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
侵新羅
어늘 朕遣使諭
호되 不奉詔
일새 將討之
하노니 如何
오
原注
高麗頻數侵擾新羅어늘 朕遣使宣諭호되 不肯奉詔일새 我將興兵討之하노니 其計如何오
時新羅內附로되 而高麗蓋蘇文이 弑其上하고 畏討故로 梗化라
探知蓋蘇文自恃知兵하고 謂中國無能討라 故違命하니 臣請師三萬擒之하노이다
原注
臣探知高麗蓋蘇文이 自倚恃能知兵法하고 謂中國地遠하여 不能征討故로 違抗詔命하니 臣請以三萬衆擒取之호리이다
蓋蘇文者
는 高麗東部大人
也
니 하고 自爲莫離支
하니 其官
은 如中國吏部尙書也
라
原注
三萬兵甚少하고 而地數千里之遠하니 卿以何法臨之오
原注
卿平突厥時에 用奇兵勝之러니 今征高麗에 却言用正兵은 何也오
突厥은 本西方小國으로 姓阿史那氏니 世居金山之陽이라
이요 殷曰鬼方
이요 周曰
이요 漢曰匈奴
요 魏曰突厥
이니
工於鐵作하여 金山狀如兜鍪하니 其俗呼兜鍪爲突厥하여 因爲國號라
貞觀三年
에 以李靖爲定襄道總管
하여 統諸軍討突厥
이러니 四年春二月
에 襲破突厥於陰山
하니 頡利
汗
이 遁走
하니라
原注
昔
에 는 無他道也
요 用正兵而已矣
니이다諸葛亮
原注
所謂隅落鉤連하고 曲折相對하여 四頭八尾 觸處爲首하여 敵衝其中하면 兩頭皆救하니 孟獲豈識此術이리오
諸葛亮은 字孔明이요 諸葛은 其覆姓也니 琅琊陽都人이라
先主崩에 事後主하여 爲丞相이러니 建興三年에 率衆征南中平之하니라
晉馬隆討涼州
할새 亦是依八陣圖
하여 作偏箱車
하여 地廣則用鹿角車營
하고 路狹則
木屋
하여 施於車上
하여 且戰且前
하니 信乎
라 正兵
은 古人所重也
로다
原注
州擧其才堪良將
하여 遷司馬督假節宣威將軍
이러니 平涼州後
에 爲平虜將軍西平太守
하니라
臣討突厥할새 西行數千里하니 若非正兵이면 安能致遠이릿고
一則治力하고 一則前拒하고 一則束部伍하여 三者迭相為用하니 斯馬隆所得古法深也니이다
原注
臣討突厥之時에 西行數千里하니 若非用正兵이면 安能致遠如此哉잇가
一則用之而治力하고 一則用之而前拒하고 一則用之而束部伍하여 三者更迭하여 相爲便用하니 斯馬隆所得古人之法深也니이다
原注
○愚謂兵法은 有奇有正이어늘 今李靖但用正而不用奇者는 何哉오
夫兵行之法은 惟先有正이요 至於奇者하여는 臨敵變化而爲之耳니 靖非不用奇也라
偏箱鹿角은 扞外禦內하여 必無所失이요 且八陣亦有奇兵하니 若與敵相遇하여 進退不獲인댄 非出奇면 亦安能取勝哉아
故曰 善用兵者는 無不正이요 無不奇라하니 後之爲將者는 不可泥於用正而不用奇也니라
朕破宋老生할새 初交鋒에 義師少却이러니 朕親以鐵騎로 自南原馳下하여 橫突之한대 老生兵斷後하여 大潰하여
原注
朕破宋老生於
邑
할새 初交鋒刃
에 義師少却
이러니 朕親用鐵騎
하여 自南原
으로 馳騁而下
하여 橫突其陣
한대
煬帝十三年에 唐公至霍邑하니 代王侑 遣郞將宋老生等하여 拒之하니라
臣按兵法
은 自黃帝以來
로 先正而後奇
하고 先仁義而後權
하니이다
原注
臣按兵法
은 로 以至於今
히 必先用正而後奇
하고 必先以仁義治之而後
에 用權變譎詐之術
하니이다
原注
○愚按 權者는 一時之用이니 權而得中이면 卽仁義也니 仁義豈有不正者哉아
上古之世에 聖帝明王이 專用仁義하니 仁義者는 治天下之常經也라
今李靖以權譎竝言하니 蓋兵家權謀詭詐之術이요 非三代聖人之權道也라
且霍邑之戰에 師以義舉者는 正也요 建成墜馬하여 右軍少却者는 奇也니이다
原注
且霍邑에 與宋老生戰할새 師以義擧者는 得其兵法之正也요 建成墜馬하여 右師少却者는 合乎兵法之奇也니이다
原注
彼時右軍少却하여 幾敗吾之大事어늘 何以謂之奇邪아
法曰 利而誘之하고 亂而取之라하니 老生不知兵하고 恃勇急進이라가 不意斷後하여 見擒於陛下하니 此所謂以奇為正也니이다
原注
且右軍初不少却이면 則老生之兵을 安能致之而來哉잇가
宋老生本不知兵하고 倚恃其勇而急進이라가 不料鐵騎自南原馳下하여 橫突其陣하여 兵遂斷後하여 見擒於陛下하니
昔春秋時에 晉與楚戰할새 胥臣以師犯陳蔡하니 此卽向前爲正也요
狐毛設二旆而退하고 欒枝使輿曳柴僞遁하니 此卽後却爲奇也라
但狐毛, 欒枝는 設奇誘楚人之來하여 而右軍少却하고 建成은 墜馬하여 偶合出奇之道耳니 向非太宗天授면 幾何而不爲老生所勝與아
當右軍之却也에 高祖失色이러니 及朕奮擊하여 反為我利하여 孫吳暗合하니 卿實知言이로다
原注
夫當其右軍少却하여 高祖失色이러니 及朕以鐵騎로 奮而擊之하여 反爲我之所利하여 與孫吳暗合하니 卿實知言이라하니라
漢武嘗欲敎去病孫吳兵法한대 去病對曰 顧方略如何耳니 不至學古兵法也라하더니 凡行軍制勝에 多與孫吳暗合이라
霍去病
은 衛靑
子也
니 年十八
에 善騎射
하여 從大將軍
하여 爲
姚校尉
하여 屢有功
하고 後爲驃騎將軍
하니라
夫兵却
에 而不齊
하고 鼓大小而不應
하고 而不一
이면 此真敗者也
요 非奇也
니이다
若旗齊鼓應하고 號令如一이로되 紛紛紜紜이면 雖退走나 非敗也요 必有奇也니이다
法曰 佯
勿追
라하고 又曰 能而示之不能
이라하니 皆奇之謂也
니이다
原注
夫兵之却也
에 旗幟參差而不能齊
하고 鼓音大小而不相應
하고 而不歸一
하면 此乃眞敗也
요 非所謂奇也
니이다
若旗幟齊整하고 鼓聲相應하고 號令如一이로되 紛紛紜紜하여 示之以亂이면 雖退나 非眞敗也요 必有奇伏也니이다
在兵法에 有曰 佯北者勿追라하고 又曰 將本能而佯示之以不能이라하니 皆奇之謂也니이다
原注
