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한위총서》는 명(明)나라 정영(程榮)이 한위(漢魏) 시기의 저작 38종을 모아 편집한 책으로, 사부(四部)에 해당하는 작품이 모두 수록되어 있는 종합성 총서이다.

2. 편자

(1) 성명:정영(程榮)(?~?)
(2) 자(字)・별호(別號):정영의 자는 백인(伯仁) 또는 중인(仲仁)이다.
(3) 출생지역:안휘(安徽) 흡현(歙縣)에서 태어났으며 신안(新安)(지금의 절강(浙江) 순안현(淳安縣))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4) 주요활동과 생애
정영은 명(明)나라 만력(萬曆)(1573~1620)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정영은 본인이 거주하던 지역의 권문세족으로, 가산을 바탕으로 하여 서적을 다수 간행하였다. 저자는 1592년(만력 19)경에 하당(何鏜)이 작성한 고서의 목록 100종 가운데에서 한위(漢魏) 인물의 저작 및 진(晉), 양(梁), 진(陳), 수(隋) 인물의 저작 38종을 선별하여 이 총서를 편찬하였다.
(5) 주요저작:《한위총서》 외에도 《산거청상(山居淸賞)》, 《혜중산집(嵇中散集)》, 《예원치언(藝苑巵言)》 등을 간행하였다.

3. 서지사항

‘한위총서(漢魏叢書)’라고 일컫는 서적은 세 가지의 판본이 있다.
가장 이른 시기의 현전본인 《한위총서》는 정영(程榮)이 편찬한 총서로, 경부(經部)에 해당하는 경적(經籍), 사부(史部)에 해당하는 사적(史籍), 자부(子部)에 해당하는 자적(子籍)의 세 가지 유문(類門)으로 분류하고 38종의 작품을 수록하였다.
《광한위총서(廣漢魏叢書)》는 명(明)나라의 만력(1573~1620) 시기에 활동했던 무림(武林)(지금의 절강(浙江) 항주(杭州)) 사람 하윤중(何允中)이 정영의 《한위총서》에 내용을 증보하고 순서를 재편(再編)한 총서이다. 정영의 《한위총서》에는 ‘경적(經籍)’・‘사적(史籍)’・‘자적(子籍)’ 세 개의 유문(類門)뿐이었는데, 《광한위총서》에는 ‘경적(經籍)’을 ‘경익(經翼)’으로 수정하고 집부(集部)에 해당하는 유문인 ‘재적(載籍)’을 추가하였다. 《한위총서》에서는 38종에 그쳤던 수록 저술을 76종으로 증보하고, 순서를 바로잡기도 했다.
《증보한위총서(增訂漢魏叢書)》는 청(淸)나라 왕모(王謨)(1731~817)가 하윤중의 《광한위총서》 중 일부를 뽑고 좋은 작품을 추가하여 경적・사적・자적・재적으로 나누어 수록・편집한 종합성 총서이다. 왕모는 역사학과 고증학, 집일학(輯佚學)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증정한위총서목차(增訂漢魏叢書目次)〉의 지(識)에 따르면, 왕모는 하윤중의 《광한위총서》 중 분류가 잘못되어 있거나 수록 작품들의 차례에 질서가 없는 것을 바로잡고, 10여 종의 작품을 보충하였다고 한다.

