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童蒙先習

동몽선습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首篇〉
하며 君臣有義하며 夫婦有別하며 長幼有序하며 朋友有信이라하시니 이면 리라
하며 君義臣忠하며 夫和婦順하며 兄友弟恭하며 朋友輔仁然後에야 리라


수편首篇
천지 사이에 있는 만물의 무리 가운데에서 오직 사람이 가장 존귀하다.
사람을 존귀하게 여기는 까닭은 오륜五倫이 있기 때문이다.
[해설] 동양 사상의 대전제는 하늘과 사람, 곧 천지 자연과 인간의 동일성을 인정하는 데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우리 선조들이 인간을 대단찮은 존재로 비하시켰던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보듯 천지간의 모든 존재 중에서 인간이 가장 존귀하다고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존귀한 근거는 인간이 가진 물리적인 힘이나 도구적 지식 또는 기능 때문이 아니다. 인간이 가장 존귀한 까닭은 어디까지나 다른 만물들과는 달리 오륜五倫이라는 도덕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우리나라의 실학자 이익李瀷도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사람이 짐승과 다른 것은 오륜을 가지고 있기 때문[人之異於禽獸者 以其有五倫也]”이라고 했다. 이처럼 유학에서는 성리학性理學이나 실학實學 등 어떤 학풍을 막론하고 인간을 본래부터 도덕성을 타고난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에 자신이 타고난 도덕성을 밝혀내면서 살아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삶이라고 생각하였다. 유학의 이와 같은 정신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것이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이다.《중용》에서는 인간이 자신에게 부여된 도덕적 능력을 극대화하면 천지자연과 대등한 존재가 될 수 있다[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與天地參]고 하여 도덕적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맹자孟子께서는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는 친애親愛함이 있어야 하며,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하며,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구별區別이 있어야 하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하며, 친구 사이에는 신의信義가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사람이면서 오상五常이 있음을 알지 못하면 짐승과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것이다.
[출전] ○ 五倫(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 《맹자孟子등문공상滕文公上》에서 맹자孟子진상陳相과 대화하는 도중에 처음 나온다.사람에게는 도리가 있기 때문에 배불리 먹으며 따뜻한 옷을 입고 편안히 생활하면서 가르침이 없으면 짐승에 가까워진다. 성인聖人(舜임금을 지칭)이 이를 근심하여 (설 : 임금 시대의 신하 이름)을 사도司徒(司는 맡는다는 뜻이고 학도學徒로 백성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보고 붙인 명칭이다. 따라서 사도는 백성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책임자로 지금의 교육부 장관격이다.)로 삼아 인륜人倫을 가르치도록 했으니 그것이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이다.[人之有道也 飽食煖衣 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獸 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則其違禽獸 不遠矣 : 원래 《맹자孟子고자하告子下》에서 “야기(밤에 자라나는 착한 기운)를 보존하기에 부족하면 짐승과의 차이가 크지 않게 된다.夜氣不足以存 則其違禽獸不遠矣”고 한 데서 유래했다.
[해설] 흔히 삼강三綱오륜五倫유학儒學이 지향하는 도덕 규범으로 병칭하지만 실제로 삼강은 유가의 문헌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삼강은 나라 동중서董仲舒의 《춘추번로春秋繁露》에 처음으로 나오는데 그 내용이 각각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으로 임금은 신하의 벼리이고 부모는 자식의 벼리이며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라는 식으로 신하와 자식, 지어미의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조하는 일방적인 윤리이기 때문에 인륜의 쌍무성雙務性 또는 호혜성互惠性을 강조하는 오륜과는 그 성격이 크게 다르다.
맹자孟子》에 처음 보이는 오륜은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지아비와 지어미, 어른과 아이, 친구간에 각각 지켜야 할 바람직한 행위 규범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적인 복종을 강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 비추어볼 때도 보편적 타당성을 얻을 수 있는 윤리 규범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하며, 임금은 신하에게 의리를 지키고 신하는 임금에게 충성하며, 남편은 가족을 화합하고 아내는 남편에게 순종하며, 형은 동생을 사랑하고 동생은 형을 공경하며, 친구 사이에는 을 도와준 뒤에야 비로소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출전] ○ 朋友輔仁 : 《논어論語안연顔淵》에서 “증자가 말씀하셨다. 군자는 글로써 친구를 모으고 친구를 사귐으로써 자신의 을 돕게 한다.[曾子曰 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
