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송(宋)나라 때까지의 한시(漢詩)와 산문(散文)들을 뽑아 분류한 책으로 전집(前集)과 후집(後集)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전집은 시이고, 후집은 산문이다. 원래 제목은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이다. 편찬자 및 편찬시기와 과정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일본판(日本板)에 실린 정본(鄭本)의 서(序)와 청려재(靑藜齋)의 발(跋)에는 송나라 말기의 학자인 황견(黃堅)이 편찬하였고, 원(元)나라의 임정(林楨)이 교정(校正)과 주해(註解)를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 시대의 다양한 문체로 쓰인 훌륭한 시와 산문이 수록되어 있어 문장 학습서로 널리 보급되었다. 14세기 무렵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래 널리 애독되고 간행되었으며, 언해본(諺解本)과 현토본(懸吐本)까지 나올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2. 편자

미상(未詳). 송(宋)나라 말의 학자 황견(黃堅)으로 추정된다.

3. 서지사항

《고문진보(古文眞寶)》에서 ‘고문(古文)’은 선진양한(先秦兩漢) 이래 문언(文言)으로 쓴 산문(散文)을 지칭하는 말이다. 위진시대(魏晉時代)의 화려한 수식을 위주로 지어진 변려문(騈儷文)을 ‘시문(時文)’, 즉 당시에 유행하는 문장이라고 부른 것에 대응하기 위해 쓰인 명칭으로, 수식이나 기교보다는 ‘문장의 의미를 전달하는데 충실한 문장’이라는 뜻이며, ‘누구나 모범으로 삼아야 할 문장’이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진보(眞寶)’는 ‘참다운 보배’라는 뜻이다. 따라서 《고문진보》는 ‘고문의 참다운 보배’라는 뜻이 된다.
현재 널리 통행하는 《고문진보》는 전집(全集) 12권, 후집(後集) 10권, 부록(附錄)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전집에는 시, 후집에는 산문이 실려 있으며, 부록에는 사방득(謝枋得)의 《문장궤범(文章軌範)》이 덧붙여져 있다. 전집의 제일 첫머리에는 송나라의 황제와 문인들의 〈권학문(勸學文)〉을 실어 문장을 익히되 학문이 우선되어야 함을 보여준 것이 특색이다.
《고문진보》는 중국에서 간행되었으나 오히려 중국보다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더욱 많이 애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차례 중간(重刊)되었는데, 고려(高麗) 말 전록생(田祿生)이 최초로 《고문진보》를 들여와 간행하였고, 조선(朝鮮)에는 1420년(세종2), 1452년(문종2), 1612년(광해군4)‚ 1803년(순조3)에 간행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또 《고문진보》의 학습을 위해 《고문진본언해(古文眞寶諺解)》, 《현토비지고문진보(懸吐備旨古文眞寶)》 등이 간행되었다.

4. 내용

전집(前集)에는 시(詩)가 총 228제(題) 244수(首)‚ 사(辭) 1편이 실려 있다. 권1은 권학문(勸學文) 8제 8수‚ 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 40제 42수이다. 권2~3은 오언고풍단편(五言古風短篇) 50제 55수‚ 권4~6은 칠언고풍단편(七言古風短篇) 57제 57수‚ 권7은 장단구(長短句) 19제 20수‚ 권8은 가류(歌類) 16제 16수‚ 권9는 가류(歌類) 9제 14수‚ 권10은 행류(行類) 10제 10수‚ 권11은 행류(行類) 13제 13수‚ 권12는 음류(吟類) 3제 3수‚ 인류(引類) 3제 3수‚ 곡류(曲類) 3제 6수‚ 사(辭) 1편이 수록되어 있다.
후집(後集)은 권1에 〈이소경(離騷經)〉 등 14편‚ 권2에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등 15편‚ 권3에 〈평회서비(平淮西碑)〉 등 11편‚ 권4에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 등 11편‚ 권5에 〈창려문집서(昌黎文集序)〉 등 14편‚ 권6에 〈대루원기(待漏院記)〉 등 14편‚ 권7에 〈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등 11편‚ 권8에 〈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등 8편‚ 권9에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 등 11편‚ 권10에 〈송진소장서(送秦少章序)〉 등 21편‚ 도합 130편이 실려 있다.
전집에 수록된 시는 근체시(近體詩)가 아닌 고시(古詩) 위주로 선별했고, 후집의 산문은 육조시대(六朝時代)에 유행했던 변문(騈文)이 아닌 이른바 고문(古文) 위주로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이는 청려재(靑藜齋)의 발문에 드러나듯, 이 책의 글을 읽고 배움으로써 선진(先秦)과 양한(兩漢)의 건강하고 질박한 문체를 회복하자는 의도가 담긴 것이다.

