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청대(淸代)에 이르기까지의 고문(古文)과 사부(詞賦) 총 722편을 선별하고 문체에 따라 구분하여 엮은 책이다. 청(淸)나라 동성파(桐城派) 문인 요내(姚鼐)가 건륭(乾隆) 44년(1779)에 편찬한 것으로, 총 7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양한(兩漢)의 문장가,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명(明)나라의 귀유광(歸有光)과 청(淸)나라의 방포(方苞)·유대괴(劉大櫆) 등 고문에 중점을 두고 문장을 선별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동성파의 이론을 엄수하여 변려문(騈儷文)·경전(經典)의 문장·제자백가(諸子百家) 등의 글을 싣지 않았다. 《고문사류찬》의 산문 분류는 한문 산문을 분류하는 중요한 하나의 기준으로 지금도 적용되고 있다. 동성파는 중국 청나라 때 고문(古文)의 한 유파로, 당송팔대가의 문장을 모범으로 삼아 간결하고 꾸밈이 없으며 격조 높은 산문 문체를 확립하였다. 방포(方苞)·유대괴(劉大櫆)·요내(姚鼐)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인데, 이들이 모두 안휘성(安徽省)의 동성현(桐城縣) 출신이므로 ‘동성파’라 부른다.2. 편자
(1)성명:요내(姚鼐)(1732~1815)3. 서지사항
‘고문사(古文辭)’는 옛 글에 쓰인 말이라는 의미로, ‘고문(古文)’이라고도 한다. 고문은 선진양한(先秦兩漢) 이래 문언(文言)으로 쓴 산문(散文)을 지칭하는 말이다. 위진시대(魏晉時代)의 화려한 수식을 위주로 지어진 변려문(騈儷文)을 ‘시문(時文)’, 즉 당시에 유행하는 문장이라고 부른 것에 대응하기 위해 쓰인 명칭으로, 수식이나 기교보다는 ‘문장의 의미를 전달하는데 충실한 문장’이라는 뜻이며, 누구나 모범으로 삼아야 할 문장이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유찬(類纂)’은 ‘종류별로 분류해 모았다.’는 뜻이다. 따라서 《고문사류찬》은 ‘고문의 훌륭한 글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묶은 책’이라는 말이 된다.4. 내용
권1~권5까지는 논변류(論辯類)에 속하는 글 64편이다. 논변류는 사리를 분석하고 시비를 변별하는 문장이다. 권6~권10까지는 서발류(序跋類)에 속하는 글 57편이다. 서발류는 문장이나 서적의 소개, 저작의 동기나 경위를 설명하는 글이다. 권11~권23까지는 주의류(奏議類)에 속하는 글 83편이다. 주의류는 고대 조정에서 신하가 군왕에게 정무를 아뢰는 공문이다. 권24~권30까지는 서세류(書說類)에 속하는 글 85편이다. 서세류는 편지와 전국시대 유세객들이 열국(列國)을 주유하면서 유세한 글이다. 권31~권33까지는 증서류(贈序類)에 속하는 글 53편이다. 증서류는 이별에 임하여서 지어주는 글이다. 권34~권36까지는 조령류(詔令類)에 속하는 글 36편이다. 조령류는 고대 제왕(帝王)이 널리 알리는 글이다. 권37~권38까지는 전장류(傳狀類)에 속하는 글 18편이다. 전장류는 한 사람의 일대기를 기록한 전(傳)과 행장(行狀)을 말한다. 권39~권59까지는 비지류(碑誌類)에 속하는 글 109편이다. 비지류는 이미 죽은 사람의 일생과 공적을 서술하여 비석에 새기는 글이다. 권51~권58까지는 잡기류(雜記類)에 속하는 글 76편이다. 잡기류는 비지류와 유사한데 비지류가 공덕을 칭찬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면 잡기류는 크고 작은 일을 기록하는데 주안점을 두는 글이다. 권59는 잠명류(箴銘類)에 속하는 글 9편이다. 잠명류는 남이나 자신을 규계(規戒)하기 위해 지은 글이다. 권60은 송찬류(頌讚類)에 속하는 글 6편이다. 송찬류는 찬양하는 글이지만 비석에 새기지는 않는 글이다. 권61~권71까지는 사부류(辭賦類)에 속하는 글 65편이다. 사부류는 산문과 운문의 중간 형태를 띠는 글이다. 권72~권74까지는 애제류(哀祭類)에 속하는 글 48편이다. 애제류는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글로 슬픔을 극진히 드러내는데 주안점을 두는 글이다.5. 가치와 영향
《고문사류찬》이 끼친 가장 중요한 영향은 청나라 이전에 복잡하게 세분화되었던 문장의 종류를 13종류로 재분류하여 간편하게 정리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 분류 자체가 명칭의 혼동·내용상 분류의 애매성 등으로 지적을 받기도 하지만, 나름대로의 합리성을 가지고 있어 간행이후 지금까지도 문장 분류의 중요한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울러 광범위한 자료에서 문장을 선별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과정이 대단히 정밀하다고 평가되며, 요내가 직접 붙이거나 인용한 주석과 평점 역시 귀중한 성과들이 많다. 따라서 《사기(史記)》·《한서(漢書)》·《전국책(戰國策)》·《초사(楚辭)》 및 이후 산문 작가들의 문장을 교감하고 주석하는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훌륭한 참고서가 된다.6. 참고사항
(1)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