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司馬法直解

사마법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凡戰之道 用寡固하고 用衆治하며 寡利煩하고 衆利正이니라
原注
凡戰陳之道 若用寡 宜堅固其陳이요 若用衆이면 宜整治其陳이며
兵寡 宜頻變化出奇하여 以制勝이요 兵衆 宜踐墨隨敵하여 利以正合而制勝이니
是正亦勝이요
用衆進止하고 用寡進退니라
原注
用衆 要知進知止 所謂五伐六伐 乃止齊焉이라
用寡 要知進知退 所謂 是也
衆以合寡 則遠裹而闕之니라
原注
我衆以合敵人之寡者 則遠圍而闕其一面이니
所謂 是也
若分而迭撃이면 寡以待衆이니 若衆疑之 則自用之니라
原注
若分兵而更迭撃之 是寡以待衆也 若衆有所疑懼 則自用權以制勝이라
擅利 則釋旗하고 迎而反之니라
敵若衆이면 則相衆而受裹하며
原注
이면 則相視彼衆如何而受其圍 是也
敵若寡若畏 則避之開之니라
原注
敵人若寡少하고 若謹畏 則且避之開之하여 이라
凡戰 背風背髙하고 右髙左險하고 歷沛歷圮하고 兼舎環龜니라
原注
凡與人戰 背風之逆하고 背山之髙
左髙右險者 右背山陵하고 前左水澤也
澤也 道路傾壞之地 歷者 過之而不止也
環龜 地形之似環龜者
凡戰 設而觀其作하고 視敵而擧하며
待則循而勿鼓하고 待衆之作하여 攻則屯而伺之니라
原注
凡與人戰 行陳既設이면 又當視敵虛實而擧
敵若待我 我則順其意而勿鼓進其兵하고 待敵之動作如何하여 若來攻我어든 我則屯兵伺之 是也
凡戰 衆寡以觀其變하고 進退以觀其固하고 危而觀其懼하고 靜而觀其怠하고 動而觀其疑하고 襲而觀其治니라
原注
凡與人戰 或用衆하고 或用寡하여 以觀其變動如何하며 一進一退하여 以觀其固備如何하며
以危迫之勢臨之하여 而觀其懼之如何하며 靜以待之하여 而觀其怠心如何하며
設計動之하여 而觀其疑惑如何하며 以兵潛襲之하여 而觀其治亂如何
擊其疑하고 加其卒하며 致其屈하고 襲其規니라
原注
敵人心志疑惑이면 則擊之하고 敵人倉卒而來
因其不避하며 阻其圖하고 奪其慮하며 乗其懾이니라
原注
當作備 因其不備 即所謂乗其無備也
阻其所謀하고 奪其所慮 即所謂
乗其敵之畏懾
凡從奔 勿息이로되 敵人或止於路 則慮之니라
原注
凡從敵之奔敗 勿得止息이로되 敵人或止息於路 則慮之 恐有伏也
凡近敵都 必有進路 退必有反慮니라
原注
凡近敵之都邑 吾必要有前進之路 若無進路 則無所往也
退亦要有還反之慮 無反慮 恐爲敵所薄也
凡戰 先則弊하고 後則懾하며 息則怠하고 不息亦弊하며 息久 亦反其懾이니라
原注
凡與人戰 若先敵而動이면 則致疲弊而爲敵所乘이요 後敵而動이면 則畏懼而爲敵所欺
若休息之 則怠心必生이요 若不休息之 其力亦致疲弊하며 休息若久 有畏愼之心이라
書親絶 是謂絶顧之慮
原注
凡初入敵人之境하여 之限 所過關梁津要 使吾踵軍在後 告畢書絶 所以禁人內顧之情하여 而止其退還之心也
選良次兵 是謂益人之強이요
原注
簡擇良材하여 以次 是謂益吾衆人之強이니
春秋傳所謂 是也
棄任節食 是謂開人之意 自古之政也니라
原注
負任之物也 棄任之意
節食者 約其軍之食也 如春秋左傳 所謂 之意
使吾軍士 棄其所負任之物하고 約持其糧食하여 示以必死 是謂開啓衆人之意하여 使專心一志하여 奮勇而戰이라
已上三者 皆自古行軍之政也


무릇 을 치고 싸우는 방도는 적은 병력을 사용할 적에는 진영을 견고히 하고, 많은 병력을 사용할 적에는 진영을 정돈되게 하며, 병력이 적을 적에는 자주 변화함이 이롭고, 병력이 많을 적에는 정병正兵을 사용함이 이롭다.
많은 병력을 사용할 적에는 나아가고 그침을 알아야 하고, 적은 병력을 사용할 적에는 전진하고 후퇴함을 알아야 한다.
많은 병력으로 적의 적은 병력과 싸울 적에는 멀리 포위하되, 한 면에 허술한 곳을 남겨두어야 한다.
만약 병력을 나누어 번갈아 공격하게 되면 이는 적은 병력으로 적의 많은 병력을 상대하는 것이니, 만약 장병들이 의심하면 스스로 권모를 써야 한다.
