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吳子直解

오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原注
勵士者 以功之大小 設爲燕賞之禮하여 而激勵無功者
篇中 但言勵士之法이라 以名篇하니 凡一章이라
武侯問曰
嚴刑明賞이면 足以勝乎
起對曰
嚴明之事 臣不能悉이니이다
雖然이나 非所恃也니이다
夫發號施令 而人樂聞하고 興師動衆 而人樂戰하고 交兵接刃 而人樂死 此三者 人主之所恃也니이다
原注
武侯問吳起曰
嚴刑罰하고 明賞賜 足以致勝乎
吳起對曰
嚴刑明賞之事 臣不能悉論之
雖然이나 非國家所倚恃者也
武侯曰
致之奈何
對曰
君擧有功而進饗之하고 無功而勵之니이다
原注
武侯問曰
使人樂聞, 樂戰, 樂死 將如何致之
起對曰
君擧前日有功者하여 進於廟庭하여 燕饗之하고 無功者 激勵之
於是 武侯設坐廟庭하고 爲三行하여 饗士大夫할새 上功 坐前行호되 兼重器上하며 次功 坐中行호되 餚席 器差减하며 無功 坐後行호되 餚席 無重器하며
饗畢而出 又頒賜有功者父母妻子於廟門外호되 亦以功爲差하며 有死事之家어든 歲使使者하여 勞賜其父母하여 著不忘於心하니라
原注
於是 武侯陳設坐席於廟庭之上하고 分爲三行하여 以饗士大夫할새 功之上者 坐於前行호되 餚席 兼重器하고 牲用上牢하며 功之次者 坐於中行호되 餚席 器比前行少減하고 無功者 坐於後行호되 但有餚席而無重器
燕饗畢而出 又頒賜有功者父母妻子於廟庭之外호되 亦以功爲差等하여 無功者不與也
有死於王事者之家어든 每歲遣使者하여 以勞賜其父母하여 著不忘於心이라
行之三年 秦人興師하여 臨於西河한대 魏士聞之하고 不待吏令하고 介冑而奮擊之者 以萬數
武侯召吳起而謂曰 子前日之敎行矣로다
原注
行饗士之禮 至三年之久러니 遇秦人興師하여 臨於西河境上한대 魏士聞之하고 不待將吏之令하고 被甲冑而奮擊者 以萬數
武侯召吳起而謂曰 子前者之敎令 行矣로다
起對曰
臣聞人有短長하고 氣有盛衰라하니
君試發無功者五萬人하시면 臣請率以當之호리니
脫其不勝이면 取笑於諸侯하고 失權於天下矣리이다
原注
吳起對曰
臣聞人有短長하고 氣有盛衰라하니
君試發無功者五萬人하면 臣請率以當秦兵호리니 脫有不勝이면 則取笑於隣國諸侯하고 失權於天下衆人矣라하니
起恐人不能致死而取敗也
今使一死賊 伏於壙野하면 千人追之호되 莫不梟視狼顧하나니 何者
恐其暴起害己也니이다
是以 一人投命이면 足懼千夫니이다
原注
今使一必死之賊 隱伏空壙之野하면 千人共往追之호되 莫不梟視狼顧하여 有畏懼之心하니 此謂何
蓋恐其暴起而害己也
是以 一人能投命이면 足可懼千夫
起欲人人致死而戰也
惡鳥也 日午不見物故 數視하고 狼怯於行故 數顧
今臣以五萬之衆으로 而爲一死賊하여 率以討之하면 固難敵矣리이다
於是 武侯從之하여 兼車五百乘 騎三千匹 而破秦五十萬衆하니 勵士之功也니라
原注
今臣用五萬之衆하여 而共爲一死賊하여 率以討之호되 同心倂力이면 固難敵矣
於是 武侯從吳起之言하여 兼以兵車五百乘 騎三千匹 而破秦兵五十萬衆하니 此乃勵士之功也
先戰一日 吳起令三軍曰 諸吏士 當從受敵車騎與徒 若車不得車하고 騎不得騎하고 徒不得徒하면 雖破軍이나 皆無功이라하니
戰之日 其令不煩이로되 而威天下하니라
原注
先戰前一日 吳起號令三軍曰
諸將吏士卒 當從吾令하여 必受敵而無敗車騎與徒 若用車戰者不獲敵人之車하고 用騎戰者不獲敵人之騎하고 用徒者不獲敵人之徒하면 雖破秦兵이나 皆如無功이라하니
交戰之日 其號令不煩擾로되 而威震天下하니라


原注
여사勵士란 공의 크고 작음에 따라 연향燕饗하고 상을 주는 를 만들어서 공이 없는 자를 격려하는 것이다.
가운데에 다만 여사勵士하는 을 말하였으므로, 이로써 을 이름하였으니, 모두 1이다.
무후武侯가 물었다.
형벌刑罰을 엄격히 하고 을 분명히 내리면 충분히 승리할 수 있는가?”
