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注
仁本者는 以仁爲根本也니 因首有仁本二字라 故로 以名篇하니라
原注
仁者는 本心之全德이요 其用則主於愛하니 愛는 莫先於仁民이라
義者는 心之制요 其用則主於斷하니 斷은 莫先於因事之宜而治之라
仁義
는 專言之
하면 則各有體有用
하고 對言之
하면 라
正不獲意則權이니 權은 出於戰이요 不出於中人이라
原注
以正治之하여 或不能得其意면 則用權變之道以濟之라
權變之道
는 出於戰陳
이요 不出於中人
이니 中人者
는 中品之人
이니 라
蓋正者
는 萬世之常
이요 權者
는 一時之用
이니 乃
탕왕湯무왕武而濟之以權者也
라
或曰 中人
은 即
이니 與戰用權之道異也
라하니 로라
愚謂中人上下에 疑有闕文誤字하니 姑爲此說하여 以俟知者하노라
는 是故
로 殺人以安天下之人
이면 殺之
라도 可也
라
당唐태종太宗執
하여 數之曰 汝指野鳥爲鸞
하여 欺人主
하고 求
고덕유髙官
하니 吾興義兵
은 正爲誅佞人耳
라하고
原注
攻人之國
하여 而愛惜其民
이면 攻之
라도 可也
니 如
其民
이 是也
라
故
로 仁見親
하고 義見
하고 智見恃
하고 勇見方
하고 信見信
하나니라
原注
故
로 有仁者
는 人見而親之
하고 有義者
는 人見而說之
하고 有智者
는 人見而倚恃之
하고 有勇者
는 人見而歸向之
하고 有信者
는 라
原注
戰陳之道는 不違農之時하고 不歷民之病하니 所以親愛吾民也라
原注
오왕吳王합려闔閭 하니 是
는 하고 因人之凶者也
라
原注
隆冬盛夏大寒大暑之月에 不興師以伐하니 所以兼愛其民也라
故로 國雖大나 好戰必亡이요 天下雖安이나 忘戰必危하나니라
原注
故
로 國雖大
나 好戰
이면 必至於亡
하니 如
이 是也
라
原注
춘추좌씨전春秋左춘추좌씨전傳에 이라하니 是愷爲軍樂也 明矣
라
原注
蒐者
는 搜也
니 搜其無孕字者
하여 取之
요 獮者
는 殺也
니 니 皆於農隙
에 以講武事也
라
原注
古者에 以軍退爲綏하니 謂從人退還之軍에 不過九十里라
춘추좌씨전春秋左춘추좌씨전傳에 이 命三軍皆出
하여 與
진秦戰
이라가 交綏
한대 註曰 軍退爲綏
라하니 謂
진秦진晉皆有備
하여 各防其失
하여 不戰而兩退
라
蓋兩家車馬將士嚴整하여 各執轡當陣하여 有必戰之勢하면 所以各防其失而交退하니 是는 以綏爲不戰而退軍之名也라
原注
逐奔에 不過百歩하고 縱綏에 不過三舎하니 非惟恐傷我之兵이요 又矜彼之敗하여 不忍窮兵逐之하니
惟仁義之兵
이 如此
요 若後世乗人之敗
에 有
하니 非明禮之道也
라
原注
若진秦진晉戰에 진秦人將潛師而遁한대 조돈趙盾이 欲薄之於河러니
當軍門
하여 呼曰 死傷未收而棄之
는 不惠也
요 不待期而薄人於險
은 無勇也
라하니 조돈趙盾聞之
하고 遂不薄秦兵
이 即此意也
라
原注
不窮不能하고 而哀憐傷病은 是良心善端之發見者니 乃所以明夫仁也라
原注
兵成行列然後
에 鼓之而進
하여 不乗人之不及
하고 不掩人之不備
하니 此所以明
信也
라
原注
如갈백葛伯放而不祀한대 탕왕湯使遺之牛羊하고 他日又不祀한대 탕왕湯使人往爲之耕이러니
六德을 以時合教하여 以爲民紀之道也하니 自古之政也니라
原注
六德
을 하여 先王修爲民紀之道
하니 此乃自古之
政也
라
先王之治
는 順天之道
하고 設地之宜
하고 官民之德
하여 而正名治物
하며 立國辨職
