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李衛公問對直解

이위공문대직해

해제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太宗曰
高麗侵新羅어늘 朕遣使諭호되 不奉詔일새 將討之하노니 如何
原注
唐太宗言
高麗頻數侵擾新羅어늘 朕遣使宣諭호되 不肯奉詔일새 我將興兵討之하노니 其計如何
高麗, 新羅 皆東夷國名이라
新羅 其先後也 在高麗東南이라
時新羅內附로되 而高麗蓋蘇文 弑其上하고 畏討故 梗化
朕者 我也 太宗自稱也
字朱蒙이요 都平壤하니 古朝鮮也
靖曰
探知蓋蘇文自恃知兵하고 謂中國無能討 故違命하니 臣請師三萬擒之하노이다
原注
李靖 字藥師 京兆三原人으로 封衛公이라
對太宗曰
臣探知高麗蓋蘇文 自倚恃能知兵法하고 謂中國地遠하여 不能征討故 違抗詔命하니 臣請以三萬衆擒取之호리이다
蓋蘇文者 高麗東部大人 하고 自爲莫離支하니 其官 如中國吏部尙書也
太宗曰
兵少地遙하니 何術臨之
原注
太宗言
三萬兵甚少하고 而地數千里之遠하니 卿以何法臨之
靖曰
臣以하리이다
原注
李靖對曰
臣用正兵臨之하리이다
太宗曰
平突厥時이러니 今言正兵 何也
原注
太宗言
卿平突厥時 用奇兵勝之러니 今征高麗 却言用正兵 何也
突厥 本西方小國으로 姓阿史那氏 世居金山之陽이라
이요 殷曰鬼方이요 周曰이요 漢曰匈奴 魏曰突厥이니
工於鐵作하여 金山狀如兜鍪하니 其俗呼兜鍪爲突厥하여 因爲國號
貞觀三年 以李靖爲定襄道總管하여 統諸軍討突厥이러니 四年春二月 襲破突厥於陰山하니 頡利 遁走하니라
靖曰
諸葛亮七擒孟獲 無他道也 正兵而已矣니이다
原注
李靖對曰
無他道也 用正兵而已矣니이다
諸葛亮諸葛亮
原注
○愚謂孔明用正兵이어늘 若何而七擒孟獲乎
所謂隅落鉤連하고 曲折相對하여 四頭八尾 觸處爲首하여 敵衝其中하면 兩頭皆救하니 孟獲豈識此術이리오
所以七縱之而七擒也
諸葛亮 字孔明이요 諸葛 其覆姓也 琅琊陽都人이라
先主枉駕顧之하여 後爲軍師將軍하다
先主崩 事後主하여 爲丞相이러니 建興三年 率衆征南中平之하니라
太宗曰
晉馬隆討涼州할새 亦是依八陣圖하여 作偏箱車하여 地廣則用鹿角車營하고 路狹則木屋하여 施於車上하여 且戰且前하니 信乎 正兵 古人所重也로다
原注
太宗曰
馬隆 字孝興이니 東平平陸人이라
州擧其才堪良將하여 遷司馬督假節宣威將軍이러니 平涼州後 爲平虜將軍西平太守하니라
靖曰
臣討突厥할새 西行數千里하니 若非正兵이면 安能致遠이릿고
偏箱, 鹿角 兵之大要
一則治力하고 一則前拒하고 一則束部伍하여 三者迭相為用하니 斯馬隆所得古法深也니이다
原注
靖又對曰
臣討突厥之時 西行數千里하니 若非用正兵이면 安能致遠如此哉잇가
偏箱車, 鹿角車二者 用兵之大要
一則用之而治力하고 一則用之而前拒하고 一則用之而束部伍하여 三者更迭하여 相爲便用하니 斯馬隆所得古人之法深也니이다
原注
○愚謂兵法 有奇有正이어늘 今李靖但用正而不用奇者 何哉
夫兵行之法 惟先有正이요 至於奇者하여는 臨敵變化而爲之耳 靖非不用奇也
但西行數千里 用正兵則部曲有制하여 進止安徐
偏箱鹿角 扞外禦內하여 必無所失이요 且八陣亦有奇兵하니 若與敵相遇하여 進退不獲인댄 非出奇 亦安能取勝哉
故曰 善用兵者 無不正이요 無不奇라하니 後之爲將者 不可泥於用正而不用奇也니라
太宗曰
朕破宋老生할새 初交鋒 義師少却이러니 朕親以鐵騎 自南原馳下하여 橫突之한대 老生兵斷後하여 大潰하여
遂擒之하니 此正兵乎
奇兵乎
原注
太宗問李靖曰
朕破宋老生於할새 初交鋒刃 義師少却이러니 朕親用鐵騎하여 自南原으로 馳騁而下하여 橫突其陣한대
爲奇兵乎
煬帝十三年 唐公至霍邑하니 代王侑 遣郞將宋老生等하여 拒之하니라
靖曰
陛下 天縱聖武 非學而能이니이다
臣按兵法 自黃帝以來 先正而後奇하고 先仁義而後權하니이다
原注
李靖對曰
陛下天縱聖武之資 非學而能者也니이다
臣按兵法 以至於今 必先用正而後奇하고 必先以仁義治之而後 用權變譎詐之術하니이다
原注
○愚按 權者 一時之用이니 權而得中이면 卽仁義也 仁義豈有不正者哉
至於譎하여는 則詭詐之謂 是也
上古之世 聖帝明王 專用仁義하니 仁義者 治天下之常經也
所謂 古者以仁爲本하고 以義治之之謂正 是也
權爲聖人處變之道어늘
今李靖以權譎竝言하니 蓋兵家權謀詭詐之術이요 非三代聖人之權道也
且霍邑之戰 師以義舉者 正也 建成墜馬하여 右軍少却者 奇也니이다
原注
且霍邑 與宋老生戰할새 師以義擧者 得其兵法之正也 建成墜馬하여 右師少却者 合乎兵法之奇也니이다
太宗曰
彼時少却하여 幾敗大事어늘 曷謂奇耶
原注
太宗言
彼時右軍少却하여 幾敗吾之大事어늘 何以謂之奇邪
靖曰
凡兵 以前向為正하고 後却為奇니이다
且右軍不却이면 則老生安致之來哉잇가
法曰 利而誘之하고 亂而取之라하니 老生不知兵하고 恃勇急進이라가 不意斷後하여 見擒於陛下하니 此所謂以奇為正也니이다
原注
李靖對曰
凡兵 前向者爲正이요 後却者爲奇니이다
且右軍初不少却이면 則老生之兵 安能致之而來哉잇가
兵法曰 以利誘之使來하고 因其亂而取之라하니
宋老生本不知兵하고 倚恃其勇而急進이라가 不料鐵騎自南原馳下하여 橫突其陣하여 兵遂斷後하여 見擒於陛下하니
此所謂以奇爲正也니이다
昔春秋時 晉與楚戰할새 胥臣以師犯陳蔡하니 此卽向前爲正也
狐毛設二旆而退하고 欒枝使輿曳柴僞遁하니 此卽後却爲奇也
此與霍邑之戰同하니 皆以奇爲正也
但狐毛, 欒枝 設奇誘楚人之來하여 而右軍少却하고 建成 墜馬하여 偶合出奇之道耳 向非太宗天授 幾何而不爲老生所勝與
太宗曰
去病 暗與孫吳合이라하니 誠有是夫인저
當右軍之却也 高祖失色이러니 及朕奮擊하여 反為我利하여 孫吳暗合하니 卿實知言이로다
原注
太宗曰
漢武時 이라하니 誠實有此事也
夫當其右軍少却하여 高祖失色이러니 及朕以鐵騎 奮而擊之하여 反爲我之所利하여 與孫吳暗合하니 卿實知言이라하니라
蓋以右軍少却으로 暗合孫吳出奇取勝之法이라
漢武嘗欲敎去病孫吳兵法한대 去病對曰 顧方略如何耳 不至學古兵法也라하더니 凡行軍制勝 多與孫吳暗合이라
霍去病 衛靑子也 年十八 善騎射하여 從大將軍하여姚校尉하여 屢有功하고 後爲驃騎將軍하니라
高祖 唐神堯高祖也
太宗曰
凡兵却 皆謂之奇乎
原注
太宗問李靖曰
凡兵却 皆可謂之奇否乎
靖曰
不然하니이다
夫兵却 而不齊하고 鼓大小而不應하고 而不一이면 此真敗者也 非奇也니이다
若旗齊鼓應하고 號令如一이로되 紛紛紜紜이면 雖退走 非敗也 必有奇也니이다
法曰 佯勿追라하고 又曰 能而示之不能이라하니 皆奇之謂也니이다
原注
靖對太宗曰
不然하니이다
夫兵之却也 旗幟參差而不能齊하고 鼓音大小而不相應하고 而不歸一하면 此乃眞敗也 非所謂奇也니이다
若旗幟齊整하고 鼓聲相應하고 號令如一이로되 紛紛紜紜하여 示之以亂이면 雖退 非眞敗也 必有奇伏也니이다
非奇而何
在兵法 有曰 佯北者勿追라하고 又曰 將本能而佯示之以不能이라하니 皆奇之謂也니이다
太宗曰
霍邑之戰 右軍少却 其天乎인저
老生被擒 其人乎인저
原注
太宗曰
霍邑之戰 右軍少却 其係之天命乎인저
老生被擒 其係之人事乎인저
言右師偶爾少却하여 而誘老生之來하니 是天命使之也 太宗以鐵騎 自南原馳下하여 橫突之하여 老生兵潰而擒하니 是人力爲之也
靖曰
若非正兵變為奇하고 奇兵變為正이면 則安能勝哉잇가
善用兵者 奇正人而已 變而神之 所以推乎天也니이다
太宗하다
原注
靖對曰
凡戰 若非正兵或變而爲奇하고 奇兵或變而爲正하여 使敵莫測吾奇正之形이면 則亦安能致勝哉잇가
善能用兵者 奇正皆在人而已 變化而入於神妙不測 所以推之於天也니이다
太宗已知其義하고 遂低首하니라
太宗曰
奇正 素分之歟
臨時制之歟
原注
太宗問靖曰
奇與正 平日素分之歟
乃臨時制之歟
靖曰
按曹公新書曰 己二而敵一이면 則一術為正하고 一術為奇 己五而敵一이면 則三術為正하고 二術為奇라하니 此言大略니이다
原注
靖對曰
臣按 有曰 己二軍이요 敵一軍이면 則我以一術爲正하고 以一術爲奇
己五軍이요 敵一軍이면 則我以三術爲正하고 以二術爲奇라하니 此但言其大略耳
假如己一而敵二 己一而敵五 則以何術爲正하고 以何術爲奇乎잇가
云 曹公但言奇正之大略이요 非奇正之深妙者也라하니라
唯孫武云 戰勢不過奇正하니 奇正之變 不可勝窮이라
奇正相生 如循環之無端하니 孰能窮之리오하니 斯得之矣
安有素分之邪잇가
原注
唯孫武子有云 戰勢不過奇正二者하니 奇正之變 不可盡窮焉이라
奇正之變 謂奇或變而爲正하고 正或變而爲奇也
奇正相生 謂或以奇而生正하고 或以正而生奇하여 如環循轉하여 無有端倪하니 誰能盡之리오하니
斯言 乃得奇正之妙耳
安有奇正平日素分之理邪잇가
若士卒未習吾法하고 偏裨未熟吾令이면 則必為之二術하여 教戰時 各認旗鼓하여 迭相分合이라
曰分合爲變이라하니 此教戰之術耳니이다
教閱既成하여 衆知吾法然後 如驅群羊하여 由將所指 孰分奇正之別哉잇가
原注
若士卒未曾閑習吾之軍法하고 偏裨未曾慣熟吾之號令이면 則必爲之二術하여 敎戰之時 各認本隊旗鼓하여 更迭爲分合이라
曰分合爲變이라하니 謂分而合하고 合而分하여 更迭變化 此乃敎戰之術耳니이다
敎閱旣成之後 衆人皆知吾之軍法然後 如驅群羊하여 或往或來 由將所指 孰能分其奇正之別哉잇가
孫武所謂形人而我無形 此乃奇正之極致
是以 素分者 教閱也 臨時制變者 不可勝窮也니이다
原注
是以 奇正素分者 敎閱之法也 或奇而示之正하고 或正而示之奇하여 臨時相變하여 奇正不可勝窮之道也니이다
太宗曰
深乎深乎
曹公必知之矣리라
但新書 所以授諸將而已 非奇正本法이리라
原注
太宗曰
奇正之法 深遠乎哉
重言深乎深乎者 嘆其奇正之法 不可以淺近求之也
奇正之法雖深이나 而曹公必能知之로되 但新書 所以授諸將而已 非論奇正本法也 蓋曹公姦詭하여 不令時人得知奇正之妙耳
太宗曰
曹公云 奇兵旁擊이라하니 卿謂若何
原注
太宗言
曹公註 云 正者 當敵이요 奇者 從旁擊不備也라하니 卿謂其說若何
靖曰
臣按曹公註孫子曰 先出合戰為正이요 後出為奇라하니 此與旁擊之說異焉하니이다
原注
靖對曰
臣嘗按曹公註孫子 有云 先出與人合戰者爲正이요 在後出者爲奇라하니 此又與旁擊之說不同焉하니이다
臣愚 謂 大衆所合 為正이요 將所自出 為奇라하오니 烏有先後旁擊之拘哉잇가
原注
臣愚 謂 大衆與敵所合者 爲正兵이요 大將所自出者 爲奇兵이라하니 烏有先出爲正, 後出爲奇 與從旁擊不備之拘執哉잇가
太宗曰
吾之正 使敵視以為奇하고 吾之奇 使敵視以為正 斯所謂形人者歟인저
以奇為正하고 以正為奇하여 變化莫測 斯所謂無形者歟인저
靖再拜曰
陛下神聖 出古人하시니 非臣所及이니이다
原注
太宗言
吾之正兵 使敵人視之 反疑以爲奇하고 吾之奇兵 使敵人視之 反疑以爲正 斯孫子所謂形人者歟인저
吾能以奇兵變爲正하고 正兵變爲奇하여 奇正變化 不可測度인저
靖再拜而對曰
陛下神聖之姿 逈出於古人하시니 非臣所能及也니이다
原注
○或問 奇何以變而爲正하고 正何以變而爲奇耶 愚謂
奇正之道 變化無窮하여 非一言而能盡이라
大衆所合 固爲正이니 正而變爲奇也
不特此也
凡佚而示之勞하고 飽而示之飢 非變正而爲奇歟
非變奇而爲正歟
善用兵者 正亦勝하고 奇亦勝하여 使敵不知我所以制勝之形이니 斯能應變於無窮矣
太宗曰
分合為變者 奇正安在
原注
太宗言
分而合하고 合而分하여 互相更變 奇正之法 安在
靖曰
善用兵者 無不正이요 無不奇하여 使敵莫測이라
故正亦勝하고 奇亦勝이니이다
三軍之士 止知其勝하고 莫知其所以勝하나니 非變而通이면 安能至是哉잇가
分合所出 唯孫武能之 吳起而下 莫可及焉이니이다
原注
靖對曰
善用兵者 無不是正이요 無不是奇하여 使敵人莫可測量이라
用正兵亦勝하고 奇兵亦勝이니이다
吾三軍之士 止知其破軍殺將而取勝이요 莫知其陰謀秘計所以制勝之道하나니 非分合變化而能通이면 安能至於如此之妙哉잇가
分合所出 唯孫武一人能之 自吳起而下 皆莫可及也니이다
太宗曰
吳術若何
靖曰
臣請略言之호리이다
魏武侯問吳起兩軍相向한대 起曰
使賤而勇者 前擊호되交而北하고 北而勿罰하고 觀敵進取하여
一坐一起하여 奔北不追 則敵有謀矣니이다
原注
太宗言
吳起之術 如何
靖答曰
臣請大略言之호리이다
昔日 魏武侯問於吳起호되 若兩軍相向하여 我欲知其將之能否인댄 當用何術
士卒一坐一起하여 皆有節하여 見奔北者라도 不來追逐이면 則敵將有智謀矣니이다
若悉衆追北하여 行止縱橫이면 此敵人不才 擊之勿疑라하니이다
臣謂吳術 大率多類此하니 非孫武所謂以正合也니이다
原注
若彼悉衆追北하여 行止縱橫不齊 則知敵將無能이니 擊之勿疑也라하니이다
臣謂吳起之術 大率多類此하니 非若孫武所謂以正兵合戰之法이니이다
太宗曰
卿舅韓擒武嘗言 卿可與論孫吳라하니 亦奇正之謂乎
靖曰
擒武安知奇正之極이리오
但以奇為奇하고 以正為正耳 曾未知奇正相變하여 循環無窮者也니이다
原注
太宗謂靖曰
卿舅曾言 卿可與論孫吳兵法이라하니 亦奇正之謂否乎
靖答曰
擒武安知奇正之極致리오
但以奇爲奇하고 以正爲正하여 曾不知奇而變爲正하고 奇與正相變通 如環循轉하여 無窮盡者也니이다
擒武 字子通이니 河東垣人也
一曰 名擒虎 一曰 初名豹
隋開皇九年 與賀若弼 率衆滅陳하니 李靖 其甥也
原注
○愚謂 以奇爲奇하고 以正爲正 如八陣 以天地風雲爲四正하고 以龍虎鳥蛇爲四奇하며
六花陣 以中一軍爲奇하고 以外六軍爲正하며 十二將兵 以八軍爲正하고 四軍爲奇하니
此等 皆是古人詭其名耳 殊不知善用兵者 無不正이요 無不奇也
假若敵來攻 或龍虎鳥蛇四軍이어든 我以天地風雲四軍으로 或驚前而掩後하고 或衝東而擊西하니 以奇爲正而與之合戰이요 以正爲奇하여 左右角之而取勝也
以此言之하면 奇正循環 豈有窮矣리오
太宗曰
古人 臨陳出奇하여 攻人不意하니 斯亦相變之法乎
靖曰
前代戰鬪 多是以小術而勝無術하고 以片善而勝無善하니 斯安足以論兵法也리오
若謝玄之破苻堅 非謝玄之善也 蓋苻堅之不善也니이다
原注
太宗問靖曰
古人臨陳出奇하여 攻敵人之不意하니 斯亦奇正相變之法乎
靖對曰
前代爲將者 與敵戰闘 多是以己之小術 勝人之無術하고 以己之片善으로 勝人之無善하니 此等以論兵法哉잇가
若東晉時 非是謝玄之善이요 蓋苻堅之不善也니이다
字幼度 謝安之姪也
太宗顧侍臣하여 檢謝玄傳하여 閱之하고
曰 苻堅處是不善
靖曰
臣觀苻堅載記하니 曰 秦諸軍皆潰敗 唯慕容垂一軍獨全이어늘
堅以千餘騎赴之러니 垂子寶 勸垂殺堅호되 不果라하니
此有以見秦軍之亂 慕容垂獨全하니 蓋堅為垂所陷 明矣니이다
夫為人所陷而欲勝敵이면 不亦難乎잇가
臣故曰 無術焉 苻堅之類是也라하노이다
原注
太宗聞李靖之言하고 顧左右侍臣하여 使檢謝玄傳하여 閱之하고 問李靖曰
苻堅甚處 是不善也
靖對曰
臣觀苻堅 有云 秦諸軍皆潰散敗走하고 唯慕容垂一軍 獨全이라하니 時垂有軍三萬하여 不曾有亡이라
苻堅只有千餘騎하여 奔赴其營이러니 垂子慕容寶 勸垂殺堅한대 垂曰 彼以赤心投我어늘 若何害之리오
이리오하니 觀此하면 有以見秦軍之亂 慕容垂獨全者
蓋垂有貳於堅하여 按兵不動하여 以幸其敗하고 欲乘機以復其國耳 苻堅爲垂所陷也니이다
夫自己爲人所陷하고 而欲取勝於敵이면 不亦難乎잇가
臣故曰 苻堅無術焉이라하노이다
假使苻堅有術하여 阻淝水而不退하고 命垂等하여 分爲左右二拒하여 一出淝水之上하여 掩晉軍之右하고 一出淝水之下하여 襲晉軍之左하고 堅整中軍하여 伺晉之亂이라가 直渡淝水蹴之이라도 亦不能支어든徒歟
晉兵敗而垂敢爲亂乎
慕容垂 本燕王皝之子 初名霸러니 後改名垂
封吳王이러니 畏太后可定渾氏而奔秦하니 豈眞爲堅用哉
太宗曰
孫子謂多算勝少算이라하니 有以知少算勝無算이니 凡事皆然이로다
原注
太宗言
孫子書이라하니 因有以知少算能勝無算也 凡事皆如此耳
太宗曰
黃帝兵法 世傳握奇文이라하고 或謂為握機文 何謂也
原注
太宗問靖曰
軒轅黃帝有兵法이어늘 世人相傳하여 爲握奇文이라하고 或人 又謂握機文이라하니 此何謂也
靖曰
奇音機故 或傳為機하니 其義則一이니이다
考其辭云 四為正이요 四為奇 餘奇為握機라하니 餘零也 因此音機니이다
原注
靖對曰
奇音 此機字故 或者誤傳爲機字하니 其義則一耳니이다
考其言辭하면 則曰 四爲正이라하니 謂天, 地, 風, 雲四陳也 四爲奇라하니 謂龍, 虎, 鳥, 蛇四陳也
餘奇零之兵 大將握之하여 爲中軍이라 爲握機라하니零之兵이니 因此音爲機字니이다
臣愚謂 兵無不是機 安在乎握而言也리오
當為餘奇則是니이다
夫正兵 受之於君이요 奇兵 將所自出이니이다
法曰 令素行하여 以教其民者 則民服이라하니 此受之於君者也 又曰 兵不豫言하고 君命有所不受라하니 此將所自出者也니이다
原注
臣愚謂 兵 無不是機謀 機謀安在乎握持而言也리오
當爲餘奇之兵 爲是니이다
夫正兵受之於人君 謂國家有征伐之事하여 或十萬, 或二十萬 命將總之而出이니
受之於君者 乃正兵也니이다
奇兵將之所自出 謂選精銳하고 簡武勇하여 或掩其前後하고 或襲其左右하며 分合變通 悉聽於將하니 乃奇兵也니이다
兵法 有曰 令素行以敎其民者 則民服이라하니 此乃受之於君者 卽正兵也니이다
又曰 兵事 不豫先言之하고 君之命 將有所不受者 此將之所自出이니 卽奇兵也니이다
凡將 正而無奇 則守將也 奇而無正이면 則鬪將也 奇正皆得 國之輔也
是故 握機握奇 本無二法이요 在學者兼通而已니이다
原注
凡爲將者 但知守正而無奇 則守將也 但知用奇而無正이면 則闘將也 奇正皆得其法 爲國家輔佐之臣也니이다
是故 握機與握奇 本無二法이요 在學者兼通而已니이다
太宗曰
陳數有九 中心零者 大將握之하여 四面八向 皆取準焉이라
陳間容陳하고 隊間容隊하며 以前為後하고 以後為前하여 進無速奔하고 退無遽走하여 四頭八尾 觸處為首하여 敵衝其中이면 兩頭皆救하여 數起於五而終於八하니 此何謂也
原注
太宗問靖曰
陳間容陳者 大陳包小陳也 隊間容隊者 大隊包小隊也
或以前爲後하고 或以後爲前하니 謂平時以南向者爲前하고 以北向者爲後 若回軍轉陳이면 則北向者爲前하고 南向者爲後 不言左右者 擧一端言也
若東行則東向者爲前하고 西向者爲後 西行則西向者爲前하고 東向者爲後
惟其有分數也故 進無速奔하고 惟其有節制也故 退無遽走하니 言進退齊一也
四頭者 四正四奇 皆可爲首也 八尾者 謂九軍 敵或攻其一則首也 餘八軍爲尾矣
觸處爲首者 謂敵來攻處 便爲首也 敵若衝擊其中이면 則兩頭皆救하니 常山蛇勢也
數起於五者 五爲陳法也 數終於八者 四面八軍也 此法 何謂也
靖曰
諸葛亮以石縱橫하여 布為八行하니 方陳之法 卽此圖也니이다
臣嘗教閱 必先此陳하니 世所傳握機文 蓋得其粗也니이다
原注
靖對曰
諸葛亮 於魚腹平沙之上 以石縱橫하여 布爲八行하니 黃帝九軍方陳之法 卽此圖也 蓋諸葛 變而爲縱橫八行耳니이다
縱橫八行者 謂四面視之 皆成八行하여 八八六十四小方陳이니 卽所謂陳間容陳하여 四頭八尾者也
臣嘗敎閱士卒 必先用此陳하니 世人所傳握機文 蓋得其粗者耳니이다
八行 卽六十四魁 八八爲行也
太宗曰
天地風雲 龍虎鳥蛇斯八陳 何義也
原注
太宗問靖曰
天地風雲龍虎鳥蛇此八陣 取何義也
蓋八陳 各一陳也
以乾爲天陣하고 以坤爲地陣하고 以巽爲風陣하고 以艮爲雲陣하며 以東爲龍陣하니 卽左靑龍也 以西爲虎陣하니 卽右白虎也 以南爲鳥陣하니 卽前朱雀也 以北爲蛇陣하니 卽後玄武也
靖曰
傳之者 誤也니이다
古人秘藏此法이라 詭設八名耳니이다
八陣 本一也 分為八焉이라
若天地者 本乎旗號하고 風雲者 本乎旛名이요 龍虎鳥蛇 本乎隊伍之別이어늘 後世誤傳이니이다
詭設物象이면 何止八而已乎잇가
原注
靖對曰
世人傳之者 差誤也니이다
古人秘藏此法故 詭設天地風雲龍虎鳥蛇八名耳 八陳 本一陣也 分爲之八焉이니이다
若天地者 本乎旗之號하고 風雲者 本乎旛之名이라
天取其高而能하고 地取其厚而能載
以爲旗之號하여 使爲將者 亦法天地之所以高厚焉이요
風取其動作之象하고 雲取其卷舒之勢 以爲旛之名하여 使爲將者 亦效風雲之所以變化焉이니 非二陳似乎風雲也
龍虎鳥蛇者 本乎隊伍之別이라
龍取其騰躍이요 虎取其威猛이요 鳥取其迅疾이요 蛇取其能扞外而禦內焉하니
蓋欲使隊伍士卒 亦效龍虎鳥蛇之騰躍威猛迅疾 及能扞外而禦內也 非二陳似乎龍虎而二陳似乎鳥蛇也
其以天地風雲龍虎鳥蛇 分爲八陳 乃後世之人 誤傳之耳니이다
若云詭設物象이라하면 豈止八者而已乎잇가
太宗曰
數起於五而終於八 則非設象이요 實古陳也 卿試陳之하라
原注
太宗問靖曰
陳數起於五而終於八 則非若天, 地, 風, 雲, 龍, 虎, 鳥, 蛇之設象이요 實古陳法也 卿試爲我陳之하라
靖曰
臣按黃帝始立丘井之法하여 因以制兵이라
井分四道하여 八家處之하니 其形井字 方九焉이라
五為陳法하고 四為閑地하니 此所謂數起於五也니이다
原注
靖對曰
臣按軒轅時 始立丘井之法하여 八家爲井하고 十六井爲丘하여 因以制爲兵法이라
一井分爲四道하여 八家共處之하니 其形 似一井字 則九焉이라
以前後左右中五處 爲陳法하고 以四隅四處 爲閑地하니 此所謂陳數始起於五也니이다
蓋黃帝初時 人民尙少 止用五爲陳也
虛其中하여 大將居之하고 環其四面하여 諸部連繞하니 此所謂終於八也니이다
原注
虛其中軍하여 大將居之 卽中心零者 大將握之하여 四面八向 皆取準焉者也
環其四面하여 諸部連繞 卽左右前後及四維 通爲八陳이니 此所謂數終於八也니이다
蓋後來 人民衆多하고 土地廣大 故用八者하여 皆爲陳耳
及乎變化制敵하여는 則紛紛紜紜하여 鬪亂而法不亂하고 混混沌沌하여 形圓而勢不散하니 此所謂散而成八하고 復而為一者也니이다
原注
及乎變化奇正以制敵이면 則紛紛紜紜하여 闘時似亂이나 而其法不亂하고 混混沌沌하면 形如轉環이나 而其勢不散하니
此所謂散而分之하여 而成八小陣하고 復而合之하면 則爲一大陣也니이다
太宗曰
深乎
黃帝之制兵也
後世雖有天智神略이라도 莫能出其閫閾이니 降此 孰有繼之者乎
原注
太宗聞靖之言하고
曰 深遠乎哉
黃帝之制兵法也
後世之人 雖有天智神略之妙라도 莫能出其閫閾之外 降此以往으로 誰有能繼其法者乎
靖曰
周之始興 則太公實繕其法하니 始於岐都하여 以建井畝하여 戎車三百輛 虎賁三百人으로 以立軍制하고 六步七步 六伐七伐 以教戰法하여 陳師牧野하니이다
太公 以百夫制師하여 以成武功하여 以四萬五千人으로 勝紂七十萬衆하니이다
原注
靖對曰
周家初興 則太公望 實繕修其法하니 始於岐都하여 以建立井畝之制하니이다
始祖后稷 封於邰러니 十三世王徙居岐山之陽하여 建都於周原之上하니 是曰 岐都
十五世 而文王以太公望爲師하여 備戎車三百輛 虎賁之士三百人하여 以立軍之制度하고 不愆於 乃止齊焉하여 以敎戰陳之法하여 陳師商郊牧野하니이다