오기吳起가 대답하였다.
“형벌을 엄격히 하고 상을 분명히 내리는 일은 이 자세히 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믿을 만한 것이 아닙니다.
위에서 호령을 내면 사람들이 듣기를 좋아하게 하고, 병사를 일으키고 무리를 출동하면 사람들이 싸우기를 좋아하게 하고, 병기를 들고 교전하게 되면 사람들이 죽는 것을 좋아하게 하여야 하니, 이 세 가지는 군주가 믿을 수 있는 것입니다.”
原注
무후武侯오기吳起에게 물었다.
형벌을 엄격히 하고 상을 분명히 내리면 충분히 승리할 수 있는가?
이에 오기吳起가 대답하였다.
형벌을 엄격히 하고 상을 분명히 내리는 일은 이 다 논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국가가 의지하고 믿을 만한 것이 아니다.
호령號令을 내면 사람들로 하여금 듣기를 좋아하게 하고, 군대를 일으키고 병력을 출동하면 사람들로 하여금 싸움에 달려가기를 좋아하게 하고, 병기를 들고 교전하게 되면 사람들로 하여금 죽음에 나가기를 좋아하게 해야 하니, 이 세 가지가 바로 군주가 믿을 수 있는 것이다.
무후武侯가 물었다.
“이렇게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오기吳起가 대답하였다.
“임금께서 공이 있는 자는 천거하여 나오게 해서 연향燕饗을 베풀어주고, 공이 없는 자는 격려해주어야 합니다.”
原注
무후武侯가 물었다.
사람들이 명령을 듣는 것을 좋아하고 전쟁하는 것을 좋아하고 죽는 것을 좋아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오기吳起가 대답하였다.
군주가 지난날 을 세운 자를 천거하여 사당의 뜰에 나오게 해서 연향을 베풀어주고, 공이 없는 자는 격려해주는 것이다.
이에 무후武侯가 사당의 뜰에 좌석을 설치하고 세 줄을 만들어서 병사兵士대부大夫들에게 연향을 베풀 적에, 큰 을 세운 사람은 앞줄에 앉히되 음식자리에 귀중한 그릇에 좋은 음식을 겸하여 주었으며, 그다음의 을 세운 사람은 가운데 줄에 앉히되 음식자리에 음식과 그릇을 약간 적게 주었으며, 공이 없는 사람은 맨 뒷줄에 앉히되 음식자리에 음식만 주고 귀중한 그릇은 주지 않았다.
연향을 다 마치고 나갈 적에 또 공이 있는 자의 부모父母처자妻子에게 사당 문 밖에서 물건을 하사하였는데 또한 공으로써 차등을 두었으며, 국가의 일로 죽은 가정이 있으면 해마다 사자使者를 보내어 그 부모를 위로하고 물건을 하사하여 군주가 마음에 잊지 않음을 드러내보였다.
原注
이에 무후武侯가 사당의 뜰에 좌석을 설치하고 세 줄로 나누어서 병사兵士대부大夫들에게 연향을 베풀 적에, 상등의 을 세운 자는 맨 앞줄에 앉히되 음식자리에 귀중한 그릇을 겸하여 주고 고기는 상뢰上牢를 쓰게 하였으며, 다음 을 세운 자는 가운데 줄에 앉히되 음식자리에 앞줄에 비하여 그릇을 약간 적게 하였으며, 이 없는 자는 맨 뒷줄에 앉히되 음식자리만 만들어주고 귀중한 그릇은 주지 않았다.
연향이 다 끝나고 나갈 적에, 또다시 공이 있는 자의 부모와 처자에게 사당 뜰의 밖에서 물건을 하사하되 또한 공으로써 차등을 두었으며, 공이 없는 자는 참여하지 못하였다.
국가의 일로 죽은 가정이 있으면 해마다 사자使者를 보내어 그의 부모를 위로하고 물건을 하사하여, 군주가 마음에 잊지 않고 있음을 드러내 보였다.
이것을 행한 지 3년 만에 나라 사람들이 군대를 일으켜 서하西河에 당도하자, 나라 병사 중에는 이 소식을 듣고 관리의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서 갑옷과 투구를 갖추어 입고 분발하여 공격하는 자가 만 명을 헤아렸다.
이에 무후武侯오기吳起를 불러 이르기를 “그대의 지난날 가르침이 이제 행해졌다.” 하였다.
原注
병사들에게 연향의 를 시행한 지 3년이 되었는데, 나라 사람들이 군대를 일으켜 서하西河의 국경으로 쳐들어오자, 나라 병사들은 이 소식을 듣고 장수와 관리의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서 갑옷과 투구를 갖춰 입고 분발하여 공격한 자가 만 명을 헤아렸다.
무후武侯오기吳起를 불러 이르기를 “그대의 지난날 가르침이 이제 행해졌다.” 하였다.
오기吳起가 대답하였다.
