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남송(南宋) 소희(紹熙) 연간에 황당(黃唐)에 의해 처음 합각(合刻)된 이래로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의 명칭이 생겨났다. 십삼경(十三經)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주례(周禮)》, 《의례(儀禮)》, 《예기(禮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춘추곡량전(春秋穀粱傳)〉, 《춘추좌씨전(春秋左氏戰)》, 《논어(論語)》, 《이아(爾雅)》, 《효경(孝經)》, 《맹자(孟子)》 모두 13종이며, 이에 대한 주(注)와 소(疏)를 모아놓은 십삼경주소는 모두 416권으로 되어 있다.
2. 저자
(1)성명:정현(鄭玄)(127~200), 하휴(何休)(129~182), 공안국(孔安國)(?~?), 조기(趙岐)(108~201), 하안(何晏)(193~249), 왕필(王弼)(226~249), 한강백(韓康伯)(?~?), 두예(杜預)(222~284), 범녕(范甯)(339~401), 곽박(郭璞)(276~324) 공영달(孔穎達)(574~648), 가공언(賈公彦)(?~?), 서언(徐彦)(?~?), 양사훈(楊士勛)(?~?), 이융기(李隆基)(685~762), 형병(邢昺)(932~1011), 손석(孫奭)(962~1033)
(2)자(字)·별호(別號):정현의 자는 강성(康成), 하휴의 자는 소공(邵公), 공안국의 자는 자국(子國), 조기의 자는 빈경(邠卿), 하안의 자는 평숙(平叔), 왕필의 자는 보사(輔嗣)이다. 한강백은 본명이 백(伯)이고 자는 강백(康伯)으로 주로 자로 칭하였다. 두예의 자는 원개(元凱), 범녕의 자는 무자(武子), 곽박의 자는 경순(景純), 공영달의 자는 충원(冲遠)이다. 이융기(李隆基)(685~762)는 당(唐)나라 황제로 묘호는 현종(玄宗)이다. 형병의 자는 숙명(叔明), 손석의 자는 종고(宗古)이다.
(3)출생지역:정현은 북해(北海) 고밀(高密)(현 중국 산동성(山東省)), 하휴는 임성(任城) 번현(樊縣)(현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 공안국은 현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 조기는 경조(京兆) 장릉(長陵)(현 섬서성(陝西省) 함양(咸陽)), 하안은 완(宛)(현 하남성(河南省) 남양(南陽)), 왕필은 산양(山陽) 고평(高平)(현 산동성(山東省) 금향(金鄕)), 한강백은 영천(潁川) 장사(長社), 두예는 경조(京兆) 두릉(杜陵)(현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 범녕은 순양(順陽)(현 하남성(河南省) 석천(淅川)), 곽박은 현 산서성(山西省) 문희(聞喜), 공영달은 기주(冀州) 형수(衡水)(현 하북성(河北省)), 가공언은 명주(洺州) 영년(永年)(현 하북성(河北省)), 형병은 조주(曹州) 제음(濟陰)(현 산동성(山東省)), 손석은 박주(博州) 박평(博平)(현 산동성(山東省) 임평(荏平))이다.
(4)주요활동과 생애
정현은 후한(後漢)의 경학가로 한대(漢代) 금문경학과 고문경학의 논쟁을 종합하여 집대성하였는데, 고문경학을 위주로 하고 아울러 금문경학을 취하였다.
하휴는 후한(後漢)의 경학가로 금문경학을 집대성하였으며, 고문경학을 반대하였다.
공안국은 전한(前漢)의 경학가이며 공자의 11대손이다. 공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고문으로 된 《상서》, 《논어》, 《효경》 등을 얻었다. 고문학을 주장하였다.
조기 역시 후한(後漢)의 경학가이다. 마융(馬融)의 형의 딸에게 장가들어 마융에게 《주례》에 대해 묻기도 했다. 당시 학풍과 달리 《논어》와 《맹자》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하안은 삼국 시대 위(魏)의 경학가로 현학(玄學)을 일으킨 인물이다. 노장사상을 근간으로 경전을 해석하여 경학을 현학화하였다.