4. 내용

다음은 정영이 편집한 《한위총서》에 수록된 작품명이다.
분류 서명(권수) 찬자 혹은 주석자
경적經籍
(11종)
京氏易傳(3권) (漢)京房 撰 ; (吳)陸績 注
周易略例(1권) (魏)王弼 撰
古三墳(1권) (晉)阮鹹 注
詩說(1권) (漢)申培 撰
韓詩外傳(10권) (漢)韓嬰 撰
大戴禮記(13권) (漢)戴德 撰 ; (北周)盧辯 注
春秋繁露(17권) (漢)董仲舒 撰
白虎通德論(2권) (漢)班固 撰
獨斷(2권) (漢)蔡邕 撰
忠經(1권) (漢)馬融 撰
輶軒使者絕代語釋別國方言(13권) (漢)揚雄 撰 ; (晉)郭璞 注
사적史籍
(4종)
元經薛氏傳(10권) (隋)王通 撰 ; (唐)薛收 傳 ; (宋)阮逸 注
逸周書(10권) (晉)孔晁 注
穆天子傳(6권) (晉)郭璞 注
西京雜記(6권) (漢)劉歆(一題晉葛洪) 撰
자적子籍
(23종)
素書(1권) (漢)黃石公 撰 ; (宋)張商英 注
新語(2권) (漢)陸賈 撰
孔叢子(3권) (漢)孔鮒 撰
新序(10권) (漢)劉向 撰
說苑(20권) (漢)劉向 撰
新書(10권)附錄(1권) (漢)賈誼 撰
法言(10권) (漢)揚雄 撰 ; (宋)宋鹹 注
潛夫論(10권) (漢)王符 撰
申鑒(5권) (漢)荀悅 撰 ; (明)黃省曾 注
中論(2권) (漢)徐幹 撰
顏氏家訓(2권) (北齊)顏之推 撰
商子(5권) (周)商鞅 撰
人物志(3권) (魏)劉邵 撰 ; (後魏)劉昞 注
風俗通義(10권) (漢)應劭 撰
劉子新論(10권) (北齊)劉晝 撰 ; (唐)袁孝政 注
神異經(1권) (漢)東方朔 撰 ; (晉)張華 注
別國洞冥記(4권) (漢)郭憲 撰
述異記(2권) (梁)任昉 撰
王子年拾遺記(10권) (前秦)王嘉 撰 ; (梁)蕭綺 錄
通占大象曆星經(2권) (漢)甘公 ; (漢)石申 撰
趙飛燕外傳(1권) (漢)伶玄 撰
古今刀劍錄(1권) (梁)陶弘景 撰
論衡(30권) (漢)王充 撰

