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은 송(宋)나라 때 진백(陳栢)이 지은 잠(箴)이다. 《조석잠(朝夕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선비의 하루 일정을 수양 공부에 초점을 두어 시간 순서에 따라 이상적인 방식으로 묘사 혹은 규정하여 둔 글로서, 기본적으로 주자학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2. 저자

(1) 성명:진백(陳栢) (?~?). 백(栢)은 혹은 백(柏)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2) 자(字)·별호(別號):진백의 자는 무경(茂卿), 호는 남당(南塘)이다.
(3) 출생지역:천태(天台)(현 중국 절강성(浙江省) 천태현(天台縣))
(4) 주요활동과 생애
진백의 생애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은 그를 주자(朱子)의 후학(後學)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명(明)의 송렴(宋濂)(1310∼1381)이 〈천태고씨선덕비(天台顧氏先徳碑)〉라는 글에서 “천태(天台)는 본래 문헌(文獻)의 땅으로, 남당(南塘) 진무경(陳茂卿), 겸재(謙齋) 오청지(吴清之), 직헌(直軒) 오직옹(吴直翁), 조당(慥堂) 정경온(鄭景温) 같은 이들은 사군자(四君子)로서, 모두 염락관민(濂洛關閩)의 학(學)에 참여하여 들은 자들이다.”라고 기술한 것과 일치한다.

(5) 주요저작:《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3. 서지사항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숙흥야매잠》과 관련된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은 원(元) 정단례(程端禮)( 1271∼1345)의 《독서분년일정(讀書分年日程)》에 실려 있는 것이다. 정단례는 경원(慶元)(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영파시(寧波市) 지역) 은현(鄞縣) 사람으로서 자(字)는 경숙(敬叔)이고, 호(號)는 외재(畏齋)이다. 《원사(元史)》에 의하면 경원(慶元) 지역에는 송말(宋末)부터 모두 주희(朱熹)보다는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존상(尊尙)하였는데, 그가 유독 사몽경(史蒙卿)(1247∼1306)을 종유(從遊)하여 주자(朱子)의 명체달용(明體達用)의 사상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그의 저작인 《독서분년일정》은 학생들이 어려서부터 성장하기까지 공부해야 할 책들을 나이 순서에 따라 소개한 책으로서, 기본적으로 주자의 교학관(敎學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진백의 《숙흥야매잠》은 15세 지학(志學) 이후 읽어야 할 글로서, 정자(程子)의 《사물잠(四勿箴)》, 주자의 《경재잠(敬齋箴)》,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야기잠(夜氣箴)》과 함께 제시되어 있고, 그 전문(全文)이 수록되어 있다. 정단례는 또한 “옛날 금화(金華)의 노재(魯齋) 왕(王)선생(이름은 백(栢)이고 자는 회지(會之))이 이 잠(箴)을 사용하기에 매우 절실한 것이라 여겨 상채서원(上蔡書院)의 학생들에게 가르쳤고, 사람을 시켜 한 부를 베껴 쓰도록 하여 좌우(左右)에 두고 보았다.”라고 하여 《숙흥야매잠》이 전해지게 된 데에 노재(魯齋) 왕백(王栢)(1197∼1274)의 역할이 컸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금화(金華)는 곧 절강성 지역이고, 왕백은 주자의 사위이자 제자인 면재(勉齋) 황간(黃榦)(1152∼1221)의 제자인 북산(北山) 하기(何基)(1188∼1269)의 제자로서, 이른바 ‘금화주자학(金華朱子學)’의 중심적인 인물이었다. 이것은 원(元) 오사도(吳師道)(1283∼1344)의 〈제정경숙독서공정후(題程敬叔讀書工程後)〉라는 글에서도 분명히 확인된다. 오사도는 또한 《오예부시화(吳禮部詩話)》에서 “노재 왕선생이 천태 남당 진백의 숙흥야매잠을 기록해 두었다[魯齋王先生 既錄天台陳南塘柏茂卿夙興夜寐箴]”라고 전하고 있기도 하다.
한편, 명(明) 송렴(宋濂)은 〈제조석잠후(題朝夕箴後)〉라는 글에서 《숙흥야매잠》을 《조석잠(朝夕箴)》이라는 이름으로 소개하고 또한 진백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소개하고 있다. 송렴(宋濂)은 그 자신 역시 절강 지역[潛溪] 출신으로서 자는 경렴(景濂)이고, 호는 잠계(潛溪),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그는 주자학 계통의 박학(博學) 혹은 치지(致知)파로 분류되며, 명(明)의 건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원사(元史)》 편성을 주도하는 등 명초의 대표적인 주자학자로서, 금화주자학의 전통을 이은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숙흥야매잠》에 대한 발문을 쓴 것은 곧 역시 그의 지역적이고 학문적인 배경에 의한 것이며, 그것이 명초에 이르기까지 절강 지역의 인사들에 의해 중시되어 보급된 문헌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알려 준다. 이것은 명(明)의 하흠(賀欽)(1437∼1510, 절강성(浙江省) 정해(定海) 사람)의 《의려집(醫閭集)》 권2 〈언행록(言行錄)〉에 “《백록동교조》와 《숙흥야매잠》은 마땅히 항상 마음에 새겨두어야 한다.[白鹿洞教條與夙興夜寐箴 當時時在念者]”라고 한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1591년경에 간행된 명(明) 고렴(高濂)(자는 심보(深甫), 호는 서남도인(瑞南道人) 또는 호상도화어(湖上桃花漁). 절강성 전당(錢塘) 사람)의 《준생팔전(遵生八牋)》 권2에 “진무경의 《숙흥야매잠》은 우리가 하루에 수행하는 법도가 되니, 마땅히 숙독하여야 한다.陳茂卿夙興夜寐箴 爲吾人一日修行短度 當熟讀之]”라고 하고 《숙흥야매잠》 전문을 인용해 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내용

《숙흥야매잠》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여, 사대부가 일상의 하루의 시간 진행에 따라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를 가지고 자신을 단속하고 공부할 것인가를 잠(箴)의 형태로 간략하게 서술하여 제시한 글이다. 총 208자(字)로 되어 있다. ‘숙흥야매’란 이른 아침에 일어나고 밤늦게 잠든다, 곧 부지런히 일하는 모습을 형용한 것으로 《詩經》 〈大雅·抑〉에 나오는 말이다.