言右師偶爾少却하여 而誘老生之來하니 是天命使之也요 太宗以鐵騎로 自南原馳下하여 橫突之하여 老生兵潰而擒하니 是人力爲之也라
若非正兵變為奇하고 奇兵變為正이면 則安能勝哉잇가
故
로 善用兵者
는 奇正
人而已
요 變而神之
는 所以推乎天也
니이다
原注
凡戰에 若非正兵或變而爲奇하고 奇兵或變而爲正하여 使敵莫測吾奇正之形이면 則亦安能致勝哉잇가
故로 善能用兵者는 奇正皆在人而已요 變化而入於神妙不測은 所以推之於天也니이다
按曹公新書曰 己二而敵一
이면 則一術為正
하고 一術為奇
요 己五而敵一
이면 則三術為正
하고 二術為奇
라하니 此言大略
니이다
原注
臣按
에 有曰 己二軍
이요 敵一軍
이면 則我以一術爲正
하고 以一術爲奇
요
己五軍이요 敵一軍이면 則我以三術爲正하고 以二術爲奇라하니 此但言其大略耳라
假如己一而敵二요 己一而敵五면 則以何術爲正하고 以何術爲奇乎잇가
故로 云 曹公但言奇正之大略이요 非奇正之深妙者也라하니라
唯孫武云 戰勢不過奇正하니 奇正之變을 不可勝窮이라
奇正相生이 如循環之無端하니 孰能窮之리오하니 斯得之矣니
原注
唯孫武子有云 戰勢不過奇正二者하니 奇正之變을 不可盡窮焉이라
奇正相生은 謂或以奇而生正하고 或以正而生奇하여 如環循轉하여 無有端倪하니 誰能盡之리오하니
若士卒未習吾法하고 偏裨未熟吾令이면 則必為之二術하여 教戰時에 各認旗鼓하여 迭相分合이라
教閱既成하여 衆知吾法然後에 如驅群羊하여 由將所指니 孰分奇正之別哉잇가
原注
若士卒未曾閑習吾之軍法하고 偏裨未曾慣熟吾之號令이면 則必爲之二術하여 敎戰之時에 各認本隊旗鼓하여 更迭爲分合이라
故로 曰分合爲變이라하니 謂分而合하고 合而分하여 更迭變化니 此乃敎戰之術耳니이다
敎閱旣成之後에 衆人皆知吾之軍法然後에 如驅群羊하여 或往或來가 由將所指니 孰能分其奇正之別哉잇가
是以로 素分者는 教閱也요 臨時制變者는 不可勝窮也니이다
原注
是以
로 奇正素分者
는 敎閱之法也
요 或奇而示之正
하고 或正而示之奇
하여 臨時相變
하여 者
는 奇正不可勝窮之道也
니이다
原注
重言深乎深乎者는 嘆其奇正之法을 不可以淺近求之也라
奇正之法雖深이나 而曹公必能知之로되 但新書는 所以授諸將而已요 非論奇正本法也라 蓋曹公姦詭하여 不令時人得知奇正之妙耳라
原注
曹公註
下
에 云 正者
는 當敵
이요 奇者
는 從旁擊不備也
라하니 卿謂其說若何
오
臣按曹公註孫子曰 先出合戰為正이요 後出為奇라하니 此與旁擊之說異焉하니이다
原注
臣嘗按曹公註孫子에 有云 先出與人合戰者爲正이요 在後出者爲奇라하니 此又與旁擊之說不同焉하니이다
臣愚는 謂 大衆所合이 為正이요 將所自出이 為奇라하오니 烏有先後旁擊之拘哉잇가
原注
臣愚는 謂 大衆與敵所合者 爲正兵이요 大將所自出者 爲奇兵이라하니 烏有先出爲正, 後出爲奇와 與從旁擊不備之拘執哉잇가
吾之正을 使敵視以為奇하고 吾之奇를 使敵視以為正이 斯所謂形人者歟인저
以奇為正하고 以正為奇하여 變化莫測이 斯所謂無形者歟인저
原注
吾之正兵을 使敵人視之에 反疑以爲奇하고 吾之奇兵을 使敵人視之에 反疑以爲正이 斯孫子所謂形人者歟인저
吾能以奇兵變爲正
하고 正兵變爲奇
하여 奇正變化
를 不可測度
이 斯
歟
인저
陛下神聖之姿가 逈出於古人하시니 非臣所能及也니이다
原注
○或問 奇何以變而爲正하고 正何以變而爲奇耶오 愚謂
善用兵者는 正亦勝하고 奇亦勝하여 使敵不知我所以制勝之形이니 斯能應變於無窮矣라
原注
分而合하고 合而分하여 互相更變은 奇正之法이 安在오
三軍之士 止知其勝하고 莫知其所以勝하나니 非變而通이면 安能至是哉잇가
分合所出은 唯孫武能之요 吳起而下는 莫可及焉이니이다
原注
善用兵者는 無不是正이요 無不是奇하여 使敵人莫可測量이라
吾三軍之士 止知其破軍殺將而取勝이요 莫知其陰謀秘計所以制勝之道하나니 非分合變化而能通이면 安能至於如此之妙哉잇가
分合所出은 唯孫武一人能之요 自吳起而下는 皆莫可及也니이다
使賤而勇者
로 前擊
호되 鋒
交而北
하고 北而勿罰
하고 觀敵進取
하여
原注
昔日에 魏武侯問於吳起호되 若兩軍相向하여 我欲知其將之能否인댄 當用何術고
士卒一坐一起하여 皆有節하여 見奔北者라도 不來追逐이면 則敵將有智謀矣니이다
若悉衆追北하여 行止縱橫이면 此敵人不才니 擊之勿疑라하니이다
臣謂吳術은 大率多類此하니 非孫武所謂以正合也니이다
原注
若彼悉衆追北하여 行止縱橫不齊면 則知敵將無能이니 擊之勿疑也라하니이다
臣謂吳起之術은 大率多類此하니 非若孫武所謂以正兵合戰之法이니이다
卿舅韓擒武嘗言 卿可與論孫吳라하니 亦奇正之謂乎아
但以奇為奇하고 以正為正耳니 曾未知奇正相變하여 循環無窮者也니이다
原注
卿舅
曾言 卿可與論孫吳兵法
이라하니 亦奇正之謂否乎
아
但以奇爲奇
하고 以正爲正
하여 曾不知奇而變爲正
하고 奇與正相變通
을 如環循轉
하여 無窮盡者也
니이다
隋開皇九年에 與賀若弼로 率衆滅陳하니 李靖은 其甥也라
原注
○愚謂 以奇爲奇하고 以正爲正은 如八陣에 以天地風雲爲四正하고 以龍虎鳥蛇爲四奇하며
六花陣에 以中一軍爲奇하고 以外六軍爲正하며 十二將兵에 以八軍爲正하고 四軍爲奇하니
此等
은 皆是古人詭
其名耳
니 殊不知善用兵者
는 無不正
이요 無不奇也
라
假若敵來攻에 或龍虎鳥蛇四軍이어든 我以天地風雲四軍으로 或驚前而掩後하고 或衝東而擊西하니 是는 以奇爲正而與之合戰이요 以正爲奇하여 左右角之而取勝也라
古人은 臨陳出奇하여 攻人不意하니 斯亦相變之法乎아
前代戰鬪는 多是以小術而勝無術하고 以片善而勝無善하니 斯安足以論兵法也리오
