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왕통(王統)이 죽은 후에 제자들이 그를 기념하고 유학 발전에 대한 공헌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논어(論語)》를 모방하여 《중설(中說)》을 편집하였다. 《문중자중설(文中子中說)》 또는 《문중자(文中子)》라고도 한다. 강의 기록 형식으로 왕통이 강론한 내용 및 제자, 학우, 당시 사람들과의 대화를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모두 10편(〈왕도편(王道篇)〉, 〈천지편(天地篇)〉, 〈사군편(事君篇)〉, 〈주공편(周公篇)〉, 〈문역편(問易篇)〉, 〈예악편(禮樂篇)〉, 〈술사편(述史篇)〉, 〈위상편(魏相篇)〉, 〈입명편(立命篇)〉, 〈관랑편(關朗篇)〉)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통의 사상과 수당 시기 학술사상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2. 저자

(1) 성명:왕통(王通)(584~617)
(2) 자(字)·시호(諡號):자는 중엄(仲淹), 시호는 문중자(文中子)
(3) 출생지역:하동군 용문현(河東郡) 龍門縣(現 산서성(山西省) 패산현(稷山縣) 서쪽)
(4) 주요활동과 생애
수대(隋代)의 석유(碩儒)로 한평생 벼슬을 하지 않았다. 왕통의 본적은 태원기현(太原祈縣) 이다. 왕통은 세유세환(世儒世宦)했던 집안으로 태원(太原) 왕씨이고 가학(家學)의 원류 또한 깊다. 그 선인들은 영가(永嘉)의 난 때 남쪽의 강좌(江左)(강남)로 이주했다. 그의 사세조(四世祖) 왕규(王虯)는 남제(南齊) 건원 연간(建元年間)에 북으로 귀화하여 병주차사(並州刺史)에 임직했다. 하분(河汾)(황하(黃河)와 분수(汾水))에서 기가(起家)하여, 조부 때에 용문(龍門)으로 옮겨 정착했다.
왕통은 일찍이 경세(經世)의 뜻이 있어, 인수 연간(仁壽年間)에 경사로 들어가 수문제(隋文帝)를 알현하여 《태평책(太平策)》 12편을 헌납하였다. 문제는 그의 재능을 중시했으나, 공경들이 이를 기쁘게 생각하지 않아 채용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하분(河汾)의 경계 지역인 용문(龍門)에 은거하였다. 그는 저술에 종사하고 학설을 수립하여 사람들에게 강론했고, 《육경(六經)》의 저술에 평생의 힘을 다하여 유학의 권위를 진작시키려 시도했다. 후인들은 그의 사상을 ‘하분도통(河汾道統)’이라고 불렀다.
(5) 주요저작
《속육경(續六經)》이 있는데, 《속시(續詩)》, 《속서(續書)》, 《예론(禮論)》, 《악론(樂論)》, 《역찬(易贊)》, 《원경(元經)》을 포함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고 《중설(中說)》만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다. 《속육경(續六經)》에 관한 상황은 《중설(中說)》의 기록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속시(續詩)》는 360편 10권으로, 진(晉)‧송(宋)‧북위(北魏)‧서위(西魏)‧북주(北周)‧수(隋) 등 6대의 시가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속서(續書)》는 본래 150편 25권으로, 《상서(尙書)》의 구례(舊例)에 따라 한 고조(漢高祖)에서 진 무제(晉武帝)까지의 조령(詔令) 및 대책(對策) 등을 선별하여 편집한 것이다.
《원경(元經)》은 본래 50편 15권으로, 《춘추(春秋)》의 포폄(褒貶) 행사를 모방한 것으로 상벌로 대체한다는 내용이다.
《예론(禮論)》은 25편 10권이고, 《악론(樂論)》은 20편 10권이다. 예와 악에 대한 논술로 내용은 이미 알아보기 어렵다.
《찬역(贊易)》은 70편 10권으로, 《역(易)》에 대한 해석으로 내용은 알 수 없다.