적이 이익만을 다투고자 하면 를 버리고 도망가는 척하다가 적을 맞이하여 반격해야 한다.
적이 만약 병력이 많으면 적의 병력이 얼마나 되는가를 살펴보아 포위를 당하며,
적이 만약 병력이 적고 조심하면 피하여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무릇 전투할 적에는 바람을 등지고 높은 산을 등지며, 높은 산을 오른쪽에 두고 험한 곳을 왼쪽에 두며, 늪지대와 무너지는 땅을 빨리 지나가고 환귀環龜에 주둔해야 한다.
무릇 전투할 적에 적의 진영이 설치되었으면 적의 동작이 어떠한가를 관찰하고 적의 허실을 살펴보아 출동하여야 한다.
적이 만약 우리를 기다리고 있으면 적의 의도에 따라 북을 쳐 전진시키지 말고, 적의 동작을 기다려서 적이 공격해오면 군대를 주둔하고 살펴야 한다.
무릇 전투할 적에 병력의 많고 적음으로써 적이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관찰하고, 전진하고 후퇴함으로써 적이 견고하게 수비하는가를 관찰하며, 위태롭게 하여 적의 두려워함을 관찰하고, 고요히 하여 적의 나태함을 관찰하며, 계략으로 움직여서 적의 의혹을 관찰하고, 습격하여 적의 군대가 다스려짐을 관찰하여야 한다.
적이 의혹을 품으면 공격하고 창졸간에 공격해온 적에게 반격을 가하며, 적이 굽히도록 만들고 바르게 정돈된 적을 기습해야 한다.
적의 대비하지 않음을 이용하며, 적의 도모함을 저지하고 적의 지모智謀를 빼앗으며, 적이 두려워함을 틈타야 한다.
무릇 도망하는 적을 추격할 적에는 그치지 말되, 적이 혹 도로에서 멈추고 있으면 적의 복병을 염려하여야 한다.
무릇 적의 도성에 가까이 진격할 적에는 반드시 전진할 길을 마련해두어야 하고, 후퇴할 적에는 반드시 돌아올 생각을 하여야 한다.
무릇 전투는 먼저 출동하면 피폐해지고, 늦게 출동하면 장병들이 두려워하며, 휴식하면 태만해지고 휴식하지 않으면 또한 피폐해지며, 오랫동안 휴식하면 또한 도리어 두려워한다.
친족과의 서신書信을 끊는 것을 ‘돌아보는 생각을 끊는다.’라고 한다.
훌륭한 인재를 선발하여 병력을 차례하게 하는 것을 ‘우리의 강함을 더한다.’고 한다.
짐을 버리고 먹을 것을 조금만 가지고 가는 것을 ‘사람의 전투할 마음을 열어놓는다.’고 하니, 이는 예로부터 해온 정사政事이다.


역주
역주1 用衆者……以名篇 : 漢文大系本에는 이 내용 대신 “이 편은 모두 行兵을 논하였는데, 이 편 안에 신중히 함을 주장하여, 적국에 깊숙이 쳐들어가서 집 생각을 끊어 더욱 강하게 하고 장병들의 마음을 열어주어 병사들이 죽을힘을 다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취하여 편을 이름한 것이다.[此篇 全論行兵 其篇內 主於愼重 深入敵國 以致絶慮益强開意 全用衆人之死力也 故取名篇]”라고 되어있다.
역주2 奇亦勝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아래에 “一說에 ‘번거로울 정도로 자주 敎習하여 紀綱을 바르게 한다.’라고 한다.[一說 煩敎習 正紀綱]”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역주3 進不可當 退不可追 : 이 내용은 《吳子》 〈治兵〉에 보인다.
역주4 圍師必闕 : 이 내용은 《孫子》 〈軍爭〉에 보인다.
역주5 若專欲爭利……此疑有闕文誤字 : 漢文大系本에는 이 내용 대신 “만약 적이 오로지 이익만을 다투고자 하면 旗를 버리고 달아나다가 적이 추격하여 오면 맞이하여 반격해야 한다. 一說에 ‘적이 지형의 이로움을 독차지하려고 하는 것이다.’ 하였다.[若敵專欲爭利 則釋去旗物而走 及其追來 迎而反擊之 一說 敵專擅地利也]”라고 되어있다.
역주6 敵人若衆 : 漢文大系本에는 이 아래에 “적의 이러한 기세를 당해낼 수 없으면[是勢之不可敵]”이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역주7 張遼突入吳衆而受圍 : 張遼(169~222)는 삼국시대 曹操 휘하의 명장으로 吳나라 孫權의 10만 대군과 싸워 요충지인 合肥를 방어한 인물이다. 이 사례는 본서 143쪽의 주 1)에 보인다.
