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열조시집(列朝詩集)》은 명말청초(明末淸初)의 학자이자 문인인 전겸익(錢謙益)(1582~1664)이 편찬한 명대(明代) 시선집(詩選集)이다. 명대에 활동한 시인 약 2천 명의 작품이 81권 분량으로 수록되어 있다. 명나라 사대부 작가들의 작품을 갑(甲), 을(乙), 병(丙), 정(丁)의 4집(集)에 나누어 수록한 것이 중심을 이루며, 4집의 앞에 건집(乾集)을 두어 제왕(帝王)의 시를 수록했고, 말미에 윤집(閏集)을 두어 승려와 여성, 외국인 등이 쓴 시를 포함했다. 전겸익은 명나라가 멸망한 후 명대의 시를 후세에 남기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 선집을 편찬했다.

2. 편저자

(1) 성명:전겸익(錢謙益)(1582~1664)
(2) 자(字)・별호(別號):전겸익의 자는 수지(受之), 호는 목재(牧齋)이다. 만년의 호는 몽수(蒙叟), 동간노인(東澗老人)이다. 학자들은 우산선생(虞山先生)이라 칭했다. 오위업(吳偉業), 공정자(龔鼎孶)와 더불어 강좌삼대가(江左三大家)로 일컬어진다.
(3) 출생지역:소주(蘇州) 상숙현(常熟縣(현 중국 강소성(江蘇省) 상숙시(常熟市)))
(4) 주요활동과 생애
명(明) 만력(萬曆) 26년(1598) 17세에 부학(府學)의 생원(生員)이 되었고, 만력 38년(1610) 29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에 임명되었으며, 천계(天啓) 연간에 《신종실록(神宗實錄)》을 편찬하는 데 참여했다. 숭정(崇禎) 연간에 관직이 이부시랑(吏部侍郎) 겸 한림원시독학사(翰林院侍讀學士)에 이르렀다. 명이 멸망한 1644년, 남명(南明) 정부에서 태자태보(太子太保) 겸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지냈고, 1646년 청(淸)에 의해 남경(南京)이 함락되자 투항하여 5개월간 내비서원학사(內祕書院學士) 겸 예부우시랑(禮部右侍郞), 명사부총재(明史副總裁)의 자리에 있었다. 곧 사직한 후 귀향하였고 이후 구식사(瞿式耜) 등과 연계하여 반청복명(反淸復明) 활동을 하다가 투옥되었다.
출옥한 뒤로는 강운루(絳雲樓)에서 저술활동을 하고 동림서원(東林書院)에서 제자를 가르치는 데 주력했다. 59세에 여성 시인 유여시(柳如是)를 아내로 맞아 함께 작품 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시인이자 비평가, 역사가, 편찬자로서 상당한 업적을 남겼으나 명청교체기에 한결같지 않은 처신을 보인바, 그에 대한 평가에는 논란이 분분하다. 전겸익의 사후에 청 정부는 그의 저술을 금서(禁書)로 지정했고 그의 인품에 대해서는 이신(貳臣) 즉 두 왕조를 섬긴 실절(失節)한 신하로서 비루하게 여겼다. 이와 같은 평가는 대체로 20세기 초까지 상당한 영향을 끼쳐, 동아시아의 학자들이 그의 업적에 균형 있게 접근하는 데 장애물이 되기도 했다.
(5) 주요저작:문집으로 《초학집(初學集)》과 《유학집(有學集)》, 《투필집(投筆集)》, 《고해집(苦海集)》이 있으며, 장서(藏書) 목록집인 《강운루서목(絳雲樓書目)》도 유명하다.

3. 서지사항

《열조시집》은 남명(南明) 융무(隆武) 병술년(1646)에 편집되기 시작하여 영력(永曆) 4년(1649)에 완고(完稿)되었다. 현전하는 판본은 청 순치(順治) 9년(1652) 모진(毛晉)의 급고각(汲古閣) 원각본(原刻本)과 청 선통(宣統) 2년(1910) 상해(上海) 신주국광사(神州國光社)에서 개판(改版)한 연인본(鉛印本) 등 2종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급고각판(汲古閣板) 《열조시집》에 남구만(南九萬(1629~1711))의 장서인이 찍혀 있어 주목된다.
한편 강희(康熙) 37년(1698)에 전겸익의 족손(族孫)인 전증(錢曾)이 《열조시집》의 소전(小傳)을 단독으로 엮어 《열조시집소전(列朝詩集小傳)》을 간행했다.