3. 서지사항

《중설(中說)》은 왕통의 제자가 그의 언행 및 제자들과의 대화 내용을 기록하여 저술한 것으로 왕통의 사상을 반영하는 유일한 저작이다. 왕통의 시호가 ‘문중자(文中子)’라 하여 《문중자(文中子)》로도 칭하는데, 모두 10권으로 1권 〈왕도편(王道篇)〉, 2권 〈천지편(天地篇)〉, 3권 〈사군편(事君篇)〉, 4권 〈주공편(周公篇)〉, 5권 〈문역편(問易篇)〉, 6권 〈예악편(禮樂篇)〉, 7권 〈술사편(述史篇)〉, 8권 〈위상편(魏相篇)〉, 9권 〈입명편(立命篇)〉, 10권 〈관랑편(關朗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해지는 판본은 《자서백가(子書百家)》본과 《명세덕당(明世德堂)》본이 있다. 송대(宋代) 완일(阮逸)이 주석을 단 《문중자중설주(文中子中說注)》가 있다. 《사부총간(四部叢刊)》본과 《속고일총서(續古逸叢書)》본이 있다.

4. 내용

1권 〈왕도편(王道篇)〉: 본편은 첫 구절 앙도난행(王道難行)의 王道왕도를 제목으로 삼아 총 45장으로 나뉘어 있는데, 1장 왕통 집안과 왕통의 저술에 대한 기술을 시작으로 하여 2장 元經원경, 속시(續詩), 속서(續書), 3장 삼사(三史), 4장 사마천(司馬遷)과 반고(班固)이후, 5장 강도(江都)의 변란, 6장 도와시대, 7장 삼재(三才)와 오상(五常), 8장 한(漢)나라, 9장 육대(六代)와 속시(續詩), 10장 원경(元經)의 포폄, 11장 주공(周公)과 공자(孔子)의 도, 12장 천명(天命), 13장 장안(長安)에서, 14장 인(仁)의 실천, 15장 환영(桓榮)의 명, 16장 북제록(北齊錄), 17장 식경(食經), 18장 소인(小人), 19장 치욕, 20장 음악, 21장 봉선(封禪), 22장 즐거움과 슬픔, 23장 사면(赦免), 24장 청렴과 탐욕, 25장 두여회(杜如晦), 26장 순(舜)임금 오악(五嶽)의 순수함, 27장 서리(黍離), 28장 오행(五行)과 사령(四靈), 29장 공자묘(孔子廟), 30장 무언의 교화, 31장 양호(羊祜)와 육손(陸遜), 32장 삼강(三剛)과 오상(五相), 33장 소찬(素餐), 34장 칠대(七代)의 군주들, 35장 동상(董常)이 죽자, 36장 위개(衛玠)와 완적(阮籍), 37장 능경(凌敬), 38장 강개(剛介), 39장 지덕(志德)과 요도(要道), 40장 역(易), 41장 의(義)와 이(利), 42장 우묘(禹廟)의 비석, 43장 유효표(劉孝標)의 글, 44장 제갈량(諸葛亮), 45장 악의론(樂毅論)과 무귀론(無鬼論) 등 내용이다.
2권 〈천지편(天地篇)〉: 본편은 문중자 둥근 것은 잘 움직이고 네모진 것은 조용하다. 거기에서 천지의 중심을 보도다!(子曰 : 圓者動, 方者靜, 其見天地之心乎!)에서 제목을 따온 것으로 총 57장으로 나뉘어 있는데, 1장 원방(圓方), 2장 지자(志者)와 인자(仁者), 3장 제자들에 대한 품평, 4장 안회(顏回)와 같은 동상(董常), 5장 산도(山濤), 6장 이밀(李密), 7장 위진(魏晉)시대의 시(詩), 8장 학(學)과 문(文), 9장 설도형(薛道衡), 10장 사(士), 11장 위징(魏徵)과 왕응(王凝), 12장 왕응(王凝) 13장 임지(任智), 14장 중장자광(仲長子光), 15장 군자의 서(恕), 16장 군자와 소인, 17장 초공(楚公)의 난, 18장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19장 동복(童僕), 20장 지명(知命), 21장 유도자(有道者), 22장 궁경(躬耕), 23장 예서(隸書), 24장 장례, 25장 귀신을 섬기는 도리, 26장 왕맹(王猛), 27장 소작(蘇綽), 28장 출처(出處), 29장 돌아가리로다!, 30장 육경(六經), 31장 모명(慕名), 32장 수나라의 망징(亡徵), 33장 칠제(七制), 34장 잡박(雜駁)해진 왕도(王道), 35장 당우(唐虞)와 하상(夏商), 36장 주공(周公)과 중니(仲尼), 37장 좌망(坐忘), 38장 이정(李靖)과 위징(魏徵), 39장 설수(薛收)의 감탄, 40장 정원(程元)과 동상(董常), 41장 동상(董常), 42장 설수(薛收), 43장 왕은(王隱), 44장 역대 사학가, 45장 구사(九師)와 삼전(三傳), 46장 칠대(七代)의 손익, 47장 속시(續詩), 48장 선생님의 말솜씨, 49장 양웅(揚雄)과 장형(張衡), 50장 허물, 51장 비방, 52장 관인법(觀人法), 53장 위(魏)나라 효문제(孝文帝), 54장 동천부인(銅川夫人)과 예성부군(芮城府君), 55장 설지인(薛知仁), 56장 내난(內難), 57장 나에게 있어서의 천하 등의 내용 이다.