太公 以百夫 致師旅必戰之心하여 而成就武功하여 用四萬五千人하여 勝紂七十萬衆하니이다
尙書小序云 戎車三輛 虎賁三百人이라한대 注云 虎賁 百夫之長也라하고
孟子云 革車三百輛이요 虎賁三千人이라하여 二說不同하니 後詳辯之하노라
周司馬法 本太公者也
太公既沒 齊人得其遺法하여 至桓公하여 霸天下하고 任管仲하여 復修太公法하여 謂之節制之師라하니 諸侯畢服하니이다
原注
周大司馬之法 本於太公者也
太公旣沒之後 子伋爲齊侯 齊人得遺法이라
至桓公하여 霸長天下하고 任用管仲爲相하여 復繕修太公兵法하여 謂之이라하니 天下諸侯 因此皆服이니이다
節制者 兵不大勝하고 亦不大敗하니 言其有節制
太宗曰
儒者多言管仲霸臣而已라하니 殊不知兵法乃本於王制也
諸葛亮 王佐之才로되 自比管樂하니 以此 知管仲亦王佐也
但周衰하여 時王不能用故 假齊興師爾니라
原注
太宗曰
儒者多言管仲乃霸者之臣而己 殊不知兵法 起自井田하여 本於王者之制也
但周室衰微하여 時王不能任用이라 假齊桓公하여 興師以匡正天下者也
樂毅 魏人이니 樂羊之後 居靈壽러니 聞燕昭王賢하고 乃歸之한대 王以爲亞卿하다
後破齊有功하여 封昌國君이러니 昭王崩하고 子惠王立하여 疑之어늘 遂西走趙하니 趙封毅於觀津하고 號曰 望諸君이라하니라
靖再拜曰
陛下神聖하사 知人如此하시니 老臣雖死昔賢也니이다
臣請言管仲制齊之法하리이다
三分齊國하여 以為三軍호되 五家為軌故 五人為伍하고 十軌為里故 五十人為小戎하고 四里為連故 二百人為卒하고 十連為鄉故 二千人為旅하고 五鄉一師故 萬人為軍하니
亦由司馬法一師五旅 一旅五卒之義焉이니 其實 皆得太公之遺法이니이다
原注
靖再拜하고 起而言曰
陛下神聖하사 知人如此之明하시니 老臣雖死 無媿古昔賢者니이다
臣請言管仲當時制齊之法하리이다
三分齊國之民하여 以爲三軍호되
古者 大國三軍이요 次國二軍이요 小國一軍이니 大國也故 爲三軍이라
民以五家爲一軌故 兵以五人爲一伍하고 十軌爲一里하니 十軌 五十家也故 兵以五十人爲一小戎하고 四里爲一連하니 四里 二百家也故 兵以二百人爲一卒하고 十連爲一鄕하니 十連 二千家也故 兵以二千人爲一旅하고 五鄕爲一師하니 五鄕 一萬家也故 兵以萬人爲一軍하니 니이다
周制 二十五家爲一里하고 五百家爲一黨하고 萬二千五百家爲一鄕하니 其兵制 則以五人爲伍하고 十人爲什하고 百人爲卒하고 五百人爲旅하고 萬二千五百人爲軍하여 其數爲異耳
原注
○愚謂管仲 孔子稱其器小어시늘 而太宗, 李靖 皆以爲王佐 何也
夫管仲 尊周室하고 攘夷狄하며 九合一匡하여 功實不小
以其有仁者之功也
이나 其局量褊淺하고 規模狹隘하여 不能正心修身以致君於王道하고 大抵多以權謀馭下하여 爲侈已甚하니 此孔子所以譏其器小與不知禮也
假使時王任之라도 其功烈 亦不過如此리라
之世 道學不明하여 雖以太宗之賢으로도 亦不過假仁義而已 李靖輩又安識王佐哉
太宗曰
司馬法 人言穰苴所述이라하니 是歟
否也
原注
太宗問靖曰
司馬法 世人 皆言司馬穰苴所述이라하니 是歟
否也
靖曰
按史記穰苴傳컨대 齊景公時 穰苴善用兵하여 敗燕晉之師한대 景公尊為司馬之官이라
由是 稱司馬穰苴하고 子孫號司馬氏라하니이다
原注
靖答曰
臣按史記穰苴傳컨대 齊景公時 田穰苴善能用兵하여 敗燕晉二國之師한대 景公尊穰苴하여 爲司馬之官하니
由是 稱爲司馬穰苴하고 其子孫因號司馬氏하니이다
穰苴 之苗裔也
至齊威王하여 追論古司馬法하고 又述穰苴所學하여 遂有司馬穰苴書數十篇하니 今世所傳兵家者流 又分權謀形勢陰陽技巧四種하니 皆出司馬法也니이다
原注
至齊威王時하여 追論古司馬法하여 方成其書할새 又述田穰苴所學하여 遂有司馬穰苴書하니 凡數十篇이니 卽今世所傳兵家者流니이다
書內 又分權謀者 權變機謀 形勢 陰陽者 天時之順逆也 技巧者 攻守之用也니이다
太宗曰
漢張良韓信 序次兵法 凡百八十二家
刪取要用하여 定著三十五家러니 今失其傳 何也
原注
太宗問靖曰
漢張良 與韓信으로 序次古兵法 凡一百八十二家
刪去蕪僞하고 取其切要可用者하여 定著三十五家러니 今失其傳 何謂也
라하니 恐彼時因而失之耳
張良 字子房이니 其先 韓人이라
佐高祖하여 滅秦楚하고 定天下하여 封留侯하니라
韓信 淮陰人也
佐高祖하여 定三秦하고 擒魏豹하고 破趙取齊하며 敗項羽垓下하고 封楚王이라가 後降封淮陰侯러니 呂后殺之하니라
張良張良
韓信韓信
靖曰
張良所學 太公六韜三略 是也 韓信所學 穰苴孫武是也
이나 大體不出三門四種而已니이다
原注
靖對曰
張良所學 卽太公之六韜 黃石公之三略 是也 韓信所學 卽司馬穰苴書 孫武子是也
然大體 不出乎三門四種而已니이다
按漢藝文志云 吳孫子兵法八十二篇이요 吳起四十八篇이로되 今皆不存矣
太宗曰
何謂三門
靖曰
臣按 太公謀八十一篇 所謂陰謀 不可以言窮이요
太公言七十一篇 不可以兵窮이요
太公兵八十五篇 不可以財窮이니
此三門也니이다
原注
太宗曰
何謂三門
靖曰
臣按 太公謀有八十一篇하니 所謂陰謀 不可以言窮其意
太公言有七十一篇하니 不可以兵窮其妙
太公兵有하니 不可以財窮其術이라
謀言兵 共二百三十七篇이니 此所謂三門이니이다
按漢藝文志 六弢六篇이라한대 顔師古云 卽今之六韜也라하니 然則二百三十七篇 後人增加而爲之리라
太宗曰
何謂四種
靖曰
漢任宏所論 是也니이다
凡兵家流 權謀為一種이요 形勢為一種이요 及陰陽技巧二種이니 此四種也니이다
原注
太宗問曰
何謂四種
靖曰
帝時 任宏所論 是也 凡兵家者流 權謀爲一種이니
權謀者 以正守國하고 以奇用兵하여 先計而後戰하여 兼形勢하고 包陰陽하고 用技巧者也
形勢爲一種이니
形勢者 雷動風擧하여 後發而先至하고 離合 變化無常하여 以輕疾制敵者也
及陰陽技巧爲二種이니
陰陽者 順時而發하여하고 隨斗擊하여 因五勝하고 假鬼神而爲助者也
技巧者 習手足하고 便器械하고 利機關하여 以立攻守之勝者也
此謂四種이니이다
原注
○愚按漢藝文志 權謀十三家 共二百五十九篇이라
吳孫子八十二篇이요 齊孫子八十九篇이요 公孫鞅二十七篇이요 吳起四十八篇이요 范蠡二篇이요 大夫種이요 李子十篇이요 娷一篇이요 兵春秋(三)[一]篇이요 龐煖(二)[三]篇이요 兒良一篇이요 廣武君一篇이요 韓信三篇이라
形勢十一家 共九十二篇이니
楚兵法七篇이요 蚩尤二篇이요 孫軫五篇이요 繇敍二篇이요 王孫十六篇이요 尉繚子三十一篇이요 魏公子二十一篇이요 景子十三篇이요 李良三篇이요 丁子一篇이요 項王一篇이라
陰陽十六家 共二百四十九篇이니
太一兵法一篇이요 天一兵法三十五篇이요 神農兵法一篇이요 黃帝十六篇이요 封(故)[胡]五篇이요 風后十三篇이요 力牧十五篇이요 鵊冶子一篇이요 鬼(谷)[容]區三篇이요 地典六篇이요 孟子一篇이요 東父三十一篇이요 師曠八篇이요 萇弘十五篇이요 別成子望軍氣六篇이요 辟兵威勝方七十篇이라
技巧十三家 百九十九篇이니
(苗子五十)[鮑子兵法十]篇이요 伍子胥十篇이요 公勝子五篇이요 苗子五篇이요 逢門射法二篇이요 陰通成射法十一篇이요 李將軍射法三篇이요 魏氏射法六篇이요 強弩將軍王圍射法五卷이요 望遠連弩射法具十五篇이요 護軍射師王賀射書五篇이요 蒲苴子(戈)[弋]法四篇이요 劍道三十八篇이요 手搏六篇이요 雜家兵法五十七篇이요 蹵鞠二十五篇이니
今多磨滅不存耳
太宗曰
司馬法 首序蒐狩 何也
靖曰
順其時而要之以神이니 重其事也니이다
原注
太宗曰
司馬法 首序春蒐冬狩之法 何謂也
靖曰
順天以講武호되 要之以神而重其事也니이다
周禮最為大政하여 成有岐陽之蒐하고 康有酆宮之朝하고 穆有塗山之會하니 此天子之事也니이다
原注
周禮書 以此最爲國家之大政하여 在周成王時 則有岐陽之蒐
岐陽者 岐山之陽也
春田曰蒐 蒐者 搜也 謂搜其無孕字者而取之
在周康王時 則有酆宮之朝
酆邑之宮也 文王都酆이러니 武王遷鎬하니 是康王因田獵而朝諸侯於酆邑之宮也
在周穆王時 則有塗山之會하니
塗山 卽禹會諸侯之地 是穆王亦因田獵而會諸侯於塗山也
皆天子之事也
及周衰 齊桓有召陵之師하고 晉文有踐土之盟하니 此諸侯奉行天子之事也니이다
原注
及周室衰微 威令不行하여 而蒐狩之禮亦廢하니이다
齊桓公霸諸侯하여 於是有召陵之師하고 晉文公霸諸侯하여 於是有踐土之盟하니이다
召陵之師 在魯僖公四年하고 踐土之盟 在魯僖公二十八年이라
皆諸侯奉行天子之事也니이다
其實 用九伐之法하여 以威不恪이라
假之以朝會하고 因之以巡狩하고 訓之以甲兵하니 言無事 兵不妄舉하고 必於農隙하여 不忘武備也
首序蒐狩하니 不其深乎잇가
原注
其實 則用하여 以威諸侯之不恭命者
假之以之名하고 因之以巡狩之禮하고 訓之以甲兵之事
曰朝 時見曰會
天子適諸侯曰巡狩 巡狩者 巡所守也
甲兵 士卒所被之甲 所執之兵也
言國家無事 兵不可妄擧하고 必於農隙之時 修爲田獵之事하니 所以不忘武備也
首序蒐狩 不其深遠乎哉잇가
太宗曰
春秋 楚子二廣之法云 百象物而動하여 軍政不戒而備라하니 此亦得周制歟
原注
太宗問靖曰
春秋時 楚子二廣之法 有云 百官皆象其物類而後動이라하니 言不妄動也
軍政不待戒令而先備라하니 言無不備也 亦得周家之制度歟
熊繹之後 姓芈氏 子爵이니 僭稱王이라
楚子 卽莊王旅也
二廣者 左右二廣也
이면 左則受之하여 日入而說하고 內官序當其夜하여 以待不虞
하니
此所謂百官象物而動하여 軍政不戒而備也
靖曰
按左氏說컨대 楚子乘廣三十乘하니 廣有一卒하고 卒偏之兩이라하니 軍行右轅하여 以轅為法이라
挾轅而戰하니 皆周制也니이다
原注
靖答曰
按左氏傳이라하니 只是舊制十五乘爲一偏之法이니이다
但偏法 一乘用百人하여 比偏增一兩하여 爲承副耳
一兩 五十人이니 廣之一車 比偏之一車 多五十人耳
凡軍行之制 在軍之右者 挾轅爲戰備하니 蓋以車轅爲法이라 故軍行挾轅而戰하니 皆周家之制度也니이다
一說 偏之一乘 用甲士三人 步卒七十二人하고 廣之一乘 用甲士三人 步卒一百四十七人하니
是廣一乘之卒 用偏乘之兩卒耳
與前左傳林堯叟註頗異하니 今竝存之하노라
臣謂百人曰卒이요 五十人曰兩이니 此是每車一乘 用士百五十人이니 比周制 差多耳니이다
周一乘 步卒七十二人이요 甲士三人이니 以二十五人為一甲하여 凡三甲 共七十五人이니이다
山澤之國이라 車少而人多하여 分為三隊하니 則與周制同矣니이다
原注
靖又言
臣謂古者 百人爲一卒하고 五十人爲一兩하니 此是楚人乘廣之法이니이다
每車一乘 用士一百五十人하여 比周制差多耳
周家一乘 用步卒七十二人 甲士三人하여 以二十五人으로 爲一甲하여 凡三甲 共用七十五人이라
山澤之國이라 車少而人多하여 分百五十人하여 爲三隊하니 與周制分三甲同矣니이다
軍行 右轅하고 左追蓐하며 前茅慮無하고 中權後勁하고 百官象物而動하여 軍政不戒而備하니 能用典矣라하니라
太宗曰
春秋 荀吳伐狄 毀車為行하니 亦正兵歟
奇兵歟
靖曰
荀吳用車法耳
而法在其中焉이니이다
一為左角하고 一為右角하고 一為前拒하여 分為三隊하니
此一乘法也 千萬乘皆然이니이다
原注
太宗問靖曰
春秋時 荀吳伐狄於大鹵라하니라
荀吳 晉卿中行穆子也
毁車爲行者 魏舒以狄徒衆而我車多하고 所遇之地又阨이라 勸荀吳하여 舍車爲行也
太宗問
此法 謂之正兵歟
謂之奇兵歟
靖答曰
荀吳只是用車法耳 雖舍車 而車法在其中이니이다
蓋每車一乘 甲士三人 步卒七十二 分而爲三隊하여 一爲左角하고 一爲右角하고 一爲前拒하여 共七十五人이니 此一乘法也
千乘萬乘 皆如此니이다
臣按曹公新書云 攻車七十五人 前拒一隊 左右角二隊 守車一隊 炊子十人이요
守裝五人이요 廄養五人이요 樵汲五人하여 共二十五人이니
攻守二乘이면 凡百人이라
興兵十萬이면 하니 此大率荀吳之舊法也니이다
原注
臣按曹公新書 有云 攻車一乘 甲士三人이요 步卒七十二人하여 前拒一隊 二十四人이요
左右角二隊 四十八人이며 守車一兩 用卒一隊하여 內執炊爨者十人이요
看守衣裝者五人이요 廐養牛馬者五人이요 樵薪汲水者五人이라 共該二十五人이니
攻守二乘 共用百人이라
攻車 卽戰車 守車 卽輜車 凡興師十萬이면 用車輕重二千乘하니 此大率荀吳之舊法也니이다
按舊本云 輕車二千이라하여 與上文不同하고 一本 作輕重二千하니 謂輕車一千 重車一千이니 與上文合일새 今從之하노라
又觀漢魏之間軍制하면 五車為隊하여 一人이요 十車為師하여 長一人하여 凡車千乘이면 將吏二人이니 倣此하니이다
原注
又觀兩漢曹魏之間 軍之制度하면 以五車爲一隊하여 僕射一人領之하고 十車爲一師하여 率長一人領之하여 凡車一千乘이면 將吏用二人統制之하니 謂一正一副也
已上 千乘이니 三千乘至萬乘 皆倣此例니이다
臣以今法參用之하면 則跳盪 騎兵也 戰鋒隊 步騎相半也 駐隊 兼車乘而出也니이다
原注
臣以今日唐朝法制 相參而用之하면 則跳盪者 騎兵也 戰鋒隊者 步與騎相半이요 駐隊者 兼車乘而出也니이다
跳盪, 戰鋒, 駐隊 皆隊伍名也
臣西討突厥할새 越險數千里호되 此制未嘗敢易하니 蓋古法節制 信可重也니이다
原注
臣西討突厥時 過越險阻之地數千里로되 此制 未嘗敢改易하니 蓋古法節制之兵이라 信可重也니이다
太宗幸靈州回하여 召靖賜坐하고
曰 朕命道宗及阿史那社爾等하여 한대 而鐵勒諸部 乞置漢官이어늘 朕皆從其請이라
延陀西走하니 恐為後患故 遣李勣討之러니 今北荒悉平이라
이나 諸部番漢雜處하니 以何道經久하여 使得兩全安之
原注
太宗車駕 幸靈州回하여 召李靖하여 賜之坐하고
問曰 朕命 及阿史那社爾等하여 征討番將薛延陀한대 而鐵勒諸部 乞置漢官하고 [願爲內屬이어늘] 朕皆從其所請이라
薛延陀[勢孤]西走하니 朕恐爲後患故 又遣李勣往討之러니 今北荒悉平定이라
이나 諸部番兵 與漢人相雜而處하니 今以何術 能經久하여 使得番漢兩全安之
靈州 在北地郡하니 其地在河之洲하여 隨水高下하여 未嘗淪沒이라 故號靈州
阿史那社爾 處羅可汗之子 阿史那 突厥三字姓이요 社爾 其名也
年十一 以知略聞한대 處羅以爲柘設하여 建牙於磧北이러니 後擊延陀而敗
貞觀十年 率衆來降이어늘 以爲左驍騎大將軍하고 尙公主하여 典屯兵하니라
薛延陀 匈奴之別種也 拔延陀部而有之 號薛延陀姓이라
一說 其先 與薛雜居磧北이라
鐵勒諸部 皆匈奴遺種也
鐵勒有九姓하니 曰 藥羅葛이요 曰 胡咄葛이요 曰 堀羅匀이요 曰 貊歌息紇이요 曰 阿勿嘀이요 曰 葛薛이요 曰 斛唱素 曰 葉勿葛이요 曰 奚邪忽이라
貞觀十年秋八月 太宗幸靈州할새 遣李世勣하여 擊薛延陀降之하니라
靖曰
陛下勅自突厥하여 至回紇部落 凡置驛六十六處하여 以通斥候하시니 斯已得策矣니이다
이나 臣愚 以謂 漢戍 宜自為一法하고 番落 宜自為一法하여 教習各異하여 勿使混同이라가 或遇寇至어든 則密勅主將하여 臨時變號易服하여 出奇擊之니이다
原注
靖答曰
陛下勅自突厥 至回紇部落 設置驛舍六十六處하여 以通斥候之人하시니 此已得策矣니이다
然如此 臣以謂漢之戍卒 宜自爲一法하여 練習之하고 番之部落 宜自爲一法하여 練習之하여 敎習之法各異하고 勿使混同하여 無番漢之分이니이다
或遇寇暴卒至어든 則密勅主將하여 臨時變號易服하여 出奇擊之라하노이다
回紇 其先匈奴也
姓藥羅葛氏 居薛延陀北, 娑陵水上이라
元魏時 號高車部하고 唐初 爲勅勒諸部하여 後屬突厥이러니 會突厥亂한대 襲破之하고 遂稱可汗이라
至唐德宗時하여 改號回鶻하니 言其捷擊 猶鶻鳥之飛也
太宗貞觀二十一年 以鐵勒諸部 爲州縣하고 回紇以南 突厥以北 開一道하여 置六十八驛이라
今問對云 六十六驛 恐傳寫之誤耳
太宗曰
何道也
靖曰
此所謂多方以誤之之術也니이다
番而示之漢하고 漢而示之番하여 彼不知番漢之別이면 則莫能測我攻守之計矣리이다
善用兵者 先為不測이면 則敵乖其所之也니이다
原注
太宗曰
是何道也
靖對曰
此所謂之術也니이다
番兵而佯示之以漢하고 漢兵而佯示之以番하여 使彼不知吾番漢之別이면 則莫能測我攻守之計矣
善能用兵者 先爲不可測之形이면 則敵必乖違其所往之初心也니이다
太宗曰
正合朕意하노니 卿可密教邊將호되 只以此番漢이면 便見奇正之法矣리라
靖再拜曰
聖慮天縱하여 聞一知十하시니 臣安能極其說哉잇가
原注
太宗曰
卿言 正合朕意하니 卿可密切訓敎邊將호되 只以此番漢之兵으로 變號易服이면 便見奇正之法矣리라
謂番而示之漢 亦奇而示之正也 漢而示之番 亦正而示之奇也 番漢不可別이면 則奇正亦不可測也
靖再拜曰
聖上之慮 天縱之也하사 聞一知十하시니 臣安能盡其說哉잇가
太宗曰
諸葛亮言 有制之兵 無能之將이라도 不可敗也 無制之兵 有能之將이라도 不可勝也라하니 朕疑此談非極致之論하노라
原注
太宗曰
諸葛亮嘗言 有節制之兵 雖無能之將御之라도 亦不可敗也
無節制之兵 雖有能之將御之라도 亦不可勝也라하니
朕疑此說非極致之論하노라
靖曰
武侯有所激云耳니이다
臣按孫子 有曰 教不明하고 吏卒無常하여 陳兵縱橫曰亂이라하니 自古亂軍引勝 不可勝紀니이다
原注
靖答曰
諸葛武侯有所激言耳니이다
臣按孫子 有曰 敎習之道不明白하고 吏卒又無常守之職하며 陳設兵衆 或縱或橫而不齊整 名之曰亂이라하니
自古 自亂其軍하여 引人之勝者 不可盡言其多也니이다
夫教不明者 言教閱無古法也 吏卒無常者 言將臣權任 無久職也 亂軍引勝者 言己自潰散이요 非敵勝之也니이다
是以 武侯言兵卒有制 雖庸將이라도 未敗 若兵卒自亂이면 雖賢將이라도 危之라하니 又何疑焉이리잇고
原注
夫敎(道)[習]不明者 言敎閱之時 無古法也 吏卒無常者 言將臣權任 無恒久之職也 亂軍引勝者 言己軍內自潰敗 非人勝之也니이다
如苻堅伐晉 至淝水하여 兵自潰敗 非謝玄勝之也
是以 武侯嘗言 兵卒有節이면 雖遇庸將領之라도 未至於敗 若兵卒內自潰亂이면 雖賢將領之라도 亦危也라하니 此說 又何疑焉이릿고
甚言兵之不可不敎練以古法也
原注
○愚謂 兵卒有制 是言平日敎練之熟也
將雖愚庸이나 猶未至於敗 平日士卒未嘗敎練이면 雖遇賢將이라도 亦無如之何也라하니
此說 似未允當이라
且如하니 當時漢兵 嘗敎練하니 若非韓信이면 豈能勝乎
有國者 兵不可不練이요 而將亦不可以不擇也니라
太宗曰
教閱之法 信不可忽이로다
靖曰
教得其道 則士樂為用하고 教不得法이면 雖朝督暮責이라도 無益於事矣리이다
臣所以區區古制하여 皆纂以圖者 庶乎成有制之兵也니이다
太宗曰
卿為我하여 擇古陣法하여 悉圖以上하라
原注
太宗曰
敎閱之法 信不可輕忽이로다
靖答曰
敎練得其道 則士衆爲我用이요 敎練不得其法이면 雖朝督而暮責이라도 亦無益於事矣리이다
臣所以將區區古制하여 皆纂集以爲圖者 庶幾敎練士卒하여 成有制之兵也니이다
太宗曰
卿爲我하여 選擇古來陳法하여 盡圖以上하라
太宗曰
番兵 唯勁馬奔衝하니 此奇兵歟
漢兵 為弩하니 此正兵歟
原注
太宗問曰
番兵 唯用勁馬하여 奔衝敵陳하니 此亦奇兵歟
漢兵 唯以強弩 掎角敵人하니 此亦正兵歟
謂牽其足이요 謂置其首
靖曰
按孫子云 善用兵者 求之於勢하고 不責於人이라
能擇人而任勢라하니 夫所謂擇人者 各隨番漢所長而戰也니이다
番長於馬하니 馬利乎速鬪 漢長於弩하니 弩利乎緩戰이니 此自然各任其勢也니이다
이나 非奇正所分이니이다
臣前曾述番漢必變號易服者 奇正相生之法也 馬亦有正하고 弩亦有奇하니
何常之有哉잇가
原注
靖答曰
按孫子 有云 善能用兵者 求之於兵勢之可勝하고 不責於不能之人이라
夫所謂擇人者 各隨番兵漢兵所長而使之戰也
番兵 長於馬하니 馬則利於速闘 漢兵 長於弩하니 弩則利於緩戰이니 此番漢自然各任其勢也니이다
이나 非奇正之所分이라
臣前曾述番兵漢兵 必變號易服하여 番而示之漢하고 漢而示之番者 乃奇正相生之法度也니이다
馬亦有正하니 不可全謂之奇 弩亦有奇하니 不可全謂之正이니
何一定不易之有哉잇가
常者 一定不改易之謂也
太宗曰
更細言其術하라
靖曰
先形之하여 使敵從之 是其術也니이다
原注
太宗又曰
卿更仔細言其術하라
靖答曰
하여 使敵從之 此其術也니이다
謂番兵 變號易服하여 示以漢兵之形이면 敵謂我眞漢兵也라하여 必以與漢兵戰闘之法從我하리니 我却以番兵之法으로 出奇勝之하며
漢兵 變號易服하여 示以番兵之形이면 敵謂我眞番兵也라하여 必以與番兵戰闘之法從我하리니 我却以漢兵之法으로 出奇勝之
太宗曰
契丹奚皆內屬이어늘 置松漠饒樂二都督하여 統於安北都護하고 朕用薛萬徹하니 如何
原注
太宗云
近日部落 皆內附어늘 置松漠饒樂二都督하여 使統制於하고 朕用薛萬徹하니 其職可否如何
奚, 契丹 在貞觀二十二年이라
松漠, 饒樂 皆地名이요 都督 官名이며 安北亦地名이요 都護 府名也
契丹, 奚 北狄二國名이라
契丹 在白之南하니 奚與白霫 地相連也
又云 契丹 本東胡種이니 居於西樓하여 在潢水之南, 黃龍之北하여 得鮮卑故地라하고 或以爲鮮卑遺種이니하여 自號契丹이라
其地有二水하니 一曰 土河 一曰 潢河 至木葉山하여 合流爲一이라
相傳호되 初有男子乘白馬하여 浮土河而下한대
一婦人乘小車하여河而下하여 遇於木葉山하고 顧合流之水하여 遂爲夫婦하니 此其始祖也
靖曰
萬徹 不如阿史那社爾及執失思力, 契苾何力이니 此皆番臣之知兵者也니이다
與之言松漠饒樂 山川道路 番情逆順하고 遠至於西域部落十數種이러니 歷歷可信하니이다
臣教之以陣法이면 無不點頭服義하오니
望陛下任之勿疑하소서
若萬徹則勇而無謀하니 難以獨任이니이다
原注
靖答曰
薛萬徹 爲人 不如阿史那社爾及執失思力, 契苾何力이니 此三人 皆番臣能知兵者也
臣曾與之言松漠饒樂境內 山川形勢 道路遠邇 及番人逆順之情하고 遠至於西域部落十數種이러니 歷歷皆可聽信이니이다
臣嘗敎之以陳法이러니 無不點頭服義하니
言曉其法也
望陛下任用之하여 勿疑惑也니이다
若薛萬徹者 有勇而無謀略하여 難以獨任其人이니이다
阿史那社爾 說見前하니라
執失思力 利可汗臣也 執失 虜覆姓이요 思力 其名也
契苾 本突厥部落이니 在烏耆西北이러니 其後 因以爲氏하니라
何力 其名也
太宗笑曰
番人皆為卿役使하니
古人云 以蠻夷攻蠻夷 中國之勢也라하니 卿得之矣로다
原注
太宗笑曰
番人 亦皆爲卿所役使
古人云 以蠻夷而攻蠻夷 乃中國之勢也라하니 卿得其道矣로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고려高麗(高句麗)가 자주 신라新羅를 침략하기에 이 사신을 보내어 타일렀으나, 조명詔命을 받들지 않으므로 장차 토벌하려 하니, 어찌해야 하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고려高麗가 자주 신라新羅를 침략하여 소란을 일으키기에 이 사신을 보내어 타일렀으나, 조명詔命을 받들려 하지 않으므로 이 장차 군대를 일으켜 토벌하려 하니, 그 계책을 어찌해야 하는가?”