《한위총서》는 경적(經籍)에 11종(種), 사적(史籍)에 4종, 자적(子籍)에 23종, 모두 38종의 작품을 수록하였다. 이 작품들은 대부분 한위육조(漢魏六朝) 시기에 편찬된 것으로, 고경(古經)에 대한 해석이나 일사(逸史), 패관잡기(稗官雜記), 지괴소설(志怪小説) 등이다.
다음은 하윤중이 편집한 《광한위총서》에 수록된 작품의 목록이다.
분류 서명(권수) 찬자 혹은 주석자
경익經翼
(17종)
易傳(3권) (漢)京房 撰 ; (吳)陸績 注
焦氏易林(4권) (漢)焦贛 撰
周易略例(1권) (魏)王弼 撰
古三墳(1권) (晉)阮鹹 注
詩傳孔氏傳(1권) (周)端木賜 撰
詩說(1권) (漢)申培 撰
韓詩外傳(10권) (漢)韓嬰 撰
大戴禮記(13권) (漢)戴德 撰 ; (北周)盧辯 注
春秋繁露(17권) (漢)董仲舒 撰
白虎通德論(4권) (漢)班固 撰
獨斷(1권) (漢)蔡邕 撰
忠經(1권) (漢)馬融 撰
孝傳(1권) (晉)陶潛 撰
方言(13권) (漢)揚雄 撰 ; (晉)郭璞 注
釋名(4권) (漢)劉熙 撰
博雅(10권) (魏)張揖 撰 ; (隋)曹憲 音
小爾雅(1권) (漢)孔鮒 撰
별사別史
(14종)
吳越春秋(6권) (漢)趙曄 撰 ; (元)徐天祜 音注
越絕書(15권) (漢)袁康 撰
十六國春秋(16권) (後魏)崔鴻 撰
元經薛氏傳(10권) (隋)王通 撰 ; (唐)薛收 傳 ; (宋)阮逸 注
汲塚周書(10권) (晉)孔晁 注
竹書紀年(1권) (梁)沈約 注
穆天子傳(6권) (晉)郭璞 注
漢武帝內傳(2권) (漢)班固 撰
飛燕外傳(1권) (漢)伶玄 撰
雜事秘辛(1권) (漢)□□ 撰
群輔錄(1권) (晉)陶潛 撰
神仙傳(10권) (晉)葛洪 撰
高士傳(3권) (晉)皇甫謐 撰
英雄記鈔(1권) (魏)王粲 撰
자여子餘
(18종)
參同契(1권) (漢)魏伯陽 撰
陰符經(1권) (漢)張良等 注
素書(1권) (漢)黃石公 撰 ; (宋)張商英 注
心書(1권) (蜀)諸葛亮 撰
新語(2권) (漢)陸賈 撰
新書(10권) (漢)賈誼 撰
新序(10권) (漢)劉向 撰
新論(10권) (北齊)劉晝 撰
淮南鴻烈解(21권) (漢)劉安 撰 ; (漢)高誘 注
孔叢(2권附詰墨1권) (漢)孔鮒 撰
法言(10권) (漢)揚雄 撰 ; (宋)宋鹹 注
申鑒(5권) (漢)荀悅 撰 ; (明)黃省曾 注
中論(2권) (漢)徐幹 撰
中說(2권) (隋)王通 撰
潛夫論(10권) (漢)王符 撰
天錄閣外史(8권) (漢)黃憲 撰
說苑(20권) (漢)劉向 撰
論衡(30권) (漢)王充 撰
재적載籍
(27종)
搜神記(8권) (晉)幹寶 撰
神異經(1권) (漢)東方朔 撰 ; (晉)張華 注
海內十洲記(1권) (漢)東方朔 撰
述異記(2권) (梁)任昉 撰
續齊諧記(1권) (梁)吳均 撰
別國洞冥記(4권) (漢)郭憲 撰
西京雜記(6권) (漢)劉歆(一題晉葛洪) 撰
拾遺記(10권) (前秦)王嘉 撰 ; (梁)蕭綺 錄
博物志(10권) (晉)張華 撰 ; (宋)周日用, 宋)盧□ 注
古今注(3권) (晉)崔豹 撰
風俗通義(10권) (漢)應劭 撰
人物志(3권) (魏)劉邵 撰 ; (後魏)劉昞 注
文心雕龍(10권) (梁)劉勰 撰
詩品(3권) (梁)鍾嶸 撰
書品(1권) (梁)庾肩吾 撰
顏氏家訓(2권) (北齊)顏之推 撰
鹽鐵論(12권) (漢)桓寬 撰 ; (明)張之象 注
三輔黃圖(6권) (漢)□□ 撰
華陽國志(14권) (晉)常璩 撰
伽藍記(5권) (後魏)楊炫之 撰
水經(2권) (漢)桑欽 撰
星經(2권) (漢)甘公 ; (漢)石申 撰
荊楚歲時記(1권) (梁)宗懍 撰
南方草木狀(3권) (晉)嵇含 撰
竹譜(1권) (晉)戴凱之 撰
古今刀劍錄(1권) (梁)陶弘景 撰
鼎祿(1권) (梁)虞荔 撰