3권 〈사군편(事君篇)〉: 본편은 첫 구절 사군지도(事君之道)의 사군을 제목으로 삼아 총 56장으로 나누었다. 1장 방현령(房玄齡)의 질문, 2장 양소(楊素), 3장 군현(郡縣)의 다스림, 4장 벼슬하지 않는 이유, 5장 덕과 형벌, 6장 벼슬하는 자, 7장 북제(北齊) 문선제(文宣帝), 8장 두위(竇威), 9장 북산장인(北山丈人), 10장 고집, 11장 곽광(霍光), 12장 하상장인(河上丈人), 13장 너무 잦은 교체(交替), 14장 하약필(賀若弼), 15장 순열(荀悅)과 육기(陸機), 16장 문사(文士)의 행동, 17장 효작(孝綽) 형제와 상동왕(湘東王) 형제, 18장 안연지(顔延之), 왕검(王儉), 임방(任昉), 19장 엄군평(嚴君平)과 양웅(揚雄), 20장 말 솜씨 뛰어난 자, 21장 산도(山濤), 22장 왕융(王戎), 23장 진사왕(陳思王), 24장 조식(曹植)의 문장, 25장 역사, 26장 속시(續詩), 27장 춘추(春秋)와 원경(元經), 28장 화(化)와 정(政), 29장 열국(列國)의 풍(風), 30장 열국(列國)의 변풍(風變), 31장 변풍(變風)과 변아(變雅), 32장 온언박(溫彦博)과 위징(魏徵), 33장 살신성인(殺身成仁), 34장 진숙달(陳叔達), 35장 육형(肉刑), 36장 임금 섬기기, 37장 찬역(讚易), 38장 한거(閒居), 39장 문중자의 복장, 40장 천도(天道)와 지도(地道), 41장 향인(鄕人), 42장 상을 당한 향인, 43장 문중자의 음성, 44장 다툼이 없는 마을, 45장 대천(大川), 46장 마을의 부역, 47장 동천부군(銅川府君)의 상, 48장 남의 집 숙소, 49장 만춘향사(萬春鄕社), 50장 예성부군(芮城府君), 51장 혼례(婚禮), 52장 악의박식(惡衣薄食), 53장 고금의 벼슬살이, 54장 옛날의 관리, 55장 주공(周公) 단(旦), 56장 오두선생전(五斗先生傳) 등의 내용이다.