역주8 以伺其便 : 漢文大系本에는 이 아래에 “적의 움직임을 살펴야 한다.[而觀其動]”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역주9 宜舎止之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아래에 “一說에 ‘모두 버리고 가고 머물러서는 안 된다.’ 하였다.[一說 幷舍去之 不可止也]”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역주10 觀其動作如何 : 漢文大系本에는 이 아래에 “혹자는 이르기를 ‘형세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하였다.[或云 設其形勢也]”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역주11 趙奢厚集其陣 以待秦兵 : 趙奢는 戰國시대 趙나라의 名將으로 馬服君에 봉해진 인물이다. 秦나라가 韓나라를 치기 위해 閼與로 진군해오자, 趙王은 趙奢를 장군으로 임명하여 閼與를 구원하도록 하였다. 趙奢는 성벽을 굳게 지키며 28일을 지체하여 행군하지 않고 보루를 더욱 증축하였다. 秦나라에서 趙軍의 실정을 탐색하기 위해 間使를 보내자 趙奢는 잘 대접하여 보냈는데, 間使가 돌아가 이러한 사실을 秦나라 장수에게 보고하니, 秦나라 장수는 趙奢가 싸울 뜻이 없는 것으로 오판하고 방심하였다. 趙奢는 間使를 보내자마자, 갑옷을 말아 급히 행군하여 秦軍보다 한 발 앞서 전투에 유리한 고지인 北山을 선점하고 秦軍을 대파하여 閼與의 포위를 풀게 하였다. 《史記 권81 廉頗藺相如列傳》
역주12 則加之……襲敵之規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내용 대신 “군대로 공격을 가하고 군대로 어지럽게 하여 적의 힘을 굴복시켜 곤궁에 처하게 하고, 적진이 바르게 정돈되어 있으면 은밀히 군대를 출동시켜 기습공격을 가하여 적으로 하여금 혼란에 빠지게 해야 한다.[則以兵加之 以兵擾之 致使其力困屈 敵陳規正 則潛師襲之 而使之亂]”라고 되어있다.
역주13 上兵伐謀 : 이 내용은 《孫子》 〈謀攻〉에 보인다.
역주14 即所謂擊其大懼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아래에 “一說에는 ‘因其不避’는 ‘적이 두려워하여 피하지 않으면 이를 인하여 공격한다.’라고 한다.[一說 因其不避 謂敵不畏避 則因而擊之]”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역주15 彊塲[疆埸] : 저본의 ‘彊塲’은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疆埸’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6 故……是謂絶顧之慮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내용 대신 “혹자는 ‘書親絶’을 해석하기를 무릇 적의 국경에 들어가면 친척과 가까운 사람의 편지라도 반드시 소통하지 못하도록 금하고 끊어야 하니, 이는 안으로 돌아보는 생각을 끊는 것이다.’라 하였다.[或解書親絶 凡入敵境 雖親近之書 必禁絶而不通 所以絶內顧之慮也]”라고 되어있다.
역주17 [第] : 저본에는 ‘第’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8 分良以撃其左右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成公 16년 조에 “苗賁皇이 晉侯에게 말하기를 ‘楚나라의 정예병은 中軍에 있는 王族뿐이니, 우리의 정예병을 나누어 楚軍의 좌우를 공격하고서 三軍이 楚나라의 王卒(中軍)을 집중 공격하면 반드시 그들을 대패시킬 수 있습니다.’ 하였다.[苗賁皇言於晉侯曰 楚之良 在其中軍王族而已 請分良以擊其左右 而三軍萃於王卒 必大敗之]”라고 보인다.
역주19 孫子所謂士無餘(則)[財] : 이 내용은 《孫子》 〈九地〉에 보인다. 저본의 ‘則’은 《孫子》에 의거하여 ‘財’로 바로잡았다.
역주20 塞井夷竈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成公 16년 조에 “范匄가 종종걸음으로 나와 말하기를 ‘우물을 메우고 부뚜막을 허물어 평지로 만든 다음 軍中에 진을 쳐서 行列의 통로를 넓게 벌려놓으십시오.’ 하였다.[范匄趨進曰 塞井夷竈 陳於軍中而疏行首]”라고 보이는데, 林堯叟의 注에 “군대가 주둔하면 반드시 우물을 파고 부뚜막을 쌓아 식수와 취사를 스스로 해결한다. 그런데 지금 楚軍이 晉軍을 압박해 진을 쳐서 교전할 장소가 좁기 때문에, 스스로 우물을 메우고 부뚜막을 허물어 평지로 만들어서 교전할 장소로 삼고자 한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1 項羽沈船破甑 持三日糧 : 秦나라 말기에 楚 懷王이 宋義로 하여금 秦軍에 포위된 趙나라를 구원하게 하였으나, 宋義는 46일 동안 지체하고 진격하지 않았다. 이에 項羽는 새벽에 宋義의 막사로 가서 그를 죽이고 자신이 大將軍이 되어 兵權을 장악하였다. 項羽는 출전하면서 타고 온 배를 부수고 취사도구인 시루를 깨뜨리고 배를 모두 가라앉히고 막사를 불태우고, 3일 동안 먹을 양식만 가지게 하여, 병사들에게 필사의 각오를 보여준 다음, 秦軍과 싸워 이를 대파하고 秦將 王離를 사로잡았다. 《史記 권7 項羽本紀》

사마법직해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