《광한위총서》는 경익에 17종, 별사에 14종, 자여에 18종, 재적에 27종, 모두 76종의 작품을 수록했으며, 정영의 《한위총서》에 없던 분류인 ‘재적(載籍)’이 추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위총서》에는 《역전(易傳)》이 《역림(易林)》보다 뒤에 수록되어 있었는데, 《광한위총서》에는 《역전》을 먼저 수록하고 《역림》을 뒤로 하는 등 순서를 바로잡았다. 분류를 바로잡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한위총서》에는 《안씨가훈(顏氏家訓)》이 자여에 수록되어 있었는데, 《광한위총서》에는 《안씨가훈》이 재적에 수록되어 있다. 권수제 하단에는 중교자(重校者)의 성명을 기록하였다.
다음은 청나라의 왕모가 《광한위총서》를 편집하고 1791년(건륭(乾隆) 56)에 간행한 《증정한위총서(增訂漢魏叢書)》에 수록된 작품의 목록이다.
분류 서명(권수) 찬자 혹은 주석자
경익經翼
(20종)
焦氏易林(4권) (漢)焦贛 撰
易傳(3권) (漢)京房 撰 ; (吳)陸績 注
關氏易傳(1권) (後魏)關朗 撰
周易略例(1권) (魏)王弼 撰
古三墳(1권) (晉)阮鹹 注
汲塚周書(10권) (晉)孔晁 注
詩傳孔氏傳(1권) (周)端木賜 撰
詩說(1권) (漢)申培 撰
韓詩外傳(10권) (漢)韓嬰 撰
毛詩草木鳥獸蟲魚疏(2권) (吳)陸璣 撰
大戴禮記(13권) (漢)戴德 撰 ; (北周)盧辯 注
春秋繁露(17권) (漢)董仲舒 撰
白虎通德論(4권) (漢)班固 撰
獨斷(1권) (漢)蔡邕 撰
忠經(1권) (漢)馬融 撰
孝傳(1권) (晉)陶潛 撰
小爾雅(1권) (漢)孔鮒 撰
方言(13권) (漢)揚雄 撰 ; (晉)郭璞 注
博雅(10권) (魏)張揖 撰 ; (隋)曹憲 音
釋名(4권) (漢)劉熙 撰
별사別史
(16종)
竹書紀年(2권) (梁)沈約 注
穆天子傳(6권) (晉)郭璞 注
越絕書(15권) (漢)袁康 撰
吳越春秋(6권) (漢)趙曄 撰 ; (宋)徐天祜 音注
西京雜記(6권) (漢)劉歆 撰
漢武帝內傳(1권) (漢)班固 撰
飛燕外傳(1권) (漢)伶玄 撰
雜事秘辛(1권) (漢)□□ 撰
華陽國志(14권) (晉)常璩 撰
十六國春秋(16권) (後魏)崔鴻 撰
元經薛氏傳(10권) (隋)王通 撰 ; (唐)薛收 傳 ; (宋)阮逸 注
群輔錄(1권) (晉)陶潛 撰
英雄記鈔(1권) (漢)王粲 撰
高士傳(3권) (晉)皇甫謐 撰
蓮社高賢傳(1권) (晉)□□ 撰
神仙傳(10권) (晉)葛洪 撰
자여子餘
(23종)
孔叢(2권)附詰墨(1권) (漢)孔鮒 撰
新語(2권) (漢)陸賈 撰
新書(10권) (漢)賈誼 撰
新序(10권) (漢)劉向 撰
說苑(20권) (漢)劉向 撰
淮南鴻烈解(21권) (漢)劉安 撰 ; (漢)高誘 注
鹽鐵論(12권) (漢)桓寬 撰 ; (明)張之象 注
法言(10권) (漢)揚雄 撰 ; (宋)宋鹹 注
申鑒(5권) (漢)荀悅 撰 ; (明)黃省 曾注
論衡(30권) (漢)王充 撰
潛夫論(10권) (漢)王符 撰
中論(2권) (漢)徐幹 撰
中說(2권) (隋)王通 撰
風俗通義(10권) (漢)應劭 撰
人物志(3권) (魏)劉邵 撰 ; (後魏)劉昞 注
新論(10권) (北齊)劉晝 撰
顏氏家訓(2권) (北齊)顏之推 撰
參同契(1권) (漢)魏伯陽 撰
陰符經(1권) (漢)張良等 注
風後握奇經(1권)附握奇經續圖(1권) (漢)公孫弘 解
素書(1권) (漢)黃石公 撰 ; ((宋)張商英 注
心書(1권) (漢)諸葛亮 撰
재적載籍
(28종)
古今注(3권) (晉)崔豹 撰
博物志(10권) (晉)張華 撰 ; (宋)周日用 ; (宋)盧□ 注
文心雕龍(10권) (梁)劉勰 撰
詩品(3권) (梁)鍾嶸 撰
書品(1권) (漢)庾肩吾 撰
尤射(1권) (魏)繆襲 撰
拾遺記(10권) (前秦)王嘉 撰 ; (梁)蕭綺 錄
述異記(2권) (梁)任昉 撰
續齊諧記(1권) (梁)吳均 撰
搜神記(8권) (晉)幹寶 撰
搜神後記(2권) (晉)陶潛 撰
還冤記(1권) (北齊)顏之推 撰
神異經(1권) (漢)東方朔 撰 ; (晉)張華 注
海內十洲記(1권) (漢)東方朔 撰
別國洞冥記(4권) (漢)郭憲 撰
枕中書(1권) (晉)葛洪 撰
佛國記(1권) (晉)釋法顯 撰
伽藍記(5권) (後魏)楊炫之 撰
三輔黃圖(6권) (漢)□□ 撰
水經(2권) (漢)桑欽 撰
星經(2권) (漢)甘公 ; (漢)石申 撰
荊楚歲時記(1권) (梁)宗懍 撰
南方草木狀(3권) (晉)嵇含 撰
竹譜(1권) (晉)戴凱之 撰
禽經(1권) (周)師曠 撰 ; (晉)張華 注
古今刀劍錄(1권) (梁)陶弘景 撰
鼎祿(1권) (梁)虞荔 撰
天錄閣外史(8권) (漢)黃憲 撰