4권 〈주공편(周公篇)〉: 본편은 첫 구절 周公之道주공지도의 주공을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54장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장 주공(周公)의 도, 2장 성인과 천도, 3 혜강(嵇康)과 완적(阮籍), 그리고 유령(劉靈), 4장 진숙달(陳叔達), 5 전주(田疇), 6장 무덕무(武德舞)와 소덕무(昭德舞), 7장 사마담(司馬談), 8장 변화에 통달하면, 9장 원기지사(圓機之士)와 황극지주(皇極之主), 10장 최호(崔浩), 11장 빈풍(豳風), 12장 관중(管仲)과 왕맹(王猛), 13장 부견(符堅)과 왕맹(王猛), 14장 효문제(文帝, 15장 온자승(溫子昇), 16장 왕언(王彦), 17장 가묘(家廟), 18장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 19장 쟁리기의(爭利棄義), 20장 가경(賈瓊), 왕효일(王孝逸), 능경(凌敬), 21장 관도현(館陶縣), 22장 위징(魏徵)의 육경 공부, 23장 유현(劉炫), 24장 능경(凌敬), 25장 대풍가(大風歌)와 추풍사(秋風辭), 26장 현학(玄學)과 석가(釋迦), 27장 불교, 28장 우문검(宇文儉), 29장 용주오경(龍舟五更), 30장 요의(姚義), 31장 순욱(荀彧)과 순유(荀攸), 32장 성(誠)과 정(靜), 33장 선왕(先王)의 복장, 34장 패풍(邶風)의 백주(柏舟) 시, 35장 비공(邳公)과 골동품, 36장 산림(山林), 37장 지인(至人), 38장 간(簡)과 광(廣), 39장 조조(晁厝), 40장 속서(續書), 41장 제왕의 제도, 42장 역(易), 43장 간모(干髦), 44장 방현령(房玄齡), 45장 인물평, 46장 천물귀아(賤物貴我), 47장 설굉(薛宏), 48장 재치(載馳), 49장 정화(鄭和)와 월공(越公), 50장 하약필(賀若弼), 51장 영웅(英雄), 52장 문중자를 알아주지 않는 천하, 53장 육경(六經), 54장 양현감(楊玄感) 등의 내용이다.
5권 〈문역편(問易篇)〉: 본편은 첫 구절 유현주역(劉炫周易)의 주역을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5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유현(劉炫)이 질문한 역(易), 2장 성인의 걱정, 3장 지(志)와 조(詔), 4장 책(策), 5장 명(命), 6장 사(事), 7장 문(問)과 대(對), 8장 찬(贊), 9장 의(議), 10장 계(誡), 11장 간(諫), 12장 진(晉)과 양한(兩漢)의 군주들, 13장 태화(太和)의 정치, 14장 삼교(三敎), 15장 홍범당의(洪範讜議), 16장 질운(郅惲)의 사건, 17장 사(事)와 지(志), 18장 제(制)와 명(命), 19장 빈천과 부귀, 20장 애명상리(愛名尙利), 21장 군자의 도, 22장 최질(縗絰)을 입고, 23장 초공(楚公), 24장 일상생활, 25장 이단자(異端者), 26장 길흉(吉凶)과 곡절(曲折), 27장 원명(元命), 28장 제(制)와 지(志), 29장 제제(帝制)와 왕도(王道), 30 이정(李靖)과 정원(程元), 31장 동상(董常), 32장 비방과 원망, 33장 제갈량(諸葛亮)과 왕맹(王猛), 34장 고구려 원정의 실패, 35장 호동자(好動者), 36장 승시(乘時), 37장 독행(獨行), 38장 원형리정(元亨利正), 39장 아첨, 40장 동상(董常)이 죽자, 41장 찬역(讚易) 작업, 42장 태평시대, 43장 의(義)와 이(利), 44장 여러 유형의 나라, 45장 다언(多言)과 다사(多事), 46장 악(惡)과 사(邪), 47장 위효관(韋孝寬)과 양음(楊愔), 48장 천도(天道)와 인사(人事), 49장 전별(餞別), 50장 원경(元經)의 정명(正名), 51장 연호(年號), 52장 지의(志意)와 도의(道義), 53장 끊어진 제제(帝制), 54장 춘추(春秋)와 원경(元經), 55장 시(詩)의 기록 등의 내용이다
6권 〈예악편(禮樂篇)〉: 본 편은 첫 구절 오어예교 吾於禮敎의 예교를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49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예악(禮樂)과 제작(制作), 2장 부모, 형제, 붕우, 3장 통혼(通婚), 4장 실질은 사라지고 이름만 남아, 5장 사안(謝安), 왕도(王導), 온교(溫嶠), 환온(桓溫), 6장 함께 사는 방법, 7장 번사현(繁師玄)의 질문, 8장 거근식원(居近識遠), 9장 공칙물복(恭則物服), 10장 예(禮)의 쓸모, 11장 칠제(七制), 12장 의(議), 13장 계(誡), 14장 간(諫), 15장 한(漢) 무제(武帝)와 효무제(孝武帝), 16장 예악(禮樂), 17장 경방(京房)과 곽박(郭璞), 18장 관혼상제(冠昏喪祭), 19장 세 사람의 정치에 대한 질문, 20장 춘추(春秋)와 원경(元經), 21장 이륜(彛倫), 22장 포관(蒲關)의 육봉(陸逢), 23장 가도(家道), 24장 인의와 예악, 25장 황극(皇極)의 문, 26장 군자불기(君子不器), 27장 북주(北周)와 북제(北齊), 28장 육경(六經)의 극치(極致), 29장 성(聖)과 명(明), 30장 두 가지 유형, 31장 보이면서 존재하는 것, 32장 유혹할 수 없는 것, 33장 세력으로 사귀는 자, 34장 설수(薛收), 35장 분정조(汾亭操), 36장 독선(獨善), 37장 기도(祈禱), 38장 다섯 제자의 장점, 39장 배우지 않고 이루는 것은 없다, 40장 장생술(長生術))과 신선술(神仙術), 41장 피은(避隱), 42장 소아(小雅)와 소화(小化), 43장 진수(陳守), 44장 가경(賈瓊), 45장 지언(知言), 46장 명예와 덕, 47장 편안히 여기는 것, 48장 이름과 자(字), 49장 왕정(王靜)의 자 보명(保名) 등의 내용이다.