4. 내용

건집(乾集) 2권에는 명 태조(明太祖) 주원장(朱元璋)의 〈신봉조(神鳳操)〉 이하 제왕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갑집전편(甲集前編) 11권과 갑집(甲集) 22권에는 유기(劉基(1311~1375))의 〈애여장(艾如張)〉, 왕봉(王逢(1319~1388))의 〈천문행(天門行)〉, 대량(戴良(1317~1383))의 〈영회(詠懷)〉, 양유정(楊維楨(1296~1370))의 〈노객부요(老客婦謠)〉, 고영(顧瑛(1310~1369))의 〈금속총중추일연집(金粟塚中秋日燕集)〉, 고계(高啓(1336~1374))의 〈영하빙(詠夏冰)〉, 양기(楊基(1326~1378))의 〈감회(感懷)〉, 장우(張羽(1333~1385))의 〈심춘(尋春)〉, 송렴(宋濂(1310~1381))의 〈억산중(憶山中)〉 등 원명(元明) 교체기 시인들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을집(乙集) 8권에는 해진(解縉(1369~1415))의 〈제오산오자서묘(題吳山伍子胥廟)〉, 구우(瞿佑(1347~1433))의 〈춘수곡(春愁曲)〉, 악정(岳正(1418~1472))의 〈영건기성시(營建紀成詩)〉, 왕불(王紱(1362~1416))의 〈송양득앙(送楊得昂)〉 등 주로 명초(明初) 사대부의 작품이 실려 있다.
병집丙集 16권에는 이동양(李東陽(1447~1516))의 〈효종황제만가사(孝宗皇帝挽歌詞)〉, 심주(沈周(1427~1509))의 〈주택민산수(朱澤民山水)〉, 당인(唐寅(1470~1524))의 〈단가행(短歌行)〉, 문징명(文徵明(1470~1559))의 〈세모재거즉사(歲暮齋居即事)〉, 이몽양(李夢陽(1473~1530))의 〈전원잡시(田園雜詩)〉, 하경명(何景明(1483~1521))의 〈독록편(獨漉篇)〉 등 15세기 중반 이후에 활동한 명대 사대부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정집(丁集) 16권에는 육찬(陸粲(1494~1551))의 〈조상옹(俎上翁)〉, 사진(謝榛(1495~1575))의 〈종유심양도중치설유감겸시원휘(從游沁陽途中值雪有感兼示元輝)〉, 왕세정(王世貞(1526~1590))의 〈우회(寓懷)〉, 주왈번(朱曰藩(1501~1561))의 〈죽서(竹西)〉, 육사도(陸師道(1517~1580))의 〈원앙곡(鴛鴦曲)〉, 귀유광(歸有光(1507~1571))의 〈남왕(南旺)〉 등 16세기 중반 이후까지 활동한 명대 사대부 작가의 작품이 실려 있다.
윤집(閏集) 6권에는 감산대사(憨山大師(1546~1623))의 〈육영시(六詠詩)〉 등 승려의 시, 여학사 심씨(女學士沈氏)의 〈기형(寄兄)〉 등 여성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아울러 전남(滇南)의 시 11수, 조선의 시 171수, 일본의 시 32수, 안남(安南)의 시 3수, 점성(占城)의 시 4수가 ‘외이시(外夷詩)’로 분류되어 윤집에 실려 있다.