고려高麗신라新羅는 모두 동이東夷의 나라 이름이다.
신라新羅는 그 선대가 진한陳韓(辰韓)의 후예이니, 고려高麗의 동남쪽에 있었다.
이때 신라新羅나라에 귀부歸附하였으나, 고려高麗개소문蓋蘇文군주君主시해弑害하고 토벌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교화敎化에 복종하지 않은 것이다.
’이란 ‘나’이니 태종太宗이 자칭한 것이다.
고구려高句驪는 〈시조始祖의〉 주몽朱蒙이고 평양平壤에 도읍하였으니, 옛 조선朝鮮이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탐문해보건대, 개소문蓋蘇文이 스스로 병법兵法을 안다고 믿고 중국中國이 토벌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을 어기는 것이 분명하니, 은 청컨대 3만 명의 군대로 그를 사로잡겠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은 자가 약사藥師이니, 경조京兆 삼원三原 사람으로 위국공衛國公에 봉해졌다.
이정李靖태종太宗에게 대답하였다.
이 탐문해보건대, 고려高麗개소문蓋蘇文이 스스로 병법兵法을 안다고 믿고 중국中國이 거리가 멀어서 토벌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조명詔命을 어기고 항거하는 것이 분명하니, 은 청컨대 3만 명의 병력으로 그를 사로잡겠습니다.”
개소문蓋蘇文고려高麗동부대인東部大人천개소문泉蓋蘇文이니, 정관貞觀 16년(642)에 그 왕인 건무建武를 시해하고 왕의 아우의 아들인 을 왕으로 세우고 스스로 막리지莫離支가 되었는데, 그 관직은 중국의 이부상서吏部尙書와 같다.
소문蘇文은 또 개금蓋金이라고 이름하였으니, 스스로 물속에서 태어났다고 말하여 사람들을 미혹하게 했으므로, 천씨泉氏라 하였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병력이 적고 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으니, 무슨 방법으로 대응하려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3만의 병력은 매우 적고 지역은 수천 리나 멀리 떨어져 있으니, 이 무슨 방법으로 대응하려는가?”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정병正兵을 사용하겠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정병正兵을 사용하여 대응하겠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돌궐突厥을 평정할 때에는 기병奇兵을 사용하였는데, 지금 정병正兵을 말함은 어째서인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돌궐突厥을 평정할 때에는 기병奇兵을 사용하여 승리하였는데, 지금 고려高麗를 정벌함에는 도리어 정병正兵을 쓰겠다고 말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돌궐突厥은 본래 서방의 작은 나라로 아사나씨阿史那氏이니 대대로 금산金山의 남쪽에 거주하였다.
나라에서는 훈육獯鬻이라 하였고, 나라에서는 귀방鬼方이라 하였고, 나라에서는 험윤玁狁이라 하였고, 나라에서는 흉노匈奴라 하였고, 나라에서는 돌궐突厥이라 하였다.
쇠를 잘 다뤘는데 금산金山의 형상이 투구 모양처럼 생겼는바, 민간에서 ‘투구[兜䥐]’를 ‘돌궐突厥’이라고 불렀으므로, 이를 국호로 삼은 것이다.
정관貞觀 3년(629)에 태종太宗이정李靖정양도총관定襄道總管으로 삼아 여러 군대를 거느리고 돌궐突厥을 토벌하게 하였는데, 4년 봄 2월에 돌궐突厥음산陰山에서 습격하여 격파하니, 힐리가한頡利可汗이 도망하였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제갈량諸葛亮맹획孟獲을 일곱 번 사로잡은 것은 다른 방도가 없었고, 정병正兵일 뿐이었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옛날에 제갈량諸葛亮남만南蠻에 들어가서 맹획孟獲을 일곱 번 풀어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았을 적에 다른 방도가 없었고, 다만 정병正兵을 사용했을 뿐입니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제갈공명諸葛孔明정병正兵을 어떻게 사용하여 맹획孟獲을 일곱 번 사로잡았는가?
그가 어복포魚腹浦의 평평한 백사장 위에 돌을 쌓아 문양을 만든 것을 보면 (세로)과 (가로)이 모두 여덟이었는데, 나라 환온桓溫이 이것을 보고 말하기를 ‘상산常山에 있는 뱀의 형세이다.’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구군九軍진법陣法이다.
이른바 ‘네 귀퉁이가 서로 연결되고 곡절曲折이 서로 마주하여 네 머리와 여덟 꼬리가 닿는 곳이 머리가 되어서 적이 그 중간을 충돌하면 양 머리에서 모두 구원한다.’는 것이니, 맹획孟獲이 어찌 이 방법을 알았겠는가.
이 때문에 제갈량諸葛亮이 일곱 번 풀어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은 것이다.
제갈량諸葛亮공명孔明이며 제갈諸葛복성複姓이니 낭야琅琊 양도陽都 사람이다.
선주先主(劉備)가 왕림하여 삼고초려三顧草廬한 뒤에 군사軍師장군將軍이 되었다.
선주先主가 별세하자, 후주後主(劉禪)를 섬겨 승상이 되었는데, 건흥建興 3년(225)에 병력을 거느리고 남만南蠻을 정벌하여 평정하였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나라 마륭馬隆양주涼州를 토벌할 적에도 이 팔진도八陣圖에 의하여 편상거偏箱車를 만들어서, 넓은 지역에서는 녹각거鹿角車의 진영을 사용하고 길이 좁으면 나무로 만든 지붕을 수레 위에 설치하여 싸우면서 전진하였으니, 참으로 정병正兵고인古人들이 소중히 여긴 바이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나라 태시泰始 연간(265〜274)에 마륭馬隆양주涼州수기능樹機能 등을 토벌할 적에도 팔진도八陣圖를 따라 편상거偏箱車를 만들어서, 만약 지형이 넓고 평평하면 녹각거鹿角車를 사용하여 진영을 만들고 도로가 협소하면 나무로 된 지붕을 만들어서 수레 위에 설치하여 싸우면서 전진하였으니, 참으로 정병正兵고인古人이 소중하게 여긴 바이다.”
마륭馬隆효흥孝興이니, 동평東平 평륙平陸 사람이다.
그의 재주가 뛰어나 장수가 될 만하다고 연주兗州에서 천거하였는데, 사마독司馬督으로 승진하여 절월節鉞을 받고 선위장군宣威將軍이 되었다가, 양주涼州를 평정한 뒤에 평로장군平虜將軍서평태수西平太守가 되었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돌궐突厥을 토벌할 적에 서쪽으로 수천 리를 행군하였으니, 만약 정병正兵이 아니면 어찌 먼 곳에 갈 수 있었겠습니까.
편상거偏箱車녹각거鹿角車는 군대의 큰 요점입니다.
한편으로는 힘을 다스리고 한편으로는 앞에서 막고 한편으로는 군대를 단속하여 세 가지를 번갈아 사용하였으니, 마륭馬隆이 옛 병법兵法을 체득한 것이 이처럼 깊었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또다시 대답하였다.
돌궐突厥을 토벌할 적에 서쪽으로 수천 리를 행군하였으니, 만약 정병正兵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어찌 이와 같이 먼 곳까지 갈 수 있었겠습니까.
편상거偏箱車녹각거鹿角車의 두 가지는 용병하는 큰 요점입니다.
한편으로는 이것을 사용하여 힘을 다스리고 한편으로는 이것을 사용하여 앞에서 막고 한편으로는 이것을 사용하여 부대를 단속해서 세 가지를 번갈아 사용하였으니, 마륭馬隆이 옛사람의 병법을 체득함이 이처럼 깊었습니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병법에는 기병奇兵이 있고 정병正兵이 있는데, 지금 이정李靖이 다만 정병正兵을 사용하고 기병奇兵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군대를 운용하는 방법은 오직 먼저 정병正兵이 있을 뿐이요, 기병奇兵에 이르러서는 을 마주 대하여 변화시켜 만드는 것이니, 이정李靖기병奇兵을 쓰지 않은 것이 아니다.
다만 서쪽으로 수천 리를 행군할 적에 정병正兵을 사용하였으니, 이렇게 하면 부대에 통제가 있어서 나아가고 멈춤이 편안하고 침착하였던 것이다.
편상거偏箱車녹각거鹿角車의 진영은 밖을 막고 안을 호위하여 반드시 실수하는 바가 없을 것이요, 또 팔진八陣에도 기병奇兵이 있었으니, 만약 적과 만나 전진도 후퇴도 할 수 없을 때에 기병奇兵을 출동시키지 않으면 또한 어떻게 승리를 취하겠는가.
그러므로 병법에 이르기를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정병正兵을 쓰지 않음이 없고 기병奇兵을 쓰지 않음이 없다.” 하였으니, 후세의 장수들은 정병正兵을 쓰는 데에 집착하여 기병奇兵을 쓰지 않아서는 안 될 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송노생宋老生을 격파할 적에 처음 교전交戰에 우리 의병義兵이 다소 퇴각하였는데, 이 직접 철기鐵騎를 이끌고 남쪽 언덕에서 달려 내려가 으로 충돌하자, 송노생宋老生의 군대가 뒤가 끊겨서 크게 궤멸하였다.
이에 그를 사로잡았으니, 이것은 정병正兵인가?
기병奇兵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송노생宋老生곽읍霍邑에서 격파할 적에 처음 교전交戰하여 칼날이 교차하자마자 우리 의병義兵이 조금 퇴각하였는데, 이 직접 철기鐵騎를 이용하여 남쪽 언덕에서 달려 내려가 적의 진영을 으로 충돌하였다.
이에 송노생宋老生의 군대가 후미가 끊겨서 크게 궤멸潰滅되어, 마침내 송노생宋老生을 사로잡았으니, 이것은 정병正兵이 되는가?
기병奇兵이 되는가?”
양제煬帝 13년(617)에 당공唐公 이연李淵곽읍霍邑에 이르니, 대왕代王 양유楊侑낭장郎將송노생宋老生 등을 보내어 막았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폐하陛下는 하늘이 내신 성무聖武이니, 배워서 능하신 분이 아닙니다.
이 살펴보건대, 병법兵法황제黃帝 이래로 정병正兵을 먼저 하고 기병奇兵을 뒤에 하였으며, 인의仁義를 먼저 하고 임기응변과 속임수를 뒤에 하였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폐하陛下는 하늘이 내신 성무聖武의 자질이시니, 배워서 능한 분이 아닙니다.
이 살펴보건대, 병법兵法헌원軒轅 황제黃帝제후諸侯 중에 황제를 참칭한 자들을 정벌하기 위해 처음 군대를 사용한 이후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반드시 먼저 정병正兵을 사용하고 기병奇兵을 뒤에 사용하였으며 반드시 먼저 인의仁義로써 다스린 뒤에 임기응변과 속임수를 썼습니다.”
原注
○내가 살펴보건대, (權道)이라는 것은 한때에 사용하는 것인바, 저울질하여(時勢를 참작하여) 을 얻으면 바로 인의仁義이니, 인의仁義가 어찌 바르지 않은 것이 있겠는가.
은 ‘거짓으로 속임’을 이르니, 예컨대 ‘ 문공文公이 속이고 바르지 않다.’는 것이다.
상고시대에 스러운 황제皇帝와 현명한 이 오로지 인의仁義를 사용하였으니, 인의仁義는 천하를 다스리는 떳떳한 법이다.
이른바 ‘옛날에는 을 근본으로 삼고 로써 다스렸으니, 이를 이라 한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으로 뜻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으로 구제하였으므로 성인聖人에 대처하는 방도가 되었다.
그런데 지금 이정李靖이 ‘’과 ‘’을 함께 말하였으니, 이는 병가兵家권모權謀와 속이는 방법이요, 삼대三代 성인聖人권도權道가 아니다.
곽읍霍邑의 전투에 군대가 대의大義로 출동한 것은 정병正兵이요, 건성建成이 말에서 떨어지자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한 것은 기병奇兵이었습니다.”
原注
“또 곽읍霍邑에서 송노생宋老生과 싸울 적에 우리 군대가 대의大義로 출동한 것은 병법兵法정병正兵에 맞고, 건성建成이 말에서 떨어지자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한 것은 병법兵法기병奇兵에 맞는 것입니다.”
건성建成신요神堯 고조高祖태자太子인데 뒤에 태종太宗에게 살해되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그때 조금 퇴각하여 거의 대사大事를 망칠 뻔하였는데, 어찌하여 기병奇兵이라고 말하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그때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하여 거의 우리의 대사大事를 망칠 뻔하였는데, 어찌하여 기병奇兵이라고 말하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무릇 군대는 앞으로 향하는 것을 정병正兵이라 하고, 뒤로 퇴각하는 것을 기병奇兵이라 합니다.
우군右軍이 퇴각하지 않았으면 송노생宋老生이 어찌 싸우러 왔겠습니까.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적에게 이익을 보여주어 유인하고 적이 혼란한 틈을 타서 취한다.’ 하였으니, 송노생宋老生이 병법을 알지 못하면서 용맹을 믿고 급히 전진하였다가 뜻밖에 뒤가 끊겨서 폐하陛下에게 사로잡혔으니, 이것이 이른바 ‘으로 삼았다.’는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무릇 군대는 앞으로 향하는 것을 정병正兵이라 하고, 뒤로 퇴각하는 것을 기병奇兵이라고 합니다.
우군右軍이 당초에 조금 퇴각하지 않았으면 송노생宋老生의 군대를 어찌 유인하여 쳐들어오게 했겠습니까.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이익으로 유인하여 적을 오게 하고, 적이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취한다.’ 하였으니,
송노생宋老生이 본래 병법兵法을 알지 못하면서 자신의 용맹을 믿고 급히 전진하다가 폐하陛下철기병鐵騎兵이 남쪽 언덕에서 달려 내려와 측면에서 그의 진영으로 돌진해 올 것을 헤아리지 못하여, 마침내 군대의 후미가 끊겨서 폐하陛下에게 사로잡혔으니,
이것이 이른바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삼았다.’는 것입니다.”
옛날 춘추시대春秋時代나라가 나라와 싸울 적에 서신胥臣이 군대를 이끌고 두 나라의 군대를 범하였으니, 이는 바로 앞을 향하여 정병正兵으로 삼은 것이다.
호모狐毛가 두 깃발을 설치하고서 후퇴하고 난지欒枝가 병사들로 하여금 수레로 나뭇단을 끌면서 거짓으로 도망하도록 하였으니, 이는 바로 뒤로 퇴각하여 기병奇兵으로 삼은 것이다.
나라 군대가 달려오자, 원진原軫극진郤溱중군中軍공족公族으로 초군楚軍을 가로질러 공격하였고, 호모狐毛호언狐偃상군上軍을 이끌고 나라 장수 자서子西를 협공하여 나라 군대를 크게 패퇴시켰다.
이는 곽읍霍邑의 전투와 같으니, 모두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삼은 것이다.
다만, 호모狐毛난지欒枝기병奇兵을 설치해서 나라 군대가 오도록 유인하여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하였고, 건성建成은 말에서 떨어져 우연히 기병奇兵을 출동하는 방도方道에 합치되었을 뿐이니, 만일 그때 하늘이 내려준 태종太宗이 아니었더라면 어찌 송노생宋老生에게 패전하지 않았겠는가.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곽거병霍去病이 은연중 손자孫子오자吳子와 부합했다고 하였는데, 참으로 이러한 경우가 있는가 보다.
우군右軍이 퇴각할 적에 고조高祖께서 얼굴이 흙빛이 되셨는데, 이 분발하여 공격해서 도리어 우리의 이익이 되어 손자孫子오자吳子와 은연중 부합하였으니, 은 실로 이치를 아는 말을 하는구나.”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무제武帝 때에 곽거병霍去病이 장수가 되어서 은연중 손자孫子오자吳子와 서로 부합했다고 하였는데, 진실로 이러한 일이 있는 것이다.
우리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할 적에 고조高祖께서 얼굴이 흙빛이 되셨는데, 철기鐵騎를 이끌고 분발하여 공격해서 도리어 우리에게 이익이 되어 은연중 손자孫子오자吳子와 부합하였으니, 은 실로 이치를 아는 말을 한다.”
이는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한 것이 손자孫子오자吳子기병奇兵을 내어 승리를 취한 법과 은연중 부합한 것이다.
무제武帝가 일찍이 곽거병霍去病에게 손자孫子오자吳子의 병법을 가르치려고 하자, 곽거병霍去病이 대답하기를 “장수는 방략方略이 어떠한가를 따질 뿐이니, 굳이 옛 병법을 배울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하였는데, 무릇 군대를 운용하여 승리할 적에는 대부분 손자孫子오자吳子의 병법과 은연중 부합하였다.
곽거병霍去病위청衛靑의 누이의 아들이니, 18세에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하여, 대장군 위청衛靑을 따라 출전해서 표요교위剽姚校尉가 되어 여러 번 공을 세우고, 뒤에 표기장군驃騎將軍이 되었다.
고조高祖나라의 신요神堯 고조高祖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무릇 군대가 퇴각하는 것을 다 기병奇兵이라고 말하는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무릇 군대가 퇴각하는 것을 모두 기병奇兵이라고 이를 수 있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군대가 퇴각할 적에 깃발이 어긋나서 가지런하지 못하고, 북소리가 크고 작아 서로 응하지 못하며, 장수가 호령을 내리는데도 병사들이 시끄럽게 떠들어서 통일되지 못하면, 이것은 참으로 패한 것이지 기병奇兵이 아닙니다.
만약 깃발이 가지런하고 북소리가 서로 응하며 호령이 한결같으면서도 군대가 무질서한 듯이 보이면, 적이 비록 후퇴하여 도망하더라도 참으로 패한 것이 아니요 반드시 기병奇兵이 있는 것입니다.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거짓으로 패주하는 자는 추격하지 말라.’ 하였고, 또 이르기를 ‘능하거든 능하지 못한 것처럼 보이라.’ 하였으니, 모두 기병奇兵을 말한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태종太宗에게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군대가 퇴각할 적에 깃발이 어긋나서 서로 가지런하지 못하고, 북소리가 크고 작아서 서로 응하지 못하며, 장수가 호령을 내리는데도 병사들이 시끄럽게 떠들어서 한결같지 못하면, 이것은 참으로 패한 것이지 이른바 기병奇兵이 아닙니다.
만약 깃발이 정돈되고 북소리가 서로 응하며 호령이 한결같은데도 군대가 무질서하여 어지러운 것처럼 보이면, 적이 비록 후퇴하더라도 참으로 패한 것이 아니요 반드시 기병奇兵의 매복이 있는 것입니다.”
예컨대, 한신韓信이 거짓으로 패주한 것과 난지欒枝가 거짓으로 도망한 것이 기병奇兵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병법兵法에 ‘거짓으로 패주하는 자는 추격하지 말라.’ 하였고, 또 이르기를 ‘장수가 본래 유능하거든, 거짓으로 능하지 못한 것처럼 보이라.’ 하였으니, 모두 기병奇兵을 말한 것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곽읍霍邑의 전투에서 우리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한 것은 천명天命일 것이다.
송노생宋老生이 사로잡힌 것은 인사人事일 것이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곽읍霍邑의 전투에서 우리 우군右軍이 조금 퇴각한 것은 천명天命에 관계될 것이다.
송노생宋老生이 사로잡힌 것은 인사人事에 관계될 것이다.”
우사右師가 우연히 조금 퇴각하여 송노생宋老生이 오도록 유도하였으니, 이것은 천명天命이 그렇게 시킨 것이요, 태종太宗철기鐵騎를 이끌고 남쪽 언덕에서 달려 내려가 측면으로 돌진하여 송노생宋老生의 군대가 궤멸되어 사로잡혔으니, 이것은 인력으로 한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만약 정병正兵을 바꾸어 기병奇兵으로 만들고 기병奇兵을 바꾸어 정병正兵으로 만들지 않는다면 어떻게 승리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기병奇兵정병正兵이 사람에게 달려있을 뿐, 변화하여 신묘神妙하게 하는 것은 하늘에 미루는 것입니다.”
이에 태종太宗이 고개를 끄덕였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전투를 함에 만약 정병正兵을 혹 바꾸어 기병奇兵으로 만들기도 하고 기병奇兵을 혹 바꾸어 정병正兵으로 만들기도 하여, 적으로 하여금 우리의 기병奇兵정병正兵의 형체를 헤아릴 수 없게 하지 않는다면, 또한 어떻게 승리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기병奇兵정병正兵의 운용이 모두 사람에게 달려있을 뿐, 변화하여 신묘神妙해서 측량할 수 없는 경지에 들어가는 것은 하늘에 미루는 것입니다.”
이에 태종太宗이 그 뜻을 충분히 알고 고개를 끄덕였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기병奇兵정병正兵은 평소에 나누는 것인가?
싸울 때에 임박하여 만드는 것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기병奇兵정병正兵은 평소에 미리 나누어두는 것인가?
아니면 싸울 때에 임하여 만드는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조공曹公(曹操)의 《신서新書》를 살펴보니 이르기를 ‘우리가 2이고 적이 1이면 한 (부대)을 으로 삼고 한 로 삼으며, 우리가 5군이고 적이 1군이면 세 으로 삼고 두 로 삼는다.’ 하였으니, 이것은 대략을 말한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신이 조공曹公의 《신서新書》를 살펴보건대, 여기에 이르기를 ‘우리가 2이고 적이 1이면 우리는 한 군대를 정병正兵으로 삼고 한 군대를 기병奇兵으로 삼으며,
우리가 5군이고 적이 1군이면 우리는 세 군대를 정병正兵으로 삼고 두 군대를 기병奇兵으로 삼는다.’ 하였으니, 이는 다만 그 대략을 말했을 뿐입니다.”
가령 우리가 1군이고 적이 2군이며, 우리가 1군이고 적이 5군이면 무슨 군대를 정병正兵으로 삼고, 무슨 군대를 기병奇兵으로 삼겠는가.
그러므로 조공曹公은 다만 의 대략을 말했을 뿐이요, 심묘深妙함을 말한 것이 아니라고 한 것이다.
오직 손무孫武가 말하기를 ‘싸우는 형세는 에 지나지 않으니, 의 변화를 이루 다할 수가 없다.
상생相生함은 끝없이 순환하는 것과 같으니, 누가 이것을 다할 수 있겠는가.’ 하였으니, 이 말이 맞습니다.
어찌 평소에 나눌 수가 있겠습니까.
原注
“오직 손무자孫武子(孫武)가 이르기를 ‘싸우는 형세는 두 가지에 지나지 않는데, 의 변화를 다할 수가 없다.