7권〈술사편(述史篇)〉: 본편은 첫 구절 述史者幾乎罵矣술사자기호매의의 술사를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44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태희(太熙) 이후의 역사 기술, 2장 초공(楚公)의 난(難), 3장 온언박(溫彦博)의 지(知)에 대한 질문, 4장 시(詩)의 작자, 5장 계찰(季札), 6장 태화(太和)의 군주, 7장 봉록(俸祿), 8장 오(吳)와 촉(蜀), 9장 중원(中原)의 위대함, 10장 원위(元魏), 11장 목공(穆公)과 왕숙(王肅), 12장 지공(至公), 13장 망한 진(陳)나라, 14장 중원의 예악, 15장 원경(元經)을 쓴 이유, 16장 한위(漢魏)의 예악, 17장 인(仁)과 오상(五常), 18장 삼재(三才)와 오상(五常), 19장 봉황(鳳凰), 20장 사람의 수명, 21장 천유(穿窬), 22장 씨성(氏姓)과 명자(名字), 23장 설공(薛公)의 문장, 24장 나를 알지도 못하는 자들, 25장 하약필(賀若弼), 26장 고생 없이 성공한 자, 27장 정가지도(正家之道), 28장 유세(遊說), 29장 획린(獲麟), 30장 이제(二帝), 삼왕(三王), 31장 군자가 아니면, 32장 찬역(讚易), 33장 괘(卦)와 효(爻), 34장 배움의 대상, 35장 면지(沔池)의 가시밭, 36장 인사(人事)를 끊고자, 37장 가의(賈誼), 38장 겸손, 39장 십이책(十二策), 40장 천하에 도가 있으면, 41장 모든 것을 비워둔 채, 42장 칠제(七制)의 군주, 43장 초원왕(楚元王), 44장 부인의 간여 등의 내용이다.
8권 〈위상편(魏相篇)〉: 본편은 첫 구절 魏相眞漢相위상진한상의 위상을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5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위상(魏相), 2장 믿을 수 없는 일들, 3장 눈 밝으면서도 보지 못하는 자, 4장 마협(馬頰)과 우수(牛首), 5장 잠은(潛隱), 6장 오경(五經)과 원경(元經), 7장 철인(喆人), 8장 효자 오흠(吳欽), 9장 배하(裴嘉)와 설방사(薛方士), 10장 원경(元經)과 황극(皇極), 11장 신기(神器)가 귀착하는 곳, 12장 황권(皇權), 13 어하(御河)의 공사, 14장 주례(周禮), 15장 천명(天命)에 따라, 16장 장현소(張玄素)의 예(禮)에 대한 질문, 17장 군자의 달변, 18장 참언과 아첨, 19장 남의 어려움을 들으면, 20장 부지런한 자, 21장 풍년이 들지 않고, 22장 황공(黃公)과 후생(侯生), 23장 소하(蕭何)와 장량(張良), 24장 강도(江都)의 변고, 25장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 26장 십이책(十二策), 27장 우세기(虞世基), 28장 잡학(雜學), 29장 지(智), 인(仁), 의(義), 30장 원경(元經)의 전단(專斷), 31장 살아 가면서의 예(禮), 32장 혼례(婚禮)에 대한 글, 33장 찬역(贊易)의 관괘(觀卦), 34장 진현(進賢), 35장 설원(說苑), 36장 용문관(龍門關)에서, 37장 구장(仇璋), 38장 관생(關生)과 곽생(霍生), 39장 위선일지라도, 40장 벽옥(璧玉)으로 맞이한다 해도, 41장 삼유(三有)와 칠무(七無), 42장 군자와 소인, 43장 실천하기 쉬운 말, 44장 군자의 다툼, 45장 성인과 천지, 46장 하늘과 땅 사이, 47장 본성을 잃은 자, 48장 엄자릉(嚴子陵)과 이주영(爾朱榮), 49장 불꽃과 물길, 50장 박괘(剝卦), 51장 설원(說苑), 52장 군자는 도를 즐기고, 53장 도란 실천하기 어려운 것, 54장 곧게 살아라, 55장 아랫사람의 입장, 56장 낙연후소(樂然後笑), 57장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 등의 내용이다.