5. 가치와 영향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숙흥야매잠》은 원래 송대 말 절강 지역의 유학자인 진백에 의해 창작되고 이후 주로 절강 지역의 유학자들에 의해 중시되면서 전승되어 오던 것으로서, 이른바 금화주자학(金華朱子學)의 면모를 엿볼 수 있게 하는 글이다. 기본적으로 주자학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또한 도교(道敎) 수양론이나 선학(禪學)의 용어와 관념을 채용한 측면도 발견된다. 우리나라에서 《숙흥야매잠》의 학술적 실천적 의의에 주목한 최초의 학자는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었다. 그는 1560년경, 거기에 상세한 주해(註解)를 덧붙여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를 저작하고, 그것을 퇴계와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1510∼1560)에게 보내 자문을 구하여 그들의 수정 견해들을 대폭 반영하였으며, 그렇게 수정된 원고를 조정에 건의하여 교서관(校書館)에서 출판함으로써 당대에 공적(公的)인 인정을 받도록 하였다. 퇴계는 후에 자신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제10도에 그 전문(全文)을 수록하고, 제9도 〈경재잠도〉(王栢 作)를 본떠서 직접 〈숙흥야매잠도〉을 그렸다. 퇴계는 이 잠의 핵심이 경(敬)에 있다고 보고, 주자의 《경재잠》이 공간적 지점[地頭]에 따라 해야 할 경(敬) 공부를 제시한 것이라면, 이 《숙흥야매잠》은 시간적 흐름[時分]에 따라 해야 할 경 공부를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여, 경 공부에서, 더 나아가서는 도학(道學)에서 이 잠이 차지하는 의미와 의의를 자리매김하였다. 퇴계에 의하면 경 공부의 이러한 두 측면은 도(道)의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보편적 편재성에 대응한 것이다. “대저 도(道)는 일상생활 사이에서 유행(流行)하여 없는 곳이 없어서, 어느 한 곳도 이(理)가 없는 곳이 없으니 어느 곳엔들 공부를 그만둘 수 있겠는가? 어느 한순간도 멈추는 때가 없어서 어느 한순간도 이(理)가 없는 때가 없으니 어느 때인들 공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夫道之流行於日用之間 無所適而不在 故無一席無理之地 何地而可轍工夫 無頃刻之或停 故無一息無理之時 何時而不用工夫]”(《성학십도》 〈제10 숙흥야매잠도〉) 이후 퇴계 학맥에 속하는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1815∼1900)는 이 잠에 대한 주해를 모아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을 저작하였다.

6. 참고사항

(1) 명언
• “닭이 울 때 잠자리에서 깨어나면 생각이 점차 내달리니 어찌 그사이에 마음을 고요히 하여 정돈치 않으리오.[鷄鳴而寤 思慮漸馳 盍於其間 澹以整之]”
• “근본이 확립되면 새벽에 자리에서 일어나 세수하고 빗질하고 의관을 갖추어 단정하게 앉아 몸을 단속한다.[本旣立矣 昧爽乃興 盥櫛衣冠 端坐斂形]”
• “움직임과 고요함이 순환함에 마음으로 그것을 비추어보아 고요할 때는 보존하고 움직일 때는 살펴서 마음을 두 갈래 세 갈래로 나누지 말라.[動靜循環 惟心是監 靜存動察 勿貳勿參]”
• “독서 하는 여가에 간간이 노닐고 젖어 들어, 정(精)과 신(神)을 발하여 펴고 정(情)과 성(性)을 쉬는 사이에 기른다.[讀書之餘 間以遊泳 發舒精神 休養情性]”
• “밤이 깊으면 잠자리에 들어서 손과 발을 가지런히 하여 거두어들이며 생각을 일으키지 않아서 심(心)과 신(神)이 돌아와 머물게 한다.[夜久斯寢 齊手斂足 不作思惟 心神歸宿]”
• “야기(夜氣)로 기르니 끝이 있으면 다시 새로운 시작이 있는 법이니 마음을 오직 여기에 두어 밤낮으로 부지런히 노력할지어다.[養以夜氣 貞則復元 念玆在玆 日夕乾乾]”

(2) 색인어:진백(陳栢), 잠(箴), 왕백(王栢), 정단례(程端禮), 독서분년일정(讀書分年日程), 노수신(盧守愼), 이황(李滉), 성학십도(聖學十圖).
(3) 참고문헌
•독서분년일정(讀書分年日程)(程端禮, 四庫全書本/ 世界書局 排印本)
•성학십도(聖學十圖)(李滉, 校書館本,이광호 옮김, 홍익출판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편, 예문서원)
•〈夙興夜寐箴圖〉와 퇴계의 수양론적 실천 과제(琴章泰, 《退溪學報》 제109집)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에 관한 연구(문석윤, 《韓國思想史學》 제51집)
•사미헌 장복추의 《夙興夜寐箴解》 연구(丁淳佑, 《嶺南學》 제14호)

【문석윤】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