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시품(詩品)》은 중국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 남조 제(齊)·양(梁)나라의 문예비평가 종영(鍾嶸)의 시문학비평서이다. 중국 문예사 최초의 시 평론 저작인 《시품》은 오언시가 흥성하던 당시 시 발전의 현실을 직시하고 사언시를 ‘아음(雅音)’, ‘정체(正體)’로 보던 보수적 의식을 깨뜨리는 한편, 오언시의 창작을 집중적으로 평했다. 《시품》의 성과는 무엇보다도 오언시 창작의 성취에 대한 이론적 결산이다.
2. 저자
(1)성명:종영(鍾嶸)(468?〜518?)
(2)자(字)·별호(別號):자는 중위(仲偉)
(3)출생지역:영천(穎川) 장사(長社)(현 중국 하남성(河南省) 장갈현(長葛縣) 동북 지역)
(4)주요활동과 생애
종영은 제중군(齊中軍) 참군(參軍)을 역임한 종도(鍾蹈)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공부에 관심을 갖고 생각이 깊었다. 남조 제나라 무제(武帝) 영명(永明) 3년(485)에 국자생(國子生)이 되어 《주역(周易)》을 깊이 연구함에 따라 국자좨주(國子祭酒) 왕검(王儉)의 눈에 들어 본주(本州) 수재(秀才)에 천거되었다. 양나라 무제 천감(天監)(502〜519) 초, 임천왕(臨川王) 참군이 되어 혁신적인 정치를 상주해 주목을 받았다. 천감 10년(511)에는 서중랑(西中郞) 진안왕(晋安王) 기실(記室)이 되었다가 얼마 후 사망했다.
(5)주요저작:미상(未詳)
3. 서지사항
《시품》은 양 무제 천감 12년(513) 즈음에 완성되었는데,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 의하면 “《시평(詩評)》 3권은 종영이 저술한 것인데 《시품》으로도 불린다.”라고 했고, 당·송 시대엔 이 두 개의 책명이 공존했으며, 명·청 이후에야 《시품》으로만 불렸다. 처음에는 상·중·하 3권에 각기 소서(小序)가 있었지만, 청대(淸代) 하문환(何文煥)이 《역대시화(歷代詩話)》에 수록할 때는 이를 하나로 합쳐 전권 앞에 배치했다.
전해오는 《시품》의 판본은 매우 많은데, 가장 오래된 것은 원대의 《산당선생군서고색(山堂先生群書考索)》본이며, 흔히 보이는 것은 《진체비서(津逮秘書)》본, 《학진토원(學津討源)》본, 《역대시화》본 등이다.
4. 내용
《시품》은 한(漢), 위(魏)부터 제(齊), 양(梁)에 이르는 시인 122명을 상‧중‧하 3품으로 나누었다. 상권에서는 무명씨의 ‘고시(古詩)’를 비롯해 반첩여(班婕妤), 조식(曺植), 유정(劉楨), 왕찬(王粲), 완적(阮籍), 육기(陸機), 반악(潘岳), 장협(張協), 좌사(左思), 사령운(謝靈運) 등 11명을 상품으로, 중권에서는 진가(秦嘉), 서숙(徐淑), 조비(曹丕), 혜강(嵇康), 장화(張華) 등 39명을 중품으로, 하권에서는 반고(班固), 조일(趙壹), 조조(曹操), 조예(曺叡), 조표(趙彪), 서간(徐幹), 완우(阮瑀) 등 72명을 하품으로 분류했다.
중국 문예사 최초의 시 평론서인 《시품》은 오언시가 흥성하던 당시 시 발전의 현실을 직시하고 사언시를 ‘아음(雅音)’, ‘정체(正體)’로 보던 보수적 의식을 깨뜨리는 한편, 오언시의 창작을 집중적으로 평했다.
각 개의 시인을 상·중·하품으로 열거한데 대해, “청탁(淸濁)을 구분해 밝히고 장단점을 두루 지적했다.”고 한 종영은 간결한 언어로 그들의 풍격과 특징을 개괄하고 성취와 결함을 분석하였으며 때때로 연원과 계승 관계를 소급해 그 유파를 구분하려 했다. 예를 들어 이릉(李陵)에 관해 논하면서 “그 원류는 《초사》에서 왔다. 문장에 처량함이 많으니, 원이 맺힌 자의 부류이다.”라고 했고, 조식에 관해 논하면서는 “그 원류는 〈국풍(國風)〉에서 왔다. 골기가 기묘‧고상하고 문채가 화려하며, 정취는 아정(雅正)과 원통을 겸하고 체제는 문(文)과 질(質)을 모두 갖춰서, 고금에 찬란하고 뭇 사람에 빼어나다.”라고 했다.
