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장자(莊子)》는 장주(莊周)가 노자(老子)의 사상을 계승하고 자신의 사상을 담아 저술한 책이다. 현전하는 《장자》는 4세기 진(晉)의 곽상(郭象)이 주석을 달아 정리한 것으로써 〈내편(內篇)〉·〈외편(外篇)〉·〈잡편(雜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자는 천지만물의 근본원리를 도(道)라고 보았으며 인위(人爲)를 버리고 무위(無爲)를 추구하였는데, 《장자》 내에서 그의 사상은 대부분 우언(寓言)을 통해 서술되는 특징을 지닌다. 당대(唐代)에 도가(道家)가 득세하면서 현종(玄宗) 때에는 장자를 남화진인(南華眞人)으로 추대하고 《장자》를 《남화경(南華經)》 혹은 《남화진경(南華眞經)》으로 격상하는 등 도가철학의 주류로 인정받았다. 기본적으로 현실참여적 성격의 유학(儒學)을 반대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후대 유학자들의 철학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2. 저자
(1)성명:장주(莊周). 맹자와 동시대의 인물로 추정.3. 서지사항
현전하는 《장자》는 곽상이 주석한 총 33편(〈내편〉 7편·〈외편〉 15편·〈잡편〉 1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사기》 〈노자한비열전〉에서 《장자》를 언급하며 현전하지 않는 〈어부(漁父)〉·〈도척(盜跖)〉·〈거협(胠篋)〉·〈외루허(畏累虛)〉·〈항상자(亢桑子)〉 5편의 항목을 기술한 점과,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52편의 장자가 유행하였다는 기록을 볼 때 각 시대마다 더 방대한 분량의 《장자》가 함께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장자》를 장자 본인이 직접 저술하였다는 기록이나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장자》 저술 주체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대체로 〈내편〉을 장자가 직접 저술한 것으로, 〈외편〉과 〈잡편〉을 장자의 문인이나 후계자들에 의한 기록으로 보고 있다. 《장자》의 대표적인 주해서로는 진(晉)나라 곽상의 《장자주(莊子注)》, 당(唐)나라 성현영(成玄英)의 《장자소(莊子疏)》, 송(宋)나라 임희일(林希逸)의 《장자구의(莊子口義)》, 저백수(褚伯秀)의 《남화진경의해찬미(南華眞經義海纂微)》, 명나라 초횡(焦竑)의 《장자익(莊子翼)》 등이 있다.4. 내용
〈내편(內篇)〉·〈외편(外篇)〉·〈잡편(雜篇)〉으로 구성된 《장자》는 곽상의 《장자주》 분절 체계에 의거한 것이나 어떤 점을 기준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전체적으로 세 편의 항목에서 장자 사상의 핵심인 절대자유와 만물제동(萬物齊同)의 경지를 우언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먼저 《장자》 〈내편〉의 첫 편은 〈소요유(逍遙遊)〉로서 상식을 뛰어넘어 무한한 시간과 공간을 나는 대붕(大鵬)을 소개한다. 장자는 대붕을 통해 절대적인 자유의지를 표현하고, 어느 것에도 구속되거나 거리낌 없는 자유로운 삶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장자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내편〉 〈제물론(齊物論)〉을 통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같은 도를 소유하고 있어 구별이 없기 때문에 현실에 존재하는 대립이나 차별은 허망한 것이라 주장한다. 《장자》의 전체적 맥락은 이 두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장자는 여기에서 우언(寓言)이라는 표현 방식을 사용한다. 우언은 직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표현하지 않고 비유나 상징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도를 드러내어 상대가 알아차리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장자의 사상 체계를 표현하는 특징으로써 노골적인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자신의 사상을 넌지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5. 가치와 영향
《장자》는 장자가 노자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킨 저술로서, 후대 도가철학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유학을 국시로 삼은 조선에서도 조정에서 직접 《장자》를 간행하여 유포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졌었는데, 조선시대에 유행하던 대표적인 주해서는 임희일의 《장자구의》와 박세당(朴世堂)의 《남화경주해산보(南華經註解刪補)》를 들 수 있다. 임희일은 학문적 연원이 북송의 정이(程頤)와 닿아 있기 때문에 조선 유학자들은 그를 유가의 류로 보았고 《장자구의》에 대해서도 호의적이었다.6. 참고사항
(1)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