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손빈병법(孫臏兵法)》은 전국시대인 B.C. 4세기 제(齊)나라의 군사(軍師)로 활동하던 손빈(孫臏)의 병학(兵學)에 대한 언행을 모은 책으로, 한동안 책의 이름만 전해지고 실물이 전해지지 않았으나 1972년 발굴된 전한(前漢) 시대의 무덤의 죽간(竹簡)에 거의 완벽한 형태로 발견되어 현재 그 내용이 전해지게 되었다.2. 저자
(1)성명:손빈(孫臏)(?~?)3. 서지사항
《손빈병법》은 널리 알려진 오(吳)나라 손무의 《손자(孫子)》와 구별하여 《제손자(齊孫子)》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이후 유실되어 송대 이후 《손빈병법》의 존재 자체에 대해 의심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1972년 산동성 임기현 은작산(銀雀山)에 있는 전한 시대 초기 묘에서 다른 유물과 함께 약 5천 매의 대량의 죽간이 출토되었다. 그 죽간 속에서 《울료자(尉繚子)》, 《육도(六韜)》 등과 함께 《손빈병법》이 발견되었는데 죽간이 많이 훼손되어 그 전체 모습을 완전히 알 수는 없었다. 다만 그중 11,000자 정도 해독되었고 일부 문맥이 통하지 않는 것이 있으나 손빈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전체적으로 어려움은 없다.4. 내용
출토된 《손빈병법》은 내용에 따라 모두 30편으로 정리되었는데, 각 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편 〈금방연(擒龐涓)〉은 적의 허를 찌르는 전략전술에 대한 내용이고, 2편 〈견위왕(見威王)〉은 국가 전략으로서 전쟁의 의미, 3편 〈위왕문(威王問)〉은 전투의 주도권을 잡는 전술, 4편 〈진기문루(陣忌問壘)〉는 진지의 구축과 병력 배치, 5편 〈찬졸(纂卒)〉은 우수한 군사의 선발, 6편 〈월전(月戰)〉은 신중한 전쟁, 7편 〈팔진(八陣)〉은 전쟁의 원리에 대한 이해와 응용, 8편 〈지보(地葆)〉는 지형의 우열과 선정, 9편 〈세비(勢備)〉는 작전의 네 요소인 진(陣), 세(勢), 변(變), 권(權)에 대한 내용, 10편 〈병정(兵情)〉은 병력의 활용, 11편 〈행찬(行纂)〉은 민심의 수습 방안, 12편 〈살사(殺士)〉는 병사들로 하여금 목숨을 바쳐 충성하도록 하는 방안, 13편 〈연기(延氣)〉는 병사들의 사기를 올리는 방안, 14편 〈관일(官一)〉은 진법의 기능과 활용, 15편 〈강병(强兵)〉은 군사력의 강화 방안, 16편 〈십진(十陣)〉은 방진(方陣), 원진(圓陣), 수진(水陣) 등 10가지 진법의 내용과 운용법, 17편 〈십문(十問)〉은 10가지 상황에 따른 대응 전술을 서술하고 있으며, 18편 〈약갑(略甲)〉은 죽간이 많이 훼손되어 현재 내용이 분명하지 않으나 약갑이란 무장한 군사인 갑사(甲士)를 공격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19편 〈객주인분(客主人分)〉은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군을 물리치는 전술, 20편 〈선자(善者)〉는 장수가 전투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방법, 21편 〈오명오공(五名五恭)〉은 적군의 속셈을 알아내고 이에 대응하는 방안, 22편 〈병실(兵失)〉은 전투 실패의 원인과 승리의 요건, 23편 〈장의(將義)〉는 장수가 지녀야할 6가지 덕목, 24편 〈장덕(將德)〉은 장수가 전투를 지휘함에 지녀야할 자세, 25편 〈장패(裝敗)〉는 패배를 부르는 장수의 결점, 26편 〈장실(將失)〉은 전투에 패배하는 32가지 원인, 27편 〈웅빈성(雄牝城)〉은 성을 공격하고 방어하는 전술, 28편 〈오도구탈(五度九奪)〉은 5가지 전술의 원칙과 9가지 탈취하여야 하는 요소, 29편 〈적소(積疏)〉는 집중과 분산 등 전투의 승패를 가르는 6가지 사항, 30편 〈기정(奇正)〉은 기와 정의 상호관계와 응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5. 가치와 영향
《손빈병법》은 제나라의 군사(軍師)로서 큰 전공을 세운 손빈이 저술한 병서로서 그의 조상인 손무(孫武)의 사상을 계승하고 아울러 전쟁의 규모가 커지는 등 급격히 변해가는 전국시대 중기의 전쟁 양상을 반영하여 이전에 저술된 《손자(孫子)》, 《오자(吳子)》 등에 비해 종합적인 병서로서 의미가 적지 않다. 아울러 《손빈병법》에서는 전쟁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전쟁을 통해서만 어지러운 세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현실주의적 전쟁관을 바탕으로 하되 전쟁은 신중하게 하고 경거만동을 경계하라는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또한 전쟁을 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진법과 주의점 등을 제시하는 등 매우 구체적인 병학에 대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전국시대 중기 전쟁 양상과 병학 사상 전반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6. 참고사항
(1)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