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孫子髓

손자수

해제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兵者 士不可以不知也
漢宋之諸儒 言兵事하고 策戰略也 莫不
而折(衷)[衝]之하니 則儒而不知兵이면 非通儒也
昔孫武著書十三篇 凡攻守戰備之要 在於知彼知己知天知地之理
等語 皆出自吾儒正論하니 非特之秘妙而已
其章句之分疏 旨義之訂翼 諸家 已備矣
近閱趙君羲純所撰註釋하니 本諸儒術하고 參以武經하여 辨難舊註之穿鑿하고 折衷群言之同異하며 間附己意하여 發前未發者多하고 迂直岐逕 井井若航海之分針이라
趙君 武名而儒行者也
於書無不讀하고 讀而悟其眞諦하여 하여 妙有自得之神이요 而尤長於하여 分析古作者微奧하여 釐爲一家之藏하니 雖謂之이라도 未爲侈語也
要余訂定하여 弁之于卷하니 余以爲하고 로되 而以余所未嘗學者 顧安所質劑於此乎
然竊自有得於涉獵中일새 略敍兵家源委하여 以明儒者不得不知하노라
라하니 夫甲冑干櫓之尙忠信禮義 是爲用兵之本이니 讀兵者又不可不知此也
淸風後人하노라


병법兵法은 선비가 알지 않으면 안 된다.
지수地水복희伏羲문왕文王에게서 시작되었고, 감비甘費의 글이 우왕禹王나라 때에 가법家法이 되었으니, 이는 참으로 오래되었다.
태공太公도략韜略을 짓고 오자吳子(吳起)가 병법兵法을 논할 적에 반드시 도덕道德인의仁義를 말하였고, 중니仲尼문사文事무비武備맹씨孟氏지리地利인화人和는 모두 천고千古에 없앨 수 없는 도금韜靲(韜略)이다.
의 여러 학자들은 병사兵事를 말하고 전략戰略을 계책할 적에 존조尊俎에서 절충折衝하지 않음이 없었으니, 학자로서 병법兵法을 알지 못하면 통달한 선비가 아니다.
옛날 손무孫武병서兵書 13을 지었는데, 공격과 수비, 전투에 대비하는 모든 요점이 을 알고 자기를 알며, 천시天時를 알고 지리地理를 아는 데 있었다.
이른바 ‘적이 오도록 만들고 적에게 끌려가지 않는다.’라는 것과, ‘병력을 나타냄이 지극함은 형체가 없음에 이르는 것이다.’ 등의 말은 모두 우리 유가儒家정론正論에서 나왔으니, 네 가지 이로움과 일곱 가지 계산함과 아홉 가지 변함과 다섯 가지 간첩間諜의 비밀스러운 묘리뿐만이 아니다.
장구章句를 나누어 해석함과 뜻을 수정하고 보충한 것은 제가諸家주해註解에 이미 구비되어 있다.
근간에 조군趙君 희순羲純이 지은 주석을 보니, 유학儒學에 근본하고 무경武經을 참작해서 옛 주석의 천착穿鑿함을 변론하고 여러 말의 동이同異를 절충하였으며, 중간에 자기 뜻을 붙여서 예전에 아직 드러내지 못한 뜻을 발명함이 많았고, 우회와 직선, 갈림길과 오솔길이 분명하여 항해航海분침分針과 같았다.
아!
조군趙君무신武臣의 이름으로 선비의 행실을 하는 자이다.
책을 읽지 않은 것이 없고, 읽으면 그 참된 뜻을 깨달아서 식견이 고매하여 스스로 터득하는 신묘함이 있고, 더더욱 동보同甫병법兵法을 논함과 서산西山진법陣法을 부연함에 장점이 있어서 옛날 작자作者들의 은미하고 심오한 뜻을 분석하여 한 사람의 장서藏書로 정리하여 만드니, 비록 후세의 자운子雲이라고 평하더라도 지나친 말이 되지 않을 것이다.
나에게 이것을 수정하여 책의 머리글을 써줄 것을 요구하니, 내 생각건대 자유子游의 《시서詩序》가 모씨毛氏전의箋義에 취해졌고 강성康成예소禮疏진씨秦氏의 《통고通考》에 산정刪正되었으나, 나는 일찍이 병서兵書를 배우지 않은 자로서, 돌아보건대 어찌 여기에 대해 질정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적이 이 책을 섭렵하는 가운데 얻음이 있었으므로 병가兵家원류源流를 간략히 서술하여 선비가 병법兵法을 알지 않으면 안 됨을 밝히는 것이다.
오기吳起가 말하기를 “선비는 충신忠信으로써 갑주甲冑를 삼고 예의禮義로써 방패를 삼는다.” 하였으니, 갑주甲冑와 방패를 사용하면서도 충신忠信예의禮義를 숭상함은 이것이 용병用兵하는 근본이 되니, 병서兵書를 읽는 자가 또 이것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청풍淸風 후인後人 김학성金學性은 쓰다.