의 변화는 혹 기병奇兵이 변하여 정병正兵이 되고 혹 정병正兵이 변하여 기병奇兵이 되는 것을 이르며,
상생相生은 혹 기병奇兵으로써 정병正兵을 내고 혹 정병正兵으로써 기병奇兵을 내어 끝없이 순환하여 도는 것과 같음을 이르니, 누가 이것을 다할 수 있겠는가.’ 하였으니,
이 말이 바로 의 묘함을 제대로 표현하였습니다.
어찌 기병奇兵정병正兵이 평소에 미리 나뉠 리가 있겠습니까.”
만약 병사들이 나의 군법을 익히지 못하고, 편장偏將비장裨將이 나의 명령에 숙달하지 못하면, 반드시 두 군대를 만들어서 전투를 가르칠 적에 각각 해당하는 깃발과 북소리를 알아서 번갈아 서로 나누고 합치게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병법에 ‘나누고 합치는 것을 변화로 삼는다.’ 하였으니, 이것이 전투를 가르치는 방법입니다.
훈련이 이미 끝나서 병사들이 나의 군법을 안 뒤에는, 양떼를 모는 것처럼 하여 장수가 지시하는 바를 따르게 할 수 있으니, 어찌 기병奇兵정병正兵의 분별을 나누겠습니까.
原注
“만약 병사들이 일찍이 나(장수)의 군법을 익히지 못하고, 편장偏將비장裨將이 일찍이 나의 호령에 익숙하지 못하면, 반드시 두 군대를 만들어서 전투를 가르칠 적에 각각 본대本隊의 깃발과 북소리를 알아서 번갈아 나누고 합치게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병법에 이르기를 ‘나누고 합치는 것으로 변화를 삼는다.’ 하였으니, 나누었다가 합치고 합쳤다가 나누어서 번갈아 변화함을 말한 것이니, 이것이 바로 전투를 가르치는 방법입니다.
훈련이 이미 끝나서 병사들이 모두 나의 군법을 안 뒤에는 양떼를 모는 것처럼 하여, 가고 오는 것을 장수가 지시하는 바에 따르게 하여야 하니, 어찌 기병奇兵정병正兵의 분별을 나누겠습니까.”
손무孫武가 말한 ‘적에게 형세(형체)를 드러내어 보이되 우리는 실제로 형체가 없게 한다.’는 것이 바로 기병奇兵정병正兵의 극치입니다.
이 때문에 평소 군대를 나누는 것은 병사들을 훈련시키는 것이요, 싸울 때에 임박해서 변화하는 것은 이루 다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原注
손무孫武가 말한 ‘의 형체를 적에게 보여주되, 우리는 실로 의 형체가 없다.’라는 것이 바로 의 지극한 이치입니다.
이 때문에 을 평소 나누는 것은 병사들을 훈련시키는 방법이요, 혹 기병奇兵이면서 정병正兵인 것처럼 보이고 혹 정병正兵이면서 기병奇兵인 것처럼 보여서, 싸울 때에 서로 변화하여 적으로 하여금 예측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의 다할 수 없는 방도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깊고 깊다.
조공曹公이 반드시 이것을 알았을 것이다.
다만 《신서新書》는 여러 장수들에게 가르쳐준 것일 뿐이요, 의 본래 법이 아닐 것이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의 법이 심원하다.”
심호심호深乎深乎’라고 거듭 말한 것은 의 법을 가볍게 구할 수 없음을 감탄한 것이다.
의 법이 비록 심오하더라도 조공曹公은 반드시 이것을 알았을 터인데, 다만 《신서新書》는 여러 장수들에게 가르쳐주었을 뿐이요 의 본래 법을 논한 것이 아니니, 조공曹公이 간사하게 속여서 당시 사람들로 하여금 의 묘리를 알지 못하게 한 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조공曹公이 이르기를 ‘기병奇兵이 옆에서 공격한다.’고 하였으니, 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조공曹公이 《손무자孫武子》의 ‘정병正兵으로 합하고 기병奇兵으로 승리한다.’라는 구절 아래에 ‘정병正兵은 적을 담당하고 기병奇兵은 옆에서 방비하지 않는 적을 공격한다.’라고 하였으니, 은 그 말이 어떻다고 생각하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살펴보건대, 조공曹公이 《손자孫子》에 하기를 ‘먼저 나와서 적과 교전하는 것이 정병正兵이요 뒤에 나오는 것이 기병奇兵이다.’ 하였으니, 이것은 ‘옆에서 공격한다.’는 말과는 다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일찍이 조공曹公이 《손자孫子》에 한 것을 살펴보니, 이르기를 ‘먼저 나와서 적과 교전하는 것이 정병正兵이요 뒤에서 나오는 것이 기병奇兵이다.’ 하였으니, 이는 또 ‘옆에서 공격한다.’는 말과는 다릅니다.”
어리석은 은 큰 병력을 회전會戰하는 것이 정병正兵이요, 장군이 직접 데리고 출동하는 것이 기병奇兵이라고 여기니, 어찌 먼저 나오고 뒤에 나옴과 옆에서 공격하는 것에 얽매일 것이 있겠습니까.”
原注
“어리석은 은 큰 병력이 적과 회전會戰하는 것이 정병正兵이고, 대장이 직접 데리고 출동하는 것이 기병奇兵이라 여기니, 어찌 먼저 출동한 것이 정병이고 뒤에 출동한 것이 기병이며, 옆에서 대비하지 않는 적을 공격한다는 것을 고집할 것이 있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우리의 정병正兵을 적이 보고서 기병奇兵이라고 여기게 하고, 우리의 기병奇兵을 적이 보고서 정병正兵이라고 여기게 하는 것, 이것이 이른바 ‘형체를 남에게 드러내어 보인다.’는 것이리라.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삼고 정병正兵기병奇兵으로 삼아서 변화하여 측량할 수 없는 것, 이것이 이른바 ‘형체가 없게 한다.’는 것이리라.”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말하였다.
폐하陛下신성神聖함은 옛사람보다 크게 뛰어나시니, 이 미칠 바가 아닙니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우리의 정병正兵을 적이 보고서 도리어 기병奇兵으로 의심하게 하고, 우리의 기병奇兵을 적이 보고서 도리어 정병正兵으로 의심하게 하는 것이 손자孫子가 말한 ‘형체를 남에게 드러내 보인다.’는 것이리라.
우리가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바꾸고 정병正兵기병奇兵으로 바꿔서 의 변화를 측량할 수 없게 하는 것이 손자孫子가 말한 ‘형체가 없게 한다.’는 것이리라.”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대답하였다.
폐하陛下신성神聖한 자질이 옛사람보다 크게 뛰어나시니, 이 미칠 바가 아닙니다.”
原注
○혹자가 “기병奇兵을 어떻게 정병正兵으로 바꾸고, 정병正兵을 어떻게 기병奇兵으로 바꿉니까?” 라고 묻기에 내가 대답하였다.
는 변화가 무궁무진해서 한마디 말로 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큰 병력으로 회전會戰하는 것이 본래 정병正兵이니, 나라가 나라와 싸울 적에 호모狐毛가 두 깃발을 설치하고서 후퇴하고 난지欒枝가 수레로 나뭇단을 끌며 달아난 것은, 정병正兵기병奇兵으로 바꾼 것이다.
장수가 직접 출동한 것이 본래 기병奇兵이니, 예컨대 손빈孫臏나라 지역에 들어가서 군대로 하여금 첫날에는 10만 개의 취사장을 만들게 하고, 다음날에는 5만 개를 만들게 하고, 또 다음날에는 3만 개를 만들게 하였으며, 마릉馬陵에 이르러서 1만 명을 길 좌우에 매복시켜 마침내 방연龐涓을 죽이고 나라 군대를 격파한 것은,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바꾼 것이다.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무릇 편안하면서 수고로운 것처럼 보이고, 배부르면서 굶주린 것처럼 보이는 것이 정병正兵기병奇兵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겠는가.
한신韓信이〉 거짓으로 대장군大將軍의 깃발과 북을 버리고 수상水上의 진영으로 달아난 것이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바꾼 것이 아니겠는가.
용병을 잘하는 자는 정병正兵으로도 승리하고 기병奇兵으로도 승리하여, 적으로 하여금 우리가 승리하는 형체를 알지 못하게 하니, 이렇게 하면 무궁한 변화에 능히 응할 수 있게 된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군대를 나누고 합침을 으로 삼는다는 것은, 이 어디에 있는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군대를 나누었다가 합치고 합쳤다가 나누어서 서로 번갈아 바꾸는 것은, 의 법이 어디에 있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정병正兵 아닌 것이 없고 기병奇兵 아닌 것이 없어서, 적으로 하여금 측량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정병正兵으로도 승리하고 기병奇兵으로도 승리하는 것입니다.
삼군三軍의 병사들이 다만 그 승리하는 것만 알고 그 승리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니, 변화에 따라 통달하는 자가 아니면 어찌 여기에 이르겠습니까.
나누고 합침을 내는 것은 오직 손무孫武만이 능하였고, 오기吳起 이하는 이에 미칠 수가 없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정병正兵 아닌 것이 없고 기병奇兵 아닌 것이 없어서, 적으로 하여금 측량할 수 없게 합니다.
그러므로 정병正兵을 사용하여도 승리하고 기병奇兵을 사용하여도 승리하는 것입니다.
우리 삼군三軍의 병사들이 다만 적군을 격파하고 적장을 죽여서 승리를 취하는 것만 알고, 그 음모와 비밀스러운 계책으로 승리하는 방도를 알지 못하니, 나누고 합침을 자유자재로 변화하여 능통한 자가 아니면 어찌 이와 같이 신묘함에 이를 수 있겠습니까.
나누고 합침을 내는 것은 오직 손무孫武 한 사람만이 할 수 있고, 오기吳起로부터 이하는 모두 미칠 수가 없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오기吳起의 방법은 어떠한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라 무후武侯오기吳起에게 피아彼我의 양군이 서로 대치하는 방법을 묻자, 오기吳起가 대답하기를
‘신분이 미천하면서 용감한 자로 하여금 앞에서 공격하게 하되, 처음 교전하여 패배하게 하고 패배하여도 벌주지 말고서 적의 진취하는 것을 살펴보아,
적이 한 번 앉고 한 번 일어나면서 패하는 우리를 추격하지 않으면 적장에게 지모가 있는 것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오기吳起의 방법은 어떠한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대략 말씀드리겠습니다.
옛날 나라 무후武侯오기吳起에게 묻기를 ‘만약 피아彼我의 두 군대가 서로 대치하고 있는데, 내가 적장의 능력 여부를 알고자 하면, 마땅히 무슨 방법을 써야 하는가?’ 하니,
오기吳起가 대답하기를 “하면서 용맹이 있는 자로 하여금 앞을 향하여 공격하게 하되, 처음 교전하여 〈되도록〉 패배하게 하고 패배하여도 벌을 주지 말고서, 적장이 전진하여 이익을 취하는 것을 살펴보아,
적의 병사들이 한 번 앉고 일어나는 데 모두 절도가 있으면서 패하여 도망하는 우리를 보아도 추격해 오지 않는다면, 적장에게 지모가 있는 것입니다.”
만약 적들이 병력을 총동원하여 패주하는 우리를 추격하는데, 행군하고 멈추는 것이 혼란스러워 질서가 없으면, 이는 적장이 재주가 없는 것이니, 의심하지 말고 공격해야 합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은, 오기吳起의 방법은 대체로 이와 같으니, 손무孫武가 말한 정병正兵으로 회전會戰하는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原注
“만약 적들이 병력을 총동원하여 패주하는 우리를 추격함에 행군하고 멈추는 것이 혼란스러워 정돈되지 못했으면 적장의 무능함을 알 수 있으니, 의심하지 말고 공격해야 합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은 생각하건대, 오기吳起의 방법은 대체로 이와 같으니, 손무孫武가 말한 정병正兵으로 합전合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의 외숙인 한금무韓擒武가 일찍이 말하기를 ‘과는 함께 《손자孫子》와 《오자吳子》를 논할 수 있다.’ 하였으니, 이 또한 기병奇兵정병正兵을 말한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한금무韓擒武가 어찌 의 극치를 알겠습니까.
다만 기병奇兵기병奇兵으로 여기고 정병正兵정병正兵으로 여길 뿐이니, 이 서로 변통해서 순환하여 무궁함을 전혀 모르는 자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말하였다.
의 외숙인 한금무韓擒武가 일찍이 말하기를 ‘과는 함께 《손자孫子》와 《오자吳子》를 논할 수 있다.’ 하였으니, 또한 을 말한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한금무韓擒武가 어찌 의 극치를 알겠습니까.
다만 기병奇兵기병奇兵으로 여기고 정병正兵정병正兵으로 여겨서, 일찍이 기병奇兵이 변하여 정병正兵이 되고 정병正兵이 변하여 기병奇兵이 되어 이 서로 변통하기를 순환하여 돌듯이 해서 무궁무진함을 알지 못하는 자입니다.”
한금무韓擒武자통子通이니, 하동河東 원현垣縣 사람이다.
일설에는 이름을 금호擒虎라 하고, 일설에는 처음 이름을 라 한다 하였다.
나라 개황開皇 9년(589)에 하약필賀若弼과 함께 병력을 거느리고 나라를 멸망시켰으니, 이정李靖은 그의 생질이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기병奇兵기병奇兵으로 여기고 정병正兵정병正兵으로 여긴다.’는 것은, 예컨대 팔진八陣사정四正으로 삼고 사기四奇로 삼으며,
육화진六花陣의 가운데에 있는 1기병奇兵으로 삼고 밖에 있는 6정병正兵으로 삼으며, 십이장병十二將兵에 8정병正兵으로 삼고 4기병奇兵으로 삼는 것과 같다.
이러한 것은 모두 옛사람이 거짓으로 그 이름을 만들었을 뿐이니, 이는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에게는 정병正兵 아님이 없고 기병奇兵 아님이 없음을 전혀 모르는 것이다.
가령 적이 와서 공격할 적에 의 네 (陣)으로 하면, 우리는 의 네 으로써 혹은 적의 앞을 놀라게 하고 혹은 적의 뒤를 습격하며, 혹은 동쪽을 충돌하고 혹은 서쪽을 공격해야 하니, 이것은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삼아서 적과 교전하는 방법이요, 정병正兵기병奇兵으로 삼아서 좌우에서 충돌하여 승리를 쟁취하는 방법이다.
이것으로 말한다면, 의 순환함이 어찌 다함이 있겠는가.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옛사람들은 적진을 만나면 기이한 계책을 내어서 적이 예상하지 못한 곳을 공격하였으니, 이 또한 서로 변화시키는 방법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고대의 전투는 대부분 작은 계책으로 계책이 없는 자를 이겼고, 조금 우월한 것으로 열등한 자를 이겼으니, 이것으로 어떻게 병법兵法을 논할 수 있겠습니까.
사현謝玄부견苻堅을 격파한 것은, 사현謝玄이 잘한 것이 아니고 부견苻堅이 잘못한 것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옛사람이 적진을 만나면 기이한 계책을 내어서 적이 예상하지 못한 곳을 공격하였으니, 이 또한 을 변화시키는 방법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전대에 장수가 된 자들이 적과 전투할 적에는, 대부분 자기의 작은 계책으로 계책이 없는 적을 이겼고 자기의 조그마한 우월함으로 열등한 적을 이겼으니, 이러한 것을 가지고 어떻게 병법兵法을 비교하여 논할 수 있겠습니까.
동진東晉 때에 사현謝玄부견苻堅비수淝水에서 격파한 것은, 사현謝玄이 잘한 것이 아니고 부견苻堅이 잘못한 것입니다.”
사현謝玄유도幼度이니, 사안謝安의 조카이다.
태종太宗이 시종하는 신하를 돌아보면서, 《진서晉書》 〈사현전謝玄傳〉을 검토하여 살펴보게 하고 말하였다.
부견苻堅의 어느 부분이 잘못된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진서晉書》 〈재기載記〉의 부견苻堅 편을 읽어보니, ‘나라의 제군諸軍이 모두 궤멸하여 패하였고, 오직 모용수慕容垂의 군대만 홀로 온전하였다.
부견苻堅이 천여 명의 기병騎兵을 거느리고 모용수慕容垂에게 달려갔는데, 모용수慕容垂의 아들 모용보慕容寶모용수慕容垂에게 부견苻堅을 죽이라고 권하였으나 결행하지 않았다.’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나라 군대가 혼란할 적에 모용수慕容垂의 군대만 온전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는 부견苻堅모용수慕容垂의 함정에 빠진 것이 분명합니다.
남의 함정에 빠지고서 적을 이기고자 하면 어렵지 않겠습니까.
그러므로 은 ‘부견苻堅의 부류가 바로 계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의 말을 듣고 좌우에 모시는 신하를 돌아보면서, 《진서晉書》 〈사현전謝玄傳〉을 검토하고 살펴보게 하고서 이정李靖에게 물었다.
부견苻堅의 어느 곳이 잘하지 못한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진서晉書》 〈재기載記〉의 부견苻堅 편을 읽어보니, 여기에 이르기를 ‘나라의 여러 군대가 모두 흩어져 궤멸하여 패주하였고, 오직 모용수慕容垂의 군대만 홀로 온전하였으니, 이때에 모용수慕容垂는 3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여 패망하지 않고 있었다.
부견苻堅은 천여 명의 기병騎兵만을 거느리고 달아나 그의 진영으로 갔는데, 모용수慕容垂의 아들 모용보慕容寶모용수慕容垂에게 부견苻堅을 죽일 것을 권하였으나 모용수慕容垂가 말하기를 「저가 진심으로 나에게 오니, 어찌 살해할 수 있겠는가.
하늘이 만약 그를 버린다면 어찌 망하지 않음을 염려하겠는가.」 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을 보면 나라 군대가 혼란할 적에 모용수慕容垂의 군대가 홀로 온전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모용수慕容垂부견苻堅에게 딴마음을 품고 군대를 출동시키지 않아서 그의 패전을 다행으로 여기고 기회를 틈타 자기 나라를 복구하고자 한 것이니, 부견苻堅모용수慕容垂의 함정에 빠진 것입니다.
자기가 남의 함정에 빠지고서 적에게 승리를 취하고자 한다면 어렵지 않겠습니까.
그러므로 말하기를 ‘부견苻堅병술兵術(兵略)이 없다.’라고 한 것입니다.”
만일 부견苻堅에게 용병술用兵術이 있어서 비수淝水를 막고서 후퇴하지 않은 채, 모용수慕容垂 등에게 명하여 군대를 나누어 좌군左軍우군右軍으로 만들어 두 곳에서 막게 하고, 한 부대는 비수淝水의 상류로 출동하여 나라 군대의 오른쪽을 습격하게 하고, 한 부대는 비수淝水의 하류로 출동하여 나라 군대의 왼쪽을 습격하게 하며, 자신은 중군中軍을 정돈하여 나라 군대의 혼란을 기다리고 있다가 곧바로 비수淝水를 건너가 압박하였더라면, 비록 한신韓信백기白起라도 버티지 못했을 터인데, 하물며 사현謝玄유뇌지劉牢之의 무리이겠는가.
나라 군대가 패하면 모용수慕容垂가 감히 반란을 할 수 있었겠는가.
모용수慕容垂는 본래 연왕燕王 모용황慕容皝의 아들이니, 처음 이름은 였는데, 뒤에 이름을 로 고쳤다.
오왕吳王에 봉해졌는데, 태후太后가정혼씨可定渾氏를 두려워하여 나라로 달아났으니, 어찌 참으로 부견苻堅에게 쓰였겠는가.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승산勝算이 많은 자는 승산勝算이 적은 자를 이긴다.’ 하였으므로, 승산勝算이 적은 자가 승산勝算이 없는 자를 이김을 알 수 있으니, 모든 일이 다 그러하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승산勝算이 많은 자가 승산勝算이 적은 자를 이긴다.’ 하였으니, 이로써 승산勝算이 적은 자가 승산勝算이 없는 자를 이길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니, 모든 일이 다 이와 같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황제黃帝병법兵法을 세상에서 전하기를 ‘악기문握奇文’이라 하고 혹은 ‘악기문握機文’이라 함은 어째서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헌원軒轅 황제黃帝가 지은 병법兵法이 있는데, 세상 사람들이 서로 전하여 ‘악기문握奇文’이라 하고 혹자는 또 ‘악기문握機文’이라 하니, 이는 어째서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기 때문에 혹 전하여 로 쓰니, 그 뜻은 똑같습니다.
그 글을 살펴보면, ‘4가 이 되고 4가 가 되고 남은 것이 악기握機가 된다.’ 하였으며, 는 남은 수이니, 이 을 따라 로 쓴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이 자이기 때문에 혹자가 잘못 전하여 자로 쓴 것이니, 그 뜻은 똑같습니다.
그 글의 내용을 살펴보면, ‘4는 이 된다.’ 하였으니 의 4을 이르고, ‘4는 가 된다.’ 하였으니 의 4을 이르며,
‘나머지 남은 군대를 대장이 장악하여 중군中軍으로 삼으므로 악기握機라 한다.’ 하였으니, 는 남는 군대를 이르는바, 을 따라 자로 쓴 것입니다.”
어리석은 은 생각하건대 군대는 기모機謀 아닌 것이 없으니, 어찌 잡는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는 마땅히 남는 군대[餘奇]가 되는 것이 옳습니다.
정병正兵군주君主에게서 받은 것이고, 기병奇兵은 장수가 직접 출동시킨 것입니다.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명령이 평소에 행해져서 백성을 가르치는 자는 백성들이 복종한다.’ 하였으니, 이는 군주君主에게서 받은 것이요, 또 이르기를 ‘군대는 미리 말하지 않고 군주君主의 명령도 받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였으니, 이는 장수가 직접 출동시킨 것입니다.
原注
“어리석은 은 생각하건대 군대는 기모機謀(機智) 아닌 것이 없으니, 기모機謀를 어찌 잡아 쥔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는 마땅히 남는 군대가 되는 것이 옳습니다.
정병正兵군주君主에게서 받는다.’는 것은, 국가가 정벌할 일이 있어서 혹은 10만, 혹은 20만을 장수에게 명해서 통솔하여 출동함을 이릅니다.
이는 군주君主에게서 받은 것이 바로 정병正兵인 것입니다.
기병奇兵은 장수가 직접 낸다.’는 것은, 정예병을 선발하고 무용이 뛰어난 자를 선발하여, 혹은 적의 앞뒤를 습격하고 혹은 적의 좌우를 습격하며, 군대를 나누고 합치고 변통함을 모두 장수의 뜻에 따르는 것을 이르니, 이것이 바로 기병奇兵입니다.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명령이 평소에 행해져서 백성을 가르치는 자는 백성들이 복종한다.’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군주君主에게 받은 것이 정병正兵인 것입니다.
또 이르기를 ‘군대의 일은 먼저 말하지 않고 군주君主의 명령도 장수가 받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였으니, 이는 장수가 직접 출동시킨 것이 바로 기병奇兵인 것입니다.”
무릇 장수가 정병正兵만 있고 기병奇兵이 없으면 수비하는 장수이고, 기병奇兵만 있고 정병正兵이 없으면 싸우는 장수이니, 을 모두 얻는 것이 국가를 보필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악기握機’와 ‘악기握奇’가 본래 두 방법이 없고, 배우는 자가 겸하여 통달함에 달려있을 뿐입니다.”
原注
“무릇 장수가 된 자가 다만 정병正兵을 지킬 줄만 알고 기병奇兵이 없으면 수비하는 장수이고, 다만 기병奇兵을 쓸 줄만 알고 정병正兵이 없으면 싸우는 장수이니, 이 모두 그 법을 얻어야 국가를 보필하는 신하가 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악기握機’와 ‘악기握奇’가 본래 두 방법이 없고, 배우는 자가 겸하여 통달함에 달려있을 뿐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의 수가 아홉 가지인데 중심에 남은 곳을 대장大將이 장악하여 사면四面팔향八向이 모두 기준을 취한다.
사이에 을 용납하고 부대 사이에 부대를 용납하며, 앞을 뒤로 만들고 뒤를 앞으로 만들어서, 나아갈 적에 속히 달려감이 없고 후퇴할 적에 빨리 도망함이 없어서, 네 머리와 여덟 꼬리가 닿는 곳이 머리가 되어 적이 그 중앙을 충돌하면 양 머리가 모두 구원해서, 수가 다섯에서 시작되어 여덟에서 끝나니, 이것은 무엇을 말한 것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의 수가 아홉 가지가 있는데, 밖에는 사정四正사기四奇가 있고, 중심(중앙)에 남는 곳을 대장大將이 총괄하여, 사면四面과 여덟 방향이 모두 기준을 여기에서 취한다.
사이에 을 용납한다.’는 것은 큰 이 작은 을 포함하는 것이요, ‘부대 사이에 부대를 용납한다.’는 것은 큰 부대가 작은 부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혹은 앞을 뒤로 만들고 혹은 뒤를 앞으로 만드니, 이는 평상시에 남쪽을 향하는 것을 앞으로 삼고 북쪽을 향하는 것을 뒤로 삼으나, 만약 군대를 돌리고 진영을 바꾸면 북쪽을 향하던 군대가 앞이 되고 남쪽을 향하던 군대가 뒤가 됨을 말한 것이니, 를 말하지 않은 것은 한 가지만 들어 말한 것이다.
만약 동쪽으로 가게 되면 동쪽을 향하는 군대가 앞이 되고 서쪽을 향하는 군대가 뒤가 되며, 서쪽으로 가게 되면 서쪽을 향하는 군대가 앞이 되고 동쪽을 향하는 군대가 뒤가 되는 것이다.
오직 분수分數가 있기 때문에 나아가더라도 속히 달려감이 없고, 오직 절제가 있기 때문에 후퇴하더라도 급히 패주함이 없으니, 전진과 후퇴가 가지런하고 똑같음을 말한 것이다.
사두四頭사정四正사기四奇가 모두 머리가 될 수 있는 것이요, 팔미八尾구군九軍 가운데 적이 혹 그 하나를 공격하면 그곳이 머리가 되니, 나머지 여덟 군대가 꼬리가 되는 것이다.
‘닿는 곳이 머리가 된다.’는 것은 적이 와서 공격하는 곳이 바로 머리가 됨을 이르니, 적이 만약 그 중앙을 충돌하여 공격하면 양 머리가 모두 구원하는바, 이것은 상산常山에 있는 뱀의 형세이다.
‘수가 다섯에서 시작된다.’는 것은 다섯은 진법陣法이 되고, ‘수가 여덟에서 끝난다.’는 것은 사면四面팔군八軍이니, 이 은 무엇을 말한 것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이 돌을 가지고 종횡縱橫으로 포진布陣하여 여덟 줄을 만들었으니, 방진方陣이 바로 이 그림입니다.
이 일찍이 병사들을 가르치고 사열할 적에 반드시 이 진법을 먼저 사용하였으니, 세상에서 전하는 악기문握機文은 그 대략을 얻은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諸葛亮魚復江八陣圖諸葛亮魚復江八陣圖
제갈량諸葛亮어복포魚腹浦의 평평한 백사장 위에 돌을 종횡縱橫으로 펼쳐서 여덟 줄을 만들었으니, 황제黃帝구군방진九軍方陣이 바로 이 그림이니, 제갈량諸葛亮이 변화시켜 종횡으로 여덟 줄을 만들었을 뿐입니다.”