왕필은 삼국시대 위(魏)의 경학가로 노장학에 심취하였으며 하안 등의 노장학자들과 교유하였다. 의리학(義理學)을 제창하여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
한강백은 진(晉)나라의 경학가로 〈계사전(繫辭傳)〉을 비롯한 십익(十翼)에 주(注)를 붙여 《주역주(周易注)》를 지었다.
두예는 서진(西晋)의 경학가로 여러 전투에서 전공(戰功)도 높았다. 특히 《춘추》 연구에 밝았다.
범녕은 동진(東晋)의 경학가로 당시 성행하던 왕필, 하안의 현학(玄學)에 반대하였다.
곽박은 동진(東晉)의 경학가로 천문, 고문기자(古文奇字), 복서술(卜筮術), 시부(詩賦)에 밝았다.
공영달은 당나라 건국 후 국자박사(國子博士)와 국자좨주(國子祭酒) 등을 역임했다. 당 태종의 명을 받아 《오경정의(五經正義)》를 찬술하였다.
가공언은 당나라 경학가로 삼례(三禮)에 밝았던 장사형(張士衡)에게 수학하였다. 예학(禮學)에 정통하여 공영달(孔潁達) 등과 《예기정의(禮記正義)》 편찬에도 참여했다.
서언은 당대(唐代) 인물이라고도 하고, 북위(北魏)의 서준명(徐遵明)이라고도 하나 자세하지 않다. 양사훈은 당나라 초 경학가로 생애가 자세하지 않다.
이륭기는 당(唐)나라 6대 황제인 현종(玄宗)으로 《효경(孝經)》에 직접 주를 달았다.
형병은 북송 때 경학가로 삼례(三禮)·삼전(三傳)·《효경(孝經)》·《논어(論語)》·《이아(爾雅)》 등의 의소(義疏)를 교정하였고, 송나라 진종에게 《효경》·《예기》·《논어》·《춘추좌씨전》 등을 강론하였다.
손석은 북송 때 경학가이다. 황제의 칙명으로 형병(邢昺), 두호(杜鎬) 등과 함께 제경정의(諸經正義)와 《장자》 및 《이아》의 석문(釋文)을 교정하고, 《상서》·《효경》·《논어》·《이아》 등을 고정(考正)하였다. 또한 조기(趙岐)의 《맹자주(孟子注)》를 교정하고, 육덕명(陸德明)의 《경전석문(經典釋文)》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였다.
(5)주요저작
정현의 저작에는 《천문칠정론(天文七政論)》, 《노예체협의(魯禮禘祫義)》, 《육예론(六藝論)》, 《모시보(毛詩譜)》, 《박허신오경이의(駁許愼五經異義)》, 《발공양묵수(發公羊墨守)》, 《기곡량폐질(起穀粱廢疾)》, 《정지(鄭志)》 등이 있다. 하휴의 저작에는 《공양묵수(公羊墨守)》, 《좌씨고육(左氏膏育)》, 《곡량폐질(穀粱廢疾)》 등이 있다. 조기의 저작에는 《맹자장구(孟子章句)》, 《삼보결록(三輔決錄)》 등이 있다. 하안의 저작에는 《논어집해(論語集解)》, 《도덕론(道德論)》, 《무명론(無名論)》 등이 있다. 왕필의 저작에는 《주역주(周易注)》, 《주역약례(周易略例)》, 《노자지략(老子指略)》, 《노자도덕경주(老子道德經注)》, 《논어석의(論語釋疑)》 등이 있다. 한강백의 저작에는 《주역주(周易注)》가 있다. 두예의 저작에는 《춘추좌씨경전집해(春秋左氏經傳集解)》, 《춘추석례(春秋釋例)》, 《춘추장력(春秋長歷)》 등이 있다. 범녕의 저작에는 《춘추곡량전집해(春秋穀粱傳集解)》 등이 있다. 곽박의 저작에는 《이아주(爾雅注)》, 《삼창주(三蒼注)》, 《방언주(方言注)》, 《산해경주(山海經注)》, 《도찬(圖贊)》, 《목천자전주(穆天子傳注)》, 《수경주(水經注)》, 《주역동림(周易洞林)》, 《초사주(楚辭注)》 등이 있다. 공영달의 저작에는 《오경정의(五經正義)》가 있다. 가공언의 저작에는 《주례의소(周禮義疏)》, 《의례의소(儀禮義疏)》 등이 있다. 서언의 저작으로는 《춘추공양전소(春秋公羊傳疏)》가 있다. 양사훈의 저작에는 《춘추곡량전소(春秋穀粱傳疏)》 등이 있다. 형병의 저작에는 《논어정의(論語正義)》, 《이아정의(爾雅正義)》, 《이아의소(爾雅義疏)》, 《효경정의(孝經正義)》 등이 있다. 손석의 저작에는 《경전휘언(經典徽言)》, 《오경절해(五經節解)》, 《오복제도(五服制度)》 등이 있었으나 전해지지 않으며, 현재 《맹자음의(孟子音義)》, 《맹자소(孟子疏)》가 전하는데 주희는 《맹자소》가 손석의 저술이 아님을 고증하였다.