하여 以爵分祿
하여 諸侯說懷
하고 하며 獄弭而兵寢
하니 聖德之至也
니라
原注
古先聖王之治
는 上順天之道
하고 下設地之宜
하니 是也
라
官民之有德者하여 而正其名하고 治其物하니 官民有德은 謂任賢使能하여 俊傑在位也라
正名者
는 公
육경卿大夫士也
요 治物者
는 分職
하여 各司其治也
라
立國而辨職은 國은 謂諸侯之國이요 職은 謂公侯伯子男也라
以爵而分祿하여 爵重者는 重其祿하고 爵輕者는 輕其祿이라
所以諸侯說懷하고 海外之遠이 皆來服하며 獄訟弭滅而甲兵寢息하니 乃聖德之治也라
原注
其次
는 有賢王者 制禮樂與法度
하여 , 剕, 宮, 大辟五刑
이라
禮는 度數之節文이니 教民以中也요 樂은 聲音之髙下니 教民以和也라
古禮有五
하니 吉, 凶, 賓, 軍, 嘉
요 古樂有六
하니 라
興甲兵하여 以討不義하고 巡狩省方하며 會諸侯하여 考不同하나니라
原注
興甲兵하여 以討不義之人하고 巡諸侯之所守하여 察方國之善惡하며 會天下之諸侯하여 而考其有不同者니
其有失命亂常하고 背德逆天之時하며 而危有功之君이어든
原注
其下
에 有違失上命
하고 紊亂典常
하며 反背道德
하고 不順天之時
하며 이라
乃告于皇天上帝
와 日月, 星辰
하고 禱于后土
와 四海神
, 山川, 冢社
하며
原注
乃告祭于皇天上帝日月星辰하고 祈禱于后土四海神祗山川冢社라
星은 五星이니 木曰歲星이요 火曰熒惑이요 金曰太白이요 水曰辰星이요 土曰鎮星이 是也라
辰
은 十二次也
니 자子曰玄
요 丑曰星紀
요 寅曰析木
이요 卯曰
대량大火
요 辰曰壽星
이요 巳曰
尾
요 午曰鶉火
요 未曰鶉首
요 신申曰實沈
이요 酉曰
대량大梁이요 戌曰
婁
요 是也
라
四한해海는 東曰 滄한해海요 南曰 溟한해海요 西曰 한해瀚海요 北曰 발해渤海라
然後에 총재冢宰徴師于諸侯하여 曰 某國爲不道하여 征之하노니 以某年月日로 師至于某國하여 會天子正刑이라하나니라
原注
某國이 今爲不道之事하여 當往征之하니 以某年某月某日로 師至於某國하여 相會天子하여 乃明正其刑이라하니라
入罪人之地하여 無暴神祗하고 無行田獵하며 無毀土功하고 無燔墻屋하며 無伐林木하고 無取六畜禾黍器械하며
原注
凡入罪人之地하여 無暴害國內合祀之神祗하고 無行田獵之事하여 傷農而害物하고
無毀傷其土功
하고 無燔燒其墻屋
하며 無
伐其林木
하고 無掠取民之六畜
이라하니
馬, 牛, 羊, 犬, 豕, 鷄也
요 禾黍
는 之在野者
요 器械者
는 民家所用之器物也
라
見其老幼어든 奉歸勿傷하고 雖遇壯者라도 不校勿敵하며
原注
見其老幼之人이어든 奉而歸之하여 勿得傷害하고 雖遇少壯之人이라도 他若不敢相校면 勿與之爲仇敵也라
或曰 不校者는 不與之校也요 勿敵者는 勿與之敵也라하니 亦通이라
蓋王者之師는 誅有罪而弔無罪하니 彼既無罪면 何必與之校며 又何必與之敵哉리오
原注
敵若有傷之者어든 命醫藥調治之하여 而使歸其國이라
原注
既誅有罪之人하면 天子與天下諸侯로 修正其所征之國이라
原注
王者는 往也니 言天下之所歸往也요 霸者는 長也니 爲天下諸侯之長也라
原注
以土地之多寡로 示強弱之形於天下之諸侯니 如天子地方千里요 大國地方百里요 小國地方五十里 是也라
原注
賊殺賢人하고 擾害良民이면 則伐之니 謂聲其罪而致討之也라
原注
壇
은 讀曰
이니 謂置之空墠之地
니 出其君
하고 更立其次賢也
라
原注
田野荒蕪하고 人民逃散이면 則削之니 謂削其地하고 貶其爵也라