若謝玄之破苻堅은 非謝玄之善也요 蓋苻堅之不善也니이다
原注
古人臨陳出奇하여 攻敵人之不意하니 斯亦奇正相變之法乎아
前代爲將者 與敵戰闘
엔 多是以己之小術
로 勝人之無術
하고 以己之片善
으로 勝人之無善
하니 此等
이 安
以論兵法哉
잇가
若東晉時
에 는 非是謝玄之善
이요 蓋苻堅之不善也
니이다
臣觀苻堅載記하니 曰 秦諸軍皆潰敗요 唯慕容垂一軍獨全이어늘
堅以千餘騎赴之러니 垂子寶 勸垂殺堅호되 不果라하니
此有以見秦軍之亂에 慕容垂獨全하니 蓋堅為垂所陷이 明矣니이다
原注
太宗聞李靖之言하고 顧左右侍臣하여 使檢謝玄傳하여 閱之하고 問李靖曰
臣觀苻堅
에 有云 秦諸軍皆潰散敗走
하고 唯慕容垂一軍
이 獨全
이라하니 時垂有軍三萬
하여 不曾有亡
이라
苻堅只有千餘騎하여 奔赴其營이러니 垂子慕容寶 勸垂殺堅한대 垂曰 彼以赤心投我어늘 若何害之리오
이리오하니 觀此
하면 有以見秦軍之亂
에 慕容垂獨全者
니
蓋垂有貳於堅하여 按兵不動하여 以幸其敗하고 欲乘機以復其國耳니 是는 苻堅爲垂所陷也니이다
夫自己爲人所陷하고 而欲取勝於敵이면 不亦難乎잇가
假使苻堅有術
하여 阻淝水而不退
하고 命垂等
하여 分爲左右二拒
하여 一出淝水之上
하여 掩晉軍之右
하고 一出淝水之下
하여 襲晉軍之左
하고 堅整中軍
하여 伺晉之亂
이라가 直渡淝水蹴之
면 雖
이라도 亦不能支
어든 況
徒歟
아
封吳王이러니 畏太后可定渾氏而奔秦하니 豈眞爲堅用哉아
孫子謂多算勝少算이라하니 有以知少算勝無算이니 凡事皆然이로다
原注
孫子書
에 謂
이라하니 因有以知少算能勝無算也
니 凡事皆如此耳
라
黃帝兵法을 世傳握奇文이라하고 或謂為握機文은 何謂也오
原注
軒轅黃帝有兵法이어늘 世人相傳하여 爲握奇文이라하고 或人은 又謂握機文이라하니 此何謂也오
考其辭云 四為正이요 四為奇요 餘奇為握機라하니 奇는 餘零也니 因此音機니이다
原注
奇音이 此機字故로 或者誤傳爲機字하니 其義則一耳니이다
考其言辭하면 則曰 四爲正이라하니 謂天, 地, 風, 雲四陳也요 四爲奇라하니 謂龍, 虎, 鳥, 蛇四陳也요
餘奇零之兵
을 大將握之
하여 爲中軍
이라 故
로 爲握機
라하니 謂
零之兵
이니 因此音爲機字
니이다
法曰 令素行하여 以教其民者는 則民服이라하니 此受之於君者也요 又曰 兵不豫言하고 君命有所不受라하니 此將所自出者也니이다
原注
臣愚謂 兵은 無不是機謀니 機謀安在乎握持而言也리오
夫正兵受之於人君은 謂國家有征伐之事하여 或十萬, 或二十萬을 命將總之而出이니
奇兵將之所自出은 謂選精銳하고 簡武勇하여 或掩其前後하고 或襲其左右하며 分合變通을 悉聽於將하니 乃奇兵也니이다
兵法에 有曰 令素行以敎其民者는 則民服이라하니 此乃受之於君者 卽正兵也니이다
又曰 兵事는 不豫先言之하고 君之命을 將有所不受者는 此將之所自出이니 卽奇兵也니이다
凡將이 正而無奇면 則守將也요 奇而無正이면 則鬪將也니 奇正皆得이 國之輔也라
是故로 握機握奇 本無二法이요 在學者兼通而已니이다
原注
凡爲將者 但知守正而無奇면 則守將也요 但知用奇而無正이면 則闘將也니 奇正皆得其法이 爲國家輔佐之臣也니이다
是故로 握機與握奇 本無二法이요 在學者兼通而已니이다
陳數有九에 中心零者를 大將握之하여 四面八向이 皆取準焉이라
陳間容陳하고 隊間容隊하며 以前為後하고 以後為前하여 進無速奔하고 退無遽走하여 四頭八尾가 觸處為首하여 敵衝其中이면 兩頭皆救하여 數起於五而終於八하니 此何謂也오
原注
陳間容陳者는 大陳包小陳也요 隊間容隊者는 大隊包小隊也라
或以前爲後하고 或以後爲前하니 謂平時以南向者爲前하고 以北向者爲後나 若回軍轉陳이면 則北向者爲前하고 南向者爲後니 不言左右者는 擧一端言也라
若東行則東向者爲前하고 西向者爲後요 西行則西向者爲前하고 東向者爲後라
惟其有分數也故로 進無速奔하고 惟其有節制也故로 退無遽走하니 言進退齊一也라
四頭者는 四正四奇 皆可爲首也요 八尾者는 謂九軍에 敵或攻其一則首也니 餘八軍爲尾矣라
觸處爲首者는 謂敵來攻處 便爲首也니 敵若衝擊其中이면 則兩頭皆救하니 常山蛇勢也라
數起於五者는 五爲陳法也요 數終於八者는 四面八軍也니 此法은 何謂也오
諸葛亮以石縱橫하여 布為八行하니 方陳之法이 卽此圖也니이다
臣嘗教閱에 必先此陳하니 世所傳握機文은 蓋得其粗也니이다
原注
諸葛亮이 於魚腹平沙之上에 以石縱橫하여 布爲八行하니 黃帝九軍方陳之法이 卽此圖也니 蓋諸葛이 變而爲縱橫八行耳니이다
縱橫八行者는 謂四面視之면 皆成八行하여 八八六十四小方陳이니 卽所謂陳間容陳하여 四頭八尾者也라
臣嘗敎閱士卒에 必先用此陳하니 世人所傳握機文은 蓋得其粗者耳니이다
原注
以乾爲天陣하고 以坤爲地陣하고 以巽爲風陣하고 以艮爲雲陣하며 以東爲龍陣하니 卽左靑龍也요 以西爲虎陣하니 卽右白虎也요 以南爲鳥陣하니 卽前朱雀也요 以北爲蛇陣하니 卽後玄武也라
若天地者는 本乎旗號하고 風雲者는 本乎旛名이요 龍虎鳥蛇는 本乎隊伍之別이어늘 後世誤傳이니이다
原注
古人秘藏此法故로 詭設天地風雲龍虎鳥蛇八名耳니 八陳은 本一陣也니 分爲之八焉이니이다
若天地者는 本乎旗之號하고 風雲者는 本乎旛之名이라
故로 以爲旗之號하여 使爲將者로 亦法天地之所以高厚焉이요
風取其動作之象하고 雲取其卷舒之勢라 故로 以爲旛之名하여 使爲將者로 亦效風雲之所以變化焉이니 非二陳似乎風雲也라
龍取其騰躍이요 虎取其威猛이요 鳥取其迅疾이요 蛇取其能扞外而禦內焉하니
蓋欲使隊伍士卒로 亦效龍虎鳥蛇之騰躍威猛迅疾과 及能扞外而禦內也니 非二陳似乎龍虎而二陳似乎鳥蛇也라