역주
역주1 地水之象……家法於禹周 : 地水의 象은 《周易》의 師卦로, 地는 坤☷을, 水는 坎☵을 이르는바, 師卦는 卦畫이 ䷆이고 군대를 의미한다. 羲文은 伏羲와 文王을 병칭한 것으로, 伏羲가 처음 八卦를 그리고 文王이 卦辭를 지었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權輿는 처음이라는 뜻인바, 《詩經》 〈秦风 权舆〉에 “나에게 깊고 넓은 집을 주더니 지금에는 밥 먹을 때마다 남음이 없도다. 아, 權輿를 잇지 못함이여.[於我乎 夏屋渠渠 今也 每食无餘 于嗟乎 不承权舆]” 하였는데, 朱子의 《集传》에 “權輿는 처음이다.”라고 보인다.
甘費之辭는 《書經》의 〈甘誓〉와 〈費誓〉를 이른다. 〈甘誓〉는 夏나라 禹王의 아들 啓가 즉위하자 有扈가 복종하지 않으므로 그를 토벌하기 위해 출병하면서 甘 땅에서 장병들에게 맹세한 내용이며, 〈費誓〉는 周나라 周公의 아들 伯禽이 魯나라에 봉해진 뒤에 夷戎들이 복종하지 않으므로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출병하면서 費 땅에서 장병들에게 맹세한 내용이다.
역주2 太公著略……孟氏之地利人和 : ‘太公이 韜略에서 道德과 仁義를 말했다.’는 것은, 《三略》 〈下略〉에 “道‧德‧仁‧義‧禮 다섯 가지는 一體이다. 道는 사람이 행하는 바요, 德은 사람이 얻은 바요, 仁은 사람이 친애하는 바요, 義는 사람이 마땅히 행해야 할 바요, 禮는 사람이 체행하는 바이니, 한 가지도 없어서는 안 된다.”라고 보인다.
‘文事와 武備’는 孔子가 魯 定公에게 올린 경계의 말씀으로 《史記》 〈孔子世家〉에 “文과 관계된 일을 할 때에도 반드시 武의 대비가 있어야 하고, 武와 관계된 일을 할 때에도 반드시 文의 대비가 있어야 합니다.[有文事者 必有武備 有武事者 必有文备]”라고 보인다.
孟氏의 ‘地利와 人和’는 《孟子》 〈公孫丑 下〉에 “천시가 지리만 못하고 지리가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고 보인다.
역주3 尊俎(준조)而折(衷)[衝]之 : 굳이 군대를 동원하여 전쟁터에서 싸우지 않고 외교상의 담판으로 상대방을 꺾어 승리를 취한다는 뜻이다. ‘尊俎之間’은 술과 도마의 사이라는 뜻으로 연회석을 가리키며, ‘折衝’은 적군의 전차를 물리쳐 전투에서 승리한다는 의미로, 衝은 전투용 수레의 일종이다. 齊나라의 名相인 晏嬰이 晉나라에서 정탐하러 온 使臣의 의도적인 결례를 연회석상에서 지적하며 결연한 모습을 보이자, 사신은 晉나라로 돌아가 齊나라를 공격할 수 없다고 보고하였다. 孔子는 이 말을 듣고 “잔치 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천 리 밖의 일을 안다는 것은 晏子(晏嬰)를 이른 것이다. 절충했다고 이를 만하다.[夫不出于尊俎之間而知千里之外 其晏子之謂也 可謂折衝矣]’ 하였다. 《晏子春秋 권5 雜上 第5》 저본에는 ‘衷’으로 되어있으나 《吳子春秋》에 의거하여 ‘衝’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尊俎 : 준조
역주5 所謂致人不致於人……至於無形 : 이 내용은 《孫子》 〈虛實〉에 보인다.
역주6 四利七計(尤)[九]變五間 : 모두 《孫子》에 보인다. 저본에는 ‘尤’로 되어있으나, 《孫子》에 의거하여 ‘九’로 바로잡았다.