原注
負地之險固하여 不肯服從者는 則侵之니 謂偃旗臥鼓而侵之也라
原注
犯上之令하고 陵國之政이면 則杜之니 謂杜塞之하여 使不得與隣國交通也라
原注
已行而躡之曰追요 聚兵而守之曰戍요 以弱假強而能左右之曰以니
原注
인본仁本은 인仁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니, 첫머리에 ‘인본仁本’ 두 글자가 있으므로 인하여 편을 이름하였다.
옛날에 인仁을 근본으로 삼고 의義로써 다스림을 ‘正’이라 하였으니,
原注
옛날에 나라를 다스리고 군대를 다스리는 자는 모두 인仁을 근본으로 삼았다.
인仁은 본심本心의 온전한 덕이요 그 용用은 사랑을 위주로 하니, 사랑은 백성(사람)을 사랑하는 것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물건을 사랑하면 능히 사람을 사랑할 수 있으니, 물건을 사랑하면 나라를 다스리고 군대를 다스림에 있어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옛날에 〈나라를 다스리고 군대를 다스리는 자는〉 반드시 인仁을 근본으로 삼은 것이다.
의義는 마음의 제재制裁요 그 용用은 결단을 위주로 하니, 결단은 일의 마땅함을 따라 다스리는 것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고 군대를 다스리는 자는 반드시 의義로써 다스리는 것이니, 그 바름을 얻는 것을 이른다.
인仁과 의義는 전적으로 말하면 각각 체體와 용用이 있고, 상대하여 말하면 인仁은 체體가 되고 의義는 용用이 된다.
정도正道로 다스려서 뜻을 얻지 못하면 권도權道를 쓰니, 권도權道는 전투에서 나오고 중등中等 이하의 사람에게서는 나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람을 죽여서 사람을 편안히 할 수 있으면 사람을 죽여도 괜찮은 것이요,
原注
정도正道로 다스려서 혹 그 뜻을 얻지 못하면 권변權變의 도道를 사용하여 구제하는 것이다.
권변權變의 도道는 진陣을 치고 싸우는 데에서 나오고 중인中人에게서 나오지 않으니, 중인中人은 중품中品의 사람으로 함께 권도를 쓸 수 없는 자이다.
정正은 만세萬世의 떳떳함이요 권權은 한때의 쓰임이니, 바로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이 인의仁義의 군대를 거느리고서, 권도權道로써 구제한다는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중인中人은 바로 중中을 세우고 중中을 사용하는 사람이니, 전쟁에 권도權道를 쓰는 방도와 다르다.”라고 하니, 그 말이 옳은지는 알지 못하겠다.
내가 생각하건대 중인中人의 위아래에 아마도 빠진 글이나 오자가 있는 듯하니, 우선 이렇게 설명하고 아는 자를 기다리노라.
‘이 때문에 사람을 죽여서 사람을 편안히 할 수 있으면 사람을 죽여도 괜찮다.’는 것은 ‘이 때문에 사람을 죽여서 천하의 사람을 편안히 할 수 있으면 사람을 죽여도 괜찮다.’는 것이다.