其以天地風雲龍虎鳥蛇로 分爲八陳은 乃後世之人이 誤傳之耳니이다
數起於五而終於八은 則非設象이요 實古陳也니 卿試陳之하라
原注
陳數起於五而終於八은 則非若天, 地, 風, 雲, 龍, 虎, 鳥, 蛇之設象이요 實古陳法也니 卿試爲我陳之하라
故
로 井分四道
하여 八家處之
하니 其形井字
요 方九焉
이라
五為陳法하고 四為閑地하니 此所謂數起於五也니이다
原注
臣按軒轅時에 始立丘井之法하여 八家爲井하고 十六井爲丘하여 因以制爲兵法이라
故
로 一井分爲四道
하여 八家共處之
하니 其形
이 似一井字
요 則九焉
이라
以前後左右中五處로 爲陳法하고 以四隅四處로 爲閑地하니 此所謂陳數始起於五也니이다
虛其中하여 大將居之하고 環其四面하여 諸部連繞하니 此所謂終於八也니이다
原注
虛其中軍하여 大將居之는 卽中心零者를 大將握之하여 四面八向이 皆取準焉者也라
環其四面하여 諸部連繞는 卽左右前後及四維를 通爲八陳이니 此所謂數終於八也니이다
蓋後來에 人民衆多하고 土地廣大라 故用八者하여 皆爲陳耳라
及乎變化制敵하여는 則紛紛紜紜하여 鬪亂而法不亂하고 混混沌沌하여 形圓而勢不散하니 此所謂散而成八하고 復而為一者也니이다
原注
及乎變化奇正以制敵이면 則紛紛紜紜하여 闘時似亂이나 而其法不亂하고 混混沌沌하면 形如轉環이나 而其勢不散하니
此所謂散而分之하여 而成八小陣하고 復而合之하면 則爲一大陣也니이다
後世雖有天智神略이라도 莫能出其閫閾이니 降此면 孰有繼之者乎아
原注
後世之人이 雖有天智神略之妙라도 莫能出其閫閾之外니 降此以往으로 誰有能繼其法者乎아
周之始興에 則太公實繕其法하니 始於岐都하여 以建井畝하여 戎車三百輛과 虎賁三百人으로 以立軍制하고 六步七步와 六伐七伐로 以教戰法하여 陳師牧野하니이다
太公이 以百夫制師하여 以成武功하여 以四萬五千人으로 勝紂七十萬衆하니이다
原注
周家初興에 則太公望이 實繕修其法하니 始於岐都하여 以建立井畝之制하니이다
始祖后稷
이 封於邰
러니 十三世
에 而
王徙居岐山之陽
하여 建都於周原之上
하니 是曰 岐都
라
十五世
에 而文王以太公望爲師
하여 備戎車三百輛
과 虎賁之士三百人
하여 以立軍之制度
하고 不愆於
에 乃止齊焉
하여 以敎戰陳之法
하여 陳師商郊牧野
하니이다
太公이 以百夫로 致師旅必戰之心하여 而成就武功하여 用四萬五千人하여 勝紂七十萬衆하니이다
尙書小序云 戎車三輛과 虎賁三百人이라한대 注云 虎賁은 百夫之長也라하고
孟子云 革車三百輛이요 虎賁三千人이라하여 二說不同하니 後詳辯之하노라
太公既沒에 齊人得其遺法하여 至桓公하여 霸天下하고 任管仲하여 復修太公法하여 謂之節制之師라하니 諸侯畢服하니이다
原注
太公旣沒之後
에 子伋爲齊侯
라 故
로 齊人得
遺法
이라
至桓公
하여 霸長天下
하고 任用管仲爲相
하여 復繕修太公兵法
하여 謂之
이라하니 天下諸侯 因此皆服
이니이다
節制者
는 兵不大勝
하고 亦不大敗
하니 言其有節制
라
儒者多言管仲霸臣而已라하니 殊不知兵法乃本於王制也라
諸葛亮은 王佐之才로되 自比管樂하니 以此로 知管仲亦王佐也라
原注
儒者多言管仲乃霸者之臣而己니 殊不知兵法이 起自井田하여 本於王者之制也라
但周室衰微하여 時王不能任用이라 故로 假齊桓公하여 興師以匡正天下者也라
樂毅는 魏人이니 樂羊之後로 居靈壽러니 聞燕昭王賢하고 乃歸之한대 王以爲亞卿하다
後破齊有功하여 封昌國君이러니 昭王崩하고 子惠王立하여 疑之어늘 遂西走趙하니 趙封毅於觀津하고 號曰 望諸君이라하니라
陛下神聖
하사 知人如此
하시니 老臣雖死
나 無
昔賢也
니이다
三分齊國하여 以為三軍호되 五家為軌故로 五人為伍하고 十軌為里故로 五十人為小戎하고 四里為連故로 二百人為卒하고 十連為鄉故로 二千人為旅하고 五鄉一師故로 萬人為軍하니
亦由司馬法一師五旅 一旅五卒之義焉이니 其實은 皆得太公之遺法이니이다
原注
陛下神聖하사 知人如此之明하시니 老臣雖死나 無媿古昔賢者니이다
古者에 大國三軍이요 次國二軍이요 小國一軍이니 齊는 大國也故로 爲三軍이라
民以五家爲一軌故
로 兵以五人爲一伍
하고 十軌爲一里
하니 十軌
는 五十家也故
로 兵以五十人爲一小戎
하고 四里爲一連
하니 四里
는 二百家也故
로 兵以二百人爲一卒
하고 十連爲一鄕
하니 十連
은 二千家也故
로 兵以二千人爲一旅
하고 五鄕爲一師
하니 五鄕
은 一萬家也故
로 兵以萬人爲一軍
하니 니이다
周制에 二十五家爲一里하고 五百家爲一黨하고 萬二千五百家爲一鄕하니 其兵制는 則以五人爲伍하고 十人爲什하고 百人爲卒하고 五百人爲旅하고 萬二千五百人爲軍하여 其數爲異耳라
原注
○愚謂管仲
은 요 孔子稱其器小
어시늘 而太宗, 李靖
이 皆以爲王佐
는 何也
오
夫管仲이 尊周室하고 攘夷狄하며 九合一匡하여 功實不小라
然
이나 其局量褊淺
하고 規模狹隘
하여 不能正心修身以致君於王道
하고 大抵多以權謀馭下
하여 이 爲侈已甚
하니 此孔子所以譏其器小與不知禮也
라
之世
에 道學不明
하여 雖以太宗之賢
으로도 亦不過假仁義而已
니 李靖輩又安識王佐哉
아
原注
司馬法을 世人이 皆言司馬穰苴所述이라하니 是歟아
按史記穰苴傳컨대 齊景公時에 穰苴善用兵하여 敗燕晉之師한대 景公尊為司馬之官이라
原注
臣按史記穰苴傳컨대 齊景公時에 田穰苴善能用兵하여 敗燕晉二國之師한대 景公尊穰苴하여 爲司馬之官하니
由是로 稱爲司馬穰苴하고 其子孫因號司馬氏하니이다
至齊威王하여 追論古司馬法하고 又述穰苴所學하여 遂有司馬穰苴書數十篇하니 今世所傳兵家者流요 又分權謀形勢陰陽技巧四種하니 皆出司馬法也니이다