四利는 군대를 주둔함에 있어 이로운 지역을 선택하는 네 가지 방법이다. 산에 주둔하는 군대[處山之軍]는 높은 곳에 주둔해야 하고 적이 높은 곳을 점거하였으면 올라가 싸우지 말아야 하며, 물가에 주둔하는 군대[處水上之軍]는 살 곳을 살펴보아 높은 곳에 주둔하고 물의 하류에 주둔하지 말아야 하며, 갯벌과 늪지대에 주둔하는 군대[處斥澤之軍]는 물과 풀이 좋은 곳을 의지하고 여러 나무를 등지고 있어야 하며, 平陸에 주둔하는 군대[處平陸之軍]는 높은 언덕을 오른쪽과 뒤에 두고 앞에는 죽을 땅(낮은 곳)을 두고 뒤에는 살 땅(높은 곳)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이 네 가지는 〈行軍〉의 맨 앞에 보인다.
七計는 적과 우리의 실정을 비교하는 일곱 가지 기준 항목인 君主의 올바름, 전쟁을 지휘하는 將帥의 재능, 天時와 地利의 이로움, 法令의 엄정함, 강한 병력, 士卒의 훈련 정도, 賞罰의 분명함으로, 〈始計〉에 보인다.
九變은 용병에 있어 변화하는 방법 아홉 가지로 〈九變〉에 보이며, 五間은 다섯 부류의 간첩인 因間, 內間, 反間, 死間, 生間으로 〈用間〉에 보인다.
역주7 : 회
역주8 見識迢邁 : 초매
역주9 同甫之論兵 西山之演陣 : 同甫는 南宋의 학자인 陳亮의 자로 호가 龍川인데, 實事實功을 강조하며 병사를 논하기를 좋아하여 지나치게 功利를 추구한다는 朱子의 비판을 받았다. 西山은 남송의 학자인 蔡元定의 호로 주자에게 수학하였는바, 陣圖를 만들었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10 後世子雲 : 孫子의 병법을 후세에 깊이 이해한 자라는 의미이다. 子雲은 前漢의 학자인 揚雄의 字로, 《太玄經》과 《法言》을 지었는데, 사람들이 이 책들의 내용이 너무 심오하여 당세에 알아볼 사람이 없다고 비판하자, 揚雄은 “나는 후세의 자운을 기다린다.”라고 대답한 데서 유래하였다. 《漢書 권87 揚雄傳》
역주11 子游之詩序 取舍於毛氏箋義 : 子游는 孔子의 弟子로 성은 言이고 이름은 偃인데, 子夏와 함께 문학으로 명성이 높아 孔門四科에 든 인물이다. 《詩經》에 연관된 기록이 보이지 않는바, 이는 子夏의 오기로 보인다. 子夏는 성이 卜이고 이름이 商인데 詩序를 썼다고 전해진다. 毛氏는 大毛公인 毛亨과 小毛公인 毛萇을 가리키며, 箋義는 毛萇의 《詩傳》을 가리킨 것이다.
鄭玄의 《詩譜》에 “魯나라 사람 大毛公이 자기 집에서 《訓詁傳》을 지었는데, 河間獻王이 이것을 얻어 황제에게 바쳐서 小毛公을 博士로 삼게 했다.” 하였으며, 陸璣의 《毛詩草木鳥獸魚蟲疏》에는 “孔子가 詩를 산정하여 卜商에게 전수하였고, 卜商이 詩序를 지어 魯나라 사람 曾申에게 전수하였고……荀卿이 魯나라의 毛亨에게 전수하였고 毛亨이 《訓詁傳》을 지어 趙나라의 毛萇에게 전수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이 毛亨을 大毛公이라 하고 毛萇을 小毛公이라 하였다.”라고 보인다.
역주12 康成之禮疏 刪正於秦氏通考 : 康成은 後漢의 대학자인 鄭玄의 자이며, 禮疏는 《禮記》의 注疏를 이른다. 秦氏는 淸나라 학자 秦蕙田으로 그가 《五禮通考》를 지으면서 鄭玄의 주석을 참고하였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13 起云……禮義以爲干櫓 : 이 내용은 孔子가 魯 哀公이 물은 선비의 행실[儒行]에 대해 대답한 내용의 일부로 《禮記》 〈儒行〉에 그대로 보이는바, 앞에 吳起가 말했다고 한 것은 誤記로 보인다.
역주14 金學性 : 1807∼1875. 자는 景道, 호는 松石, 본관은 淸風이며, 시호는 文獻이다. 1829년(순조29) 정시 문과에 급제하고, 弘文館 副提學과 예조‧형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侍講院의 右賓客으로 재직 중 별세하였다.

손자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