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예기(禮記)》는 《시(詩)》·《서(書)》·《역(易)》·《춘추(春秋)》와 함께 오경(五經)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유교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예기》는 본래 두 부(部)가 있었는데 하나는 대덕(戴德)이 수집한 대대례기(大戴禮記) 85편이고, 다른 하나는 대성(戴聖)이 수집한 소대례기(小戴禮記) 49편이다. 현재 십삼경(十三經)의 범주에 속해있는 《예기》는 소대례기로서, 한(漢)나라 정현(鄭玄)의 주(注)와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의 소(疏)를 통해 삼례(三禮)의 권위를 다지게 되었다. 이후 《예기》는 예치(禮治)를 강조하는 유학(儒學)과 접목하여 예학(禮學)이라는 학문적 성과를 이루었는데, 이는 시대를 막론하고 빈번히 발생하였던 예학 논쟁을 통해서 그 중요성 엿볼 수 있다.

2. 저자

(1)성명:대성(戴聖). 한나라 무제(武帝)에서 선제(宣帝) 사이의 인물로 추정된다.
(2)자(字)·별호(別號):자(字)는 차군(次君), 호(號)는 소대(小戴). 대덕(戴德)은 그의 숙부이다.
(3)출생지역:전한(前漢) 양(梁)(현재의 하남성(河南省))
(4)주요활동과 생애
대성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 다만 《한서(漢書)》 〈유림전(儒林傳)〉과 《후한서(後漢書)》 〈유림전(儒林傳)〉의 기록에 의하면, 그는 본래 《의례》 금문(今文)학자로서 후창(后蒼)의 제자였고 선제(宣帝) 시기에 의례박사(儀禮博士) 벼슬을 하였다고 한다. 또한 황제의 명으로 경전과 유학의 문제를 토론하기 위해 개최된 석거각회의(石渠閣會議)에서 박사(博士) 자격으로 참가하였다는 정황으로 미루어볼 때 당대에 이미 저명한 예학가로서 인정받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5)주요저작:미상.

3. 서지사항

대성이 기존의 고례(古禮)를 산삭(刪削)하여 《예기》를 완성하였다는 설은 후대 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비판되어왔다. 《예기》를 완성한 주체가 대성이 아니라는 주장부터 고례가 아닌 대덕의 대대례를 산삭한 것이라는 주장, 최후의 《예기》를 완성한 자는 대성이 아니라는 주장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의혹을 제기한 학자들의 설도 일견 타당한 면이 있지만 그 주장을 입증할 만한 명확한 사료가 발굴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설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무리가 없을 듯하다.
한편 《예기》는 다른 책에서 인용한 내용을 수록해놓은 것이기 때문에 문장 배열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통일성을 찾기 힘들다. 이에 전한(前漢)의 유향(劉向)은 최초로 《예기》 49편을 12류로 분류하여 《예기》를 여러 가지 잡박한 예학 지식의 수용서로 보지 않고 일정한 경향성을 가진 작자들에 의해 전수된 전문적인 예학 저술이라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유향의 시도는 한대 이후 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는데, 일례로 남송(南宋)의 주희(朱熹)도 《예기》의 편목분류를 시도하면서 《예기》의 내부적 구성에만 몰두하던 선례를 벗어나 《의례》·《주례》를 망라하여 예학을 거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희 이후에도 청대에 이르기까지 《예기》의 편목분류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4. 내용

《예기》 49편 가운데 자주 거론되는 몇 편을 소개해보면, 먼저 가장 첫 편인 〈곡례(曲禮)〉를 들 수 있다. 〈곡례〉는 《예기》의 유명한 문장이자 예의 본질을 나타내는 ‘毋不敬’이란 구절로 시작하며, 오륜을 실천하는 예에 대한 설명이 두루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예기》의 다른 편에서 〈곡례〉를 인용하는 문장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곡례〉는 대성의 저술이 아니라 《예기》가 성립하기 전 이미 존재했던 기록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칙(內則)〉은 일상생활에서 지켜야하는 예절을 기록한 편으로 부모를 대하는 자식과 며느리의 자세, 노인을 봉양하는 법, 부부 및 남녀의 유별 등 가족 간의 윤리를 서술하고 있다. 구체적인 윤리실천의 행위가 〈곡례(曲禮)〉에 등장하는 예의범절 내용과 유사한 면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고대 상례(喪禮)의 내용을 기록한 편인 〈단궁(檀弓)〉은 각 문장들 간의 내용이 서로 유기적인 연결 없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편 안에 기재된 내용도 간혹 《예기》에 수록된 다른 편이나 《의례》·《주례》와 상반되기 때문에 일정한 취합의 기준 없이 내용을 나열하였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이는 비단 〈단궁〉편만의 문제는 아니며, 오히려 〈단궁〉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고대 상례에 관한 상세한 기술은 기타 고서적에서 찾아볼 수 없는 중대한 사료임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5. 가치와 영향

대성이 고례를 산삭하여 수집한 《예기》는 정현과 공영달에 의해 주해(註解)되고, 유향을 비롯한 수많은 유학자들에 의해 편목 분류가 시도되는 등 중국 예학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조선에서도 《예기》는 주해본과 함께 두루 읽혔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자가례(朱子家禮)》·《의례(儀禮)》 등과 함께 예설(禮說)의 근거로 다수 인용되었다. 특히 원(元)나라 진호(陳澔)의 《예기집설》에 여러 학자들의 주석을 채록하여 명대(明代) 호광(胡廣) 등이 편찬한 《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 30권이 조선에서 크게 유행하였고, 최초의 주해서로 권근(權近)의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이 15세기 초에 등장하였다. 또한 세종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이 편찬되어 《예기》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졌고, 조선후기 김재로(金在魯)가 《예기보주(禮記補註)》를 지어 《예기》의 난삽한 곳을 보완하는 등 조선시대 전반에 있어서 성리학과 함께 조선의 예학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6. 참고사항

(1)명언
• “공경하지 않는 것이 없으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무언가 생각하는 것 같이 하며, 말을 안정감 있게 하면 백성들을 편안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毋不敬 儼若思 安定辭 安民哉]” 〈곡례 상(曲禮上)〉
• “부모님께서 생존해 계시면 늙음을 칭하지 않는다.[父母在 不稱老]” 〈방기(坊記)〉
• “군자는 도덕에 입각해서 사람을 사랑하는 반면, 소인은 그저 고식적으로 사람을 좋아한다.[君子之愛人也以德 細人之愛人也以姑息]” 〈단궁 상(檀弓上)〉
(2)색인어:예기(禮記), 삼례(三禮), 대대례(大戴禮), 소대례(小戴禮), 대성(戴聖).
(3)참고문헌
• 十三經槪論(莊伯潛, 上海古籍出版社)
• 역주 예기집설대전1(신승운, 전통문화연구회)
• 역주 예기집설대전(정병섭, 학고방)
• 〈《禮記》의 체제와 예론 연구〉(박례경, 연세대학교 철학과 박사논문, 2005)
• 〈퇴계학파의 《禮記》 해석에 대한 고찰〉(유권종, 《퇴계학과 한국문화》36, 2005)
• 〈조선시대 《禮記》 연구의 한 특색:주자학적 경학〉(이봉규, 《한국문화》47, 2009)

【이영호】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