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司馬法直解

사마법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司馬法者 周大司馬之法也
하여 乃六卿之列이니 入則佐天子以治國하고 出則總戎兵以定亂이라
此書仁本篇 首言仁義禮智信하고 次言九伐之法하며
天子之義篇 首言法天地, 觀先聖, 教民體俗하고 次言賞善罰惡之法하며
定爵篇 首言教詔之法하고 次言戰攻之法하며
嚴位篇 專言治兵之法하고
用衆篇 專言應敵之法호되
此王者
周武既平殷亂 封太公於齊하고 子伋爲齊侯
其法 傳於齊桓公之世하여 管仲用之하여 變而爲하여 遂能하다
景公之世 田穰苴用之하여 又變而爲하여 遂能郤燕晉之師한대 景公以穰苴有功이라하여 封爲司馬之官하니 後世子孫 號爲司馬氏
至齊威王하여 追論古司馬法하여 方成此書하고 又遠述穰苴所學하여 遂有司馬穰苴書數十篇하니 今世所傳兵家者流 是也
書中 分權謀, 形勢, 陰陽, 技巧四種 非此司馬法也
是書 言辭古簡而義深하고 中間 又有缺文誤字하여 儒家多不經意하니 學者由是 不得其說이라
今姑爲之直解하여 以訓將家子弟호되 其不可曉者 悉皆闕疑하여 以俟知者焉하노라


사마법司馬法》은 나라 대사마大司馬이다.
사마司馬는 나라의 정사를 관장하고 육사六師를 통솔하며 나라를 평안히 다스리는 육경六卿의 반열에 드는 직책이니, 들어오면 천자를 보좌하여 나라를 다스리고 나가면 융병戎兵(군대)을 통솔하여 을 평정한다.
그러므로 이 책의 〈인본仁本〉편에서는 먼저 을 말하였고, 다음에는 구벌九伐을 말하였다.
천자지의天子之義〉편에서는 먼저 천지天地를 본받고 선성先聖을 관찰하여 백성들을 가르쳐 풍속을 체찰함을 말하였고, 다음에는 한 자에게 을 주고 한 자에게 을 내리는 법을 말하였다.
정작定爵〉편에서는 먼저 가르치고 명하는 법을 말하였고, 다음에는 싸우고 공격하는 법을 말하였다.
엄위嚴位〉편에서는 오로지 군대를 다스리는 법을 말하였다.
용중用衆〉편에서는 오로지 적에 응하는 방법을 말하였는데,
태공太公(呂尙)이 ‘네 번 치고 다섯 번 치고 여섯 번 치고 일곱 번 치는 것에서 넘지 아니하여 멈추어 정제整齊하고, 6와 7를 넘지 않아서 멈추어 정제하라.’ 한 뜻이 있으니,
이는 왕자王者가 거느리는 인의仁義의 군대이다.
무왕武王나라의 을 평정한 다음 태공太公나라에 봉하였는데, 뒤에 아들 나라 임금이 되었다.
그러므로 그 환공桓公의 세대에 전해지고 관중管仲이 이것을 사용하여 변화시켜 절제節制하는 군대를 만들어서 마침내 제후諸侯를 규합하고 천하天下를 한 번 바로잡았다.
경공景公의 세대에 전양저田穰苴가 이것을 사용하여 또다시 변화시켜 권사權詐의 군대를 만들어서 마침내 나라와 나라의 군대를 물리치니, 경공景公양저穰苴가 큰 이 있다 하여 하여 사마司馬의 벼슬을 삼았으므로 후세의 자손들이 사마씨司馬氏라고 불렸다.
위왕威王에 이르러 옛 사마법司馬法을 추론하여 이 책을 완성하였고 또 멀리 양저穰苴의 배운 바를 기술하여 마침내 사마양저司馬穰苴병서兵書 수십 편이 있게 되었으니, 지금 세상에 전하는 병가자류兵家者流가 이것이다.
책 가운데에 권모權謀형세形勢음양陰陽기교技巧 네 종류로 나뉘어 있는 것은 사마법司馬法이 아니다.
이 책은 내용이 예스럽고 간략하면서도 뜻이 깊고, 중간에 또 빠진 글과 오자가 있어서 유가儒家들이 대부분 관심을 두지 않으니, 배우는 자들이 이로 말미암아 말뜻을 알지 못하였다.
이제 우선 곧바로 해석하여 장가將家자제子弟들을 가르치되,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은 모두 의심스러운 부분으로 제쳐놓아 아는 자를 기다리는 바이다.