原注
至齊威王時하여 追論古司馬法하여 方成其書할새 又述田穰苴所學하여 遂有司馬穰苴書하니 凡數十篇이니 卽今世所傳兵家者流니이다
書內
에 又分權謀者
는 權變機謀
요 形勢
也
요 陰陽者
는 天時之順逆也
요 技巧者
는 攻守之
用也
니이다
刪取要用하여 定著三十五家러니 今失其傳은 何也오
原注
漢張良이 與韓信으로 序次古兵法이 凡一百八十二家라
刪去蕪僞하고 取其切要可用者하여 定著三十五家러니 今失其傳은 何謂也오
佐高祖
하여 定三秦
하고 擒魏豹
하고 破趙取齊
하며 敗項羽垓下
하고 封楚王
이라가 後降封淮陰侯
러니 呂后
殺之
하니라張良 韓信
張良所學은 太公六韜三略이 是也요 韓信所學은 穰苴孫武是也라
原注
張良所學은 卽太公之六韜와 黃石公之三略이 是也요 韓信所學은 卽司馬穰苴書와 孫武子是也라
按漢藝文志云 吳孫子兵法八十二篇이요 吳起四十八篇이로되 今皆不存矣라
臣按 太公謀八十一篇은 所謂陰謀로 不可以言窮이요
原注
臣按 太公謀有八十一篇하니 所謂陰謀로 不可以言窮其意요
按漢藝文志에 六弢六篇이라한대 顔師古云 卽今之六韜也라하니 然則二百三十七篇은 後人增加而爲之리라
凡兵家流는 權謀為一種이요 形勢為一種이요 及陰陽技巧二種이니 此四種也니이다
原注
漢
帝時
에 任宏所論
이 是也
라 凡兵家者流
는 權謀爲一種
이니
權謀者는 以正守國하고 以奇用兵하여 先計而後戰하여 兼形勢하고 包陰陽하고 用技巧者也라
形勢者
는 雷動風擧
하여 後發而先至
하고 離合
가 變化無常
하여 以輕疾制敵者也
라
陰陽者
는 順時而發
하여 推
德
하고 隨斗擊
하여 因五勝
하고 假鬼神而爲助者也
요
技巧者는 習手足하고 便器械하고 利機關하여 以立攻守之勝者也니
原注
○愚按漢藝文志에 權謀十三家에 共二百五十九篇이라
吳孫子八十二篇
이요 齊孫子八十九篇
이요 公孫鞅二十七篇
이요 吳起四十八篇
이요 范蠡二篇
이요 大夫種
篇
이요 李子十篇
이요 娷一篇
이요 兵春秋(三)[一]篇
이요 龐煖(二)[三]篇
이요 兒良一篇
이요 廣武君一篇
이요 韓信三篇
이라
楚兵法七篇이요 蚩尤二篇이요 孫軫五篇이요 繇敍二篇이요 王孫十六篇이요 尉繚子三十一篇이요 魏公子二十一篇이요 景子十三篇이요 李良三篇이요 丁子一篇이요 項王一篇이라
太一兵法一篇이요 天一兵法三十五篇이요 神農兵法一篇이요 黃帝十六篇이요 封(故)[胡]五篇이요 風后十三篇이요 力牧十五篇이요 鵊冶子一篇이요 鬼(谷)[容]區三篇이요 地典六篇이요 孟子一篇이요 東父三十一篇이요 師曠八篇이요 萇弘十五篇이요 別成子望軍氣六篇이요 辟兵威勝方七十篇이라
(苗子五十)[鮑子兵法十]篇이요 伍子胥十篇이요 公勝子五篇이요 苗子五篇이요 逢門射法二篇이요 陰通成射法十一篇이요 李將軍射法三篇이요 魏氏射法六篇이요 強弩將軍王圍射法五卷이요 望遠連弩射法具十五篇이요 護軍射師王賀射書五篇이요 蒲苴子(戈)[弋]法四篇이요 劍道三十八篇이요 手搏六篇이요 雜家兵法五十七篇이요 蹵鞠二十五篇이니
周禮最為大政하여 成有岐陽之蒐하고 康有酆宮之朝하고 穆有塗山之會하니 此天子之事也니이다
原注
周禮書에 以此最爲國家之大政하여 在周成王時엔 則有岐陽之蒐라
春田曰蒐니 蒐者는 搜也니 謂搜其無孕字者而取之라
酆邑之宮也니 文王都酆이러니 武王遷鎬하니 是康王因田獵而朝諸侯於酆邑之宮也라
塗山은 卽禹會諸侯之地니 是穆王亦因田獵而會諸侯於塗山也라
及周衰에 齊桓有召陵之師하고 晉文有踐土之盟하니 此諸侯奉行天子之事也니이다
原注
及周室衰微에 威令不行하여 而蒐狩之禮亦廢하니이다
齊桓公霸諸侯하여 於是有召陵之師하고 晉文公霸諸侯하여 於是有踐土之盟하니이다
召陵之師는 在魯僖公四年하고 踐土之盟은 在魯僖公二十八年이라
假之以朝會하고 因之以巡狩하고 訓之以甲兵하니 言無事에 兵不妄舉하고 必於農隙하여 不忘武備也라
原注
假之以
之名
하고 因之以巡狩之禮
하고 訓之以甲兵之事
라
言國家無事면 兵不可妄擧하고 必於農隙之時에 修爲田獵之事하니 所以不忘武備也니
春秋
에 楚子二廣之法云 百
象物而動
하여 軍政不戒而備
라하니 此亦得周制歟
아
原注
春秋時에 楚子二廣之法에 有云 百官皆象其物類而後動이라하니 言不妄動也요
軍政不待戒令而先備라하니 言無不備也라 亦得周家之制度歟아
按左氏說컨대 楚子乘廣三十乘하니 廣有一卒하고 卒偏之兩이라하니 軍行右轅하여 以轅為法이라
原注
按左氏傳
에 說
이라하니 只是舊制十五乘爲一偏之法
이니이다
但偏法은 一乘用百人하여 比偏增一兩하여 爲承副耳라
一兩은 五十人이니 廣之一車는 比偏之一車에 多五十人耳라
凡軍行之制 在軍之右者는 挾轅爲戰備하니 蓋以車轅爲法이라 故軍行挾轅而戰하니 皆周家之制度也니이다
一說에 偏之一乘은 用甲士三人과 步卒七十二人하고 廣之一乘은 用甲士三人과 步卒一百四十七人하니
臣謂百人曰卒이요 五十人曰兩이니 此是每車一乘에 用士百五十人이니 比周制에 差多耳니이다
周一乘은 步卒七十二人이요 甲士三人이니 以二十五人為一甲하여 凡三甲에 共七十五人이니이다
楚는 山澤之國이라 車少而人多하여 分為三隊하니 則與周制同矣니이다
原注
臣謂古者에 百人爲一卒하고 五十人爲一兩하니 此是楚人乘廣之法이니이다
周家一乘은 用步卒七十二人과 甲士三人하여 以二十五人으로 爲一甲하여 凡三甲에 共用七十五人이라
楚는 山澤之國이라 車少而人多하여 分百五十人하여 爲三隊하니 與周制分三甲同矣니이다
軍行에 右轅하고 左追蓐하며 前茅慮無하고 中權後勁하고 百官象物而動하여 軍政不戒而備하니 能用典矣라하니라
