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무비지(武備志)》는 명(明)나라 말기의 병학자인 모원의(茅元儀)가 지은 240권의 대규모 종합 병서로서, 다른 이름으로 ‘무비전서(武備全書)’라고도 한다. 17세기 초 명의 내우외환과 군사력의 부족을 절감한 모원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의 역대 2천여 종의 병학 관련 서적을 15년간 수집하여 1621년(명 천계(天啓) 원년)에 완성되었다. 중국의 역대 주요 병서의 내용과 당시의 무기 등을 정리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2천 점에 달하는 많은 각종 도보(圖譜)를 첨부하여 독자의 이해를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 책은 18세기 중엽 조선에 입수되어 평안 병영(兵營)에서 50책으로 간행되었고, 영조대(英祖代) 이후 각종 전투용 수레 등 무기와 각종 성곽 제도를 도입하는데 영향을 미쳤다.2. 저자
(1) 성명:모원의(茅元儀(1594~1640))3. 서지사항
모원의가 명나라 말기의 사람으로 청나라에 대항해 싸웠으므로 《무비지》의 내용에 여진족과 후금(後金)에 대한 적대감이 높았으므로 이 책이 매우 가치 있는 병서임에도 불구하고 18세기 청나라 건륭(乾隆) 연간까지 금서(禁書)로서 금서총목(禁書總目) 등에 들어가 있었으므로 1621년 초기 판본은 널리 퍼지지 못하고 중국의 북경 도서관, 중국 과학원 도서관 등 큰 도서관에만 이 판본이 있을 뿐이다. 남아 있는 판본도 청대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거슬리는 말을 빼버려 많이 변개되었다. 예를 들어 모원의 자서에서 ‘동호(東胡)’를 ‘병과(兵戈)’로, 낭문환(郞文㬇)의 서에서 ‘동이소축(東夷小丑)’을 ‘역중소축(域中小丑)’으로, 그리고 228권의 사이(四夷) 중의 여진고(女眞考)의 내용을 빼버리기도 하였다.4. 내용
《무비지》는 240권, 200여만 자와 738폭의 그림 등으로 이루어진 대형 병서로서 모두 다음과 같은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병결평(兵訣評)은 18책으로 중국의 역대 병법인 《손자병법》, 《오자병법》, 《사마법》, 《삼략》, 《육도》, 《울료자》, 《이위공문대》와 《태백음경》 등 9종의 병서를 설명하고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전략고(戰略考)는 춘추 시대부터 원대(元代)에 이르기까지 역대 중국 군사사에서의 성공과 실패를 다루었고 모두 31권이다. 세 번째 진련제(陣練制)는 중국의 역대 진법과 진도(陣圖), 장수와 병사를 교련시키는 법, 무기를 다루는 방법 등을 소개하며 모두 41권이다. 넷째 군자승(軍資乘)은 군영과 성곽을 건설하고, 행군, 기치, 군율, 전함, 화약 병기, 둔전, 마필 등의 여러 문제를 다루며 55권이다. 점도재(占度載)에서 ‘점(占)’은 음양술과 기문육임(奇門六壬) 등 음양 점복의 내용을 두룬다. ‘도(度)’는 방여(方舆) 해안 방어, 강안 방어, 사이(四夷), 항해 등과 병가로서 갖추어야 할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모두 96권에 달한다.5. 가치와 영향
《무비지》는 후금의 위협이 점차 심각해지던 17세기 초 모원의가 중국의 역대 병서 2,000여권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편찬한 대규모 병서로서 그 내용의 방대함과 정교함은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출판되고 20여 년 만에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에서는 이 책의 내용에서 후금에 대해 멸시하는 부분이 적지 않아 금서로 취급하였으므로 출판되지 못하여 내용이 충분히 소개되지 않았다. 조선에서는 1737년(영조 13) 청나라 사행에서 이 책을 구입하여 가지고 들어와 평안 병영에서 50책으로 출판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이후 조선의 병학을 풍부하게 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조선후기의 각종 전투용 수레 제작이나 18세기 말 정조대에 수원 화성(華城)의 건설 당시 각종 성곽 제도에 대한 내용은 무비지에서 많이 참조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의 병학사에도 중요한 서적이다.6. 참고사항
(1) 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