경익 20종, 별사 16종, 자여 23종, 재적 28종, 총 86종이다. 《광한위총서》의 분류를 바로잡은 것이 눈에 띈다. 예를 들어 《광한위총서》에서 재적으로 분류한 《안씨가훈》이 《한위총서》와 동일하게 자여에 수록되어 있다.

5. 가치와 영향

정영이 편집 수록한 《한위총서》 38종은 일서(逸書)를 집대성하였다. 여기 수록된 《한시외전(韓詩外傳)》 등의 작품에 대해서는 위작 논란이 있지만, 일서를 집일하여 간행했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한위총서》의 간행을 시작으로 《광한위총서》, 《증정한위총서》가 파생적으로 간행된 것은 출판문화사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건륭 가경 연간에 간행된 총서인 《용위비서(龍威秘書)》 등에 수록된 작품이 《한위총서》 및 《증정한위총서》에 수록된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명청대에 종합성 총서 간행의 풍토가 자리 잡게 된 것은 《한위총서》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유입된 중국 총서는 대부분 패관잡기로 치부되었으나, 《한위총서》에 수록된 경서 및 역사 분야의 서적은 전거(典據)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현전하는 궁궐 서목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중국서 서목인 《규장총목(奎章總目)》에는 《한위총서》에 수록된 《한시외전》이 저록되어 있기도 하다.