종횡으로 여덟 줄이라는 것은 사면四面에서 보면 모두 여덟 줄을 이루어서 여덟에 여덟을 곱하여 예순네 개의 작은 방진方陣이 됨을 이르니, 바로 이른바 사이에 을 용납하여 사두四頭, 팔미八尾가 된다는 것이다.
이 일찍이 병사들을 가르치고 사열할 적에 반드시 먼저 이 진법을 사용하였으니, 세상 사람들이 전하는 악기문握機文은 그 대략을 얻었을 뿐입니다.”
여덟 줄은 바로 64(두목)이니, 여덟에 여덟으로 줄을 삼은 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팔진八陣은 어떠한 뜻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의 여덟 은 어떤 뜻을 취하였는가?”
팔진八陣사방四方사유四維의 각각 한 인 것이다.
천진天陣으로 삼고, 지진地陣으로 삼고, 풍진風陣으로 삼고, 운진雲陣으로 삼으며, 동쪽을 용진龍陣이라 하니 바로 좌청룡左靑龍이고, 서쪽을 호진虎陣이라 하니 바로 우백호右白虎이고, 남쪽을 조진鳥陣이라 하니 바로 전주작前朱雀이고, 북쪽을 사진蛇陣이라 하니 바로 후현무後玄武이다.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전한 자가 잘못 전한 것입니다.
옛사람들이 이 진법陣法을 은밀히 숨겼기 때문에 허구로 여덟 가지 이름을 만들었을 뿐입니다.
팔진八陣은 본래 하나인데 나누어 여덟 개를 만든 것입니다.
로 말하면 의 이름에서 근본하였고, 으로 말하면 의 이름에서 근본하였고, , 대오隊伍의 분별에 근본한 것인데, 후세에 잘못 전해진 것입니다.
속여서 물상物象을 만들기로 말하면 어찌 이 여덟 가지에만 그칠 뿐이겠습니까.”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세상 사람들이 전한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옛사람들은 이 방법을 은밀히 숨겼기 때문에 허구로 의 여덟 가지 이름을 만들었을 뿐이니, 팔진八陣은 본래 한 인데 나누어 여덟 개를 만든 것입니다.
로 말하면 의 이름에서 근본하였고, (펄럭이는 깃발)의 이름에서 근본하였습니다.”
하늘에서는 높아서 능히 〈물건을〉 덮어줌을 취하였고, 땅에서는 두터워서 능히 〈만물을〉 실을 수 있음을 취하였다.
그러므로 〈를 가지고〉 의 칭호로 삼아서 장수가 된 자로 하여금 하늘과 땅의 높고 두터움을 본받게 한 것이다.
바람에서는 동작하는 을 취하였고 구름에서는 걷혔다 펼쳤다 하는 형세를 취하였으므로 의 이름으로 삼아서 장수가 된 자로 하여금 바람과 구름이 변화하는 바를 본받게 한 것이니, 두 이 바람‧구름과 유사한 것은 아니다.
대오隊伍의 분별에 근본하였습니다.”
은 뛰어오름을 취하였고, 범은 위엄 있고 용맹함을 취하였고, 새는 빠름을 취하였고, 뱀은 밖을 막고 안을 방비함을 취하였다.
이는 대오의 병사들로 하여금 또한 용과 범과 새와 뱀의 뛰어오르고 위엄이 있고 용맹이 있고 빠름과, 또 밖을 막고 안을 방비하는 것을 본받게 한 것이니, 두 진이 용과 범과 유사하고 두 진이 새와 뱀과 유사한 것은 아니다.
를 가지고 나누어 팔진八陣을 만든 것은 바로 후세의 사람들이 잘못 전한 것일 뿐입니다.
만약 속여서 물상物象을 만들었다고 하면 어찌 여덟 가지에 그칠 뿐이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수가 다섯에서 시작되어 여덟에서 끝남은 을 만든 것이 아니요 실로 옛 진법陣法이니, 은 한번 말해보라.”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의 수가 다섯에서 시작되어 여덟에서 끝남은 을 만든 것이 아니요 실로 옛날 진법陣法이니, 은 한번 나에게 이것을 자세히 말해보라.”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살펴보건대, 황제黃帝가 처음으로 구정丘井을 확립하고 하여 군대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은 네 길로 나누어서 여덟 집이 거처하게 한 것이니, 그 모습이 정자井字이고 개방開方이 아홉입니다.
이 중에 다섯은 진법陣法이 되고 넷은 공한지空閑地가 되었으니, 이것이 이른바 ‘수가 다섯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살펴보건대, 헌원軒轅 황제黃帝 때에 처음으로 구정丘井을 만들어서 여덟 집을 으로 삼고 16로 만들고 인하여 병법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한 을 나누어 네 길을 만들어서 여덟 집이 함께 거처하게 하였으니, 그 모습이 한 정자井字와 같고 개방開方은 아홉이었습니다.
전‧후‧좌‧우와 중앙의 다섯 곳으로 진법陣法을 만들고, 귀퉁이의 네 곳으로 공한지空閑地를 만들었으니, 이것이 이른바 ‘의 수가 처음 5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황제黃帝의 초기에는 인민人民이 아직 적었으므로 다만 다섯을 사용하여 으로 삼은 것이다.
그 가운데를 비워 대장이 거처하고, 그 사면을 빙 둘러 여러 부대가 연결하여 둘러싸니, 이것이 이른바 ‘여덟에서 끝난다.’는 것입니다.
原注
“중군을 비워서 대장이 거주한다는 것은, 바로 중심의 남은 곳을 대장이 장악하여 사면과 여덟 방향이 모두 기준을 취한다는 것입니다.
사면을 빙 둘러 여러 부대가 연결하여 둘러싼다는 것은, 바로 및 네 모퉁이를 통하여 팔진八陣이 되는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수가 여덟에서 끝난다.’는 것입니다.”
후대後代에 이르러는 인민이 많아지고 토지가 넓어졌기 때문에 여덟 가지를 사용하여 모두 으로 삼은 것이다.
변화시켜 적을 제압하는 것에 이르면, 어지럽고 어지러워서 혼란하게 싸우나 법이 혼란하지 않고, 뒤섞이고 뒤섞여서 형체가 둥글지만 형세가 흩어지지 않으니, 이것이 이른바 ‘흩어지면 여덟이 되고 다시 돌아오면 하나가 된다.’는 것입니다.”
原注
을 변화하여 적을 제압함에 이르면, 어지럽고 어지러워서 싸울 때에 혼란한 것처럼 보이나 그 법이 혼란하지 않고, 뒤섞이고 뒤섞여서 모습이 고리를 도는 것과 같으나 그 형세가 흩어지지 않으니,
이것이 이른바 ‘흩어져서 나뉘면 여덟 개의 작은 을 이루고 다시 합치면 하나의 큰 이 된다.’는 것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심오하도다.
황제黃帝병법兵法을 만듦이여.
후세에 비록 하늘의 지혜와 신묘한 지략이 있더라도 그 범위를 벗어날 수가 없으니, 이 뒤로는 누가 이것을 계승한 자가 있는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의 말을 듣고 말하였다.
“심오하고 원대하도다.
황제黃帝병법兵法을 만듦이여.
후세의 사람이 비록 하늘의 지혜와 신묘한 지략의 묘함이 있더라도 그 영역의 밖으로 벗어날 수가 없으니, 이 뒤로는 그 병법을 계승한 자가 누가 있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나라가 처음 일어날 적에 태공太公이 실로 그 을 닦았으니, 기도岐都에서 시작하여 정묘井畝의 제도를 세워서 융거戎車 300호분虎賁(호랑이처럼 용감한 군사) 300명으로 군제軍制를 세우고, 6와 7, 6과 7로 전투하는 방법을 가르쳐서 목야牧野에 군대를 펼쳤습니다.
태공太公은 100로 군대를 만들어서 무공武功을 이루어 4만 5,000명을 가지고 주왕紂王의 70만 군대를 이겼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나라가 처음 흥왕興旺할 적에 태공망太公望이 실로 그 을 닦았으니, 기도岐都에서 시작하여 정묘井畝의 제도를 세웠습니다.”
나라의 시조 후직后稷 땅에 봉해졌는데, 13태왕太王이 옮겨 기산岐山의 남쪽에 거주하여 주원周原의 위에 도읍을 세우니, 이것을 ‘기도岐都’라 하였다.
“15문왕文王태공망太公望을 스승으로 삼아서 융거戎車 300호분虎賁의 장사 300명을 구비해서 군대의 제도를 세우고, 6와 7, 6과 7을 넘지 아니하여, 마침내 멈추어 정제整齊(정돈)해서 싸우고 치는 방법을 가르쳐, 나라의 교외인 목야牧野에 군대를 진열하였습니다.
태공太公은 100명의 장사로써 군사들이 필전必戰의 각오를 이루게 해서 무공武功을 성취하여, 4만 5,000명을 가지고 주왕紂王의 70만 군대를 이겼습니다.”
상서尙書》의 〈소서小序〉에 “융거戎車 3호분虎賁 300명”이라 하였는데, 에 이르기를 “호분虎賁은 100의 우두머리이다.” 하였다.
그리고 《맹자孟子》 〈진심盡心 〉에 이르기를 “혁거革車가 300이고 호분虎賁이 3,000명이다.”라고 하여 두 설이 똑같지 않은바, 뒤에 자세히 분변하였다.
나라의 사마법司馬法태공太公에게서 근본한 것입니다.
태공太公이 별세하자, 나라 사람들이 그 남은 을 얻어서 환공桓公에 이르러 천하天下패자霸者가 되고 관중管仲을 등용하여 다시 태공太公병법兵法을 닦아서 이것을 ‘절제節制의 군대’라 일렀으니, 제후諸侯들이 모두 복종하였습니다.”
原注
나라 대사마大司馬태공太公에게서 근본한 것입니다.
태공太公이 이미 별세한 뒤에 아들 나라 임금이 되었기 때문에 나라 사람들이 그 남은 을 얻은 것입니다.
환공桓公에 이르러 천하天下패자霸者가 되고 관중管仲을 등용하여 정승으로 삼아서 다시 태공太公병법兵法을 닦아 이것을 ‘절제節制의 군대’라 이르니, 천하의 제후諸侯가 이로 인하여 모두 복종하였습니다.”
절제節制하면 군대가 크게 승리하지도 않고 또한 패하지도 않으니, 그 절제節制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유자儒者들은 대부분 ‘관중管仲패자霸者의 신하일 뿐이다.’라고 말하니, 이는 병법兵法이 바로 왕자王者의 제도에서 근본함을 전혀 알지 못한 것이다.
제갈량諸葛亮왕자王者를 보좌할 만한 재주가 있었는데, 스스로 관중管仲악의樂毅에 자신을 견주었으니, 이로써 관중管仲 또한 왕자王者를 보좌할 만한 인물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나라가 쇠하여 당시 이 등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라를 빌려 군대를 일으켰을 뿐이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유자儒者들은 대부분 ‘관중管仲은 바로 패자霸者의 신하일 뿐이다.’라고 말하니, 이는 병법兵法정전井田에서 시작되어 왕자王者의 제도에 근본함을 전혀 알지 못한 것이다.
촉한蜀漢제갈량諸葛亮왕자王者를 보좌할 만한 재주가 있었는데, 남양南陽에 있을 때에 자신을 관중管仲악의樂毅에 견주었으니, 이로써 관중管仲 또한 왕자王者의 보좌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나라가 쇠약하여 당시 이 임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환공桓公을 빌려서 군대를 일으켜 천하天下를 바로잡은 것이다.”
악의樂毅나라 사람이니, 악양樂羊의 후손으로 영수靈壽에 살고 있었는데, 소왕昭王이 어질다는 말을 듣고 귀의하자, 소왕昭王아경亞卿으로 삼았다.
뒤에 나라를 격파하여 공을 세우고 창국공昌國公에 봉해졌는데, 소왕昭王이 죽고 아들 혜왕惠王이 즉위하여 악의樂毅를 의심하자, 마침내 서쪽 나라로 도망하니, 나라는 악의樂毅관진觀津에 봉하고 이름을 망제군望諸君이라 하였다.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말하였다.
폐하陛下께서 신성神聖하셔서 사람을 이처럼 알아보시니, 늙은 이 비록 죽더라도 옛 현인賢人에게 부끄러움이 없습니다.
관중管仲나라를 통제한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라를 3등분하여 삼군三軍으로 만들었는데, 다섯 집을 로 만들었기 때문에 다섯 사람을 로 삼았고, 10로 만들었기 때문에 50명을 소융小戎으로 삼았고, 4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200명을 로 삼았고, 10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2,000명을 로 삼았고, 5을 1로 만들었기 때문에 1만 명을 으로 삼았습니다.
사마법司馬法》에 1는 5이고 1는 5인 뜻과도 같으니, 그 실제는 모두 태공太公의 남은 을 얻은 것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재배再拜하고 일어나 말하였다.
폐하陛下께서 신성神聖하여 사람을 알아보심이 이처럼 명철하시니, 늙은 이 비록 죽더라도 옛날 현자賢者에게 부끄러움이 없습니다.
관중管仲이 당시에 나라를 통제한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라의 백성을 3등분하여 3으로 만들었습니다.”
옛날에 대국大國은 3이고 다음 나라는 2이고 작은 나라는 1이었는데, 나라는 대국大國이기 때문에 3을 만든 것이다.
“백성은 다섯 집을 1로 만들었기 때문에 군대는 다섯 명을 1로 만들었고, 10를 1로 만들었으니 10는 50가호이므로 군대는 50명을 1소융小戎으로 만들었고, 4를 1으로 만들었으니 4는 200가호이므로 군대는 200명을 1로 만들었고, 10을 1으로 만들었으니 10은 2,000가호이므로 군대는 2,000명을 1로 만들었고, 5을 1로 만들었으니 5은 1만 가호이므로 군대는 1만 명으로 1을 만들었으니, 또한 옛사람의 《사마법司馬法》에 1를 5로 나누고 1를 5로 나눈 뜻을 따른 것이니, 그 실제는 모두 태공망太公望의 남은 을 얻은 것입니다.”
나라 제도는 25를 1로 만들고, 500를 1으로 만들고, 1만 2,500를 1으로 만들었으니, 그 군제軍制는 5명을 로 삼고 10명을 으로 삼고 100명을 로 삼고 500명을 로 삼고 1만 2,500명을 으로 삼아서, 그 수가 다를 뿐이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관중管仲증서曾西도 되려고 하지 않은 자였고, 공자孔子께서도 ‘그의 그릇이 작다.’고 하셨는데, 태종太宗이정李靖이 모두 관중管仲을 칭찬하여 ‘왕자王者의 보좌’라 한 것은 어째서인가?
관중管仲나라 왕실을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쳤으며, 제후諸侯들을 규합하여 한 번 천하를 바로잡아서 이 실로 적지 않았다.
중니仲尼께서 ‘누가 그의 만 하겠는가.’라고 두 번 말씀하여 인정하심은, 관중管仲에게 인자仁者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국량局量이 좁고 규모가 협소해서 마음을 바르게 하고 몸을 닦아 군주君主왕도王道에 이르게 하지 못하였고, 대부분 권모술수權謀術數로 아랫사람들을 통솔해서 삼귀대三歸臺를 두고 반점反坫을 두어 사치가 매우 심하였으니, 이는 공자孔子께서 그의 그릇이 작음과 를 알지 못함을 비판하신 이유이다.
가령 당시의 이 그를 신임했더라도 그 공렬功烈이 이와 같음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당李唐세대世代도학道學이 밝지 못해서 비록 태종太宗과 같이 어진 군주君主로도 인의仁義를 빌리는 데 불과하였을 뿐이니, 이정李靖의 무리가 또 어떻게 왕도王道를 알았겠는가.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사마법司馬法》을 사람들이 모두 ‘양저穰苴가 저술한 것이다.’라고 하니, 맞는가?
맞지 않는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사마법司馬法》을 세상 사람들이 모두 ‘사마양저司馬穰苴가 저술한 것이다.’라고 하니, 맞는가?
맞지 않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사기史記》 〈사마양저열전司馬穰苴列傳〉을 살펴보면 ‘ 경공景公 때에 양저穰苴용병用兵을 잘하여 나라와 나라의 군대를 패퇴시키자, 경공景公이 높여서 사마司馬의 벼슬을 시켰다.
이 때문에 사마양저司馬穰苴라 칭하였고, 자손子孫들이 사마씨司馬氏라고 불렀다.’ 하였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사기史記》 〈사마양저열전司馬穰苴列傳〉을 살펴보건대, ‘ 경공景公 때에 양저穰苴용병用兵을 잘하여 두 나라의 군대를 패퇴시키자, 경공景公양저穰苴를 높여 사마司馬 벼슬을 시키니,
이로 말미암아 사마양저司馬穰苴라 칭하였고, 그 자손子孫들이 인하여 사마씨司馬氏라고 칭하였다.’ 하였습니다.”
양저穰苴전완田完의 후손이다.
위왕威王 때에 이르러서 옛 사마법司馬法추론追論하고 또 양저穰苴가 배운 것을 기술하여 마침내 《사마양저司馬穰苴》라는 책 수십 편이 있게 되었으니, 지금 세상에 전하는 병가자兵家者이고, 또 권모權謀형세形勢음양陰陽기교技巧의 네 종류로 나누었으니, 이는 모두 《사마법司馬法》에서 나온 것입니다.”
原注
위왕威王 때에 이르러서 옛 《사마법司馬法》을 추론追論하여 이 책을 만들 적에, 또 전양저田穰苴가 배운 것을 기술하여 마침내 《사마양저司馬穰苴》라는 책이 있게 되었으니, 모두 수십 편으로 바로 지금 세상에 전하는 병가자兵家者입니다.
이 책 안에 또 나누어진 권모權謀권변權變기모機謀이고, 형세形勢피차彼此강약强弱이고, 음양陰陽천시天時하고 거슬림이고, 기교技巧는 공격과 수비의 쓰임에 대비하는 것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나라 장량張良한신韓信병법兵法을 차례로 나열한 것이 모두 182이다.
산삭刪削하고 중요한 것만 취하여 35를 저술하였는데, 지금 실전失傳된 것은 어째서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나라 장량張良한신韓信과 함께 옛 병법兵法을 차례로 나열한 것이 모두 182이다.
번잡하고 잘못된 것을 삭제하고, 간절하고 요긴하게 쓸 수 있는 것만을 취하여 35를 만들었는데, 지금 그 전함을 잃음은 어째서인가?”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를 살펴보면 “여러 여씨呂氏들이 권력을 행사하면서 도둑질하여 취하였다.” 하였으니, 그때에 이로 인하여 잃은 듯하다.
장량張良자방子房이니, 그 선조는 나라 사람이다.
고조高祖를 보좌하여 나라와 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평정하여 유후留侯에 봉해졌다.
한신韓信회음淮陰 사람이다.
고조高祖를 보좌하여 삼진三秦을 평정하고 위표魏豹를 사로잡았으며, 나라를 격파하고 나라를 점령하였으며, 항우項羽해하垓下에서 패퇴시키고 초왕楚王에 봉해졌다가 뒤에 회음후淮陰侯로 강등되었는데, 여후呂后가 궁중으로 유인하여 살해하였다.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장량張良이 배운 것은 태공太公의 《육도六韜》와 《삼략三略》이고, 한신韓信이 배운 것은 《사마양저司馬穰苴》와 《손무자孫武子》입니다.
그러나 대체大體는 3과 4에 벗어나지 않을 뿐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장량張良이 배운 것은 바로 태공太公의 《육도六韜》와 황석공黃石公의 《삼략三略》이고, 한신韓信이 배운 것은 바로 《사마양저司馬穰苴》와 《손무자孫武子》입니다.
그러나 대체大體는 3과 4에 벗어나지 않을 뿐입니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를 살펴보면 “나라 《손자孫子》가 82편이고, 《오기吳起》가 48편이다.”라고 하였는데, 지금 모두 남아있지 않다.
태종太宗이 물었다.
“무엇을 3이라 이르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살펴보니, 태공모太公謀 81편은 이른바 음모陰謀라는 것으로, 말로는 다 나타낼 수가 없습니다.
태공언太公言 71편은 병법으로는 다 알 수가 없습니다.
태공병太公兵 85편은 사람의 재주로는 다 알 수가 없습니다.
이 세 가지가 3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무엇을 3이라 이르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 살펴보니, 태공모太公謀 81편이 있는데, 이것은 이른바 음모陰謀라는 것으로, 말로는 그 뜻을 다 나타낼 수가 없습니다.
태공언太公言 71편이 있는데, 이것은 병법으로는 그 신묘함을 다 알 수가 없습니다.
태공병太公兵 85편이 있는데, 이것은 사람의 재주로는 그 방도를 다 알 수가 없습니다.
태공모太公謀태공언太公言태공병太公兵이 모두 237편이니, 이 세 가지가 이른바 ‘3’입니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육도六弢》 6편’이라 하였는데, 안사고顔師古가 ‘지금의 《육도六韜》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237편은 후인後人이 늘려서 이렇게 만든 것이리라.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무엇을 4이라 이르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나라 임굉任宏이 논한 것이 이것입니다.
무릇 병가류兵家流권모權謀가 1이 되고, 형세形勢가 1이 되고, 음양陰陽기교技巧 두 종류가 있으니, 이것이 4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 물었다.
“무엇을 4이라 이르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성제成帝임굉任宏이 논한 것이 이것이니, 무릇 병가자류兵家者流권모權謀가 1이 됩니다.”
권모權謀정병正兵으로 나라를 지키고 기병奇兵으로 군대를 운용하여, 계책을 먼저 세운 뒤에 싸워서 형세形勢를 겸하고 음양陰陽을 포괄하고 기교技巧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형세形勢가 1이 됩니다.”
형세形勢란 우레가 진동하고 바람이 일어나는 듯하여 뒤에 출발하고도 먼저 도착하고, 분산分散집합集合, 함과 등짐에 변화가 무궁해서 가볍고 빠름으로 적을 제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양陰陽기교技巧가 두 종류가 됩니다.”
음양陰陽이라는 것은 천시天時에 순응하여 발동해서 형벌刑罰을 미루어 넓히고, 북두성北斗星의 자루를 따라 공격해서 오승五勝(五行의 상극相剋)을 이용하며, 귀신의 힘을 빌려 도움으로 삼는 것이다.
기교技巧란 손과 발의 놀림을 익히고 기계(병기)를 편리하게 운용하며, 기관機關을 이롭게 하여 공격과 수비의 승리를 세우는 것이다.
“이 〈권모權謀형세形勢음양陰陽기교技巧〉를 4종이라 이릅니다.”
原注
○내가 살펴보건대,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권모權謀가 13인데, 모두 259편이다.
나라 《손자孫子》 82편, 나라 《손자孫子》 89편, 《공손앙公孫鞅》 27편, 《오기吳起》 48편, 《범려范蠡》 2편, 《대부종大夫種》 2편, 《이자李子》 10편, 《》 1편, 《병춘추兵春秋》 1편, 《방난龐煖》 3편, 《아량兒良》 1편, 《광무군廣武君》 1편, 《한신韓信》 3편이다.
형세形勢가 11인데, 모두 92편이다.
초병법楚兵法》 7편, 《치우蚩尤》 2편, 《손진孫軫》 5편, 《요서繇敍》 2편, 《왕손王孫》 16편, 《울료자尉繚子》 31편, 《위공자魏公子》 21편, 《경자景子》 13편, 《이량李良》 3편, 《정자丁子》 1편, 《항왕項王》 1편이다.
음양陰陽이 16인데, 모두 249편이다.
태일병법太一兵法》 1편, 《천일병법天一兵法》 35편, 《신농병법神農兵法》 1편, 《황제병법黃帝兵法》 16편, 《봉호封胡》 5편, 《풍후風后》 13편, 《역목力牧》 15편, 《겹야자鵊冶子》 1편, 《귀용구鬼容區》 3편, 《지전地典》 6편, 《맹자孟子》 1편, 《동부東父》 31편, 《사광師曠》 8편, 《장홍萇弘》 15편, 《별성자망군기別成子望軍氣》 6편, 《벽병위승방辟兵威勝方》 70편이다.
기교技巧가 13인데, 모두 199편이다.
포자병법鮑子兵法》 10편, 《오자서伍子胥》 10편, 《공승자公勝子》 5편, 《묘자苗子》 5편, 《봉문사법逢門射法》 2편, 《음통성사법陰通成射法》 11편, 《이장군사법李將軍射法》 3편, 《위씨사법魏氏射法》 6편, 《강노장군왕위사법强弩將軍王圍射法》 5권, 《망원연노사법구望遠連弩射法具》 15편, 《호군사사왕하사서護軍射師王賀射書》 5편, 《포저자익법蒲苴子弋法》 4편, 《검도劍道》 38편, 《수박手搏》 6편, 《잡가병법雜家兵法》 57편, 《축국蹴鞠》 25편이다.
지금은 대부분 일실逸失되어 남아있지 않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사마법司馬法》에 봄 사냥[蒐]과 겨울 사냥[狩]을 맨 앞에 놓은 것은 어째서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철을 히 따르되 으로써 요약한 것이니, 그 일을 소중히 여긴 것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사마법司馬法》에 봄에 사냥하고 겨울에 사냥하는 법을 맨 앞에 놓은 것은 어째서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천시天時에 순응하여 무예武藝를 강습하되, 으로써 요약하여 그 일을 소중히 여긴 것입니다.”
옛날에 사냥을 하여 짐승을 잡을 적에 상살上殺을 취하여 종묘宗廟에 올리고, 얼굴이 부상당하고 털이 잘린 것과 다 성장하지 않은 것은 모두 바치지 않았으니, 이것이 이른바 으로써 요약하여 그 일을 소중히 여겼다는 것이다.
주례周禮》에는 사냥을 가장 큰 정사로 삼아서 성왕成王기양岐陽의 사냥이 있었고, 강왕康王풍궁酆宮의 조회가 있었고, 목왕穆王도산塗山의 모임이 있었으니, 이것은 천자天子의 일입니다.
原注
“《주례周禮》에는 이 사냥을 국가의 가장 큰 정사로 삼아서, 성왕成王 때에는 기양岐陽의 사냥이 있었습니다.”
기양岐陽기산岐山의 남쪽이다.
봄에 사냥하는 것을 라 하는데, 는 수색한다는 뜻이니, 새끼를 배지 않은 놈을 수색하여 잡음을 이른다.
강왕康王 때에는 풍궁酆宮조회朝會가 있었습니다.”
풍읍酆邑의 궁궐이니, 문왕文王풍읍酆邑에 도읍하였는데 무왕武王호경鎬京으로 천도하였으니, 강왕康王이 사냥으로 인하여 풍읍酆邑의 궁궐에서 제후諸侯들의 조회를 받은 것이다.