5. 가치와 영향

《고문진보》는 중국에서 간행되었으나 오히려 중국보다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더욱 많이 애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차례 중간(重刊)되었는데, 고려(高麗) 말 전록생(田祿生)이 최초로 《고문진보》를 들여와 간행하였고, 조선(朝鮮)에는 1420년(세종2), 1452년(문종2), 1612년(광해군4)‚ 1803년(순조3)에 간행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국가 차원에서 학자들에게 《고문진보》를 하사한 기록이 많이 보인다. 《선조실록(宣祖實錄)》에 선조가 율곡(栗谷) 이이(李珥)에게 “그대의 문장을 보니 매우 좋은데, 젊었을 때 문장을 익힌 적이 있는가?”라고 묻자, 율곡은 “한유(韓愈)의 문장과 《고문진보》와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을 읽은 적이 있을 뿐입니다.”라고 대답한 대목도 있다. 또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사칠논쟁(四七論爭)을 벌인 것으로 유명한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은 자신을 경계한 글인 〈자경설(自警說)〉에서 “《고문진보》 전집(前集)을 읽고 또 고부(古賦)를 읽고는 끊이지 않고 줄줄 외웠는데, 그때가 무술년(1538)이었다.……《고문진보》 후집(後集)을 수백 번 읽고 나니 때는 7월이었다. 그대로 이듬해 10월까지 읽어 마치고 나니, 기해년(1539)이었다.”라고 술회하였다. 시문의 창작보다는 학문에 매진했던 학자들까지 《고문진보》를 읽었음을 볼 때 나머지 문인들은 말할 필요조차 없으며, 지금까지도 한문(漢文)에 입문한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로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문진보》의 학습을 위해 《고문진본언해(古文眞寶諺解)》, 《현토비지고문진보(懸吐備旨古文眞寶)》 등이 간행되었다.

6. 참고사항

(1)명언
• “밭이 있으나 갈지 않으면 곳간이 텅 비고, 책이 있으나 가르치지 않으면 자손이 어리석어진다.[有田不耕倉廩虛 有書不敎子孫愚]” 백거이(白居易) 〈권학문(勸學文)〉
• “부모가 자식을 기르기만 하고 가르치지 않는다면 이는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父母養其子而不敎 是不愛其子也]” 유영(柳泳) 〈권학문(勸學文)〉
• “오늘 배우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고, 금년에 배우지 않고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주희(朱熹) 〈권학문(勸學文)〉
• “천하의 걱정거리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먼저 걱정하고 천하의 즐거운 일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뒤에 즐긴다.[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 범중엄(范仲淹) 〈악양루기(岳陽樓記)〉
(2)색인어:고문진보(古文眞寶), 황견(黃堅), 전집(前集), 후집(後集), 고문(古文),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고문진본언해(古文眞寶諺解), 현토비지고문진보(懸吐備旨古文眞寶)
(3)참고문헌
• 古文眞寶 後集(성백효 譯註, 전통문화연구회)
•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어학해제〉(김남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국내 《古文眞寶》의 연구 개황과 문제점〉(강찬수, 《中國語文論叢》39)
• 〈《古文眞寶》의 편찬과 그 유전 양상〉(강찬수, 《중국문학연구》33)
• 〈중국각본 《古文眞寶》에 대한 연구〉(강찬수, 《중국문학연구》32)
• 〈《상설고문진보대전》 연구〉(정재철, 《한국한문학연구》32)
• 〈《詳說古文眞寶大全》과 《批點古文》 연구〉(김윤수, 《중국어문학》15)
• 〈《고문진보》 選文 淺攷〉(박삼수, 《중국어문학》43)

【이성민】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