이 들으니 ‘사람은 키가 크고 작음이 있고 기운은 성하고 쇠함이 있다.’ 하였습니다.
임금께서 한번 이 없는 병사 5만 명을 징발해주시면, 이 이들을 거느리고 〈나라 군대를〉 상대하여 싸울 것입니다.
혹시라도 우리가 승리하지 못하면 제후諸侯들에게 비웃음을 받고 천하에서 권세를 잃게 될 것입니다.
原注
오기吳起가 대답하였다.
이 들으니 ‘사람은 키가 크고 작음이 있고, 기운은 성하고 쇠함이 있다.’ 하였다.
임금이 한번 이 없는 병사 5만 명을 징발해주면 이들을 거느리고 나라 군대를 상대하여 싸울 것이니, 혹시라도 우리가 승리하지 못하면 이웃 나라 제후諸侯들에게 비웃음을 받고 천하의 많은 사람들에게 권세를 잃게 될 것이다.
오기吳起는 사람들이 결사적으로 싸우지 않아서 패전할까 염려하여 이렇게 말한 것이다.
지금 만약 결사적으로 싸우는 한 명의 적군이 넓은 광야廣野에 엎드려 있으면, 천 명이 쫓아가되 올빼미처럼 두리번거리고 이리처럼 돌아보지 않는 자가 없을 것이니, 어째서이겠습니까?
이 갑자기 일어나서 자기를 해칠까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한 사람이 목숨을 버리면 충분히 천 명을 두렵게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原注
지금 만약 필사적으로 싸우는 한 명의 적이 넓은 광야에 엎드려 있으면, 천 명이 함께 쫓아가되 올빼미처럼 두리번거리고 이리처럼 돌아보면서 두려워하는 마음을 갖지 않는 자가 없을 것이니, 이는 어째서이겠는가?
이는 적이 갑자기 일어나서 자기를 해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 목숨을 버릴 수 있으면 충분히 천 명을 두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오기吳起가 사람마다 필사적으로 싸우게 하려고 한 말이다.
올빼미는 흉조凶鳥로 한낮에는 물건을 볼 수 없으므로 자주 두리번거리고, 이리는 다니는 것을 겁내므로 자주 뒤돌아본다.
지금 이 5만 명의 병력을 필사적으로 싸우는 한 명의 적으로 만들어 이들을 거느리고서 나라를 토벌하면, 진실로 대적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에 무후武侯오기吳起의 말을 따라 병거兵車 5백 기마騎馬 3천 을 주어 나라의 50만 군대를 격파하였으니, 이는 병사들을 격려한 공효功效이다.
原注
지금 이 5만 명의 병력을 사용하여 모두 필사적으로 싸우는 한 명의 적으로 만들어서 이들을 거느리고 나라를 토벌하되, 마음과 힘을 합하면 진실로 대적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에 무후武侯오기吳起의 말을 따라 병거 5백 과 기마 3천 을 주어 나라의 50만 군대를 격파하였으니, 이는 바로 병사들을 격려한 공효이다.
오기吳起는 싸우기 하루 전에 삼군三軍에게 명령하기를 “모든 관리와 병사들은 마땅히 나의 명령에 따라 의 전차와 기병과 보병을 맞아 싸워야 하니, 만약 우리의 전차가 적의 전차를 잡지 못하고 기병이 적의 기병을 잡지 못하고 보병이 적의 보병을 잡지 못하면, 비록 적군을 격파하더라도 모두 이 없는 것이다.” 하였다.
그러므로 전투하는 날에 그의 명령이 번거롭지 않았는데도 위엄이 천하에 진동하였다.
原注
오기吳起는 싸우기 하루 전에 삼군三軍에게 호령하였다.
모든 장수와 관리와 병사들은 마땅히 나의 명령에 따라 반드시 적을 맞아 싸우되 전차와 기병과 보병 모두가 패함이 없어야 하니, 만약 전차병으로 싸우는 자가 적의 전차부대를 포획하지 못하고, 기병으로 싸우는 자가 적의 기병을 포획하지 못하고, 보병으로 싸우는 자가 적의 보병을 포획하지 못하면, 비록 나라 군대를 격파한다 하더라도 모두 이 없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나라의 장병들은 적과 교전하는 날에 오기吳起의 호령이 번거롭지 않았는데도 위엄이 천하에 진동하였다.


역주
역주1 夫發號施令……乃人主之所倚恃也 : 《兵學指南演義》 〈場操程式 3 賞罰篇〉에는 “賞罰은 장수의 가장 중요한 임무로써 도리에 맞게 시행하지 않으면 화의 근원이 됨”을 경계하면서, 이 대목을 인용하여 군권을 쥐고 있는 자들에게 상벌의 시행을 신중히 할 것을 경계하고 있다.
역주2 : 殽와 같다.
역주3 : 뢰
역주4 (鎭)[震] : 저본에 ‘鎭’으로 되어있으나, 《直解》에 의거하여 ‘震’으로 바로잡았다.

오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