一為左角하고 一為右角하고 一為前拒하여 分為三隊하니
原注
毁車爲行者는 魏舒以狄徒衆而我車多하고 所遇之地又阨이라 故로 勸荀吳하여 舍車爲行也라
荀吳只是用車法耳니 雖舍車나 而車法在其中이니이다
蓋每車一乘
에 甲士三人
과 步卒七十二
을 分而爲三隊
하여 一爲左角
하고 一爲右角
하고 一爲前拒
하여 共七十五人
이니 此一乘法也
라
臣按曹公新書云 攻車七十五人에 前拒一隊요 左右角二隊며 守車一隊에 炊子十人이요
守裝五人이요 廄養五人이요 樵汲五人하여 共二十五人이니
原注
臣按曹公新書에 有云 攻車一乘에 甲士三人이요 步卒七十二人하여 前拒一隊에 二十四人이요
左右角二隊에 四十八人이며 守車一兩에 用卒一隊하여 內執炊爨者十人이요
看守衣裝者五人이요 廐養牛馬者五人이요 樵薪汲水者五人이라 共該二十五人이니
攻車는 卽戰車요 守車는 卽輜車니 凡興師十萬이면 用車輕重二千乘하니 此大率荀吳之舊法也니이다
按舊本云 輕車二千이라하여 與上文不同하고 一本엔 作輕重二千하니 謂輕車一千과 重車一千이니 與上文合일새 今從之하노라
又觀漢魏之間軍制
하면 五車為隊
하여 一人
이요 十車為師
하여 長一人
하여 凡車千乘
이면 將吏二人
이니 倣此
하니이다
原注
又觀兩漢曹魏之間의 軍之制度하면 以五車爲一隊하여 僕射一人領之하고 十車爲一師하여 率長一人領之하여 凡車一千乘이면 將吏用二人統制之하니 謂一正一副也라
臣以今法參用之하면 則跳盪은 騎兵也요 戰鋒隊는 步騎相半也요 駐隊는 兼車乘而出也니이다
原注
臣以今日唐朝法制로 相參而用之하면 則跳盪者는 騎兵也요 戰鋒隊者는 步與騎相半이요 駐隊者는 兼車乘而出也니이다
臣西討突厥할새 越險數千里호되 此制未嘗敢易하니 蓋古法節制라 信可重也니이다
原注
臣西討突厥時에 過越險阻之地數千里로되 此制를 未嘗敢改易하니 蓋古法節制之兵이라 信可重也니이다
曰 朕命道宗及阿史那社爾等
하여 한대 而鐵勒諸部 乞置漢官
이어늘 朕皆從其請
이라
延陀西走하니 恐為後患故로 遣李勣討之러니 今北荒悉平이라
然이나 諸部番漢雜處하니 以何道經久하여 使得兩全安之오
原注
問曰 朕命
과 及阿史那社爾等
하여 征討番將薛延陀
한대 而鐵勒諸部
乞置漢官
하고 [願爲內屬
이어늘] 朕皆從其所請
이라
薛延陀[勢孤]西走하니 朕恐爲後患故로 又遣李勣往討之러니 今北荒悉平定이라
然이나 諸部番兵이 與漢人相雜而處하니 今以何術로 能經久하여 使得番漢兩全安之오
靈州는 在北地郡하니 其地在河之洲하여 隨水高下하여 未嘗淪沒이라 故號靈州라
阿史那社爾는 處羅可汗之子니 阿史那는 突厥三字姓이요 社爾는 其名也라
年十一에 以知略聞한대 處羅以爲柘設하여 建牙於磧北이러니 後擊延陀而敗라
貞觀十年에 率衆來降이어늘 以爲左驍騎大將軍하고 尙公主하여 典屯兵하니라
薛延陀는 匈奴之別種也니 拔延陀部而有之라 故로 號薛延陀姓이라
鐵勒有九姓하니 曰 藥羅葛이요 曰 胡咄葛이요 曰 堀羅匀이요 曰 貊歌息紇이요 曰 阿勿嘀이요 曰 葛薛이요 曰 斛唱素요 曰 葉勿葛이요 曰 奚邪忽이라
貞觀十年秋八月에 太宗幸靈州할새 遣李世勣하여 擊薛延陀降之하니라
陛下勅自突厥하여 至回紇部落히 凡置驛六十六處하여 以通斥候하시니 斯已得策矣니이다
然이나 臣愚는 以謂 漢戍는 宜自為一法하고 番落은 宜自為一法하여 教習各異하여 勿使混同이라가 或遇寇至어든 則密勅主將하여 臨時變號易服하여 出奇擊之니이다
原注
陛下勅自突厥로 至回紇部落히 設置驛舍六十六處하여 以通斥候之人하시니 此已得策矣니이다
然如此면 臣以謂漢之戍卒은 宜自爲一法하여 練習之하고 番之部落은 宜自爲一法하여 練習之하여 敎習之法各異하고 勿使混同하여 無番漢之分이니이다
或遇寇暴卒至어든 則密勅主將하여 臨時變號易服하여 出奇擊之라하노이다
元魏時에 號高車部하고 唐初에 爲勅勒諸部하여 後屬突厥이러니 會突厥亂한대 襲破之하고 遂稱可汗이라
至唐德宗時하여 改號回鶻하니 言其捷擊이 猶鶻鳥之飛也라
太宗貞觀二十一年에 以鐵勒諸部로 爲州縣하고 回紇以南과 突厥以北에 開一道하여 置六十八驛이라
番而示之漢하고 漢而示之番하여 彼不知番漢之別이면 則莫能測我攻守之計矣리이다
原注
番兵而佯示之以漢
하고 漢兵而佯示之以番
하여 使彼不知吾番漢之別
이면 則莫能測
我攻守之計矣
라
善能用兵者는 先爲不可測之形이면 則敵必乖違其所往之初心也니이다
正合朕意하노니 卿可密教邊將호되 只以此番漢이면 便見奇正之法矣리라
原注
卿言이 正合朕意하니 卿可密切訓敎邊將호되 只以此番漢之兵으로 變號易服이면 便見奇正之法矣리라
謂番而示之漢은 亦奇而示之正也요 漢而示之番은 亦正而示之奇也니 番漢不可別이면 則奇正亦不可測也라
聖上之慮 天縱之也하사 聞一知十하시니 臣安能盡其說哉잇가
諸葛亮言 有制之兵은 無能之將이라도 不可敗也요 無制之兵은 有能之將이라도 不可勝也라하니 朕疑此談非極致之論하노라
原注
諸葛亮嘗言 有節制之兵은 雖無能之將御之라도 亦不可敗也요
無節制之兵은 雖有能之將御之라도 亦不可勝也라하니
臣按孫子
에 有曰 教
不明
하고 吏卒無常
하여 陳兵縱橫曰亂
이라하니 自古亂軍引勝
을 不可勝紀
니이다
原注
臣按孫子에 有曰 敎習之道不明白하고 吏卒又無常守之職하며 陳設兵衆에 或縱或橫而不齊整을 名之曰亂이라하니
自古로 自亂其軍하여 引人之勝者를 不可盡言其多也니이다
夫教
不明者
는 言教閱無古法也
요 吏卒無常者
는 言將臣權任
을 無久職也
요 亂軍引勝者
는 言己自潰散
이요 非敵勝之也