예컨대 무왕武王이 주왕紂王을 정벌하고 엄奄나라를 정벌하였으며,
당唐 태종太宗이 고덕유髙德儒를 사로잡아 죄상을 열거하기를 “네가 들판에 있는 새를 가리켜 난새[鸞]라 하여 군주를 속이고 높은 관직을 차지하였으니, 내가 의로운 군대를 일으킴은 바로 너와 같은 간신을 주벌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하고,
그 나머지는 한 사람도 죽이지 않은 따위이다.
예로부터 포악한 군주를 주벌하고 〈도탄에 빠진〉 백성을 위문함은 모두 사람을 죽여서 사람을 편안히 한 것이다.
남의 나라를 공격하여 그 백성을 사랑할 수 있으면 공격해도 괜찮고,
原注
남의 나라를 공격하여 그 백성을 사랑하고 아끼면 공격해도 괜찮은 것이니, 예컨대 무왕武王이 상商나라를 공격하고 그 백성들에게 크게 물건을 내려준 것이 이것이다.
싸움으로써 싸움을 그치게 할 수 있으면 비록 싸우더라도 괜찮은 것이다.
原注
싸움으로써 천하의 싸움을 그치게 할 수 있으면 비록 적과 싸우더라도 괜찮은 것이다.
예컨대 무왕武王이 혁거革車 3백 량輛과 호분虎賁 3천 명을 거느리고 주왕紂王과 한 번 싸워 천하가 평정된 것이 이것이다.
그러므로 인仁이 있으면 사람들이 보고서 친애하고, 의義가 있으면 사람들이 보고서 기뻐하고, 지혜가 있으면 보고서 믿고, 용맹이 있으면 보고서 사방에서 귀의하고, 믿음이 있으면 보고서 믿는다.
原注
그러므로 인仁이 있는 자는 사람들이 보고서 친애하고, 의義가 있는 자는 사람들이 보고서 기뻐하고, 지혜가 있는 자는 사람들이 보고서 의지하고, 용맹이 있는 자는 사람들이 보고서 귀의歸依하고, 믿음이 있는 자는 사람들이 보고서 믿고 복종한다.
안으로 백성이 임금의 사랑을 받음은 나라를 지키는 방법이요,
原注
안에 있는 백성들이 그 군주의 은혜와 사랑을 받는 것은 능히 〈나라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예컨대 조양자趙襄子와 윤탁尹鐸이 진양晉陽을 지키는데, 지백智伯이 진양성晉陽城에 물을 대어서 성城이 물에 잠기지 않은 것이 세 판板(板은 2척尺)뿐이었고, 부엌이 오랫동안 물에 잠겨 개구리가 새끼를 쳤으나 백성들이 배반할 뜻이 없었으니, 이는 모두 윤탁尹鐸의 사랑이 백성들의 마음을 결속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밖으로 병사들이 그 위엄을 두려워함은 적과 싸울 수 있는 방법이다.
原注
밖에 있는 병사들이 군주의 위엄을 두려워함은 능히 싸울 수 있는 방법이니, 이는 국가의 법령이 평소 행해졌기 때문이다.
싸우는 방도는 농사철을 잃지 않게 하며 백성들이 전염병을 앓는 곳을 지나가지 않게 하여야 하니, 이는 자기 백성을 사랑하기 위한 것이요,
原注
진陣을 치고 싸우는 방도方道는 농사철을 잃지 않게 하고 백성들이 전염병을 앓는 곳을 지나가지 않게 하여야 하니, 이는 내 백성을 친애하기 위한 것이다.
국상國喪이 있는 나라에 침공을 가하지 않고 흉한 틈을 타지 않으니, 이는 적의 백성을 사랑하기 위한 것이요,
原注
남의 초상에 침공을 가하지 않고 남의 흉함을 틈타지 않으니, 이는 적의 백성을 사랑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초楚나라 사람이 진陳나라를 정벌하려 하다가 진陳나라에 초상이 났다는 말을 듣고 마침내 중지한 것이 이것이다.
