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政經

정경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當宁御製小識
眇予小子 覽書不博하고 隨事不敏하야 只覽心經이나 而未見其政經하고 其甞奉玩御製 而亦不能尋閱이라 近因更玩舊本御製中經訓贊小序及次眞文忠公詩韻하야 仍以得之於寶文閣藏書之中하니 卽一卷寫本이요 而御製載首 宸章篆印 宛然하야 百回莊誦 涕泗被面이라
爰命玉署之하야 繕寫詩文하고 敬付芸館하야 鋟梓廣印하야 使昔年重政本愛元元之盛意 不泯於靑丘하고 而敢以賡贊賡韻하야 書左云爾
敬次經訓贊
奉覽篇題하니
奎章炳炳한대
撮取孔訓하야
特爲其領이라
大哉至哉
前聖後聖이여
若能深體
庶可行政이라
敬次御韻
爲君爲國惟生民하니
方伯守臣相與親이라
誠正宜乎先格物이요
齊治必也後修身이라
前人實績其須法하니
末世浮譽豈可循
何日復觀太古俗하야
我東八域咸陽春이리오
歲在丁卯春正月壬子拜手敬題
嘉善大夫行弘文館副提學知製敎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臣趙明履奉敎書


의 어제 소지
나 소자는 폭넓게 책을 읽지 못하고 하는 일마다 민첩하지 못해서 단지 ≪심경心經≫만 읽었을 뿐 ≪정경政經≫은 보지 못하였고, 어제御製를 읽어보기는 했으나 또한 찾아보지 못하였다. 근래에 다시 구본舊本 어제御製 가운데 〈경훈찬經訓贊〉과 소서小序진문충공眞文忠公의 시에 차운한 시를 읽음으로 인하여 보문각寶文閣장서藏書 가운데서 이 책을 찾았는데, 곧 1권의 필사본이었다. 첫머리에 실려 있는 어제御製어보御寶가 완연하여 백 번을 엄숙히 읊조림에 흐르는 눈물이 얼굴을 덮었다.
이에 의 대제학에게 명하여 시문詩文을 잘 필사筆寫하게 하고 공경히 에 주어 판각板刻하여 널리 유포하게 해서 예전에 정사政事의 근본을 소중히 여기고 청구靑丘에서 사라지지 않게 하고, 감히 〈경훈찬經訓贊〉에 차운하고 어제시御製詩에 차운하여 아래에 적는다.
삼가 〈경훈찬經訓贊〉에 차운次韻하다
편제를 받들어 읽어보니
이 찬란한데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발췌하여
특별히 강령으로 삼았네
위대하고 지극하여라
앞뒤의 성인이시여
만일 이를 깊이 체득한다면
거의 정사政事를 행할 수 있으리
삼가 어제시御製詩차운次韻하다

임금과 나라 되려면 오직 백성이 있어야 하니
방백方伯수신守臣은 백성과 친근해야 한다네
성의誠意 정심正心은 마땅히 격물格物이 선행되어야 하고

앞 사람의 실적은 모름지기 본받아야 하나니
말세의 부질없는 명예를 어찌 따를손가
언제나 다시 볼 수 있을까 태고의 풍속이 회복되어
우리 동방 팔도강산이 모두 양춘陽春에 쌓이는 날을
정묘년(1747, 영조 23) 봄 정월 임자일에 절하고 공경히 적다.
가선대부 행홍문관부제학 지제교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신 는 하교를 받들어 쓰다.


역주
역주1 當宁 : 현재의 임금을 이르는 말로, 今上과 같은 뜻이다. 여기서는 英祖를 가리킨다.
역주2 宸章 : 임금이 지은 詩文을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역주3 玉署 : 弘文館의 별칭이다. 궁중의 경서ㆍ사적ㆍ문서를 관리하고 왕을 자문을 담당하는 관청이다.
역주4 芸館 : 校書館의 별칭이다. 經籍의 印刷頒布ㆍ香祝ㆍ印篆의 일을 맡은 관청이다.
역주5 백성을……뜻 : 원문의 ‘元元’은 百姓을 가리키는 말이다. 戰國時代 遊說家인 蘇秦이 秦 惠王에게 “지금 천하를 倂呑하여 萬乘을 능가하며, 적국을 굴복시켜 海內를 제압하고, 백성을 애호하여 제후를 신하로 복종시키려 한다면 전쟁이 아니고는 불가합니다.[今欲幷天下 凌萬乘 詘敵國 制海內 子元元 臣諸侯 非兵不可]”라고 말한 데에서 보인다.(≪戰國策≫ 〈秦策 一〉)
역주6 奎章 : 임금이 쓴 글이나 글씨 등을 말한다. 여기서는 肅宗의 〈經訓贊〉과 御製詩를 가리킨다.
역주7 誠意……일이라네 : ≪大學章句≫의 三綱領 八條目 중에서, 格物․致知․誠意․正心․修身․齊家․治國․平天下 팔조목의 先後와 本末 관계를 설명하는 말이다.
역주8 趙明履 : 1697~1756. 본관은 林川, 자는 仲禮, 호는 蘆江․道川, 시호는 文憲이다. 1731년(영조 7)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과 지평,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746년(영조 22) 2월에 李喆輔ㆍ元景夏 등과 함께 ≪御製自省編≫을 編次하였으며, 1747년 부제학으로 ≪光廟御製訓辭≫를 간행하고 그 공으로 가선대부에 올랐다. 1750년 도승지로 영흥 흑석리 비각을 서사한 공으로 加資되고, 1755년 한성부 판윤으로 승진, 찬집당상으로 ≪闡義昭鑑≫을 편찬하였다. 문집으로 ≪道川集≫이 있다.

정경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