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자차기(紫釵記)》는 명대(明代) 극작가 탕현조의 작품으로 남경(南京)시기에 창작되었다. 당대(唐代) 장방(蔣防)의 전기소설 《곽소옥전(霍小玉傳)》의 주요인물과 플롯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남녀 주인공 이익(李益)과 곽소옥(霍小玉)의 형상을 재창조하여 《곽소옥전》과는 또 다른 애정 이야기다. 그러나 《곽소옥전》의 현실주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탕현조의 정지관(情至觀)을 구현했다.

2. 저자

(1) 성명:탕현조(湯顯祖)(1550~1616)
(2) 자(字)·별호(別號):자는 의잉(義仍), 호는 약사(若士) 혹은 해약사(海若士)이며, 자호는 청원도인(淸遠道人)이고, 말년의 호는 견옹(繭翁)이다.
(3) 출생지역:강서성(江西省) 무주시(撫州市) 임천현(臨川縣)
(4) 주요활동과 생애
탕현조는 문인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집안에는 희곡집만 해도 1천 종이 넘게 있었고 소장한 장서는 4만 권이 넘었다고 한다. 이러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탕현조는 자연스럽게 어려서부터 원곡(元曲)을 접할 수 있었고 이는 작품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탕현조의 생애는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3세 때 나여방(羅汝芳)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14세 때 수재가 되었다. 20세 때인 융경(隆慶) 4년(1570)에는 향시에 급제하였다. 그 이듬해(1571) 회시(會試)에서 낙방을 하고 1574, 1577, 1580년 네 번의 낙방으로 이어진다. 1583년 춘시(春試)에서 만 33세에 등과하게 된다. 이때가 임천(臨川) 시기이다.
탕현조는 진사로 관직에 나간 후 잠시 북경에서 근무하다가 이듬해인 1584년에 남경 태상시(太常寺) 박사가 되어 부임한다. 그 뒤 1591년 광동 서문(徐聞) 전리(典吏)로 좌천되기까지 약 7년간을 남경에서 봉직한다. 이때가 남경(南京) 시기이다.
광동의 서문으로 좌천된 이유는 바로 〈논보신과신소(論補臣科臣疏)〉라는 상소 때문이었다. 탕현조는 장거정(張居正)과 당시의 재상이었던 신시행(申時行)의 비리를 논하면서 장문거(楊文擧)와 호여녕(胡汝寧) 두 사람도 탄핵하였다. 상소를 본 황제는 자신의 잘못도 지적하자 화가 치밀어 탕현조를 오지(奧地)인 광동으로 좌천시켰다. 그는 약 1년 반 좌천지에 있다가 1593년에 절강성의 벽지인 수창(遂昌)의 지현(知縣)이 된다. 이곳에서 5년간 재임한 후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낙향한다. 이때를 서문(徐聞)·수창(遂昌)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만력 26년(1598) 3월에 임천으로 낙향한 후 옥명당(玉茗堂)이라 명명한 서재에서 칩거하며 오로지 시작(詩作)과 극작(劇作)에 몰두하였다. 낙향 후 1616년 서거 때까지가 후반부의 임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5) 주요저작:희곡 작품으로는 《자소기(紫簫記)》, 《자차기(紫釵記)》, 《모란정(牡丹亭)》, 《남가기(南柯記)》, 《한단기(邯鄲記)》가 있고, 시문집으로는 《홍천일초(紅泉逸草)》, 《옹조(雍藻)》(제목만 전해짐), 《문극우초(問棘郵草)》, 《옥명당문집(玉茗堂文集)》이 있다.

3. 서지사항

만력 23년(1595)에 상재(上梓)되었다. 원본의 작품 구성은 이전에 썼던 미완의 극본 《자소기(紫簫記)》 34척보다 19척 많은 53척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작품은 주인공이 이익(李益)과 곽소옥(霍小玉)이라는 점 외에는 거의 동일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탕현조의 희곡 5종은 명대 모진(毛晋)의 급고각(汲古閣)에서 교정 간행한 정본(定本)이 전해진다. 이외 《자차기》의 정본으로는 첫째 명대 금릉(金陵)의 계지재(繼志齋)에서 간행한 《출상점판곽소옥자차기(出像點板霍小玉紫釵記)》가 있는데 간략히 ‘계지본(繼志)’이라고 한다. 두 번째는 《청휘각비점옥명당자차기(淸暉閣批點玉茗堂紫釵記)》가 있는데 이를 간략히 ‘청휘본(淸暉本)’이라고 한다. 세 번째는 명대 독심거(獨深居)에서 장무순(臧懋循)의 《옥명당사몽》본을 교정한 《자차기》가 있는데 이를 ‘독심본(獨深本)’이라고 한다. 네 번째는 명대에 《류랑관비평옥명당자차기(柳浪館批評玉茗堂紫釵記)》를 간행했는데 이를 ‘류랑본(柳浪本)’이라고 한다. 다섯 번째로는 청나라 초기에 죽림당(竹林堂)에서 《옥명당사종곡(玉茗堂四種曲)》본중 《탕의잉선생자차기(湯義仍先生紫釵記)》를 간행했는데 이를 ‘죽림본(竹林本)’이라 한다.