오왕吳王 합려闔閭는 윤상允常이 죽은 틈을 타서 정벌하였으니, 이는 남의 초상에 침공을 가하고 남의 흉함을 틈탄 것이다.
겨울과 여름에 군대를 일으키지 않으니, 이는 적과 우리의 백성을 널리 사랑하기 위한 것이다.
原注
한겨울과 한여름의 매우 춥고 더운 달에는 군대를 일으켜 정벌하지 않으니, 이는 적과 우리의 백성을 널리 사랑하기 위한 것이다.
겸애兼愛는 광애廣愛(널리 사랑한다)라는 말과 같다.
한겨울에 군대를 일으키면 반드시 추위에 피부가 터지고 손가락이 얼어 떨어지는 자가 있으며, 한여름에 군대를 일으키면 반드시 더위를 무릅써 전염병에 걸리는 자가 있으니, 이는 성왕聖王이 이 시기에 전쟁을 삼가는 이유이다.
그러므로 나라가 아무리 크더라도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망하고, 천하가 비록 편안하더라도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로운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비록 나라가 크더라도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망함에 이르니, 예컨대 유호씨有扈氏의 군주가 병력을 믿고 용맹을 좋아하여 사직社稷을 잃은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천하가 비록 편안하더라도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로움에 이르니, 예컨대 승상씨承桑氏의 군주가 덕德만 닦고 무武(국방)를 폐하여 국가가 멸망한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천하가 평정되면 천자가 크게 개선가凱旋歌(개선가)를 불러서
原注
천하가 이미 평정되면 천자가 크게 개선가를 부르고 돌아오니, 개愷는 군대의 음악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군대를 정돈하여 철군하게 하고 개선가를 부르면서 진晉나라로 돌아왔다.” 하였으니, 이는 개愷가 군대의 음악이 됨이 분명한 것이다.
뒷장의 ‘승리하여 뜻을 얻으면 개선가凱旋歌를 부름은 기쁨을 보이는 것이다.’는 것이 이것이다.
봄에 ‘蒐’라는 사냥을 하고 가을에 ‘獮’이라는 사냥을 하며,
原注
봄에 사냥하는 것을 수蒐라 하고 가을에 사냥 하는 것을 선獮이라 한다.
수蒐는 수색한다는 뜻이니 짐승 중에 새끼를 배지 않은 놈을 찾아서 취하는 것이요, 선獮은 죽인다는 뜻이니 가을에 음기陰氣를 순히 하여 죽이는 것으로, 모두 농한기에 하여 무사武事를 익히는 것이다.
제후諸侯가 봄에 군대를 정돈하여 철군하고 가을에 군대를 다스리니,
原注
제후諸侯가 봄철이면 군대를 그치게 하고 가을철이면 군대를 다스린다.
진振은 그침이요 여旅는 무리(군대)이니, 전쟁을 파罷하여 군대를 그치게 해서 돌아옴을 말한 것이다.
原注
천자天子가 봄에 사냥하고 가을에 사냥하며 제후諸侯가 군대를 그치게 하고 군대를 다스림은 모두 전쟁을 잊지 않기 위한 것이다.
옛날에 도망하는 적을 추격할 적에 100보歩를 넘지 않았으며, 퇴군하는 적을 쫓을 적에 삼사三舎(90리)를 넘지 않았으니,
原注
분奔은 패하여 도망함이니, 적의 패배한 군대를 추격할 적에 100보를 넘지 않음을 이른다.
종수縱綏는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주註에 이 내용을 인용하면서 ‘從綏’로 썼고, 유자후柳子厚의 글에 ‘七十而從心’을 인용하면서 또한 ‘縱心’으로 썼으니, 이는 종縱과 종從을 옛날에 통용한 것이다.