목왕穆王 때에는 도산塗山의 모임이 있었습니다.”
도산塗山은 바로 임금이 제후諸侯들을 모은 곳이니, 이때 목왕穆王이 또한 사냥으로 인하여 제후諸侯들을 도산塗山에 모은 것이다.
“이는 모두 천자天子의 일입니다.”
나라가 하자, 환공桓公소릉召陵의 군대가 있었고, 문공文公천토踐土회맹會盟이 있었으니, 이는 제후諸侯천자天子의 일을 받들어 행한 것입니다.
原注
나라 왕실이 쇠약해짐에, 위엄과 호령이 행해지지 못하여 사냥하는 또한 폐해졌습니다.
환공桓公제후諸侯패자霸者가 되어 이에 소릉召陵의 군대가 있었고, 문공文公제후諸侯패자霸者가 되어 이에 천토踐土회맹會盟이 있었습니다.”
소릉召陵의 군대는 희공僖公 4년(B.C. 656)에 있었고, 천토踐土회맹會盟 희공僖公 28년(B.C. 632)에 있었다.
“이는 모두 제후諸侯천자天子의 일을 받들어 행한 것입니다.”
그 실제는 아홉 가지 정벌하는 을 사용하여 명령을 받들지 않는 자들에게 위엄을 보인 것입니다.
조회朝會를 빌리고 순수巡狩를 따르고 갑병甲兵으로 가르쳤으니, 일이 없을 때에는 군대를 함부로 동원하지 않고, 반드시 농한기에 하여 무비武備를 잊지 않음을 말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봄에 사냥하는 것과 겨울에 사냥하는 것을 맨 앞에 말하였으니, 그 뜻이 깊지 않습니까.”
原注
“그 실제는 대사마大司馬가 아홉 가지 정벌하는 을 사용하여 제후諸侯 중에 천자天子의 명령을 공경히 받들지 않는 자들에게 위엄을 보인 것입니다.
조회朝會한다는 이름을 빌리고 순수巡狩하는 예를 따르고 갑병甲兵의 일로써 가르쳤습니다.”
제후諸侯가 봄에 뵙는 것을 라 하고, 철따라 뵙는 것을 라 한다.
천자天子제후국諸侯國에 가는 것을 순수巡狩라 하니, 순수巡狩라는 것은 〈제후諸侯들이〉 지키고 있는 곳을 순행한다는 뜻이다.
갑병甲兵은 사졸들이 입고 있는 갑옷과 잡고 있는 병기이다.
“국가가 일이 없으면 군대를 함부로 동원하지 않고 반드시 농한기에 사냥하는 일을 닦았으니, 이는 무비武備를 잊지 않음을 말한 것입니다.
봄 사냥과 겨울 사냥을 맨 앞에 놓은 뜻이 심원하지 않습니까.”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춘추시대春秋時代초왕楚王이광二廣에 이르기를 ‘백관百官이 상징하는 물건(깃발)을 만들어 행동해서 군정軍政이 경계하지 않고도 갖추어졌다.’ 하였으니, 이 또한 나라 제도를 얻은 것인가?”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춘추시대春秋時代초자楚子이광二廣에 이르기를 ‘백관百官이 각자 〈직위를〉 상징하는 물건(깃발)을 만들어 〈세우고서 직위에 맞게〉 행동하였다.’라고 말하였으니, 함부로 〈군대를〉 동원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요,
군정軍政이 경계하는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도 먼저 갖추어졌다.’ 하였으니,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이 또한 나라 제도를 얻은 것인가?”
나라는 웅역熊繹의 후손이니, 미씨羋氏이고 자작子爵인데, 참람하여 을 칭하였다.
초자楚子는 바로 장왕莊王이다.
이광二廣이란 좌광左廣우광右廣의 두 부대이니, 우광右廣이 닭이 울면 병거兵車의 말에 멍에하고 점심 무렵에 멍에를 벗기는데, 좌광左廣이 이것을 받았다가 해가 지면 멍에를 벗기고, 내관內官(近臣)이 차례로 돌아가며 그날 밤을 담당하여 비상사태에 대비하였으니,
이것이 이른바 ‘백관百官이 각자 〈직위를〉 상징하는 물건을 만들어 〈세우고 직위에 맞게〉 행동해서 군정軍政이 경계하지 않고도 갖추어졌다.’는 것이다.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살펴보건대, ‘초자楚子승광乘廣 30을 사용하였으니, 에는 1이 있고 에는 2(15乘)이 있다.’ 하였는데, 군대가 행군할 적에 우군右軍은 멍에하여 멍에를 끼고 있는 것을 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므로 멍에를 끼고 싸웠으니, 이것은 모두 나라의 제도입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살펴보면, 여기에 이르기를 ‘초자楚子승광乘廣에 수레 30을 사용하였는데, 의 한 수레에 한 이 있고, 매 마다 100명을 사용한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다만 옛 제도에 15을 1으로 만드는 법입니다.”
다만 편법偏法전거戰車 1에 100명을 사용하여 에 비해 1을 더해서 를 받음이 될 뿐이다.
1은 50명이니, 의 한 수레는 의 한 수레에 비하여 50명이 많은 것이다.
“무릇 군대가 행군하는 제도는 군대의 오른쪽에 있는 자는 멍에를 끼고 전투에 대비하니, 수레의 멍에를 으로 삼기 때문에 군대가 행군할 적에 멍에를 끼고 싸우는바, 이는 모두 나라의 제도입니다.”
일설에 “의 1갑사甲士 3명과 보졸步卒 72명을 사용하고, 의 1갑사甲士 3명과 보졸步卒 147명을 사용하니,
이는 의 1병졸兵卒편승偏乘의 두 병졸兵卒을 사용하는 것이다.” 하여,
앞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있는 임요수林堯叟와 크게 다르니, 지금 두 가지를 모두 남겨두었다.
은 생각하건대, 100명을 이라 하고 50명을 이라 하니, 이는 전거戰車 1마다 병사兵士 150명을 사용하는 것이니, 나라 제도에 비하여 약간 많을 뿐입니다.
나라는 전거戰車 1보졸步卒이 72명이고 갑사甲士가 3명이니, 25명을 1으로 삼아서 모두 3이면, 총계 75명이 됩니다.
나라는 산과 늪이 많은 나라여서 수레가 적고 사람이 많으므로 나누어 세 를 만들었으니, 실제로는 나라 제도와 같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또 말하였다.
이 생각하건대, 예전에는 100명을 1로 삼고 50명을 1으로 삼았으니, 이것이 바로 나라 사람의 승광乘廣입니다.
전거戰車 1마다 병사兵士 150명을 사용해서, 나라 제도에 비하여 약간 많을 뿐입니다.
나라는 전거戰車 1보졸步卒 72명과 갑사甲士 3명을 사용하여, 25명을 1으로 삼아서 모두 3이면, 총 75명을 사용합니다.
나라는 산과 늪지가 많은 나라여서 수레가 적고 사람이 많으므로, 150명을 나누어 세 로 만들었으니, 나라 제도에 삼갑三甲으로 나눈 것과 같은 것입니다.”
살펴보건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위오蔿敖(令尹)가 되어 나라의 좋은 법전法典을 가려 써서,
군대가 행군할 적에 우군右軍은 〈주장主將의 오른쪽〉 멍에(車轅)를 호위하고 좌군左軍은 〈야영野營할 때〉 깔고 잘 풀을 구하며 전군前軍은 깃발을 들고 가면서 불의不意의 사태를 알리고 중군中軍은 작전계획을 세우고 후군後軍은 강한 군대로 〈후미를〉 지키며, 백관百官은 〈각자 직위를〉 상징하는 물건을 만들고 〈직위에 맞게〉 출동해서 군정軍政이 경계하지 않고도 갖추어졌으니, 법전法典을 잘 따른 것이다.” 하였다.
태종太宗이 물었다.
춘추시대春秋時代순오荀吳북적北狄을 공격할 적에 수레를 부수어 항렬行列을 만들었으니, 이는 정병正兵인가?
기병奇兵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순오荀吳전거戰車을 사용했을 뿐입니다.
비록 전거戰車를 버렸으나, 전투하는 이 그 안에 들어있습니다.
하나는 좌각左角이 되고 하나는 우각右角이 되고 하나는 전거前拒가 되어서 나누어 3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전차 1이니, 1천 과 1만 이 모두 그렇습니다.
原注
태종太宗이정李靖에게 물었다.
춘추시대春秋時代순오荀吳대로大鹵에서 북적北狄을 공격하였는데, 〈수레를 부수어 항렬을 만들었다.〉”
순오荀吳나라의 중항목자中行穆子이다.
‘수레를 부수어 항렬行列을 만들었다.’는 것은, 위서魏舒가 ‘북적北狄보병步兵이 많고 우리(晉나라)는 전거戰車가 많으며, 만나 싸우는 지역이 또 좁은 곳이므로, 순오荀吳에게 전차를 버리고 보병의 항렬行列로 만들 것’을 권한 것이다.
태종太宗이 물었다.
“이 방법을 정병正兵이라고 하는가?
기병奇兵이라고 하는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순오荀吳는 다만 전거戰車을 사용했을 뿐이니, 비록 전거戰車를 버리고 쓰지 않았으나, 전거戰車의 방법이 이 가운데에 들어있습니다.
전거戰車 1마다 갑사甲士 3명과 보병步兵 72명을 나누어 세 로 만들어서, 하나는 좌각左角이 되고 하나는 우각右角이 되고 하나는 전거前拒(선봉)가 되어서 모두 75명이었으니, 이는 전거戰車 1입니다.
1천 과 1만 이 다 이와 같습니다.”
살펴보건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순오荀吳전거戰車를 버리고 다섯 을 만들어 서로 붙여서 양진兩陣은 앞에 두고, 오진伍陣은 뒤에 두며, 전진專陣우각右角이 되고, 참진參陣좌각左角이 되었으며, 편진偏陣전거前拒가 되어서, 북적北狄의 군대를 대파했다.” 하였다.
조공曹公의 《신서新書》를 살펴보니, 이르기를 ‘공거攻車 75명에 전거前拒가 1이고 좌각左角우각右角이 2이며, 수거守車 1에 취사병이 10명이고,
장비를 지키는 사람이 5명이고 소와 말을 기르는 자가 5명이고 땔감을 채취하거나 물을 길어오는 자가 5명이어서 모두 25명이니,
공거攻車수거守車 2이면 모두 100명이다.
10만 명의 군대를 일으키면 중거重車 1,000경거輕車 2,000을 사용한다.’ 하였으니, 이는 대체로 순오荀吳의 옛 입니다.
原注
조공曹公의 《신서新書》를 살펴보니, 이르기를 ‘공거攻車 1갑사甲士가 1명이고 보졸步卒이 72명이어서 전거前拒 1에 24명이고
좌각左角우각右角 2에 48명이며, 수거守車 한 대에는 1을 사용하여, 안에서 밥을 짓고 음식을 만드는 자가 10명이고,
옷과 장비를 간수하는 자가 5명이고, 소와 말을 기르는 자가 5명이고, 땔감을 채취하거나 물을 길어 오는 자가 5명이어서 총 25명이니,
공거攻車수거守車 2에 함께 100명을 사용한다.
공거攻車는 바로 전거戰車이고 수거守車는 바로 치중거輜重車이니, 무릇 10만의 군대를 일으키면 경거輕車중거重車 2,000을 사용한다.’ 하였으니, 이것은 대체로 순오荀吳의 옛 입니다.”
살펴보건대, 옛 에는 ‘경거輕車가 2,000이다.’ 하여 윗글과 같지 않고, 일본一本에는 ‘경중輕重 2,000’으로 되어있으니, ‘경거輕車 1,000중거重車 1,000’을 말한 것이니, 윗글과 합치하므로 이제 이것을 따른다.
또 살펴보건대, 나라와 나라 시대의 군제軍制에는 전거戰車 다섯 대를 1로 삼아서 복야僕射가 1명이고, 전거戰車 열 대를 로 삼아서 솔장率長 1명이 있어서, 무릇 전거戰車 1,000이면 장리將吏가 두 사람인데, 전거戰車가 아무리 많아도 이와 같습니다.
原注
“또 전한前漢후한後漢, 조위曹魏 사이의 군대 제도를 살펴보면, 전거戰車 5대를 1로 만들어서 복야僕射 한 사람이 통솔하고, 전거戰車 10대를 1로 만들어서 솔장率長 한 사람이 통솔하여, 무릇 전거戰車 1,000이면 장리將吏 두 사람을 사용하여 통제하니, 1명과 1명을 말한 것입니다.
이상은 1,000의 경우이니, 3,000으로부터 1만 에 이르기까지 모두 이 예와 같습니다.”
이 지금의 법을 가지고 참고하여 사용하면, 도탕跳盪기병騎兵이고, 전봉대戰鋒隊보병步兵기병騎兵이 반반씩이고, 주대駐隊전거戰車를 겸하여 출동하는 것입니다.
原注
이 오늘날의 나라 법제를 가지고 서로 참고하여 사용해보면, 도탕跳盪기병騎兵이고, 전봉대戰鋒隊보병步兵기병騎兵이 반반씩이고, 주대駐隊전거戰車를 겸하여 출동하는 것입니다.”
도탕跳盪전봉戰鋒주대駐隊는 모두 대오(부대)의 이름이다.
이 서쪽으로 돌궐突厥을 토벌할 적에 험한 땅 수천 리를 지나갔는데, 이 제도를 감히 바꾼 적이 없었으니, 옛 절제節制여서 참으로 소중히 여길 만합니다.”
原注
이 서쪽으로 돌궐突厥을 토벌할 적에 험하고 막힌 땅 수천 리를 지나갔는데, 이 제도를 감히 바꾼 적이 없었으니, 옛 절제節制하는 군대여서 참으로 소중히 여길 만한 것입니다.”
태종太宗영주靈州에 갔다가 돌아와서 이정李靖을 불러 자리를 주어 앉게 하고 말하였다.
이도종李道宗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 등에게 명하여 설연타薛延陀를 토벌하게 하였는데, 철륵鐵勒의 여러 부족들이 중국의 관리를 배치해줄 것을 청하므로, 이 그 요청을 모두 따랐다.
설연타薛延陀가 서쪽으로 도망하니, 후환이 될까 염려되므로 이적李勣(李世勣)을 보내어 토벌하게 하였는데, 지금 북쪽 변방이 모두 평정되었다.
그러나 여러 부족의 번병番兵(이민족 출신의 병사)이 한병漢兵과 함께 뒤섞여있으니, 무슨 방도로써 오랫동안 둘 다 안전하게 할 수 있겠는가?”
原注
태종太宗대가大駕영주靈州에 행차했다가 돌아와서 이정李靖을 불러 자리를 내려주고 물었다.
강하왕江夏王 이도종李道宗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 등에게 명하여 번장番將설연타薛延陀를 토벌하게 하였는데, 철륵鐵勒의 여러 부족들이 토벌을 당하고는 두려워하여 중국에 소속되고 중국의 관리를 배치해주기를 청하므로, 이 그들의 요청을 모두 따랐다.
설연타薛延陀가 서쪽으로 도망하니, 은 후환이 될까 염려되므로 또다시 이적李勣을 보내서 토벌하게 하였는데, 지금 북쪽 변방이 모두 평정되었다.
그러나 여러 부족의 번병番兵들이 한병漢兵과 서로 뒤섞여 거처하고 있으니, 지금 무슨 방법으로써 오랫동안 번병番兵한병漢兵이 둘 다 안전하게 할 수 있겠는가?”
영주靈州북지군北地郡에 있으니, 그 땅이 화하華夏의 물가에 있는데 물을 따라 높아지고 낮아져서 침몰한 적이 없으므로 영주靈州라고 이름한 것이다.
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는 〈돌궐突厥의〉 처라가한處羅可汗의 아들이니, 아사나阿史那돌궐突厥의 세 글자 이고 사이社爾는 그의 이름이다.
나이 11세에 지략이 뛰어나다고 알려지자, 처라가한處羅可汗자설柘設로 삼아서 적북磧北아장기牙將旗를 세우게 하였는데, 뒤에 설연타薛延陀를 공격하다가 패하였다.
정관貞觀 10년(636)에 무리를 거느리고 항복해 오자, 좌효기대장군左驍騎大將軍으로 삼고 공주公主를 그에게 시집보내서 둔병屯兵을 맡게 하였다.
설연타薛延陀흉노匈奴의 별종이니, 연타부延陀部를 함락하여 소유하였으므로 설연타薛延陀라고 이름하였다.
일설에는 ‘그 선조가 적북磧北에 뒤섞여 거처했다.’ 한다.
철륵鐵勒의 여러 부족은 모두 흉노匈奴의 남은 종족이다.
철륵鐵勒은 아홉 성씨姓氏의 부족이 있으니, 약라갈藥羅葛호돌갈胡咄葛홀라물掘羅勿맥가식흘貊歌息紇아물적阿勿嘀갈설葛薛곡창소斛唱素엽물갈葉勿葛해사홀奚邪忽이다.
정관貞觀 10년 가을 8월에 태종太宗영주靈州에 행차하면서 이세적李世勣을 보내어 설연타薛延陀를 공격해서 항복시켰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폐하陛下께서 칙명勅命을 내려 돌궐突厥로부터 회흘回紇의 부락에 이르기까지 모두 66곳의 역사驛舍를 설치하여 척후병斥候兵을 통하게 하셨으니, 이것은 참으로 좋은 계책입니다.
그러나 어리석은 의 생각에는 한병漢兵의 수자리 사는 병사들은 마땅히 따로 한 을 만들어 훈련시키고, 오랑캐 부락의 병사들은 또 마땅히 한 을 만들어 가르치고 익히기를 각각 달리해서 뒤섞이지 말게 하다가, 혹 적이 쳐들어오면 은밀히 주장主將에게 명하여 때에 따라 칭호를 바꾸고 복장을 바꾸어 기병奇兵을 출동시켜 공격하여야 합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폐하陛下께서 칙명勅命을 내려 돌궐突厥로부터 회흘回紇(위구르) 부락에 이르기까지 66곳의 역사驛舍를 설치하여 척후斥候하는 사람을 통하게 하셨으니, 이것은 참으로 좋은 계책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려면, 의 생각에는 한병漢兵의 수자리 사는 병사들은 마땅히 따로 한 을 만들어서 훈련시키고, 오랑캐 부락의 병사들은 마땅히 한 을 만들어서 따로 훈련시켜서, 전투를 가르치고 익히는 법을 각각 다르게 해야 하니, 혼동하여 번병番兵한병漢兵의 구분을 두지 않으면 안 됩니다.
혹 적이 갑자기 몰려오면 은밀히 주장主將에게 명하여 때에 따라 칭호를 바꾸고 복장을 바꾸어 입혀서 기병奇兵을 출동시켜 공격하여야 합니다.”
회흘回紇은 그 선대가 흉노匈奴이다.
약라갈씨藥羅葛氏이니, 설연타薛延陀의 북쪽 사릉娑陵의 물가에 거주하였다.
원위元魏(北魏) 때에는 고차부高車部라고 이름하였고, 나라 초기에는 철륵鐵勒의 여러 가 되어서 돌궐突厥에 속했었는데, 때마침 돌궐突厥이 혼란하자 습격하여 격파하고 마침내 가한可汗이라고 칭하였다.
덕종德宗 때에 이르러서 회홀回鶻이라고 칭호를 바꾸니, 그 민첩하게 공격함이 송골매가 비상하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태종太宗 정관貞觀 21년(647)에 철륵鐵勒의 여러 주현州縣으로 만들고, 회흘回紇 이남과 돌궐突厥 이북에 한 를 설치하여 68개의 역사驛舍를 두었다.
그런데 지금 이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에 “66곳의 역사驛舍이다.”라고 한 것은, 전사傳寫의 잘못인 듯하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것은 무슨 방법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것은 병법兵法에 이른바 ‘여러 가지 방략으로 적을 오판하게 한다.’는 방법입니다.
번병番兵이면서 한병漢兵인 것처럼 보이고 한병漢兵이면서 번병番兵인 것처럼 보여서, 저들이 번한番漢의 분별을 알지 못하면, 우리의 공격하고 수비하는 계책을 측량하지 못할 것입니다.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먼저 측량할 수 없게 만드니, 이렇게 하면 적이 공격해야 할 바를 오판하게 됩니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것은 무슨 방법인가?”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이것은 병법兵法에 이른바 ‘여러 가지 방략으로 적을 오판하게 한다.’는 방법입니다.
번병番兵이면서 거짓으로 한병漢兵인 것처럼 보이고 한병漢兵이면서 거짓으로 번병番兵인 것처럼 보여서, 적으로 하여금 우리의 번병番兵한병漢兵의 구별을 알지 못하게 하면, 우리의 공격하고 수비하는 계책을 적이 측량하지 못할 것입니다.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먼저 측량할 수 없는 형세를 만드니, 이렇게 하면 적이 반드시 그 공격해 가려던 처음의 마음을 어기게 됩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참으로 의 뜻에 부합하니, 은 은밀히 변방의 장수들에게 가르치되, 다만 이 번병番兵한병漢兵을 이용하면 곧 을 알게 될 것이다.”
이정李靖이 재배하고 말하였다.
성상聖上사려思慮는 하늘이 내신 것이어서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아시니, 이 어찌 그 말을 다하겠습니까.”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의 말이 참으로 의 뜻에 부합하니, 은 은밀하고 간절하게 변방의 장수들을 가르치되, 다만 이 번병番兵한병漢兵을 가지고 칭호를 바꾸고 복장을 바꾸면 곧 을 알게 될 것이다.”
번병番兵이면서 한병漢兵처럼 보임은 기병奇兵이면서 정병正兵처럼 보이는 것이요, 한병漢兵이면서 번병番兵처럼 보임은 정병正兵이면서 기병奇兵처럼 보임을 말한 것이니, 번병番兵한병漢兵을 구별하지 못하면 기병奇兵정병正兵 또한 측량할 수 없을 것이다.
이정李靖이 재배하고 말하였다.
성상聖上사려思慮는 하늘이 내신 것이어서 하나를 들으면 열 가지를 아시니, 이 어찌 그 말을 다하겠습니까.”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이 말하기를 ‘절제가 있는 군대는 무능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패하게 할 수 없고, 절제가 없는 군대는 유능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승리할 수 없다.’ 하였으니, 은 이 말이 극치의 의논이 아니라고 의심한다.”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제갈량諸葛亮이 일찍이 말하기를 ‘절제가 있는 군대는 비록 무능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패하게 할 수 없고,
절제가 없는 군대는 비록 유능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이길 수 없다.’ 하였으니,
은 이 말이 극치의 의논이 아니라고 의심한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무후武侯(諸葛亮)는 한 바가 있어서 이렇게 말한 것입니다.
이 살펴보건대, 《손자孫子》에 ‘가르치고 익힘이 분명하지 못하고 관리와 병사들이 일정하게 맡은 직책이 없으며, 으로 제멋대로 군대를 진열한 것을 혼란한 군대라고 한다.’ 하였으니, 예로부터 군대를 혼란하게 만들어 적에게 승리를 안겨준 것을 이루 다 기록할 수가 없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제갈무후諸葛武侯한 바가 있어서 이렇게 말한 것입니다.
이 살펴보건대, 《손자孫子》에 이르기를 ‘가르치고 익히는 방도가 명백하지 못하고 관리와 병사들이 또 일정하게 맡은 직책이 없으며, 병사들을 진열함에 혹은 으로 하고 혹은 으로 해서 가지런하고 정돈되지 못한 것을 이름하여 혼란한 군대이다.’라고 하였으니,
예로부터 자기 군대를 스스로 혼란하게 만들어 적에게 승리를 안겨준 자를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가르치고 익힘이 분명하지 못하다는 것은 가르치고 사열査閱함에 옛 이 없음을 말한 것이요, 관리와 병사들이 일정한 직책이 없다는 것은, 장신將臣의 권세와 임무를 오래 맡기지 않는 것이요, 군대를 혼란하게 만들어 적에게 승리를 안겨준 것은, 자기가 스스로 궤멸하여 흩어진 것이지 적이 이긴 것이 아님을 말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제갈무후諸葛武侯가 말하기를 ‘병사들이 통제가 있으면 비록 용렬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패하지 않고, 만약 병사들이 스스로 혼란하면 아무리 훌륭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위태롭다.’라고 한 것이니, 또 어찌 의심할 것이 있겠습니까.”
原注
“가르치고 익힘이 밝지 못하다는 것은 병사들을 가르치고 사열査閱할 적에 옛 이 없음을 말한 것이고, 관리와 병사들이 일정하게 맡은 직책이 없다는 것은 장신將臣의 권세와 임무를 오래 맡기지 않음을 말한 것이고, 군대를 혼란하게 만들어서 적에게 승리를 안겨준다는 것은, 자기 군대가 안에서 스스로 궤멸하여 패한 것이지 적이 승리한 것이 아님을 말한 것입니다.”
예컨대, 부견苻堅동진東晉을 정벌할 적에 비수淝水에 이르러서 군대가 스스로 궤멸하여 흩어진 것이요, 사현謝玄이 승리한 것이 아닌 것과 같다.
“이 때문에 제갈무후諸葛武侯가 일찍이 말하기를 ‘병사들이 절제가 있으면 비록 용렬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패하지 않고, 만약 병사들이 안에서 스스로 무너지고 혼란하면 아무리 훌륭한 장수가 통솔하더라도 위태롭다.’ 하였으니, 이 말을 또한 어찌 의심할 것이 있겠습니까.”
이는 병사들을 옛 으로 교련敎鍊하지 않으면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原注
○내가 생각하건대, ‘병사들이 통제가 있다.’는 것은 평소에 익숙하게 교련敎鍊된 것을 말한 것인데,
“〈병사들이 평소에 익숙하게 교련되었으면〉 장수가 비록 어리석고 용렬하더라도 패하지 않고, 평소에 병사들이 일찍이 교련되지 않았으면 비록 훌륭한 장수를 만나더라도 어쩔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니,
이 말은 합당하지 못한 듯하다.
우선 예를 들면, 한신韓信이 시장 사람들(오합지졸)을 모아 전투하여 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는데, 당시에 나라 병사들이 일찍이 교련을 하지 않았으니, 만약 한신韓信이 아니었으면 어찌 승리할 수 있었겠는가.
그러므로 나라를 소유한 자는 병사들을 교련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장수를 잘 가려 쓰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병사들을 가르치고 사열査閱하는 을 참으로 소홀히 할 수 없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교련敎鍊이 방도를 얻으면 병사兵士들이 기꺼이 전쟁戰爭에 쓰이고, 교련敎鍊이 방법을 제대로 얻지 못하면 비록 아침에 독려하고 저녁에 책망하더라도 싸우는 일에 유익함이 없습니다.
이 이 때문에 옛 제도에 연연하여 모두 책으로 엮어 그리려 하니, 이는 통제統制가 있는 군대軍隊를 이루려고 해서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은 나를 위하여 옛 진법陣法을 가려서 모두 그려 올리도록 하라.”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가르치고 사열査閱하는 방법을 참으로 가볍게 하고 소홀히 할 수 없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교련敎鍊이 방법을 얻으면 병사兵士들이 기꺼이 나의 쓰임이 되고, 교련이 방법을 얻지 못하면 비록 아침에 독려하고 저녁에 책망하더라도 전쟁하는 일에 유익함이 없습니다.