[해설] 인륜의 쌍무성을 드러내주는 오륜五倫의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는 구절이다. 곧 부모에 대한 효도를 자식에게만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 또한 자식을 사랑해야 한다는 당위를 주장하고 있다. 이하의 군신 관계나 부부 관계 그리고 형제 관계 또한 마찬가지이다. 특히 붕우관계에서는 친구를 사귀는 목적이 을 보조하는 데 있다고 밝힘으로써 서로의 인격을 완성하기 위해 친구를 사귀는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역주
역주1 天地之間 : 천지의 사이, 之는 관형격 조사 ‘~의’에 해당한다. 天地之間은 천지의 사이이고 萬物之衆은 만물의 무리이므로 얼핏보면 병렬관계인 것 같지만 내용상 만물이 천지 사이에 있으므로 ‘천지 사이에 있는 만물의 무리’라고 번역하는 것이 좋다. 《啓蒙篇》에는 “天地之間 萬物之中 唯人最貴”로 되어 있다.
역주2 萬物之衆 : 만물의 무리. 많다는 뜻에서 衆이 들어감. 그러나 萬에 많다는 뜻이 이미 들어 있으므로 萬物之中 곧 ‘만물 가운데에서’로 해석하는 것이 무방하다.
역주3 惟人最貴 : 사람이 가장 존귀하다. 惟는 ‘오직’의 뜻으로 바로 뒤의 명사를 한정하는 부사.
역주4 所貴乎人者 以其有五倫也 : 주어가 원인, 서술어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사람을 존귀하게 여기는 까닭은 오륜이 있기 때문이다.’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所~者는 所以~者의 줄임말. 이 때 所以는 까닭, 원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所貴乎人者는 ‘사람을 존귀하게 여기는 까닭은’으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以는 때문, 其는 有五倫을 명사화시켜 주는 구실을 한다. 也는 종결사. 貴乎人은 ‘사람을 중시하다’는 뜻으로 乎는 목적격 조사 ‘~을, 를’에 해당한다. 통상 乎는 문장의 말미에 붙으면 의문사로 쓰이고 여기서처럼 서술어와 목적어 사이에 놓이면 於와 마찬가지로 목적격 조사로 쓰인다.
역주5 是故 : 이 때문에. 是以, 玆以 등과 같다.
역주6 孟子曰 : 孟은 성이고 子는 선생님이란 뜻. 이름을 직접 쓰지 않고 子를 붙임으로써 존경을 표시하였다. 曰은 보통 사람이 말했다는 뜻으로 쓰이고 云은 책에 기록되어 있다는 뜻으로 쓰이는 경향이 있지만 거의 구분하지 않고 통용한다. 《禮記》의 경우 子云으로 기록된 부분이 많은데 이는 子曰과 같다.
역주7 父子有親 : 父子는 ‘父母與子息之間’ 곧 부모와 자식 사이를 의미하는데, 자연을 대표하는 개념이 天地이고 天地를 축약하여 天이라고 표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父라고 하면 母도 그 속에 포함되어 있다. 有親은 친애함이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친애함이란 부모와 자식 사이에 마땅히 있어야 할 도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친애함이 있다는 말은 친애함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하 마찬가지.
역주8 人而 : 사람이면서, 사람으로서. 이 때 而는 동시성을 표시하는 접속사이다.
역주9 不知有五常 : 오상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함. 五常은 다섯 가지 항구 불변하는 도리라는 뜻인데 일반적으로 仁義禮智信을 지칭하지만 여기서는 五倫을 말한다.
역주10 其違禽獸不遠矣 : 짐승과의 어긋남이 멀지 않다. 곧 차이가 크지 않다는 뜻. 遠은 보통 거리가 멀다는 공간적 차이를 표시하지만 때로는 시간의 차이나 여기서처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其는 보통 ‘그’로 번역하는데 영어의 정관사 ‘the’에 해당한다. 따라서 다음에 위치하는 違禽獸를 명사화시키는 구실을 하지만 번역할 때는 대부분 생략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禽獸의 禽은 날짐승을, 獸는 길짐승을 의미하지만 때로는 禽이나 獸가 단독으로 쓰이면서 날짐승과 길짐승을 통칭하는 경우도 있다. 용례) 鸚鵡能言 不離飛鳥 猩猩能言 不離禽獸(앵무새가 말을 할 줄 알지만 나는 새에 지나지 않고 성성이가 말을 할 줄 알지만 짐승에 지나지 않는다.《禮記‧曲禮上》) 矣는 종결사인데 대체로 미래형 또는 추측형 종결사로 쓰인다.
역주11 不知有五常 則其違禽獸不遠矣 : 則은 대부분 앞 부분에 가정, 곧 조건에 해당하는 내용이 나오고 뒷부분에 결과에 해당하는 내용이 붙는다. 따라서 A則B라면 ‘만약 A라면 B이다’는 뜻이다. 물론 때에 따라서 則이 주격조사 ‘은, 는’의 구실을 할 때도 있고, ‘하므로, 따라서’와 같은 접속사로 쓰일 때도 있다.
역주12 然則 : 보통 ‘그러한즉’이라고 번역하나 여기서는 문맥상 ‘그러므로’나 ‘따라서’가 적절하다. 또 ‘그렇다면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역주13 父慈子孝 : 慈나 孝는 모두 사랑한다는 뜻이지만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이 慈이고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는 것이 孝이다. 따라서 목적어가 생략되어 있지만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父慈]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해야 한다[子孝]고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역주14 方可謂之人矣 : 비로소 사람이라고 일컬을 만하다. 方은 비로소, 可謂는 ‘일컬을 만하다’는 뜻. 之는 ‘그 사람’을 지칭하는 대명사.

동몽선습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