수綏는 수레를 모는 말고삐의 끈이니, 바로 여섯 고삐의 끈이다.
옛날에 군대가 후퇴하는 것을 수綏라 하였으니, 물러나 돌아가는 적군을 쫓아갈 적에 90리를 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진晉나라 조돈趙盾이 삼군三軍에게 명하여 모두 나가서 진秦나라와 싸우게 하다가 교수交綏하였다.” 하였는데, 주註에 “군대가 후퇴하는 것을 수綏라 한다.” 하였으니, 진秦나라와 진晉나라가 모두 대비가 있어서 각각 실수를 방비하여 싸우지 않고 쌍방이 모두 물러감을 이른다.
두 나라의 수레와 말과 장수와 병사들이 엄숙히 정돈되어서 각각 고삐를 잡고 진영에 임하여 필전必戰의 기세가 있으면 각각 실수를 방비하기 위하여 서로 후퇴하는 것이니, 이는 싸우지 않고 군대를 후퇴하는 것을 수綏라고 이름한 것이다.
후편에 또 “도망하는 적을 쫓아갈 적에는 그치지 말라.” 하였으니, 축분逐奔, 종분從奔, 종수縱綏 세 가지는 뜻이 서로 비슷하다.
原注
사양하는 마음은 예禮의 단서이니, 양심이 발로되어서 가릴 수 없는 것이다.
도망하는 적을 추격할 적에 100보를 넘지 않고, 후퇴하는 적을 쫓을 적에 삼사三舎를 넘지 않으니, 이는 비단 우리의 군대가 상할까 두려워해서일 뿐이 아니요, 또 저들의 패전을 불쌍히 여겨서 차마 군대를 끝까지 출동시켜 추격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또 사양辭讓의 큰 것이니, 바로 예禮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오직 인의仁義의 군대가 이와 같고, 후세에 적의 패한 틈을 타서 갑옷을 벗지 않고 사흘 동안 추격한 경우가 있으니, 이는 예禮를 밝히는 방도가 아니다.
능하지 못한 자를 끝까지 추격하지 않고, 부상자와 병든 자를 불쌍히 여긴다.
原注
능하지 못한 자를 끝까지 추격하지 않고, 부상당한 자와 병을 앓는 사람(적)을 불쌍히 여기는 것이다.
예컨대 진秦나라와 진晉나라가 싸울 적에 진秦나라 사람이 군대를 은밀히 철수하여 도망하려 하였는데, 조돈趙盾이 황하에서 압박하고자 하였다.
이때 조천趙穿과 서갑보胥甲父가 군문軍門을 가로막고 고함치기를 “사상자를 아직 수습하지 못하고 버림은 은혜롭지 못한 일이요, 싸우기로 약속한 시기를 기다리지 않고 남을 험한 곳에서 압박함은 용맹이 없는 것이다.”라고 하니, 조돈趙盾이 이 말을 듣고 진군秦軍을 압박하지 않은 것이 바로 이 뜻이다.
原注
능하지 못한 자를 끝까지 추격하지 않고 부상자와 병든 적군을 불쌍히 여김은 바로 양심良心의 선善한 마음이 발로된 것이니, 바로 인仁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적이 대열을 이룬 뒤에 북을 쳐 진격하니 이로써 신信을 밝히는 것이요,
原注
적의 군대가 항렬을 이룬 뒤에 북을 쳐서 전진하여, 적이 미처 정돈하지 못한 틈을 타지 않고, 적이 대비하지 못한 것을 기습하지 않으니, 이는 우리의 신信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의로움을 다투고 이로움을 다투지 않으니, 이로써 의義를 밝히는 것이요,
原注
다만 의로움을 다투고 이익을 다투지 않으니, 이는 그 의義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갈백葛伯이 방탕하여 제사를 지내지 않자 탕왕湯王이 사람을 시켜서 소와 양을 보내주었고, 타일他日에 또다시 제사하지 않자 탕왕湯王이 사람을 시켜서 갈葛나라에 가서 농사를 지어주게 하였다.