이 장차 옛 제도에 연연하여 모두 옛 진법을 모아 그림으로 만들려는 것은 병사들을 교련하여 통제統制가 있는 군대軍隊를 이루려고 해서입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이 나를 위해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진법陣法을 가려 모두 그림으로 그려 올리도록 하라.”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번병番兵은 오직 굳센 말을 사용하여 치달려서 충돌하니 이것은 기병奇兵인가?
한병漢兵궁노弓弩를 사용하여 기각掎角을 하니 이것은 정병正兵인가?”
原注
태종太宗이 물었다.
번병番兵은 오직 굳센 말을 사용하여 적진을 치달려 충돌하니 이 또한 기병奇兵인가?
한병漢兵은 오직 강한 궁노弓弩로 적을 기각掎角하니 이 또한 정병正兵인가?”
는 다리를 잡음을 이르고, 은 머리를 잡음을 이른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이르기를 “나라 사람들이 뿔을 잡고 제융諸戎은 다리를 잡았다.” 한 것이 이것이다.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손자孫子》를 살펴보면,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기세氣勢(형세)에서 구하고 능하지 못한 사람에게 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히 사람을 가려 쓰고 기세에 맡긴다.’라고 하였으니, 이른바 사람을 가려 쓴다는 것은 각각 번병番兵한병漢兵의 장점을 따라 싸우게 하는 것입니다.
번병番兵기마전騎馬戰에 뛰어나니 기마전騎馬戰은 속전속결이 유리하고, 한병漢兵궁노弓弩에 뛰어나니 궁노弓弩지연전遲延戰에 유리한바, 이는 자연히 각각 그 형세에 맡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 일찍이 말씀드린 ‘번병番兵한병漢兵을 반드시 칭호를 바꾸고 복장을 바꿔야 한다.’는 것은 기병奇兵정병正兵상생相生하는 방법이니, 기병騎兵에도 정병正兵이 있고 궁노弓弩에도 기병奇兵이 있습니다.
어찌 일정함이 있겠습니까.”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손자孫子》를 살펴보면,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승리할 수 있는 병세兵勢에서 찾고 능하지 못한 사람에게 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람 중에 유능한 자를 가려 쓰고 기세에 맡긴다.’ 하였습니다.
이른바 사람을 가려 쓴다는 것은 각각 번병番兵한병漢兵의 장점을 따라 싸우게 하는 것입니다.
번병番兵기마전騎馬戰에 뛰어나니 기마전騎馬戰은 속전속결이 이롭고, 한병漢兵궁노弓弩에 뛰어나니 궁노弓弩지연전遲延戰에 이로운바, 이는 번병番兵한병漢兵을 자연히 각각 그 형세에 맡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병奇兵정병正兵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신이 앞서 말씀드린 ‘번병番兵한병漢兵을 반드시 칭호를 바꾸고 복식을 바꾸어서 번병番兵이면서 한병漢兵인 것처럼 보이고 한병漢兵이면서 번병番兵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것이 바로 기병奇兵정병正兵상생相生하는 법도입니다.
기병騎兵에도 정병正兵이 있으니 완전히 기병奇兵이라고 말할 수 없고, 궁노弓弩에도 기병奇兵이 있으니 완전히 정병正兵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어찌 일정하여 바뀌지 않음이 있겠습니까.”
이란 일정하여 바뀌지 않음을 이른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은 좀 더 자세히 그 전술을 말하라.”
이정李靖이 말하였다.
“우선 드러내 보여서 적으로 하여금 이에 따라 대응하게 하는 것이 바로 그 전술입니다.”
原注
태종太宗이 또 말하였다.
은 좀 더 자세히 그 전술에 대해서 말해보라.”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우선 〈아군의 전술을〉 드러내 보여서 적으로 하여금 이에 따라 대응하게 하는 것이 그 전술입니다.”
이른바 번병番兵의 호칭을 바꾸고 복장을 바꿔서 한병漢兵의 모습으로 보여주면 적이 이를 우리의 진짜 한병漢兵이라 여겨서 반드시 한병漢兵을 상대하는 전투 방식으로 우리에게 대응할 것이니, 우리는 이와 반대로 번병番兵의 전술로 기병奇兵을 내어 적을 이긴다.
그리고 한병漢兵의 칭호를 바꾸고 복장을 바꿔서 번병番兵의 모습으로 보여주면 적이 이를 우리의 진짜 번병番兵이라 여겨서 반드시 번병番兵을 상대하는 전투 방식으로 우리에게 대응할 것이니, 우리는 이와 반대로 한병漢兵의 전술로 기병奇兵을 내어 적을 이기는 것이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근일에 거란契丹해족奚族의 부락이 모두 귀순하여 예속되었으므로, 송막松漠요락饒樂의 두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여 안북도호부安北都護府에서 이를 통제하도록 하고, 설만철薛萬徹을 등용하려 하는데, 어떠한가?”
原注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근래에 거란契丹해족奚族의 부락이 모두 귀순하여 우리에게 예속되었으므로, 송막松漠요락饒樂의 두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여 안북도호부安北都護府에서 이를 통제하도록 하고, 설만철薛萬徹을 〈도호부사都護府使로〉 등용하려고 하는데 그 직임의 가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해족奚族거란契丹이 귀순하여 중국에 예속된 것은 정관貞觀 22년(648)이다.
송막松漠요락饒樂은 모두 지명이고, 도독都督관명官名이며, 안북安北 또한 지명이고, 도호都護의 명칭이다.
거란契丹해족奚族은 북쪽 오랑캐의 두 나라 이름이다.
거란契丹백습白霫의 남쪽에 있는데, 백습白霫은 지역이 서로 잇닿아 있었다.
〈혹자는〉 또 이르기를 “거란契丹은 본래 동호東胡의 종족으로, 서루西樓에 거주하면서 황수潢水 남쪽과 황룡黃龍 북쪽에 위치하여 선비족鮮卑族의 옛 땅을 차지하였다.” 하며, 혹은 “선비족鮮卑族의 남은 종족種族이니, 원위元魏(北魏)시대에 이르러 스스로 거란契丹이라 칭하였다.”라고도 한다.
이 지역에 두 이 있으니, 하나는 ‘토하土河’이고 하나는 ‘황하潢河’인데, 목엽산木葉山에 이르러 합류하여 하나가 된다.
그들 사이에 서로 전해오기를 “처음에 한 남자가 백마白馬를 타고 토하土河에 떠내려왔는데,
한 부인이 작은 수레를 타고 황하潢河에 떠내려와서 목엽산木葉山에서 만나 합류하는 강물을 돌아보고 마침내 부부가 되었으니, 이것이 그 시조始祖이다.”라고 한다.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설만철薛萬徹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집실사력執失思力걸필하력契苾何力만 못하니, 이들은 모두 번족番族 출신의 신하 중에 병법兵法을 잘 아는 자들입니다.
이 일찍이 이들과 더불어 송막松漠요락饒樂산천山川도로道路, 번족番族의 정세(민심)의 반역과 순종, 그리고 멀리는 서역西域부락部落 십수 종족種族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하나하나 모두 믿을 만하였습니다.
이 이들에게 진법陣法을 가르치면 머리를 끄덕이고 그 깊은 뜻에 탄복하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바라옵건대, 폐하陛下께서는 의심치 말고 이들을 임용하소서.
설만철薛萬徹로 말하면 용맹하기는 하나 지모가 없으니, 단독으로 임무를 감당하기는 어렵습니다.”
原注
이정李靖이 대답하였다.
설만철薛萬徹은 사람됨이 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집실사력執失思力걸필하력契苾何力만 못하니, 이들 세 사람은 모두 번족番族 출신의 신하 중에 병법兵法을 잘 아는 자들입니다.
이 일찍이 이들과 더불어 송막松漠요락饒樂의 경내 산천山川의 형세와 도로道路의 원근과 번족番族 민심의 반역과 순종, 그리고 멀리는 서역西域부락部落 십수 종족種族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하나하나 모두 믿을 만하였습니다.
이 일찍이 이들에게 진법陣法을 가르쳤는데, 진법을 이해하여 머리를 끄덕이고 그 깊은 뜻에 탄복하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이는 그 진법에 통달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바라건대, 폐하陛下께서는 이들을 임용하고 의심하지 마소서.
설만철薛萬徹로 말하면 용맹하기는 하나 계책과 지략이 없으니, 그에게 단독으로 임무를 맡기기는 어렵습니다.”
아사나사이阿史那社爾는 설명이 앞에 보인다.
집실사력執失思力힐리가한頡利可汗의 신하이니, 집실執失은 오랑캐의 복성複姓이고, 사력思力은 그의 이름이다.
걸필契苾은 본래 돌궐突厥의 부락이니, 언기국焉耆國의 서북쪽에 있었는데, 그 뒤에 이로 인하여 성씨姓氏로 삼았다.
하력何力은 그의 이름이다.
태종太宗이 웃으면서 말하였다.
번족番族의 병사들이 모두 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오랑캐로써 오랑캐를 공격함은 중국中國형세形勢이다.’라고 하였으니, 이 이를 터득하였도다.”
原注
태종太宗이 웃으면서 말하였다.
번족番族 〈출신의〉 병사들이 또한 모두 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오랑캐로써 오랑캐를 공격함이 바로 중국中國의 형세이다.’라고 하였으니, 이 이러한 방도를 터득하고 있다.”


역주
역주1 : 삭
역주2 陳韓 : 상고시대에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했던 三韓 중의 하나로 12국 국가 연맹체였던 辰韓을 가리킨 것이다. B.C. 1세기부터 A.D. 4세기까지 지금의 대구와 경주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가, 4세기 중엽에 12개국 가운데 하나인 斯盧(신라)에게 통합되었는바, 《後漢書》 〈東夷列傳〉과 《三國志》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등에 보인다. 辰韓의 형성 주체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三國志》에서는 辰韓을 옛 辰國이라 하였고, 《後漢書》에서는 辰國이 辰韓뿐만 아니라 三韓 전체를 포괄한다고 하였으며, 《三國史記》에는 衛滿朝鮮계 유민들이 이주해 辰韓을 형성하였다는 설이 실려있다.
역주3 高句驪 : 중국 史書에는 高句麗의 국가 명칭이 高麗, 高句驪, 句麗, 駒驪 등으로 혼용되어 있다.
역주4 泉蓋蘇文 : 高句麗의 大莫離支인 淵蓋蘇文을 이른다. 唐 高祖 李淵의 이름을 諱하기 위하여 ‘淵’자를 ‘泉’자로 고쳐 쓴 것이다.
역주5 貞觀十六年……立王弟子臧爲王 : 貞觀은 唐 太宗의 연호이고, 정관 16년은 642년이다. 建武는 고구려의 제27대 왕인 榮留王의 이름이고, 王弟는 榮留王의 아우인 太陽王이고, 그 아들 臧은 제28대 왕인 寶藏王을 이른다. 唐나라의 침입에 대비해 高句麗의 大對盧로서 千里長城을 축조하고 있던 淵大祚가 죽자, 아들 淵蓋蘇文이 아버지의 직위를 세습하고 城의 축조를 책임지게 되었는데, 당시 對唐 온건파들이 득세하여 千里長城의 축조를 중지하려고 하였다. 대당 강경파인 淵蓋蘇文이 이에 강력히 반발하자, 온건파들이 영류왕과 협의해 淵蓋蘇文을 제거하려 하였다. 淵蓋蘇文은 이를 미리 알고 642년 음력 10월에 千里長城으로 떠나는 열병식에 조정 신하들을 대거 초대한 뒤 모두 참살하였다. 이어 군대를 이끌고 왕궁에 들이닥쳐 榮留王을 죽이고 王의 아우인 太陽의 아들 臧을 새 왕으로 세우니, 그가 바로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寶藏王이다.
역주6 蘇文又號蓋金……(性)[姓]泉氏 : 《新唐書》 〈東夷列傳 高麗〉에 “蓋蘇文이란 자가 있는데, 혹 蓋金이라고도 한다. 성이 泉氏인데, 스스로 물속에서 태어났다고 말하여 사람들을 미혹시켰다.”라고 보인다.
역주7 (感)[惑]……(性)[姓] : 저본의 ‘感’과 ‘性’은 모두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惑’과 ‘姓’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正兵 : 적과 정면으로 맞서 포진하고 정정당당하게 싸우는 군대를 이른다.
역주9 奇兵 : 장수가 때에 따라 은밀히 출동시켜 游擊戰을 하거나 매복시킨 군대를 이른다.
역주10 夏曰獯鬻 : 훈육
역주11 玁狁 : 험윤
역주12 : 극
역주13 諸葛亮入南中……七縱而七擒之 : 삼국시대 蜀漢의 後主 建興 3년(225)에 諸葛亮이 南中을 평정하여 4개 군을 재정비할 적에, 추장 孟獲을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생포하여 자발적으로 복종하게 했던 고사를 이른다. 《三國志 권35 蜀書 諸葛亮傳》
역주14 魚腹平沙之上……此卽九軍陣法也 : 제갈량의 진법인 八陣은 洞當‧中黃‧龍騰‧鳥飛‧折衝‧虎翼‧握機‧天衡을 이르는데, 이것을 天‧地‧風‧雲‧龍‧虎‧鳥‧蛇로 표현하기도 한다.
常山의 뱀은 率然이란 뱀으로, 머리를 공격하면 꼬리로 대응하고 꼬리를 공격하면 머리로 대응하며 중간을 공격하면 머리와 꼬리가 함께 대응한다고 하는바, 《孫子》 〈九地〉에 보인다.
桓溫의 일은 《晉書》 권98 〈桓溫傳〉에 보인다.
역주15 [爲] : 저본에는 ‘爲’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6 晉泰始中……且戰且前 : 馬隆은 西晉 武帝 때의 명장으로, 武帝 泰始 5년(270), 涼州 지역의 羌族인 禿髮樹機能이 배반하여 河西 지역이 단절되자, 자청하여 勇士 3,500명을 모집해서 이들에게 賞金과 벼슬을 내리고 출전하여 禿髮樹機能을 토벌하였다.
《晉書》 〈馬隆列傳〉에 “오랑캐 괴수 樹機能 등이 만여 명의 병력으로 험난한 지형에 의지하여 馬隆軍의 전진을 가로막고, 혹은 복병을 배치하여 馬隆軍의 후방을 차단하기도 하였다. 이에 馬隆은 八陣圖의 진법에 의거하여 偏箱車를 만들어서 지형이 넓으면 鹿角車의 진영을 설치하고, 길이 좁으면 전차 위에 나무 지붕을 만들어 덮고 싸우면서 전진하니, 화살이 미치는 곳마다 시위 소리에 따라 적병이 쓰러졌다. 馬隆은 간간이 기발한 책략을 내어 적이 예상치 못한 곳으로 진격하였는바, 혹은 도로 양측에 磁石을 겹겹이 깔아놓으면 鐵甲을 입은 적은 전진하지 못하였으나 馬隆의 군사들은 모두 무소 가죽으로 만든 갑옷을 입고 있어 거침없이 행동하니, 적은 모두 이를 신기하게 여겼다. 천 리의 먼 거리를 이동하면서 싸워 수천 명의 적을 살상하였다.”라고 자세히 보인다.
偏箱車는 옛날 兵車의 이름인데, 제도는 자세하지 않다. 《明史》 〈兵志〉에 “景泰 원년(1450) 定襄伯 郭登이 옛 제도를 따라 偏箱車를 만들었는데, 끌채의 길이가 1丈 3尺이고 넓이가 9尺이고 높이가 7尺 5寸이었으며, 상자는 얇은 판자를 사용하고 총을 설치하였다. 나가면 좌우가 서로 연결되고 앞뒤가 서로 이어졌으며 쇠갈고리로 서로 끌게 했다.[轅長丈三尺 闊九尺 高七尺五寸 箱用薄板置銃 出則左右相連 前後相接 鉤鐶牽互]” 하였다.
鹿角車 역시 兵車의 일종으로 보이나 자세한 기록이 없으며, 명칭으로 보아 수레 앞에 사슴뿔 모양의 나무를 대어 적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
역주17 : 연
역주18 : 곽
역주19 破宋老生於霍邑……遂擒老生 : 宋老生(?〜617)은 隋나라의 虎牙郎将이며, 霍邑은 지금의 山西省 霍州市이다. 이 전투는 隋 煬帝 13년(617) 8월에 있었는데, 《舊唐書》 〈太宗本紀 上〉에 다음과 같이 보인다.
“대군이 서쪽으로 賈胡堡에 이르자 隋의 장수 宋老生이 정예병 2만을 거느리고 霍邑에 주둔하여 唐의 義軍을 막았다.……8월 己卯에 비가 개자, 高祖(李淵)가 군대를 이끌고 霍邑으로 진출하였다. 太宗(李世民)은 宋老生이 성에서 나와 싸우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몇 명의 騎兵을 거느리고 먼저 적의 성 아래로 가서 채찍을 들어 군대를 지휘하면서, 성을 포위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여 宋老生을 격노시키려 하였다. 宋老生이 과연 노하여 성문을 열고 출병해서 성을 등지고 포진하였다.
高祖와 태자 建成은 성 동쪽에 함께 포진하고, 太宗과 柴紹는 성 남쪽에 포진하였다. 宋老生의 부하 병사들이 빠른 속도로 진격하여 먼저 高祖의 진영으로 육박하였다. 이때 建成이 말에서 떨어지자, 宋老生이 승세를 타고 공세를 취하니, 高祖와 建成의 군대는 모두 퇴각하였다. 이때 太宗이 남쪽 언덕에서 두 騎兵을 거느리고 가파른 언덕을 달려 내려가, 宋老生 軍의 대열을 무찔러 돌파하고, 병사들을 이끌고 힘을 다해 공격하니, 적의 무리가 대패하여 각각 무기를 버리고 달아났다. 城門이 열리자 宋老生이 줄을 잡고 올라가려 했으나, 마침내 그를 목 베고 霍邑을 평정하였다.”
역주20 : 휼
역주21 自軒轅黃帝……始用師旅 : 軒轅 黃帝는 상고시대 伏羲‧神農과 함께 三皇으로 일컬어지는 신화적 인물로 姓이 公孫이라 하기도 하고 姬라 하기도 하는데, 처음으로 방패와 창을 만들었다고 한다. 황제를 참칭한 자들을 정벌한 것은 《史記》 〈黃帝紀〉에 “黃帝가 炎帝와 阪泉에서 싸우고 蚩尤와 涿鹿에서 싸우고 북쪽으로 獯鬻을 쫓아냈다.”라고 보인다.
역주22 晉文公譎而不正 : 이 구절은 《論語》 〈憲問〉 편에 “晉 文公은 속이고 바르지 않았으며, 齊 桓公은 바르고 속이지 않았다.[晉文公譎而不正 齊桓公正而不譎]”라고 보인다.
역주23 古者以仁爲本……以權濟之 : 이 내용은 《司馬法》 〈仁本〉에 “옛날에는 仁으로써 근본을 삼고 義로써 다스리는 것을 正이라고 하였는데, 正으로 뜻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權으로 구제하였다. 權은 전쟁에서 나오는 것이지, 仁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사람을 죽여서 사람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면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것이다.[古者以仁為本 以義治之之謂正 正不獲意則權 權出於戰 不出於仁也 是故殺人安人 殺之可也]”라고 보인다.
역주24 建成……後爲太宗所殺 : 建成(589~626)은 唐 高祖 李淵의 長子로, 太子에 책봉되었으나, 건국과정에서 많은 武功을 세운 아우 世民이 626년 7월에 일으킨 ‘玄武門의 變’으로 죽임을 당하였다. 이세민은 그해 9월에 父皇으로부터 帝位를 물려받아 당의 제2대 황제(太宗)로 즉위하였다. 神堯는 李淵의 존칭이다.
역주25 晉與楚戰……楚師敗績 : 春秋時代인 B.C. 632년 여름 4월에 晉나라 군대가 莘北에서 楚나라 군대와 격돌한 전투를 말한 것이다. 이 싸움에서 晉나라 장군 欒枝가 戰車에 나무 섶을 매달아 달아나는 것처럼 위장하니, 楚軍이 이를 추격하였다. 이에 原軫과 郤溱이 中軍의 公族을 이끌고 楚軍의 측면을 공격하고, 狐毛와 狐偃이 上軍을 이끌고 子西가 통솔하는 楚軍을 공격하여 楚나라의 左師를 궤멸시켰다. 《春秋左氏傳 僖公 28년》
역주26 : 곽
역주27 霍去病爲將 暗與孫吳相合 : 霍去病(B.C. 140~B.C. 117)은 漢 武帝 때의 명장으로, 18세에 剽姚校尉가 되어 당시 大將軍인 외삼촌 衛靑을 따라 匈奴와의 전쟁에 출정하여 큰 공을 세우고, 이후 驃騎将軍이 되어 24세에 요절할 때까지 수많은 전투에서 한 번도 패하지 않은 常勝將軍이다. 그는 兵法을 배우지 않았는데도 戰場에서 臨機應變으로 크게 승리하곤 하였는바, 항상 승리한 그의 전술이 병법과 은연중에 부합한다고 말한 것이다. 《史記 衛將軍驃騎列傳》
역주28 : 자
역주29 : 剽와 같다.
역주30 旗參差 : 참치
역주31 令喧囂 : 훤효
역주32 : 배
역주33 號令喧囂 : 훤효
역주34 韓信之佯北(배) : 漢 高祖와 楚나라 項羽가 천하를 다투던 B.C. 204년에, 漢나라 將軍인 韓信이 張耳와 함께 수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趙나라를 공격하니, 趙王 歇과 成安君 陳餘가 이 말을 듣고 韓信의 漢軍을 막고자 병력을 井陘 어구에 집결시키고 20만 대군이라 하였다.
이때 廣武君 李左車가 成安君에게 “井陘의 길이 좁아 적의 군량이 반드시 그 후미에 있을 것이니, 奇兵 3만 명을 저에게 빌려주시면 샛길로 가서 漢軍의 보급로를 끊겠습니다. 足下께서 垓子를 깊게 파고 堡壘를 높이 쌓아 저들과 싸우지 않으신다면 10일이 못 되어 두 장수의 머리를 휘하에 바칠 수 있을 것입니다.” 하고 청하였으나, 成安君은 廣武君의 계책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첩자에게 이 보고를 들은 韓信은 과감히 井陘의 좁은 길로 내려가서 背水陣을 치고, 또 은밀히 2천 명의 정예병을 선발하여 “너희들은 각기 붉은 漢나라 깃발 한 개씩을 가지고 숲 속에 은신하여 있다가 내가 패전하여 도망가면 趙나라 병사들이 성벽을 비우고 추격할 것이니, 이 틈을 타 趙나라 성벽으로 들어가서 趙나라의 깃발을 모두 뽑아버리고 우리 漢軍의 붉은 깃발을 꽂아라.”라고 명하였다.
趙나라 병사들은 韓信이 背水陣을 친 것을 보고는 兵法을 모르는 자라고 비웃었다. 韓信이 趙軍을 맞아 출전하였다가 거짓으로 大將軍의 깃발과 북을 버리고 도망하니, 趙나라 병사들은 성벽을 비우고서 漢나라의 북과 깃발을 다투어 취하고 韓信을 추격하였다. 韓信을 추격하던 趙軍은 漢나라 군대가 背水陣을 친 진영으로 들어가 결사적으로 싸우므로 더 이상 어찌하지 못하고 성벽으로 돌아가면서 바라보니, 성벽은 이미 漢軍이 점령하여 붉은색의 깃발이 꽂혀있었다. 趙軍이 이것을 보고 우왕좌왕하자, 漢나라 군대가 협공하여 趙軍을 대파하고 陳餘를 참수하고, 趙王 歇을 사로잡아 趙나라를 점령하였다. 《史記 권92 淮陰侯列傳》
역주35 : 배
역주36 欒枝之僞遁 : 欒枝는 춘추시대 晉나라의 장수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서 253쪽의 주 1) 참조.
역주37 [在] : 저본에는 ‘在’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8 : 부
역주39 [耳] : 저본에는 ‘耳’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0 曹公新書 : 曹公은 曹操를 가리키며, 《新書》는 曹操가 《孫子》를 근간으로 하여 지은 병법서인 《孟德新書》를 이른다. 孟德은 曹操의 자이다.
역주41 孫武所謂……而我實無虛實奇正之形 : 이 내용은 《孫子》 〈虛實〉의 “적에게 奇‧正의 형체를 드러내어 보이되 우리가 실제로 형체가 없게 하면, 우리는 專一하고 적은 分散될 것이다.[形人而我無形 則我專而敵分]”라는 구절을 풀이한 것이다.
역주42 [使敵莫測] : 저본에는 없는 것을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3 孫武……以奇勝 : 이 내용은 《孫子》 〈兵勢〉에 “무릇 전투는 正兵으로 交戰하고 奇兵을 만들어 승리한다.[凡戰者 以正合 以奇勝]”라고 보인다.
역주44 : 형
역주45 孫子所謂形人者……孫子所謂無形者 : 孫子의 이 말은 《孫子》 〈虛實〉의 “적에게 奇‧正의 형체를 드러내어 보이되 우리가 실제로 형체가 없게 한다.[形人而我無形]”라는 구절을 이른 것이다.
역주46 晉與楚戰……欒枝輿柴而走 : 《春秋左氏傳》 僖公 28년 조에 보이는 내용으로 자세한 내용은 본서 253쪽의 주 1) 참조.
역주47 孫臏入魏地……敗魏師 : 孫臏은 戰國時代 齊나라 출신의 將軍으로 兵法家인 孫武의 손자이고, 손무와 같이 孫子로 불리며, 《孫臏兵法》의 저자이다. 이 구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서 175쪽의 주 1) 참조.
역주48 佯棄旗鼓 走水上軍 : B.C. 204년에, 漢 高祖의 명을 받은 將軍 韓信이 趙나라를 공격할 적에 썼던 전술로 자세한 내용은 본서 255쪽의 주 1) 참조.
역주49 (如)[始] : 저본의 ‘如’는 明本에 의거하여 ‘始’로 바로잡았다.
역주50 使賤而有勇者……則敵將有智謀矣 : 이 내용은 吳起가 원래 답변한 내용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吳子》 〈論將〉에 보이는 전문은 다음과 같다.
