾으니 이미 자취를 감추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이러한 일들로 편작의 이름이 천하에 유명해졌으며, 진(秦)나라에 갔다가 태의령(太醫令)인 이혜(李醯)의 시기로 자객에게 암살당했다.
편작이 치료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 중에서 조앙은 B.C. 475년, 제 환공은 강씨(姜氏)(강소백(姜小白))라면 B.C. 643년 또는 전씨(田氏)(전오(田午))라면 B.C. 355년에 사망하였으며, 괵나라는 B.C. 655년에 멸망하였다. 이와 같이 생존 시기가 일정하게 맞지 않는 상황으로 볼 때 《사기》에 기록된 편작의 이야기들은 여러 사람의 이야기가 섞인 것으로 추측된다.
(5)주요저작:《난경(難經)》, 《편작심서(扁鵲心書)》 등이 알려져 있으나, 후대의 가탁으로 판단하고 있다.
3. 서지사항
《황제팔십일난경(黃帝八十一難經)》이란 중국 고대의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인 황제(黃帝)의 이름을 빌린 《황제내경(黃帝內經)》의 81가지 의심되고 어려운 문제[疑難題]에 대해서 해설한 책이라는 의미이다. 본서의 성립 연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술적 이론(異論)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책의 내용으로 살펴볼 때 《황제내경》과 《상한론(傷寒論)》의 사이로 생각되고 있다.
삼국(三國) 중 오(吳)나라의 태의(太醫)인 여광(呂廣)이 최초로 《난경주해(難經注解)》를 저술했으나 현재 전해지지는 않고, 금대(金代) 기천석(紀天錫)의 《집주난경(集注難經)》(1175)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이후 송대(宋代)에서 청말(淸沫), 민국초(民國初)까지 대략 142종의 《난경》 해설서가 저술되었으며, 그중에서 원대(元代) 활수(滑壽)의 《난경본의(難經本義)》와 명대(明代) 장세현(張世賢)의 《도주팔십일난경(圖註八十一難經)》, 청대(淸代) 섭림(葉霖)의 《난경정의(難經正義)》가 가장 유명하다. 우리나라에는 고려(高麗) 문종(文宗) 13년(1059)에 수입된 기록이 있으며, 조선(朝鮮) 세종(世宗) 12년(1430)에 정한 의학 취재(取才)의 교재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
4. 내용
본서는 1난(難)에서 81난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에 따라서 분류하자면 1난에서 21난까지는 맥학(脈學)과 관련된 내용이고, 22난에서 29난까지는 경락학설(經絡學說), 30난에서 47난까지는 장상이론(臟象理論), 48난에서 61난까지는 질병학(疾病學), 62난에서 68난까지는 수혈(腧穴)과 관련된 이론, 69난에서 81난까지는 침법(鍼法)과 관련된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은 한의학의 중요한 이론 중 생리학(生理學), 병리학(病理學), 진단학(診斷學), 경락학(經絡學) 및 치료이론(治療理論) 등 다양한 방면을 포괄하고 있다.
내용 중에서 “신장 사이의 움직이는 기운[腎間動氣]”으로 표현되는 원기(原氣)의 개념은 명문(命門), 삼초(三焦) 이론과 함께 한의학에서 생명의 본질로 생각하는 기(氣)의 인체에서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황제내경》의 삼부구후(三部九候)와 같은 복잡한 진맥 방법을 간략화시킨 “홀로 촌구를 취한다[獨取寸口]”나 “맥과 증을 함께 살펴야 한다[脈證合參]”는 이론은 후대 맥학의 표준이 되었다. 경락학설에서는 기경팔맥(奇經八脈)을 체계화시켜서 《황제내경》의 부족함을 보충하였다. 특히 《난경》은 철저하게 오행의 생극제화(生克制化)라는 측면에서 모든 생리, 병리, 진단 및 치료의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5. 가치와 영향
본서는 《황제내경》의 이론적인 기초 위에 출발하여 오행학설의 의학적 적용을 더욱 발전시킨 책으로, 한의학의 4대 경전(經典)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그 내용 중에서도 맥진(脈診)을 할 때 손목 부위인 촌구(寸口)만으로 충분하다는 “독취촌구(獨取寸口)”의 이론이나, 장부경락 학설 중에서 명문(命門), 삼초(三焦), 신간동기(腎間動氣), 기경팔맥(奇經八脈) 등의 이론은 후세 한의학의 이론적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오행의 상생상극(上生相克) 이론을 이용한 침의 보사(補瀉)와 관련된 이론은 우리나라의 특유한 사암침법(舍岩鍼法)의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다.
6. 참고사항
(1)명언
• “열두 경맥에 모두 맥이 뛰는 곳이 있지만, 홀로 촌구를 취하는 것은 오장육부의 죽고 사는 것과 길하고 흉한 것을 결정하는 법이기 때문이다.[十二經脈皆有脈動 獨取寸口 以決五臟六腑四生吉凶之法]” 〈1난(一難)〉
• “명문이란 모든 신과 정이 깃드는 곳으로 원기가 그곳에 달려 있으며, 남자는 이로써 정을 갈무리하고 여자는 이로써 자궁이 매달릴 수 있다.[命門者 諸神精之所舍 元氣之所系也 男子以藏精 女子以系胞]” 〈36난(三十六難)〉
• “허하면 그 어미를 보태고, 실하면 그 아들을 덜어낸다.[虛則補其母 實則瀉其子]” 〈69난(六十九難)〉
(2)색인어:난경(難經), 편작(扁鵲), 맥학(脈學), 오행(五行), 침법(鍼法), 보사(補瀉).
(3)참고문헌
• 난경입문(難經入門)(최승훈, 법인문화사)
• 難經校注(凌耀星, 中醫古籍出版社)
• 難經の硏究(本間詳白, 医道の日本社)
• 난경연구집성(難經硏究集成)(윤창열, 김용진, 주민출판사)
• 圖注八十一難經釋(王樹權, 中国中医药出版社)
【하기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