역주
역주1 司馬掌邦政……平邦國 : 이 내용은 《書經》 〈周書 周官〉에 보인다. 六師는 천자가 통솔하는 군대로, 六軍이라고도 한다. 1軍은 1만 2,500명으로 고대에 천자국은 6군이고 제후국 중 대국은 3군이었다. 이 때문에 全軍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역주2 不愆於四伐五伐六伐七伐……乃止齊焉 : 이 내용은 《書經》 〈周書 牧誓〉에 보이는데, 朱子는 《集傳》에서 ‘不愆於四伐五伐六伐七伐’에 대해 “伐은 치고 찌름이다. 적어도 4, 5번 이하로 내려가지 말고 많아도 6, 7번을 넘지 말아서 整齊하라고 한 것이다.”라 하였고, ‘不愆於六歩七歩’에 대해 “步는 걸어감이요, 齊는 整齊함이니, 今日의 싸움은 6步와 7步를 넘지 말아서 멈추어 整齊하라고 한 것이다.”라고 주하였다.
역주3 仁義之兵 : 王者가 거느리는 仁義의 군대로, 《荀子》 〈議兵〉에 “仁人의 군대는 마음에 두고 있으면 神妙해지고 지나가는 곳마다 敎化가 되어, 때맞춰 내리는 단비와 같으니 기뻐하지 않는 자가 없다. 이로써 堯임금이 驩兜를 치고 舜임금이 有苗를 치고 禹王이 共工을 치고 湯王이 夏桀을 쳤으며, 文王이 崇을 치고 武王이 紂王을 쳤으니, 이 二帝와 四王은 모두 仁義의 군대를 가지고 天下에 행하였다. 그러므로 가까이 있는 자는 그 善함을 親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자는 그 德을 사모하여 군대가 칼날에 피를 묻히지 않아도 멀고 가까운 곳에 있는 자들이 와서 복종하고, 덕이 여기에 盛大해져서 혜택이 사방의 끝까지 미쳤다.[仁人之兵 所存者神 所過者化 若時雨之降 莫不說喜 是以堯伐驩兜 舜伐有苗 禹伐共工 湯伐有夏 文王伐崇 武王伐紂 此二帝四王 皆以仁義之兵 行於天下也 故近者親其善 遠方慕其德 兵不血刃 遠邇來服 德盛於此 施及四極]”라고 보인다.
역주4 節制之兵 : 節制(통제)가 잘되는 군대로, 《荀子》 〈議兵〉에 “齊나라의 技擊은 魏나라의 武卒을 상대하지 못하고 魏나라의 武卒은 秦나라의 銳士를 상대하지 못하며, 秦나라의 銳士는 桓公과 文公의 節制된 군대를 상대하지 못하고 桓公과 文公의 節制된 군대는 湯王과 武王의 仁義의 군대를 대적하지 못하니, 만약 이를 상대하는 자가 있다면, 이는 마치 잿덩이로 돌을 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齊之技擊 不可以遇魏氏之武卒 魏氏之武卒 不可以遇秦之銳士 秦之銳士 不可以當桓文之節制 桓文之節制 不可以敵湯武之仁義 有遇之者 若以焦熬投石焉]”라고 보인다.
역주5 九合諸侯 一匡天下 : 이 구절은 《論語》 〈憲問〉의 “桓公이 諸侯들을 규합하되, 兵車(무력)를 쓰지 않은 것은 管仲의 힘이었다.[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라는 내용과 “管仲이 桓公을 도와 諸侯의 霸者가 되게 하여 한 번 天下를 바로잡았다.[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라는 내용에서 인용한 것이다.
역주6 權詐之兵 : 권모술수를 써서 교묘히 변화하고 간사하게 속이는 군대로, 《荀子》 〈議兵〉에 “臨武君이 ‘兵事에서 貴하게 여기는 바는 형세의 이로움이며, 兵事에서 실행하는 바는 교묘히 변화하고 간사하게 속이는 것이다. 用兵을 잘하는 자는 황홀하고 신비하게 적을 현혹시켜서 어디로부터 나왔는지를 모르게 한다. 孫子와 吳子는 이 방법을 써서 天下에 대적할 자가 없었으니, 어찌 반드시 백성이 따르기를 기다릴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하기에 내(荀子)가 ‘그렇지 않다. 내가 말하는 것은 仁者의 군대와 王者의 뜻이고, 그대가 貴하게 여기는 것은 권모술수와 형세의 이로움으로, 그 실행하는 바가 공격하여 빼앗고 교묘히 변화하고 간사하게 속이는 것이니, 이는 諸侯의 일이다.’라고 하였다.[臨武君曰 兵之所貴者 勢利也 所行者 變詐也 善用兵者 感忽悠闇 莫知其所從出 孫吳用之 無敵於天下 豈必待附民哉 孫卿子曰 不然 臣之所道 仁者之兵 王者之志也 君之所貴 權謀勢利也 所行 攻奪變詐也 諸侯之事也]”라고 보인다.

사마법직해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