4. 내용

남자 주인공 이익(李益)이 친구들과 봄 경치를 즐기다가 결혼할 뜻을 말하고 매파 포사랑(鮑四娘)에게 중매를 부탁한다. 여주인공 소옥(小玉)도 어머니와 함께 봄놀이를 갔는데 후경선(侯景先)이란 옥장인이 제비 모양을 한 자색 옥비녀[紫玉釵]를 전달해준다. 그날 밤 소옥이 옥비녀를 잃어버리는데 이익이 그것을 줍고 비녀를 찾으러 온 소옥에게 구혼한다. 매파의 주선 끝에 혼인이 끝나고 며칠 후에 이익은 과거시험을 보러가려고 하자 소옥은 그가 과거 급제 후에 변심하지 않을까 걱정한다. 이익은 변치 않을 것을 맹세하고 과거를 보러 낙양으로 떠난다. 이익이 과거에 급제하여 금의환향하지만 얼마 후에 노태위(盧太尉)가 관서절도사(關西節度府)의 참군(參軍)에 부임하라는 통보를 한다. 이로 하여 소옥의 기쁨은 슬픔으로 변한다. 소옥이 이익에게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작별의 표시로 준다. 이익은 임지에서 아내를 그리워하면서도 유공제(劉公濟) 막하(幕下)에 들어가 큰 공을 세운다.
노태위는 이익을 사위로 삼고자 책략을 꾸미며 호족(豪族)과 연을 맺으면 좋은 점이 많다며 현재의 아내를 버리라 한다. 한편으로는 사람을 시켜 이익이 노태위의 데릴사위로 들어갔다고 전하여 소옥을 분사(憤死)케 하라고 한다. 거짓 보고를 들은 소옥은 시를 써서 이익에게 전해주라고 한다. 이 시를 본 이익이 의아해 하고 노태위의 술책을 알게 된다. 노태위의 온갖 방법에도 이익은 사위되기를 완강히 거절한다. 한편 소옥은 생활고로 장신구를 다 팔고 옥비녀도 팔러 내보낸다. 노태위 딸 혼수를 구하고 있던 옥장인 후경선이 이 비녀를 사가지고 간다. 그러자 노태위는 소옥이 새 장가든 남편을 원망하여 재혼을 하고 이 옥비녀도 팔아쳤다고 큰소리로 말하여 이익이 듣게 한다. 한편 소옥은 이익이 노태위의 사위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병에 걸린다. 소옥의 꿈에 검객이 한 켤레의 짚신을 주는 꿈을 꾸고 이 얘기를 들은 포사랑은 집신 ‘鞋(xie)’는 화합한다는 ‘諧(xie)’와 발음이 통하니 이익과의 해후를 뜻하는 예징이라 한다. 옥비녀를 보며 소옥을 그리워하고 있던 이익에게 친구들이 놀이를 핑계 삼아 소옥을 만나라고 권한다. 이때 협객이 이익을 마차에 태우고 소옥에게 간다. 한편 소옥은 병세가 중해져 혼절하기를 거듭한다. 모든 것이 노태위의 간계임이 밝혀지고 천자의 노여움을 사서 노태위는 파면되고 이익은 집현전학사에, 소옥은 태원군부인에 봉해지며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5. 가치와 영향

53척으로 구성된 《자차기》는 탕현조의 첫 번째 희곡작품인 34척의 《자소기》를 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원 작품보다 19척이 많아졌다. 탕현조도 ‘4몽’을 말할 때 《자소기》를 제외한 《모란정(牡丹亭)》, 《한단기(邯鄲記)》, 《남가기(南柯記)》, 《자차기(紫釵記)》 네 작품을 꼽는데 작품이 모두 꿈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내용 줄거리로 볼 때는 《자차기》가 《자소기》보다는 비교적 소설 《곽소옥전》에 가깝다. 이런 남녀의 애정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려서 그동안 세 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졌다.

6. 참고사항

(1) 명언
• “속상한 것은 꽃등[花燈]이 끊길 듯 끊길 듯 하고, 그림자가 흔들리는 것이라네[恨的是花燈斷續 恨的是人影參差]” 〈6齣〉
• “물위에는 원앙, 구름 속에는 비취, 밤낮으로 함께 하니 살아도 죽어도 후회가 없다네[水上鴛鴦,雲中翡翠,日夜相從,生死無悔]”〈16齣〉
• “상심하노니 한 사람을 마음에 담고 있어 병이 되었고, 넋을 잃으니 그 사람이 마치 구름 속의 한조각 구름같다네[傷神,病在心頭一個人. 消魂,人似風中一片雲]”〈52齣〉
(2) 색인어:탕현조(湯顯祖), 자소기(紫簫記), 자차기(紫釵記), 이익(李益)과 소옥(小玉), 자색옥비녀[紫玉釵], 노태위(盧太尉), 후경선(侯景先), 곽소옥전(霍小玉傳)
(3) 참고문헌
• 湯顯祖戲曲集(上·下)(錢南楊 校點, 古籍出版社)
• 湯顯祖硏究資料彙編(上·下),(毛效同 編, 上海古籍出版社)
• 紫釵記(汪榕培, 朱源等 譯, 花城出版社)
• 湯顯祖傳奇之硏究(費海璣, 商務印書館)

【강영매】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