니이다
是以로 武侯言兵卒有制면 雖庸將이라도 未敗요 若兵卒自亂이면 雖賢將이라도 危之라하니 又何疑焉이리잇고
原注
夫敎(道)[習]不明者는 言敎閱之時에 無古法也요 吏卒無常者는 言將臣權任을 無恒久之職也요 亂軍引勝者는 言己軍內自潰敗요 非人勝之也니이다
如苻堅伐晉에 至淝水하여 兵自潰敗요 非謝玄勝之也라
是以로 武侯嘗言 兵卒有節이면 雖遇庸將領之라도 未至於敗요 若兵卒內自潰亂이면 雖賢將領之라도 亦危也라하니 此說을 又何疑焉이릿고
原注
將雖愚庸이나 猶未至於敗요 平日士卒未嘗敎練이면 雖遇賢將이라도 亦無如之何也라하니
且如
하니 當時漢兵
이 嘗敎練
하니 若非韓信
이면 豈能勝乎
아
故로 有國者는 兵不可不練이요 而將亦不可以不擇也니라
教得其道면 則士樂為用하고 教不得法이면 雖朝督暮責이라도 無益於事矣리이다
臣所以區區古制하여 皆纂以圖者는 庶乎成有制之兵也니이다
原注
敎練得其道면 則士衆爲我用이요 敎練不得其法이면 雖朝督而暮責이라도 亦無益於事矣리이다
臣所以將區區古制하여 皆纂集以爲圖者는 庶幾敎練士卒하여 成有制之兵也니이다
故로 能擇人而任勢라하니 夫所謂擇人者는 各隨番漢所長而戰也니이다
番長於馬하니 馬利乎速鬪요 漢長於弩하니 弩利乎緩戰이니 此自然各任其勢也니이다
臣前曾述番漢必變號易服者는 奇正相生之法也니 馬亦有正하고 弩亦有奇하니
原注
按孫子에 有云 善能用兵者는 求之於兵勢之可勝하고 不責於不能之人이라
番兵은 長於馬하니 馬則利於速闘요 漢兵은 長於弩하니 弩則利於緩戰이니 此番漢自然各任其勢也니이다
臣前曾述番兵漢兵을 必變號易服하여 番而示之漢하고 漢而示之番者는 乃奇正相生之法度也니이다
馬亦有正하니 不可全謂之奇요 弩亦有奇하니 不可全謂之正이니
原注
謂番兵을 變號易服하여 示以漢兵之形이면 敵謂我眞漢兵也라하여 必以與漢兵戰闘之法從我하리니 我却以番兵之法으로 出奇勝之하며
漢兵을 變號易服하여 示以番兵之形이면 敵謂我眞番兵也라하여 必以與番兵戰闘之法從我하리니 我却以漢兵之法으로 出奇勝之라
近에 契丹奚皆內屬이어늘 置松漠饒樂二都督하여 統於安北都護하고 朕用薛萬徹하니 如何오
原注
近日
部落
이 皆內附
어늘 置松漠饒樂二都督
하여 使統制於
하고 朕用薛萬徹
하니 其職可否如何
오
松漠, 饒樂은 皆地名이요 都督은 官名이며 安北亦地名이요 都護는 府名也라
又云 契丹
은 本東胡種
이니 居於西樓
하여 在潢水之南, 黃龍之北
하여 得鮮卑故地
라하고 或以爲鮮卑遺種
이니 至
時
하여 自號契丹
이라
其地有二水하니 一曰 土河요 一曰 潢河니 至木葉山하여 合流爲一이라
一婦人乘小車
하여 浮
河而下
하여 遇於木葉山
하고 顧合流之水
하여 遂爲夫婦
하니 此其始祖也
라
萬徹은 不如阿史那社爾及執失思力, 契苾何力이니 此皆番臣之知兵者也니이다
臣
與之言松漠饒樂
의 山川道路
와 番情逆順
하고 遠至於西域部落十數種
이러니 歷歷可信
하니이다
原注
薛萬徹은 爲人이 不如阿史那社爾及執失思力, 契苾何力이니 此三人은 皆番臣能知兵者也라
臣曾與之言松漠饒樂境內의 山川形勢와 道路遠邇와 及番人逆順之情하고 遠至於西域部落十數種이러니 歷歷皆可聽信이니이다
若薛萬徹者는 有勇而無謀略하여 難以獨任其人이니이다
執失思力
은 利可汗臣也
니 執失
은 虜覆姓
이요 思力
은 其名也
라
契苾은 本突厥部落이니 在烏耆西北이러니 其後에 因以爲氏하니라
古人云 以蠻夷攻蠻夷는 中國之勢也라하니 卿得之矣로다
原注
古人云 以蠻夷而攻蠻夷가 乃中國之勢也라하니 卿得其道矣로다
“고려高麗(高句麗)가 자주 신라新羅를 침략하기에 짐朕이 사신을 보내어 타일렀으나, 조명詔命을 받들지 않으므로 장차 토벌하려 하니, 어찌해야 하는가?”
原注
“고려高麗가 자주 신라新羅를 침략하여 소란을 일으키기에 짐朕이 사신을 보내어 타일렀으나, 조명詔命을 받들려 하지 않으므로 짐朕이 장차 군대를 일으켜 토벌하려 하니, 그 계책을 어찌해야 하는가?”
고려高麗와 신라新羅는 모두 동이東夷의 나라 이름이다.
신라新羅는 그 선대가 진한陳韓(辰韓)의 후예이니, 고려高麗의 동남쪽에 있었다.
이때 신라新羅는 당唐나라에 귀부歸附하였으나, 고려高麗는 개소문蓋蘇文이 군주君主를 시해弑害하고 토벌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교화敎化에 복종하지 않은 것이다.
‘짐朕’이란 ‘나’이니 태종太宗이 자칭한 것이다.
고구려高句驪는 〈시조始祖의〉 자字가 주몽朱蒙이고 평양平壤에 도읍하였으니, 옛 조선朝鮮이다.
“탐문해보건대, 개소문蓋蘇文이 스스로 병법兵法을 안다고 믿고 중국中國이 토벌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명命을 어기는 것이 분명하니, 신臣은 청컨대 3만 명의 군대로 그를 사로잡겠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은 자가 약사藥師이니, 경조京兆 삼원三原 사람으로 위국공衛國公에 봉해졌다.
“신臣이 탐문해보건대, 고려高麗의 개소문蓋蘇文이 스스로 병법兵法을 안다고 믿고 중국中國이 거리가 멀어서 토벌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조명詔命을 어기고 항거하는 것이 분명하니, 신臣은 청컨대 3만 명의 병력으로 그를 사로잡겠습니다.”