9권 〈입명편(立命篇)〉: 본편은 첫 구절 명지입야, 기칭인사호(命之立也), 其稱人事乎!의 입명을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2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복은 구하면 얻을 수 있는 것, 2장 옥을 찬 사람, 3장 역자이교(易子而敎), 4장 구신(具臣), 5장 안자(顔子), 6장 동상(董常)의 어짊, 7장 공정(孔庭)의 법, 8장 시(詩)와 예(禮)의 선후, 9장 덕경어재(德輕於才), 10 치란(治亂)과 길흉(吉凶), 11장 고구려 정벌, 12장 오교삼흔(五交三釁), 13장 충성과 양보, 14장 두여회(杜如晦)의 정치에 대해 질문, 15장 각 시기의 특징, 16장 부이교지(富而敎之), 17장 본성과 감정, 18장 역(易)에서의 성(性), 19장 도연명(陶淵明), 20장 원한과 즐거움, 21장 삼재(三才), 22장 천신(天神)과 인귀(人鬼), 23장 활쏘기, 24장 기덕배의(棄德背義), 25장 복종, 26장 정화(政化), 27장 계시(繼時) 등의 내용이다.
10권 〈관랑편(關朗篇)〉: 본편은 첫 구절 혹문관랑(或問關朗)의 관랑을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총 31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관랑(關朗), 2장 중원(中原)과 사이(四夷), 3장 사라진 시(詩), 4장 가난에 시달린 요의(姚義), 5장 이언(邇言), 6장 왕규(王珪), 7장 의사(議事), 8장 진(陳)나라 평정, 9장 속서(續書)와 원경(元經), 10장 동정(動靜), 11장 네 가지 재앙, 12장 관례(冠禮)를 치른 다음에야, 13장 중장자광(仲長子光)의 정치관, 14장 도를 알지 못하면, 15장 정전제(井田制), 16장 집기중(執其中), 17장 진(秦)나라가 망한 이유, 18장 은거(隱居)의 참뜻, 19장 중고(中古) 시대, 20장 도(道)의 요지(要旨), 21장 양한(兩漢)의 제도, 22장 김매고 북돋우면 풍년이 오겠지, 23장 인(仁)을 주창한 이유, 24장 위영(魏永), 25장 학문의 전수, 26장 왕응(王凝)의 자술, 27장 태원부군(太原府君)의 유훈, 28장 태원부군(太原府君)의 걱정, 29장 문중자의 유훈, 30장 보탬이 되지 않을 수 없으리, 31장 명철한 자를 기다리며 등의 내용이다.

5. 가치와 영향

왕통은 중국 사회가 분열에서 통일로 가는 시기에 유학의 기치를 치켜세웠던 석유(碩儒)이다. 그의 《속육경(續六經)》이 완성된 후에 명성이 자자해지자 학자들이 몰려들어 성황을 이루었으므로 ‘하분문하(河汾門下)’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문하생이 천여 명에 달하였고 많은 친구, 명사들과 교분을 쌓았다. 그중에서 문하생 설수(薛收), 온언박(温彦博), 두엄(杜淹), 방현령(房玄齡), 위정(魏征), 왕규(王珪), 두여회(杜如晦), 이정(李靖), 진숙달(陳叔達)은 수당 시기의 중요한 인물들이다. 왕통은 여러 분야의 인재들을 배출하여 사회의 안정된 발전과 학술번영에 새로운 내용의 유학 이론을 제공했다.