종영은 시인을 평하면서 대체로 핵심을 파악했다. 《시경》과 《초사》를 양대 근원으로 삼아 시 발전의 맥락을 정확히 개괄했다. 그러나 시인의 등급과, 원류에의 귀속에서 적절치 않은 부분도 가끔 발견된다. 대표적으로 도연명과 포조(鮑照)를 중품에, 조조를 하품에 넣은 것이나 도연명의 근원을 응거(應璩)로 본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5. 가치와 영향
종영은 ‘시는 성정(性情)을 읊는 것’이라는 기본 관념에서 출발해 외부 환경이 시인의 마음속 감정을 촉발하는 작용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는 시정(詩情)이 자연의 사물에 의해 촉발된다는 창작 전통과 이론적 전통을 계승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종영은 시인의 사회적 경력이 감정과 심리상태에 끼치는 영향을 지적하였다. 시에서의 사회적 요소를 강조하는 견해는, 단지 시가 자연적 요소에 의한 ‘감물(感物)’의 결과라는 식의 이론에서 벗어난 중대한 발전이었다.
종영은 시가 성정을 읊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 이상, 고사 인용을 중시해서는 안 된다고 했으며, 시의 성률(聲律) 문제에 대해선 인위적 음운의 배치보다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의 내용[質]과 형식[文]을 함께 중시했다. 아울러 시의 ‘자미(滋味)’에 대한 중시도 《시품》의 이론적 공헌 중 하나이다.
종영의 《시품》은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당(唐)나라 사공도(司空圖), 송(宋)나라 엄우(嚴羽)와 오도손(敖陶孫), 명(明)나라 호응린(胡應麟), 청(清)나라 왕사정(王士禎)·원매(袁枚)·홍양길(洪亮吉) 등 역대 시 논평가들이 시의 관점, 방법, 비평 용어 등에서 모두 그 영향을 받았다. 청말 장학성(章學誠)은 《문사통의(文史通義)》에서 “시화의 근원은 종영의 《시품》에 근거한다.”라고 평했고, 《사고전서총목(四庫全書總目)》에서는 “오묘함이 문장을 앞서, 《문심조룡(文心雕龍)》과 병칭될 만하다.”라고 하였다.
《문심조룡》과 함께 시론의 기초를 제공한 《시품》이 고려와 조선의 문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이 당시 주류 문인들의 글에 시론서의 대표작으로 거론되는 것으로 보면 당시 시론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된다.
6. 참고사항
(1)명언
• “기는 사물을 움직이고 사물은 사람을 감동시킨다. 그러므로 사람의 성정을 요동시켜 춤과 노래에 나타내게 한다.[氣之動物 物之感人 故搖蕩性情 形諸舞詠]” 〈상품서(上品序)〉
• “음미하는 이들로 하여금 끝없는 감상에 젖게 하고, 듣는 이들로 하여금 마음을 움직이도록 한다.[使味之者無極 聞之者動心]” 〈상품서(上品序)〉
• “나는, 문장은 본디 소리 내어 읽어야 하므로 어색한 것이 없어야 하고, 청탁이 소통되고 언어가 순조로우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余謂文製本須諷讀 不可蹇礙 但令淸濁通流 口吻調利 斯爲足矣]” 〈상품서(上品序)〉
(2)색인어:시품(詩品), 종영(鍾嶸), 시평(詩評), 시화(詩話), 오언시(五言詩), 위진문학(魏晉文學), 역대시화(歷代詩話)
(3)참고문헌
• 鍾嶸詩品校證(車柱環)
• 譯註 詩品(이철리, 창비)
• 譯註 歷代詩話(김규선, 소명출판)
• 궁극의 미학(안대회, 문학동네)
• 詩品集注(曹旭, 上海古籍出版社)
• 詩品注(陳延傑, 人民文學出版社)
• 鍾記室詩品箋(古直, 中華書局)
• 詩品講疏(許文雨, 成都古籍書店)
• 鍾嶸詩品(高木正一, 日本東海大學出版社版)
• 鍾嶸詩品校釋(呂德申, 北京大學出版社)
【김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