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학연의(大學衍義)》는 《대학(大學)》을 제왕학의 기본 교과서로 상정하고, 그 뜻을 부연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과 여러 경전의 말들을 보충하여 만든 책이다. 진덕수는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에 의거하여 여러 경전과 역사서들의 관련 내용들을 모아 편집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였다. 역대 군주들의 정치지침서로 활용도가 높았다.
2. 저자
(1)성명:진덕수(眞德秀)(1178~1235)
(2)자(字)·별호(別號):자는 경원(景元) 또는 희원(希元), 호는 서산(西山)이다.
(3)출생지역:건주(建州) 포성(浦城)(현 복건성(福建省) 안도(安道))
(4)주요활동과 생애
진덕수는 남송 때 학자로 주희의 문인 첨체인(詹體仁)에게 배웠다. 당대에 위료옹(魏了翁)과 병칭되었다. 1199년 진사가 되었고, 1205년에 현직 관료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합격했다. 호부상서(戶部尙書)·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大學》을 숭상하였으며 정주리학(程朱理學)의 ‘궁리지경(窮理持敬)’의 인식방법과 함양공부를 계승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학자들은 서산선생(西山先生)이라고 불렀다. 당시 주자와 그 문도의 학문이 위학(僞學)으로 배척당하던 상황에서 진덕수는 주자와 주자학파를 옹호하는 장문의 상소를 올리는 한편 정주리학(程朱理學)을 발전시키는 데 힘썼다.
(5)주요저작:《사서집편(四書集編)》, 《삼례고(三禮考)》, 《대학연의(大學衍義)》, 《서산독서기(西山讀書記)》, 《서산문집(西山文集)》, 《심경(心經)》, 《정경(政經)》, 《문장정종(文章正宗)》 등이 있다.
3. 서지사항
《대학연의(大學衍義)》는 진덕수의 저작인 《서산독서기(西山讀書記)》의 일부분이다. 총 4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의 경서(經書)와 《춘추(春秋)》, 《국어(國語)》,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등 다양한 사서(史書)의 내용이 망라되어 있다.
중국에서 통행된 《대학연의》의 대표적인 판본으로는 명대의 홍치각본(弘治刻本)과 가정(嘉靖) 6년의 내부각본(內府刻本)‚ 청(淸) 건륭(乾隆) 4년의 윤회일각본(尹會一刻本)과 함풍(咸豐) 6年의 무영전각본(武英殿刻本) 등이 있다.
4. 내용
《대학연의(大學衍義)》의 체계를 살펴보면, 〈제왕위치지서(帝王爲治之序)〉와 〈제왕위학지본(帝王爲學之本)〉이 처음에 제시되고, 다음으로 〈격물치지지요(格物致知之要)〉, 〈성의정심지요(誠意正心之要)〉, 〈수신지요(修身之要)〉, 〈제가지요(齊家之要)〉의 4대강(四大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4대강은 세부적인 항목으로 다시 분류된다. 〈격물치지지요〉는 ‘명도술(明道術)’, ‘변인재(辨人材)’, ‘심치체(審治體)’, ‘찰민정(察民情)’의 네 가지 항목으로, 〈성의정심지요〉는 ‘숭경외(崇敬畏)’, ‘계일욕(戒逸欲)’의 두 가지 항목으로, 〈수신지요〉는 ‘근언행(謹言行)’, ‘정위의(正威儀)’의 두 가지 항목으로, 〈제가지요〉는 ‘중비필(重妃匹)’, ‘엄내치(嚴內治)’, ‘정국본(定國本)’, ‘교척속(敎戚屬)’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뉘어 부연 설명되었다.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의 내용이 따로 들어가지 않은 이유는 4대강이 실천된다면 치국과 평천하는 저절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진덕수는 “일신(一身)에 근본한 것이 체(體)요 천하(天下)에 미치는 것이 용(用)”이라고 하여‚ 대학지도(大學之道)를 체용(體用)의 관점에서 보았으며‚ 그에 따라 격물치지(格物致知)‚ 성의정심(誠意正心)‚ 수신(修身)을 체(體)로 삼고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를 용(用)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궁리지경(窮理持敬)’을 ‘정심수신(正心修身)’의 근본으로 보면서 이를 통해 ‘물욕(物欲)이 다 없어져서 의리(義理)에 순일(純一)하게 되는’ 경지를 추구함으로써 이학(理學)의 정치적 적용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각 조마다 《상서(尙書)》‚ 《시경(詩經)》‚ 《주역(周易)》 등의 경전에 담긴 성인(聖人)들의 법도와 자사(子思)‚ 맹자(孟子)‚ 순황(荀況)‚ 동중서(董仲舒)‚ 양웅(揚雄)‚ 주돈이(周敦頤) 등 현인(賢人)들의 밝은 교훈과 전고(前古)의 사적(史蹟)을 참고해서 귀감이 되도록 만들었다.
