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鄭云 以其記中和之爲用也
用也
孔子之孫子思 作之하여 以昭明聖祖之德也라하니라
[疏]正義曰 : 案云 “名曰中庸者, 以其記中和之爲用也.
庸, 用也.
孔子之孫子思作之, 以昭明聖祖之德.
此於屬通論.”


中庸 第三十一
육덕명陸德明이 말하였다.
정현鄭玄이 ‘〈중용中庸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이 〈이〉 중화中和의 쓰임을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은 쓰임[用]이다.
공자孔子의 손자 자사子思가 지어 성조聖祖을 환히 밝혔다.’라고 하였다.”
정의왈正義曰 : 정현鄭玄의 《삼례목록三禮目錄》을 살펴보면 “〈중용中庸〉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이 〈이〉 중화中和의 쓰임을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은 쓰임[用]이다.
공자孔子의 손자 자사子思 공급孔伋이 지어 성조聖祖을 환히 밝혔다.
이것이 《별록別錄》에는 〈통론通論〉에 들어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中庸 第三十一 : 〈中庸〉은 원래 《禮記》의 제31편이었다. 漢나라의 학자들은 이를 특별히 귀하게 여기지 않았다. 南朝 宋나라의 戴顒이 처음으로 《中庸傳》 2권을 지었으나 지금 전하지 않는다. 梁 武帝가 《中庸講疏》 1권과 《中庸義》 5권을 지었다고 하나 역시 전하지 않는다. 唐나라에 이르러 李翶가 〈中庸〉의 解說이라 할 수 있는 〈復性說〉과 〈中庸說〉을 지었다. 宋나라에 이르러 많은 주석서가 나오고 程子가 이를 孔門의 傳授心法으로 表章하여 《大學》‧《論語》‧《孟子》와 함께 자제들을 가르치고, 朱熹가 《中庸章句》를 지으면서부터, 단행본으로 세상에 크게 유포되기 시작하였다.
역주2 陸曰 : ‘陸’은 陸德明(唐)으로, ‘陸曰’ 이하의 내용은 《經典釋文》에 나온다. 孔穎達(唐)이 五經正義를 편찬하였을 때에는 正義를 經注에 合刊하지 않고 별도의 단행본으로 印出하였다. 이는 十三經注疏가 확립된 뒤에도 마찬가지였다. 南宋 이후에야 經注에 正義를 합간하고, 또 육덕명의 《경전석문》을 부록으로 붙여놓았다. 注에 나오는 ‘陸曰’ 또는 ‘○’ 뒤의 내용은 육덕명의 《경전석문》 내용이다.
역주3 鄭目錄 : 《周禮》‧《儀禮》‧《禮記》에 대한 鄭玄의 目錄學 저술로, 정식명칭은 《三禮目錄》이다. 1권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모두 逸失되었다. 袁均(淸)의 《鄭氏佚書》와 臧庸(淸)의 《拜經堂叢書》 등에 輯佚되어 있다.
역주4 : 저본에는 ‘伋’자가 있으나, 陸德明의 《經典釋文》에는 ‘伋’자가 없다.
역주5 別錄 : 《七略別錄》이라고도 한다. 劉向(前漢)이 成帝의 명을 받아 朝廷의 藏書를 校定할 때 별도로 편찬한 解題集이다. 《七略別錄》이 완성되기 전에 유향이 죽었기 때문에, 그의 아들 劉歆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완성하였다. 모두 20권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唐代에 이미 逸失되었다. 馬國翰淸)의 《玉函山房輯佚書》 등에 輯佚되어 있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