왕통은 ‘왕좌지도(王佐之道)’를 교육의 소임으로 삼았다. 위진 시기의 동란과 유학의 쇠퇴 이후, 그가 진작시켰던 공학(孔學)이 수당 시기에 회복되어 더욱더 발전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그가 죽은 이후에 제자들이 그를 ‘지인(至人)’으로 받들었고 왕공자(王孔子) 혹은 문중자(文中子)라고 칭했으며 후세에 와서 ‘하분도통(河汾道統)’이라는 영예를 얻게 되었다. 이로써 수당시기 유학의 변혁과 발전에서 그가 얼마나 중요한 역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왕통의 강론에는 가치 있는 사상과 주장이 많다. 자연관에서 그는 한대 동중서(董仲舒)를 대표하는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과 이후의 참위신학(讖緯神學)에 대하여 비난하면서 한대 이래 신격화된 유학을 어느 정도 이학(理學)으로 전환시켰다. 역사관에서 그는 도(道)의 주재를 천(天)의 주재로 대체시켜 이학의 천리사관(天理史觀)을 정립했다. 논리학에서 그는 궁리진성(窮理盡性)과 주정(主静)이라는 수양방법을 제기하여 당대의 유학, 특히 송대 이학의 중요한 개념의 범주와 학문 및 수양방법의 선례를 열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만약 누가 질문하면 나는 대답하고 아무도 질문하지 않으면 나는 나의 주장을 진술하겠다.[問則對 不問則述]” 〈위상편(魏相篇)〉
• “옛날의 법칙으로 오늘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 아직 더 있습니까?[執古以御今之有乎]” 〈예악편(禮樂篇)〉
• “君子는 도에 대하여 죽은 후에나 그만둔다.[君子之于道也 死而後已]” 〈위상편(魏相篇)〉
• “인품과 덕성이 고상한 사람이 친구를 사귀면 먼저 고른 후에 교제하고 소인이 친구를 사귀면 먼저 오래된 친구처럼 친하게 한 후에 자신이 필요한 사람을 고른다.[君子先擇而後交 小人先效而後擇]” 〈위상편(魏相篇)〉
• “이익을 보면 서로 양보를 하고 인의를 들으면 서로 하려고 하며 잘못이 있으면 서로 고치려고 한다.[見利爭讓 問義爭爲 有不善爭改]” 〈위상편(魏相篇)〉
• “말을 많이 하는 사람과는 깊은 이야기를 해서는 안 되고 변화가 심한 사람과는 오랫동안 같이 해서는 안 된다.[多言不可與遠謀 多動不可與久處]” 〈위상편(魏相篇)〉
• “가까운 곳에 기거하지만 먼 곳의 일까지 알 수 있고 오늘에 처해 있지만, 고대의 일까지 알 수 있는 것은 공부해야지 만이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居近識遠 處今知古 惟學矣乎]” 〈예악편(禮樂篇)〉
• “천하에 도가 있을 때 성인은 숨는다. 천하에 도가 없을 때 성인은 나와 도를 드러낸다.[天下有道 聖人藏焉 天下無道 聖人彰焉]” 〈술사편(述史篇)〉
(2) 색인어:왕통(王通), 유학(儒學), 중설(中說), 문중자중설(文中子中說), 문중자(文中子), 하분도통(河汾道統), 삼교가일(三教可一)
(3) 참고문헌
• 文中子中說(王通(隋), 上海古籍出版社)
• 十三經注疏, 詩經, 臺灣藝文印書館, 1985年 12月
• 文苑英華(李昉(宋), 大化書局, 臺灣
• 經學歷史(皮錫瑞(淸), 藝文印書館, 臺灣)
• 中國經學史(本田成之(日本), 廣文書局, 臺灣)
• 中國學術思想變遷之大勢(梁啓超, 廣文書國, 臺灣)
• 經學槪論(楊成孚, 南開大學出版社)
• 群經要義(陳克明, 東方出版社)
• 中國哲學史稿(孫叔平, 上海人民出版社)
• 王通論(尹協理‧魏明, 中國社會科學出版社)

【양승덕】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