5. 가치와 영향
당대(唐代)의 대표적인 제왕학의 교과서는 《서경(書經)》과 당(唐) 태종(太宗)의 《정관정요(貞觀政要)》였다. 이는 송대(宋代) 초기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찬하고, 이정(二程) 형제에 의해 《대학(大學)》이 독립된 책으로 격상되며 《대학》과 《자치통감》이 점차 군왕의 정치지침서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주희가 《대학장구》와 《자치통감강목》을 저술한 이후 두 책의 위상은 더 공고해졌으며, 이후 진덕수에 의해 《대학연의》의 형태로 통합된다.
《송사(宋史)》에 의하면 1234년 진덕수가 호부상서(戶部尙書)가 되었을 때 이종(理宗)에게 바쳤고‚ 1264년에 경연(經筵)에서 진강(進講)한 뒤 제왕학 교과서로 채택되었다고 한다. 원대(元代)·명대(明代)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 이어졌다. 명대(明代)에는 《대학연의》의 내용을 보강한 구준(丘濬)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가 저술되었는데, 이 책은 《대학연의(大學衍義)》에 포함되지 않은 송대의 사적(史蹟)과 〈치국평천하지요(治國平天下之要)〉가 보충된 것이다.
고려 전기에는 주로 《정관정요(貞觀政要)》나 《서경(書經)》이 국왕의 정치지침서로 쓰였다. 그러나 고려 말, 윤택(尹澤), 윤소종(尹紹宗) 등이 건의한 이래로 《대학연의》가 중요하게 읽혔다. 이후 조선시대 군왕들에게 특히 사랑을 받았고, 서연(書筵)이나 경연(經筵)에서 중점적으로 강독이 이루어졌다. 세종(世宗)이 즉위한 뒤, 첫 번째 경연(經筵)에서 채택한 교재도 바로 《대학연의》였고, 그 뒤로도 조선의 군주 대부분이 《대학연의》를 통해 제왕학(帝王學)의 기초를 다졌다. 1575년에는 이이(李珥)에 의해 《대학연의》가 조선식으로 재구성되어 《성학집요(聖學輯要)》가 편찬되었다.
6. 참고사항
(1)명언
• “임금이 된 자가 《대학》을 알지 못해서는 안 되고, 신하가 된 자도 《대학》을 알지 못해서는 안 된다. 임금이 되었는데 《대학》을 알지 못하다면 정사를 다스리는 원천을 맑게 할 수 없고, 신하가 되었는데 《대학》을 알지 못하다면 임금을 바르게 해주는 법도를 다 할 수 없다.[爲人君者 不可以不知大學 爲人臣者 不可以不知大學 爲人君而不知大學 無以淸出治之源 爲人臣而不知大學 無以盡正君之法]” 〈서(序)〉
• “안에 있으면서 만사를 제어하는 것은 마음이니, 옛 성왕(聖王)들은 반드시 여기에 힘썼다.[居中而制萬事者 心也 古先聖王 必於此乎用力]” 〈제왕위학지본(帝王爲學之本)〉
• “만약 자기의 본성이 선하지 않다고 여겨 성인의 도로써 그 몸을 다스리지 않는다면 이는 스스로를 포기한 것이며, 남의 본성을 선하지 않다고 여겨 성인의 도로써 백성들을 다스리지 않는다면 이는 천하를 포기한 것이다.[若夫以己之性爲不善 而不以聖人之道治其身 是自暴者也 以人之性爲不善 而不以聖人之道治其民 是暴天下者也]” 〈격물치지지요(格物致知之要)〉
(2)색인어:대학연의(大學衍義), 대학(大學), 진덕수(眞德秀), 제왕학(帝王學), 팔조목(八條目), 서산독서기(西山讀書記).
(3)참고문헌
• 〈조선전기 《대학연의》 이해과정〉(지두환, 《태동고전연구》10집)
• 〈중국본 《대학연의》의 판본학적 연구〉(김소희, 《서지학보》31집)
• 〈陳德秀及其大學衍義之硏究〉(向鴻全, 中國 國立中央大學博士學位論文)
• 大學衍義(孔子文化大全編輯部 編,山東友誼出版社)
• 大學衍義(朱人求 校點,華東師範大學出版社)
• 大學衍義(이한우 譯,해냄)
• 譯註 大學衍義(신승운 외 譯註, 전통문화연구회)
【이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