3. 서지사항
십삼경주소는 한대(漢代), 위진(魏晉) 시기의 학자들이 저술한 고주(古注)에다 당대(唐代) 공영달(孔穎達)의 소(疏)가 합쳐진 《오경정의(五經正義)》와 송대(宋代) 학자들의 소(疏)가 합쳐져 완성되었다. 《오경정의(五經正義)》는 《주역정의(周易正義)》(왕필(王弼)과 한강백(韓康伯)의 주(注)) 10권, 《상서정의(尙書正義)》(공안국(孔安國)의 전(傳)) 20권, 《모시정의(毛詩正義)》(모형(毛亨)의 전(傳)과 정현(鄭玄)의 전(箋)) 70권, 《예기정의(禮記正義)》(정현(鄭玄)의 주(注)) 63권, 《춘추좌전정의(春秋左傳正義)》(두예(杜預)의 집해(集解)) 60권이다.
여기에 당(唐)의 가공언(賈公彦)이 《주례주소(周禮注疏)》(정현(鄭玄)의 주(注)) 42권, 《의례주소(儀禮注疏)》(정현(鄭玄)의 주(注)) 50권을 찬술하였고, 서언(徐彦)이 《춘추공양전주소(春秋公羊傳注疏)》(하휴(何休)의 해고(解詁)) 28권을 찬하였으며, 양사훈(楊士勛)이 《춘추곡량전주소(春秋穀粱傳注疏)》(범녕(范甯)의 집해(集解)) 20권을 찬함으로써 9경이 갖추어졌다.
송(宋)에 이르러 형병(邢昺)이 《효경주소(孝經注疏)》(당(唐) 현종(玄宗) 어주(御注)) 9권, 《논어주소(論語注疏)》(하안(何晏)의 집해(集解)) 20권, 《이아주소(爾雅注疏)》(곽박(郭璞)의 주(注)) 10권을 찬하였으며, 손석이 《맹자주소(孟子注疏)》(조기(趙岐)의 주(注)) 14권을 찬함으로써 13경의 주소가 모두 갖추어졌다.
청나라 때 완원(阮元)이 여러 판각들을 참조하여 《십삼경주소교감기(十三經注疏校勘記)》를 만들었는데, 이 교각본(校刻本)이 가장 신뢰할 만한 판본으로 인정받고 있다.
4. 내용
‘십삼경(十三經)’은 이른바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비롯하여 경전으로 존중 받는 주요 문헌의 총칭으로 중국 고대의 왕조 주나라 초기부터 기록되기 시작한 《시경》과 《서경》을 필두로 《주역》·《주례》·《의례》·《예기》·《춘추공양전》·《춘추곡량전》·《춘추좌씨전》·《논어》·《이아》·《효경》·《맹자》를 포함하는 총 13종의 유가 문헌이다.