개소문蓋蘇文은 고려高麗의 동부대인東部大人인 천개소문泉蓋蘇文이니, 정관貞觀 16년(642)에 그 왕인 건무建武를 시해하고 왕의 아우의 아들인 장臧을 왕으로 세우고 스스로 막리지莫離支가 되었는데, 그 관직은 중국의 이부상서吏部尙書와 같다.
소문蘇文은 또 개금蓋金이라고 이름하였으니, 스스로 물속에서 태어났다고 말하여 사람들을 미혹하게 했으므로, 성姓을 천씨泉氏라 하였다.
“병력이 적고 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으니, 무슨 방법으로 대응하려는가?”
原注
“3만의 병력은 매우 적고 지역은 수천 리나 멀리 떨어져 있으니, 경卿이 무슨 방법으로 대응하려는가?”
原注
“신臣은 정병正兵을 사용하여 대응하겠습니다.”
“돌궐突厥을 평정할 때에는 기병奇兵을 사용하였는데, 지금 정병正兵을 말함은 어째서인가?”
原注
“경卿이 돌궐突厥을 평정할 때에는 기병奇兵을 사용하여 승리하였는데, 지금 고려高麗를 정벌함에는 도리어 정병正兵을 쓰겠다고 말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돌궐突厥은 본래 서방의 작은 나라로 성姓이 아사나씨阿史那氏이니 대대로 금산金山의 남쪽에 거주하였다.
하夏나라에서는 훈육獯鬻이라 하였고, 은殷나라에서는 귀방鬼方이라 하였고, 주周나라에서는 험윤玁狁이라 하였고, 한漢나라에서는 흉노匈奴라 하였고, 위魏나라에서는 돌궐突厥이라 하였다.
쇠를 잘 다뤘는데 금산金山의 형상이 투구 모양처럼 생겼는바, 민간에서 ‘투구[兜䥐]’를 ‘돌궐突厥’이라고 불렀으므로, 이를 국호로 삼은 것이다.
정관貞觀 3년(629)에 태종太宗은 이정李靖을 정양도총관定襄道總管으로 삼아 여러 군대를 거느리고 돌궐突厥을 토벌하게 하였는데, 4년 봄 2월에 돌궐突厥을 음산陰山에서 습격하여 격파하니, 힐리가한頡利可汗이 도망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이 맹획孟獲을 일곱 번 사로잡은 것은 다른 방도가 없었고, 정병正兵일 뿐이었습니다.”
原注
“옛날에 제갈량諸葛亮이 남만南蠻에 들어가서 맹획孟獲을 일곱 번 풀어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았을 적에 다른 방도가 없었고, 다만 정병正兵을 사용했을 뿐입니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정병正兵을 어떻게 사용하여 맹획孟獲을 일곱 번 사로잡았는가?
그가 어복포魚腹浦의 평평한 백사장 위에 돌을 쌓아 문양을 만든 것을 보면 종縱(세로)과 횡橫(가로)이 모두 여덟이었는데, 진晉나라 환온桓溫이 이것을 보고 말하기를 ‘상산常山에 있는 뱀의 형세이다.’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구군九軍의 진법陣法이다.
이른바 ‘네 귀퉁이가 서로 연결되고 곡절曲折이 서로 마주하여 네 머리와 여덟 꼬리가 닿는 곳이 머리가 되어서 적이 그 중간을 충돌하면 양 머리에서 모두 구원한다.’는 것이니, 맹획孟獲이 어찌 이 방법을 알았겠는가.
이 때문에 제갈량諸葛亮이 일곱 번 풀어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은 것이다.
제갈량諸葛亮은 자字가 공명孔明이며 제갈諸葛은 복성複姓이니 낭야琅琊 양도陽都 사람이다.
선주先主(劉備)가 왕림하여 삼고초려三顧草廬한 뒤에 군사軍師와 장군將軍이 되었다.
선주先主가 별세하자, 후주後主(劉禪)를 섬겨 승상이 되었는데, 건흥建興 3년(225)에 병력을 거느리고 남만南蠻을 정벌하여 평정하였다.
“진晉나라 마륭馬隆이 양주涼州를 토벌할 적에도 이 팔진도八陣圖에 의하여 편상거偏箱車를 만들어서, 넓은 지역에서는 녹각거鹿角車의 진영을 사용하고 길이 좁으면 나무로 만든 지붕을 수레 위에 설치하여 싸우면서 전진하였으니, 참으로 정병正兵은 고인古人들이 소중히 여긴 바이다.”
原注
“진晉나라 태시泰始 연간(265〜274)에 마륭馬隆이 양주涼州의 수기능樹機能 등을 토벌할 적에도 팔진도八陣圖를 따라 편상거偏箱車를 만들어서, 만약 지형이 넓고 평평하면 녹각거鹿角車를 사용하여 진영을 만들고 도로가 협소하면 나무로 된 지붕을 만들어서 수레 위에 설치하여 싸우면서 전진하였으니, 참으로 정병正兵은 고인古人이 소중하게 여긴 바이다.”
마륭馬隆은 자字가 효흥孝興이니, 동평東平 평륙平陸 사람이다.
그의 재주가 뛰어나 장수가 될 만하다고 연주兗州에서 천거하였는데, 사마독司馬督으로 승진하여 절월節鉞을 받고 선위장군宣威將軍이 되었다가, 양주涼州를 평정한 뒤에 평로장군平虜將軍과 서평태수西平太守가 되었다.
“신臣이 돌궐突厥을 토벌할 적에 서쪽으로 수천 리를 행군하였으니, 만약 정병正兵이 아니면 어찌 먼 곳에 갈 수 있었겠습니까.
편상거偏箱車와 녹각거鹿角車는 군대의 큰 요점입니다.
한편으로는 힘을 다스리고 한편으로는 앞에서 막고 한편으로는 군대를 단속하여 세 가지를 번갈아 사용하였으니, 마륭馬隆이 옛 병법兵法을 체득한 것이 이처럼 깊었습니다.”
原注
“신臣이 돌궐突厥을 토벌할 적에 서쪽으로 수천 리를 행군하였으니, 만약 정병正兵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어찌 이와 같이 먼 곳까지 갈 수 있었겠습니까.
편상거偏箱車와 녹각거鹿角車의 두 가지는 용병하는 큰 요점입니다.
한편으로는 이것을 사용하여 힘을 다스리고 한편으로는 이것을 사용하여 앞에서 막고 한편으로는 이것을 사용하여 부대를 단속해서 세 가지를 번갈아 사용하였으니, 마륭馬隆이 옛사람의 병법을 체득함이 이처럼 깊었습니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병법에는 기병奇兵이 있고 정병正兵이 있는데, 지금 이정李靖이 다만 정병正兵을 사용하고 기병奇兵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군대를 운용하는 방법은 오직 먼저 정병正兵이 있을 뿐이요, 기병奇兵에 이르러서는 적敵을 마주 대하여 변화시켜 만드는 것이니, 이정李靖이 기병奇兵을 쓰지 않은 것이 아니다.
다만 서쪽으로 수천 리를 행군할 적에 정병正兵을 사용하였으니, 이렇게 하면 부대에 통제가 있어서 나아가고 멈춤이 편안하고 침착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