6. 참고사항

(1) 명언
• “총서는 괄창(括蒼) 하당(何鏜) 선생이 휘집한 판본부터 유통되었는데, 신안 정씨가 한위(漢魏)는 고대와 멀지 않아 전아(典雅)함과 (閎博)함이 경사(經史)를 돕기에 충분하다고 여겼다.[叢書 彙自括蒼何先生鏜版行 則新安程氏 漢魏去古未遠 典雅閎博 咸足羽翼經史]” 《광한위총서》 〈한위총서총목[후지](漢魏叢書總目)[(後識)]〉
• “하씨의 구목(舊目)은 백 종이고, 정씨가 간행한 것은 겨우 37종에 불과하니, 반 이상 덜어낸 것 중 《삼분서》・《주서》 같은 것은 비록 병통이 있어 분류되지 않았지만 위진(魏晉)의 주가 있으므로 (《광한위총서》에서는) 다시 수록하였다.[何氏舊目百種 程氏僅梓三十七 玆搜益其半內 如三墳周書 雖病不類 似以魏晉注收序]” 《광한위총서》 〈한위총서총목[후지]〉
• “이상은 《증정한위총서》 86종이다. 하씨(하윤중)가 경・사・자적의 구목(舊目)은 그대로 두고 재적을 창립하여 한 유문(類門)을 만든 것은 원래 패관소설을 수록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사부의 《서경잡기》・《화양잡지》와 자부의 《염철론》・《풍속통》・《인물지》・《가훈》을 아울러 재적에 넣어 스스로 그 범례를 어지럽혔다.[以上增訂漢魏叢書八十六種 一仍何氏經史子籍舊目 惟是何氏創立載籍一門 原取便收羅稗官小說 而乃以史部之西京雜記華陽國志 子部之鹽鐵論人物志風俗通家訓 幷入載籍 則已自亂其例]” 《증정한위총서》 〈증정한위총서목차[후지](增訂漢魏叢書目次[後識])〉
• “지금 분류를 모두 정정하였고, 10종을 증보한 것은 원서의 차례에 의거하여 각 부로 되돌렸다.[今皆分別訂正 所有增補十種 仍依原書次第 歸各部帙]” 《증정한위총서》 〈증정한위총서목차[후지]〉
• “이를 시작으로 종인걸(鍾人傑)의 《당송총서(唐宋叢書)》, 상유준(商維濬)의 《패해(稗海)》, 진계유(陳繼儒)의 《보안당비급(寶顔堂秘笈)》이 나왔습니다. 이들은 대체로 이전 사람들이 완성한 책을 가지고 각기 자신의 생각에 따라 내용을 산삭하거나 보충하였는데, 취사(取捨)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을 면치 못하였습니다. 나아가 장조(張潮)의 《소대총서(昭代叢書)》, 왕탁(王晫)의 《단궤총서(檀几叢書)》, 포정박(鮑廷博)의 《지부족재총서(知不足齋叢書)》 등의 책은 쓸데없는 내용을 덧붙여 더욱더 자질구레해졌습니다.
결국 사람들은 이들 책을 소품이라며 싫어하게 되었는데, 실상을 알지 못하는 자들은 《한위총서》까지 싸잡아 모두 소품에 소속시키고 ‘총서는 소품을 뜻한다.’라고 말합니다. 아, 어쩌면 그리도 무함이 심한지요.[自是而爲鍾人傑之唐宋 爲商濬之稗海 爲陳繼儒之秘笈 則槩就前人見成之書 各以己意刪補 而去取得失 俱未免疵議 以至張潮之昭代 王晫之檀几 鮑廷博之知不足齋 尤零零瑣瑣 付贅懸疣 人遂以小品厭棄 而不知者 幷與漢魏 都歸之小品 曰叢書者 小品之義也 噫 何其厚誣哉]” 《명고전집(明皐全集)》 권5 〈답성비서(答成秘書)〉
(2) 색인어:한위총서(漢魏叢書), 광한위총서(廣漢魏叢書), 증정한위총서(增訂漢魏叢書), 정영(程榮), 하윤중(何允中), 왕모(王謨)
(3) 참고문헌
• 《中國叢書綜錄》(上海圖書館 編, 上海古籍出版社)
• 《叢書綜錄續編》(施廷镛, 北京圖書館出版社)
• 《中國叢書廣錄》(陽海淸 編撰 ; 陳彰璜 參編, 湖北人民出版社出版)
• 《中國叢書綜錄補正》(陽海淸 編撰 ; 蔣孝達 校訂, 江蘇廣陵古籍刻印社)
• 《中國古籍總目》(中國古籍總目編纂委員會, 中華書局‧上海古籍出版社)
• 《古籍叢書述論》(李春光, 遼沈書社)
• 〈中国丛书探源〉(吕志文, 《松辽学刊》人文社会科学版, 2001)
• 〈丛书在目录学上的地位初探〉(温显贵, 《湖北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1999)
• 〈《华阳国志》汉魏丛书本述略〉(赵俊芳, 《古籍整理研究学刊》, 1998)
• 《《龙威秘书》所录小说研究》, (桑郡霞, 山东大学 硕士, 2012)
• 《조선에 유입된 중국 총서의 서지학적 연구》(김은슬,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김은슬】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