한대(漢代)에 《시》·《서》·《역》·《예기》·《춘추》의 오경(五經)이 국학(國學)으로 채택되었는데, 당대(唐代)에 와서 태종(太宗)이 공영달(孔穎達)에게 오경에 대한 주(注)와 소(疏)를 모아 편찬하도록 명하여 《오경정의(五經正義)》가 간행되었다. 여기에 예(禮)에 삼례(三禮)가, 춘추(春秋)에 삼전(三傳)이 정비되어 구경(九經)체제로 변화하였다. 송대(宋代)에는 형병(邢昺)이 진종(眞宗) 함평(咸平) 3년(1000)에 《효경주소(孝經注疏)》와 《논어주소(論語注疏)》, 《이아주소(爾雅注疏)》를 찬술하고, 손석(孫奭)이 《맹자정의(孟子正義)》를 찬술하여 구경(九經)에 사경(四經)이 붙여진 십삼경(十三經) 체제가 완성되었다. 이때부터 십삼경은 주소본(注疏本)을 포함하여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로 일컬어졌고, 원(元)·명(明)을 거치면서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5. 가치와 영향
십삼경으로 대표되는 유가 경전에 대한 관심은 중국 고대부터 존재하였다. 한당(漢唐)의 경학(經學)을 중심으로 한 십삼경주소는 남송(南宋) 주희(朱熹)의 신주(新注)가 부상하면서 주류 학술의 자리를 내주게 되지만 여전히 경전 해석에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축으로 존재하였고, 이후 청대(淸代) 한학(漢學)이 부활하면서 다시 주목받았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에서는 태학(太學)에서 기본교과로 채택하였고, 백제(百濟)에서도 오경박사(五經博士) 제도를 두었다. 신라(新羅)에서는 설총(薛聰)이 방언(方言)으로 구경(九經)을 읽었으며, 통일신라(統一新羅)에 들어와 원성왕(元聖王) 때 인재임용제도였던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에서 《춘추(春秋)》, 《예기(禮記)》, 《논어(論語)》, 《효경(孝經)》 등을 과목으로 채택하였다. 고려(高麗)에서도 국자감(國子監)뿐 아니라 최충(崔冲)의 구재학당(九齋學堂) 등 사학(私學)에서도 구경(九經)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이 시행되었다. 또 유교(儒敎)를 국시(國是)로 하는 조선(朝鮮)에서는 성균관(成均館)과 향교(鄕校)를 중심으로 사서오경(四書五經)이 널리 읽혔으며, 서원(書院)이 건립되면서부터는 각 지방의 대다수 지식인들이 탐독하여 독자적인 주석서를 남기기도 하였다.
6. 참고사항
(1)명언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더불어 말할 만한데 함께 말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는 것이요, 더불어 말할 만하지 않은데 함께 말하면 말을 잃는 것이니, 지혜로운 자는 사람을 잃지 않으며, 또한 말을 잃지 않는다.’[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 失人 不可與言而與之言 失言 知者 不失人 亦不失言]”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 “지금 제가(諸家)의 설(說) 중에 타당한 것만을 채집(採集)하여 그 성명을 기록하고, 타당하지 못한 것이 있으면 상당히 많이 고치고서 책명을 《논어집해(論語集解)》라 하였다.[今集諸家之善 記其姓名 有不安者 頗爲改易 名曰論語集解]” 《논어주소(論語注疏)》 〈논어주소해경서(論語注疏解經序) 서해(序解)〉
• “선비들이 독서하는 것은 마땅히 경학에서부터 시작해야 하고, 경학은 마땅히 주소(注疏)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士人讀書 當從經學始 經學 當從注疏始]” 완원(阮元) 〈중각송판주소총목록(重刻宋板注疏總目錄)〉
(2)색인어: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십삼경(十三經), 오경정의(五經正義), 경학(經學), 공영달(孔穎達), 완원(阮元)
(3)참고문헌
• 十三經槪論(蔣伯潛, 上海古籍出版社)
• 十三經注疏 附校勘記(阮元 校刻, 中華書局)
• 十三經注疏 標点本(十三經注疏整理委員會, 北京大學出版社)
• 十三經注疏 整理本(十三經注疏整理委員會, 北京大學出版社)
• 경학개설:중국 고전 13경 해제(何耿鏞 저, 장영백 외 역해)
• 유학의 경서와 학적 전통(이경무, 범한철학)
【이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