“천하고 용감한 자로 하여금 경무장한 정예병을 거느리고 적을 시험하게 하되, 되도록 패하여 달아나고 얻는 것을 힘쓰지 않게 하여 적이 추격해 오는 것을 살펴야 합니다. 그리하여 적군이 한 번 앉고 한 번 일어남에 그 통제가 제대로 다스려지며, 패주하는 자를 추격할 적에 거짓으로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하고 이익을 보여주어도 거짓으로 모르는 것처럼 하면, 이러한 장수는 지혜로운 장수라고 이름할 수 있으니, 상대하여 싸우지 말아야 합니다.[令賤而勇者 將輕銳以嘗之 務於北 無務於得 觀敵之來 一坐一起 其政以理 其追北 佯爲不及 見其利 佯爲不知 如此將者 名爲智將 勿與戰也]”
역주51 韓擒武 : 538~592. 隋나라의 장수로, 韓雄의 아들인데 흔히 韓擒虎로 알려져 있다. 체격이 우람하고 담력과 지략을 갖추었으며, 독서를 좋아하여 經史와 諸子에 대해 폭넓은 지식이 있었다. 北周에 벼슬하여 아버지의 작위를 이었고, 軍功으로 和州刺史가 되었다. 隋 文帝가 北周의 帝位를 선양받은 뒤에 廬州總管에 임명되고, 南朝의 陳나라를 정벌하는 임무를 맡기자 金陵으로 쳐들어가 陳나라 後主를 사로잡았다. 上柱國에 오르고 壽光縣公에 봉해졌으며, 벼슬이 凉州刺史에 이르렀다.
역주52 [正而變爲奇] :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3 (說)[設] : 저본의 ‘說’은 明本에 의거하여 ‘設’로 바로잡았다.
역주54 (比)[足] : 저본의 ‘比’는 明本에 의거하여 ‘足’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5 謝玄之破苻堅於淝水 : 東晉 太元 8년(383), 前秦의 苻堅이 東晉을 정벌하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壽陽으로 진출하여 淝水에 진을 치고 謝玄의 군대와 대치하였다. 이때 謝玄이 使者를 보내 “前秦의 軍陣을 조금 뒤로 물려서 우리 東晉의 군대가 물을 건넌 다음 승부를 결단하자.”라고 요구하였는데, 苻堅은 반대하는 신하들의 의견을 묵살하고, 軍陣을 뒤로 물린 뒤에 물을 건너오는 東晉의 군대를 공격할 속셈으로 퇴각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자세한 내용을 모르는 前秦의 군대는 퇴각 명령에 싸움에 패한 줄 알고 큰 혼란에 빠져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이때 謝玄과 謝琰, 桓伊 등이 이끄는 東晉의 군대가 淝水를 건너 前秦의 군대를 급습하여 궤멸시켰다. 《百戰奇略 권2 衆戰》
역주56 : 삼
역주57 載記 : 《晉書》의 일부분으로 江北에서 明滅했던 五胡 16국의 역사를 약술한 것인데, 총 30편으로 되어있다.
역주58 唯慕容垂一軍……何患不亡 : 慕容垂(326~396)는 五胡十六國時代 後燕의 군주로 시호가 武成皇帝이다. 前燕의 군주 慕容皝의 다섯째 아들로 吳王에 봉해졌으나, 아버지가 죽은 뒤에 太后인 可定渾氏의 압박을 피해 前燕에서 망명하여 前秦의 苻堅에게 의탁, 중용되었다.
苻堅이 383년에 대군을 거느리고 東晉을 침략할 적에 慕容垂도 자신의 병력을 거느리고 합류하여 東晉의 桓沖이 지키고 있는 荊州 지역의 공격을 맡았다. 淝水 전투에서 苻堅이 東晉軍에게 대패하고 前秦軍의 병력이 모두 궤멸되었으나, 荊州를 공격하고 있던 慕容垂는 군대를 거의 출동시키지 않아 병력을 온전히 보존하였다. 싸움에 패한 苻堅이 겨우 천여 명의 기병을 이끌고 慕容垂의 진영으로 들어오자, 그의 아들 慕容寶와 아우 慕容德이 苻堅을 죽이고 前燕을 회복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이 말을 듣지 않고 苻堅에게 끝까지 충성하였다. 이후 苻堅이 죽고 前秦의 국력이 급속도로 쇠퇴하자, 386년에 자립하여 도읍을 中山에 정하고 나라를 燕이라 하여 왕위에 오르니, 이것이 後燕이다. 《晉書 권123 載記 제23 慕容垂》
역주59 韓白 : 중국의 역사상 가장 뛰어난 명장으로 알려진 韓信(?~B.C. 196)과 白起(?~B.C. 257)의 병칭이다. 韓信은 漢 高祖 劉邦을 도와 項羽를 패망시키고 漢나라를 개국시킨 名將이고, 白起는 戰國時代 秦나라의 장군으로 秦나라와 대적하던 여러 제후국의 군대를 차례로 물리쳐 天下統一의 초석을 다진 名將이다.
역주60 謝玄牢之 : 前秦과의 淝水大戰을 승리로 이끈 東晉의 장수들이다. 謝玄(343〜388)은 東晉軍의 총수였고, 劉牢之(?〜402)는 5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洛澗에서 前秦의 梁成과 王顯이 이끈 先鋒軍을 대파하여 열세인 전쟁에서 돌파구를 연 장군이다. 《晉書 권79 謝玄列傳》
역주61 多算勝少算 : 이 내용은 《孫子》 〈始計〉의 “싸우기 전에 廟堂에서 계산하여 우세한 자는 勝算을 얻음이 많은 것이고, 싸우기 전에 묘당에서 계산하여 우세하지 못한 자는 승산을 얻음이 적은 것이다. 승산이 많으면 이기고 승산이 적으면 이기지 못하는데, 하물며 승산이 없음에 있어서이겠는가.[夫未戰而廟算勝者 得算多也 未戰而廟算不勝者 得算少也 多算勝 少算不勝 而況於無算乎]”라는 구절을 축약하여 인용한 것이다.
역주62 [奇] : 저본에는 ‘奇’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63 陳數有九……大將總握之 : 이것은 八陣을 기초로 한 九軍陣法의 운용을 말한 것으로, 《孫子》 〈九地〉에 “用兵을 잘하는 자는 비유하건대 率然과 같이 하니, 率然이란 常山의 뱀이다. 그 머리를 치면 꼬리가 이르고 꼬리를 치면 머리가 이르고 중간을 치면 머리와 꼬리가 함께 이른다.” 하였는데, 劉寅은 《孫子直解》에서 “이것이 바로 九軍의 陣法이다.”라고 註하였다.
역주64 四方四維 : 四方은 正東인 震, 正西인 兌, 正南인 離, 正北인 坎이고, 四維는 西北인 乾, 西南인 坤, 東北인 艮, 東南인 巽을 이른다.
역주65 : 부
역주66 (關)[開] : 저본의 ‘關’은 明本에 의거하여 ‘開’로 바로잡았다.
역주67 開方 : 開方은 면적을 계산하는 수학 용어인데, 정사각형을 이른다.
역주68 (用)[周] : 저본의 ‘用’은 明本에 의거하여 ‘周’로 바로잡았다.
역주69 : 태
역주70 六步七步 六伐七伐 : 이 내용은 周 武王이 殷의 紂王을 토벌하면서 장병들에게 경계한 말로, 《書經》 〈周書 牧誓〉에 “이제 나 發은 공손히 하늘의 벌을 행하노니, 오늘의 싸움은 6步와 7步를 넘지 말아서 멈추어 整齊할 것이니, 壯士들은 힘쓸지어다. 4伐과 5伐, 6伐과 7伐을 넘지 말아서 멈추어 整齊할 것이니, 힘쓸지어다. 장사들이여.[今予發 惟恭行天之罰 今日之事 不愆于六步七步 乃止齊焉 夫子勗哉 不愆于四伐五伐六伐七伐 乃止齊焉 勗哉夫子]”라고 보이는데, 蔡沈은 《集傳》에서 “步는 걸어감이요 齊는 整齊함이니, 今日의 싸움은 6步와 7步를 넘지 말아서 멈추어 整齊하라고 한 것이다. 伐은 치고 찌름이다. 적어도 4, 5번 이하로 내려가지 말고 많아도 6, 7번을 넘지 말아서 整齊하라고 한 것이다. 이는 장병들에게 적을 쳐 죽이고 찌르는 방법을 가르쳐준 것이니, 죽임을 탐함을 경계한 것이다.”라고 注하였다.
역주71 (眞)[其] : 저본의 ‘眞’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其’로 바로잡았다.
역주72 節制之兵 : 節度와 法制가 嚴正하고 規律이 있는 군대를 가리킨다. 《荀子》 〈議兵〉에 “齊나라의 技擊은 魏나라의 武卒을 당해내지 못하고, 魏나라의 武卒은 秦나라의 精銳兵을 당해내지 못하고, 秦나라의 정예병은 齊 桓公과 晉 文公의 節制 있는 군대를 당해내지 못하고, 齊 桓公과 晉 文公의 절제 있는 군대는 湯王과 武王의 仁義를 행하는 군대를 대적하지 못한다.[齊之技擊 不可以遇魏之武卒 魏之武卒 不可以直秦之銳士 秦之銳士 不可以當桓文之節制 桓文之節制 不可以敵湯武之仁義]”라고 보인다.
역주73 [也] : 저본에는 ‘也’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4 蜀諸葛亮……自比管仲樂毅 : 이 내용은 《三國志》 〈蜀志 諸葛亮傳〉에 “〈諸葛亮은〉 항상 자신을 管仲과 樂毅에 견주었는데, 당시 사람들은 이를 인정해주지 않았다. 그러나 오직 博陵의 崔州平과 潁川의 徐庶 元直만은 제갈량과 우정이 돈독하였는데, 이들은 진실이라고 믿었다.[每自比於管仲樂毅 時人莫之許也 惟博陵崔州平 潁川徐庶元直 與亮友善 謂為信然]”라고 보인다.
역주75 媿 : ‘愧’와 같다.
역주76 亦由古人司馬法……皆得太公望之遺法也 : 이 내용은 《司馬法》에는 보이지 않고, 《周禮》 〈地官 小司徒〉에 “小司徒의 職務는……백성들로 편성된 卒伍를 모아서 운용하는 것인데, 5人을 1伍로 하고, 5伍를 1兩으로 하고, 4兩을 1卒로 하고, 5卒을 1旅로 하고, 5旅를 1師로 하고, 5師를 1軍으로 하여 대군을 집결시킨다.[小司徒之職……乃會萬民之卒伍而用之 五人為伍 五伍為兩 四兩為卒 五卒為旅 五旅為師 五師為軍 以起軍旅]”라고 보인다.
이 내용이 《司馬法》에 보이지 않으므로 본문의 司馬法을 ‘사마에 관한 법’이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나, 뒤 구절의 ‘太公望의 남은 法을 얻은 것’이란 말을 근거하여 《司馬法》으로 해석하였다. 《司馬法》은 春秋時代 齊나라의 司馬였던 田穰苴가 지은 兵書로 본래 55편이었는데 지금은 5편만 남아있다.
역주77 曾西之所不爲 : 《孟子》 〈公孫丑 上〉에, 公孫丑가 孟子에게 “管仲의 공적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묻자, 孟子가 曾西(曾子의 아들)도 管仲에게 비유되는 것을 싫어한 일을 말씀하고, 公孫丑에게 “管仲은 曾西도 되려고 하지 않은 자인데, 그대가 나를 위해서 〈관중처럼 되기를〉 원한단 말인가?[管仲 曾西之所不爲也 而子爲我願之乎]”라고 말씀한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역주78 夫管仲……如其仁以許之 : 《論語》 〈衛靈公〉에 “子路가 ‘桓公이 公子 糾를 죽였는데 召忽은 죽었고 管仲은 죽지 않았으니, 管仲은 仁하지 못합니다.’라고 말하자, 孔子께서 ‘桓公이 제후들을 규합하되 兵車(무력)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管仲의 힘이었으니, 누가 그의 仁만 하겠는가, 누가 그의 仁만 하겠는가.[子路曰 桓公 殺公子糾 召忽死之 管仲不死 曰 未仁乎 子曰 桓公 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 如其仁 如其仁]’라고 말씀하셨다.”라고 보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79 三歸反坫 : 三歸는 臺의 이름이고, 反坫은 두 나라 군주가 회합하여 술을 마실 적에 술잔을 되돌려 놓아두는 잔대이다. 《論語》 〈八佾〉에 “孔子께서 ‘管仲의 器局이 작구나.’[子曰 管仲之器 小哉]”라고 비판하시자, 혹자가 그 이유를 물으니, 공자는 管仲이 三歸라는 臺를 소유하고, 反坫을 두는 등 참람하였음을 비판하였다.
역주80 李唐 : 唐나라를 이른다. 당나라 君主의 姓이 ‘李’이기 때문에 ‘李唐’이라 한 것이다.
역주81 田完 : 陳나라의 公子로 원래의 성은 陳인데 齊나라로 망명한 이후 田으로 성을 바꾸어 田完이 되었다. 陳나라에 내란이 일어나자 齊 桓公 14년에 망명하였는데, 桓公의 신임을 얻어 工官으로 등용되었다. 이후 田氏는 대대로 齊나라의 大夫가 되어 국정을 전횡하였는데, 齊 康公 19년(B.C. 386)에 田和가 康公을 폐위하고 齊나라를 찬탈하였다. 《史記 田敬仲田完世家》
역주82 [也] : 저본에는 ‘也’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3 [者 彼此之强弱] :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4 [備] : 저본에는 缺字로 처리되어 있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5 漢藝文志 謂諸呂用事而盜取之 : 이 내용과 관련된 《漢書》 〈藝文志〉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漢나라가 일어나자, 張良과 韓信이 兵法을 서술하여 編次한 것이 모두 182家인데, 刪削을 거쳐 요긴한 것만 취하여 35家를 저술하였다. 呂氏들이 권력을 행사하면서 이를 도둑질하였는데, 武帝 때 軍政 楊僕이 유실된 것들을 수집하여 兵錄의 계통을 세웠으나, 여전히 미비하였다. 成帝(孝成皇帝) 때에 이르러 任宏에게 명하여 兵書를 논하고 編次를 정해 4種으로 만들게 하였다.[漢興 張良韓信序次兵法 凡百八十二家 刪取要用 定著三十五家 諸呂用事而盜取之 武帝時 軍政楊僕捃摭遺逸 紀奏兵錄 猶未能備 至於孝成 命任宏論次兵書爲四種]”
諸呂는 漢 高祖의 后妃인 呂后의 친정 집안사람들을 이른다. 惠帝가 병약하여 일찍 죽자, 呂后가 親政을 하였는데, 이때 자신의 친정 집안사람들을 대거 등용하고 황제의 자리를 呂氏에게 물려주려 하였다. 그러나 呂后가 죽자 周勃과 陳平이 합심하여 呂氏의 三族을 멸하고 代王인 劉恒을 옹립하니, 이가 곧 文帝이다.
역주86 [誘至宮中] :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7 (七十一)[八十五] : 저본의 ‘七十一’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八十五’로 바로잡았다.
역주88 (武)[成] : 저본의 ‘武’는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成’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9 (背鄕)[鄕背] : 저본의 ‘背鄕’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鄕背’로 바로잡았다.
역주90 (形)[刑] : 저본의 ‘形’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刑’으로 바로잡았다.
역주91 (三)[二] : 저본에는 ‘三’으로 되어있으나, 《漢書》 〈藝文志〉에 의거하여 ‘二’로 바로잡았는바, 아래의 수정도 모두 〈藝文志〉에 의거하였다.
역주92 [時] : 저본에는 ‘時’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93 蓋古者田獵獲禽……皆不獻也 : 이 내용은 《詩經集傳》 〈彤弓之什 車攻〉편 朱子의 註에 “옛날에 사냥하여 짐승을 잡을 적에 얼굴을 맞혀 부상당한 것을 바치지 않고, 옆에서 쏘아 털이 벗겨진 것을 바치지 않고, 다 자라지 않은 짐승을 바치지 아니하며, 세 등급을 골라 취하되 왼쪽 옆구리로부터 쏘아 오른쪽 어깨뼈를 관통한 것을 上殺이라 하여 乾豆를 만들어 宗廟에 받들어 올리고, 오른쪽 귀밑을 관통한 것을 다음 中殺이라 하여 賓客에게 대접하고, 왼쪽 넓적다리를 쏘아 오른쪽 어깨뼈를 관통한 것을 下殺이라 하여 君庖에 채운다.[蓋古者田獵獲禽 面傷不獻 踐毛不獻 不成禽不獻 擇取三等 自左膘而射之 達于右腢爲上殺 以爲乾豆 奉宗廟 達右耳本者次之 以爲賓客 射左髀 達于右顝下殺 以充君庖]”라고 보인다.
역주94 大司馬九伐之法 : 周나라 때 제후들을 다스리기 위해 제정한 법으로, 제후가 아홉 종류의 죄악을 저지르면 천자가 이를 토벌하였으므로 九伐之法이라 하였는바, 자세한 내용은 《周禮》 〈夏官 大司馬〉에 다음과 같이 보인다.
“大司馬는 九伐의 法으로 諸侯들의 나라를 바로잡는다. 약한 나라를 업신여기고 작은 나라를 침략하면 봉지를 줄이고, 어진 사람을 해치고 백성을 해치면 정벌하고, 국내에서 暴虐한 정사를 행하고 外國을 업신여기면 제후를 폐위하고, 田野가 황폐해지고 백성들이 흩어지면 봉지를 삭탈하고, 險固한 지형을 믿고 복종하지 않으면 군대를 동원하여 진주시키고, 무고하게 친족을 살해하면 죄를 다스려 바로잡고, 신하가 임금을 시해하면 죽이고, 天子의 명령을 어기거나 政令을 업신여기면 이웃 나라와의 교통을 금지하고, 안팎으로 인륜을 어지럽히고 금수와 같은 행위를 하면 멸망시킨다.[以九伐之灋 正邦國 馮弱犯寡則眚之 賊賢害民則伐之 暴内陵外則壇之 野荒民散則削之 負固不服則侵之 賊殺其親則正之 放弑其君則殘之 犯令陵政則杜之 外内亂鳥獸行則滅之]”
역주95 (會朝)[朝會] : 저본의 ‘會朝’는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朝會’로 바로잡았다.
역주96 : 현
역주97 (家)[官] : 저본의 ‘家’는 明本에 의거하여 ‘官’으로 바로잡았다.
역주98 右廣……以待不虞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宣公 12년 조에 보인다.
역주99 說(탈) : 脫과 통한다.
역주100 : 탈
역주101 楚子乘廣……每一卒用百人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宣公 12년 조에 보이는 “楚子乘廣三十乘 廣有一卒 卒偏之兩”을 해석한 것이다.
역주102 蔿敖爲宰……能用典矣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宣公 12년 조에 그대로 보인다.
역주103 (合)[舍] : 저본의 ‘合’은 明本에 의거하여 ‘舍’로 바로잡았다.
역주104 [人] : 저본에는 ‘人’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5 荀吳舍車……大敗狄人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昭公 元年 조에 다음과 같이 보인다.
“晉나라 中行穆子가 無終과 群狄을 太原에서 패배시켰는데, 이는 步卒을 숭상하였기 때문이다. 장차 싸우려 할 적에 魏舒가 말하기를 ‘저들은 步兵이고 우리는 戰車兵인데, 양군이 서로 만나는 곳의 地勢마저 또 험하니, 보병 10명이 전차 1乘을 함께 사용하면 반드시 승리할 것이고, 복병을 설치해 적군을 곤경에 빠뜨리면 또 승리할 수 있으니, 군대를 모두 步兵으로 편성하소서. 저의 부대부터 먼저 시작하겠습니다.’라고 하고서, 戰車兵을 해체하여 步兵의 隊伍로 만들어 5乘의 인원으로 3伍를 편성하였다.
荀吳의 寵臣이 步卒의 대오로 들어가려 하지 않자 그의 목을 베어 군중에 돌렸다. 다섯 진영을 서로 연결해 구원하게 하고, 두 陣은 앞에 두고 다섯 陣은 뒤에 두며, 專陣을 右翼으로, 參陣을 左翼으로, 偏陣을 선봉으로 삼아 적을 유인하니, 狄人은 이를 보고 비웃었다. 荀吳는 狄人이 陣을 치기 전에 공격하여 대패시켰다.”
역주106 用車千乘 輕二千 : 《直解》에 따르면 ‘用車輕重二千’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漢文大系本에는 ‘用車千乘 輕重二千’으로 되어있으나, 《直解》와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古代의 戰車 제도에도 맞지 않는다.
역주107 僕射 : 복야
역주108 : 수
역주109 多[多] : 저본의 ‘多’는 明本에 의거하여 ‘多’ 1자를 더 보충하였다.
역주110 討薛延陀 : 설연타
역주111 江夏王道宗 : 600~653. 唐나라 宗室 출신의 武將으로, 太宗에게 李世勣과 견줄 수 있는 명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太宗 때에 李靖을 따라 출정하여 突厥을 격파하는 등 큰 공을 세워 貞觀 11년(637)에 江夏郡王에 봉해졌으나, 뇌물수수의 罪名으로 하옥되어 직무와 봉읍을 삭탈당하였다가, 다시 등용되어 遼東道行軍副總管으로 太宗을 따라 고구려 침공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뒤에 朔州 지역의 鎭守를 맡아 阿史那社爾 등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薛延陀를 섬멸하여 북방을 평정하였으나, 高宗 永徽 4년(653)에 長孫無忌의 모함으로 象州에 유배 도중에 병사하였다. 《舊唐書 宗室列傳》
역주112 [見討而懼] : 이 단락에 보충된 내용은 모두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였다.
역주113 多設方略以誤之 : 이 구절은 春秋時代 伍員이 吳王 闔閭에게 楚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제시한 계책의 한 구절로, 원래의 문장은 ‘多方以誤之’이다.
楚나라에서 滅門의 禍를 당하고 吳나라로 망명한 伍員은 闔閭를 도와 吳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들고 楚나라에 복수할 것을 도모하였는데, 闔閭가 伍員에게 楚나라를 공격할 계책을 묻자, 伍員이 “자주 습격하였다가 후퇴하여 저들을 지치게 하고, 여러 방법으로 적을 오판하게 하여, 저들이 지친 뒤에 三軍이 뒤를 이어 공격하면 반드시 크게 승리할 것입니다.[亟肄以罷之 多方以誤之 旣罷而後 以三軍繼之 必大克之]”라고 대답하였다. 闔閭가 伍員의 계책을 따르니, 楚나라가 피폐해져 결국 吳나라에 대패하였다. 《春秋左氏傳 昭公 30년》
역주114 : 탁
역주115 (道)[習] : 저본의 ‘道’는 明本에 의거하여 ‘習’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16 (道)[習] : 저본의 ‘道’는 ‘習’의 誤字이다.
역주117 韓信……以破趙軍 : 漢 高祖와 楚나라 項羽가 천하를 다투던 B.C. 204년에 漢나라의 장군인 韓信이 오합지졸로 제대로 훈련되지 않은 수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趙나라를 공격하여, 背水陣을 사용해 대승을 거두었다. 전투가 끝난 후, 여러 장수들이 기존의 병법과 상치하는 背水陣을 친 이유를 묻자, 韓信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이는 병법에 나오는데, 다만 제군들이 살피지 못하였을 뿐이다. 병법에 ‘死地에 빠진 뒤에 살고 망할 땅에 놓인 뒤에 보존된다.’고 말하지 않았는가. 또 내가 평소에 어루만진 병사와 관리를 얻은 것이 아니니, 이는 이른바 ‘시장 사람들을 몰아서 싸운다.’는 것이다. 이들에게 살 땅을 주면 모두 달아날 것이니, 어떻게 쓰겠는가?” 《史記 淮陰侯列傳》
韓信이 조군을 대파한 자세한 내용은 본서 255쪽의 주 1) 참조.
역주118 (何)[未] : 저본의 ‘何’는 明本에 의거하여 ‘未’로 바로잡았다.
역주119 : 의
역주120 晉人角之 諸戎掎之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襄公 14년 조에 보인다.
戎族이 晉나라에 말하기를 “지난날 文公께서 秦나라와 함께 鄭나라를 토벌할 적에, 秦나라 사람들이 남몰래 鄭나라와 결맹하고 鄭나라에 수비군을 주둔시키니, 이에 殽關의 전쟁이 있게 되었습니다. 晉나라가 앞에서 막고 우리 戎이 뒤에서 저항하니, 秦軍이 전멸하여 돌아간 자가 없었던 것은 실로 우리 諸戎이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비유하면 晉人이 짐승의 뿔을 잡고 諸戎은 다리를 잡고서 晉나라와 함께 쓰러뜨린 것과 같습니다.[昔文公 與秦伐鄭 秦人竊與鄭盟 而舍戌焉 於是乎有殽之師 晉禦其上 戎亢其下 秦師不復 我諸戎實然 譬如捕鹿 晉人角之 諸戎掎之 與晉踣之]” 하였다.
역주121 善能用兵者……使而任之以勢也 : 이 내용은 《孫子》 〈兵勢〉의 “전쟁을 잘하는 자는 기세에서 찾고 사람에게 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히 사람을 가려 쓰고 기세에 맡기는 것이다.[善戰者 求之於勢 不責之於人 故能擇人而任勢]”라는 구절을 풀어 쓴 것이다.
역주122 (行)[形] : 저본의 ‘行’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形’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3 契丹奚 : 契丹은 본래 東胡族인데 4세기 이래로 遼河 상류인 西拉木倫河(시라무렌, 潢水)와 老哈河(랴오허, 土河) 유역 일대에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유목과 수렵을 생업으로 하며 거주하였다. 인접한 高句麗를 자주 침략하다가 고구려 廣開土大王에게 정벌을 당해 일부는 고구려에 복속되고, 나머지는 흩어져 살다가 뒤에 唐나라에 복속되었다. 중국의 혼란기인 五代十國時代에 통일의 기운이 일어나면서, 916년에 耶律阿保機가 여러 부족을 통합한 다음 契丹을 건국하고 황제를 칭하였으며, 뒤에 국명을 遼로 바꿨다.
奚는 4세기 무렵부터 東蒙古의 老哈河 유역에서 유목생활을 하면서 西拉木倫河 남쪽 연안 유역의 契丹族과 이웃하고 있던 鮮卑族의 한 부족이다. 처음에는 庫莫奚라고 불렀으나, 隋나라 이후로는 奚라고 칭하였다. 7세기 전반기부터 唐나라에 복속하였으며, 唐나라에서는 奚의 추장들에게 都督이나 刺史 등의 관직을 주어서 그들을 예속시키는 羈縻政策을 실시하였다.
역주124 安北都護 : 都護府는 唐나라 때에 屬地 지배를 위해 설치한 기관으로 모두 여섯 都護府가 있었는데, 安北都護府는 契丹과 奚族 및 북쪽 몽고고원의 돌궐족과 鐵勒 등의 여러 부족을 총괄하는 일을 맡았다.
역주125 [內] : 저본에는 ‘內’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26 : 습
역주127 元魏 : 鮮卑族의 拓跋部가 華北地方에 세운 王朝인 北魏(後魏)를 이른 것인데, 北魏의 孝文帝가 本姓인 ‘拓跋’씨를 ‘元’씨로 고치면서 元魏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역주128 (黃)[潢] : 저본의 ‘黃’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潢’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9 (常)[嘗] : 저본의 ‘常’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嘗’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30 : 힐

이위공문대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