5. 가치와 영향

《열조시집》은 금대(金代) 원호문(元好問)의 시선집인 《중주집(中州集)》을 본떠 편집되었다. 시를 통해 역사를 남긴다는 취지에서 한 시대의 문헌을 보존한 것이며 그 편집 체례가 원호문의 방식과 같이 한 시인을 상위 항목으로 삼아 작가의 소전(小傳)과 그의 작품을 수록했다. 선정한 작품은 일반적으로 작자의 대표작에 해당하는 것이며 간혹 작자가 처한 상황을 보여주는 시도 포함하고 있다. 소전에서는 작가의 인적사항과 경력 및 해당 작품에 대한 평가 등을 다루었는데, 청초 문단의 맹주였던 전겸익의 정밀하고 독특한 견해를 소전 중의 시 비평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겸익은 《열조시집》을 편찬하며 200여년에 걸친 명대의 시를 선록하여 당대 제가(諸家)와 각 유파의 우열에 대한 비평을 덧붙였고, 2천여 명에 이르는 작가의 소전을 찬술했다. 이는 명대 시사(詩史)는 물론 문학비평사, 문화사의 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열조시집소전(列朝詩集小傳)》은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입전(立傳) 인물의 언행과 형상을 또렷이 재현하여 명대 시인의 군상(群像)을 그려내고 있는바 전기문학(傳記文學)으로서의 가치도 가진다.
한편 《열조시집》의 윤집에는 조선 시인 42명의 시 171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에 조선의 지식인들은 《열조시집》을 열독하며 자국의 한시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점하는 위치를 가늠해 보았으며, 또한 이 책에 수록된 조선시의 작가 관련 내용 가운데 오류사항이 상당히 있는 데 대해 적극적으로 지적하고 바로잡고자 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가을 달은 절로 내 생각 맑게 하고 秋月自與吾慮淨
봄 구름은 절로 내 마음 열어 주네 春雲自與吾懷開
그림에 노니는 곳 나의 봉래산이요 畵遊之地吾蓬萊
저녁에 쉬는 곳 나의 무덤이리 夕息之處吾夜臺
《열조시집(列朝詩集)》 〈민일가(憫日歌)〉(명(明) 심주(沈周(1427~1509)) 작(作), 병집(丙集) 권(卷)8)
• 상전벽해 오랜 세월 이 산하에 있어 滄桑長共此山河
도리어 중원을 위해 눈물 자주 흘리네 卻爲中原涕淚多
유란헌(幽蘭軒)의 자결을 보기에 이르노니 看到幽蘭軒裡事
의구히 남은 한은 선화(宣和) 때와 같네 依然流恨似宣和
《열조시집》 〈서금사후(書金史後)〉(명(明) 탕현조(湯顯祖)(1550~1616) 작, 정집(丁集) 권12)
•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 아득해 끝이 없거늘 故園歸路渺無窮
물 돌고 산 돌아 또 몇 겹인가 水繞山圍第幾重
멀리 보려 할 제 시름 더욱 아득하니 望欲遠時愁更遠
높이 올라도 가장 높은 봉우리엔 오르지 말라 登高莫上最高峰
《열조시집》 〈중구(重九)〉(조선 정도전(鄭道傳(1342~1398)) 작, 윤집(閏集) 권)6
• 안타까운 이별 뒤 삼 년이 지나 恨別逾三歲
갖옷 입고 홀로 겨울 견디네 衣裘獨御冬
가을바람이 짧은 머리에 불고 秋風吹短鬢
찬 거울엔 시든 얼굴 들어오네 寒鏡入衰容
풍진 사이로 나그네의 꿈 旅夢風塵際
겹겹의 관새(關塞)에 이별의 시름 離愁關塞重
얼마나 먼가 배회하며 생각노니 徘徊思遠近
긴 탄식이 창가에 가득 流嘆滿房櫳
《열조시집》 〈별증(別贈)〉(조선 유여주(俞汝舟) 처(妻) 임벽당(林碧堂) 김씨(金氏(1492~1549)) 작, 윤집 권6)
(2) 색인어:열조시집(列朝詩集), 열조시집소전(列朝詩集小傳), 전겸익(錢謙益), 조선시(朝鮮詩), 윤집(閏集)
(3) 참고문헌
• 한문세계의 중심과 주변-《列朝詩集》・《明詩綜》과 朝鮮詩部(임형택, 《대동문화연구》 90, 2015)
• 燕岩의 錢謙益論(심경호, 《한문교육연구》2, 1998)
• 《薑山筆豸》 연구(남재철, 《한국한시연구》 10, 2002)
• 朝鮮後期文人들의 錢謙益 批評(윤지훈, 《대동문화연구》 69, 2010)
• 兪晩柱의 〈錢牧齋 年譜〉 연구(김하라, 《한국한문학연구》 57, 2015)
• 試論錢謙益之論次麗末東國史及詩(엄지웅, 《민족문화연구》 62, 2014)
• 錢謙益《列朝詩集・甲集前編》研究(趙保坤, 北京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1)
• 《列朝詩集小傳》研究(彭金安, 復旦大學碩士學位論文, 2014)

【김하라】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