그런데 갈백葛伯이 한 동자童子를 죽이고 그가 가져온 기장밥과 고기를 빼앗자, 탕왕湯王이 군대를 일으켜 정벌하였으니, 이는 다만 선조에 제사하지 않은 것과 이 동자童子를 죽였기 때문에 정벌했을 뿐이니, 이는 의로움을 다투고 이익을 다투지 않은 것이다.
또 항복한 자를 놓아주니, 이로써 용맹을 밝히는 것이요,
原注
남이 이미 복종하여 항복하였으면 또 놓아주고 죽이지 않으니, 이는 용맹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배반하면 정벌하고 복종하면 놓아준다.”는 것이 이것이다.
일의 끝을 알고 일의 시작을 아니, 이로써 지혜를 밝히는 것이다.
原注
일이 끝나는 이유를 알고 일이 시작하는 이유를 아니, 이는 지혜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여섯 가지 덕德을 가지고 때로 병사들을 모아 가르쳐서 민기民紀(人民이 행해야 할 법칙)의 도道로 삼으니, 이것은 예로부터 시행해오는 정사이다.
原注
육덕六德은 예禮‧인仁‧신信‧의義‧용勇‧지智이다.
육덕六德을 가지고 때로 병사들을 모아 가르쳐서 선왕先王이 민기民紀의 도道를 닦았으니, 이는 바로 예로부터 시행해온 군정이다.
선왕先王의 다스림은 하늘의 도道를 순히 하고 땅의 마땅함을 베풀며 백성 중에 덕이 있는 사람을 벼슬 시켜서 관명을 바로잡고 일을 다스리게 하며, 제후국諸侯國을 세우고 직책을 분별하여 관작에 따라 녹봉을 나누어주어서 제후諸侯들이 기뻐하고 해외海外의 나라들이 와서 복종하며, 옥송獄訟이 줄어들고 병란兵亂이 그치니, 이는 성덕聖德이 지극한 것이다.
原注
옛날 선대 성왕聖王의 다스림은 위로는 하늘의 도道를 순히 따르고 아래로는 땅의 마땅함을 베풀었으니, 이른바 ‘천지天地의 도道를 재성裁成하고 천지天地의 마땅함을 보상輔相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백성 중에 덕이 있는 사람을 벼슬시켜서 관직의 이름을 바로잡고 일을 다스리게 하였으니, ‘백성 중에 덕이 있는 사람을 벼슬시킨다.’는 것은 어진 이에게 맡기고 유능한 자를 부려서 준걸이 지위에 있음을 이른다.
정명正名은 공公‧경卿‧대부大夫‧사士의 명칭을 바로잡는 것이고, 치물治物은 육경六卿이 관직을 나누어서 각각 다스림을 맡는 것이다.
‘나라를 세우고 직책을 분별한다.[立國而辨職]’는 것은 국國은 제후諸侯의 나라를 이르고, 직職은 공公‧후侯‧백伯‧자子‧남男을 이른다.
작위爵位에 따라 녹봉을 나누어주어서 작위가 높은 자는 녹봉을 많게 하고 작위가 낮은 자는 녹봉을 적게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제후諸侯가 기뻐하고 해외의 먼 나라가 와서 복종하며, 옥송獄訟이 줄어들고 갑병甲兵을 사용하는 일이 그치는 것이니, 이는 바로 성덕聖德의 다스림이다.
성聖은 신명神明하여 헤아릴 수 없는 칭호이고, 덕德은 도道를 행하여 마음에 얻음이 있는 것이다.
그 다음은 현명한 왕王(天子)이 예악禮樂과 법도法度를 제정하여 마침내 오형五刑을 만들고,
原注
그 다음은 현명한 왕자王者가 예악禮樂과 법도法度를 제정하여 마침내 묵墨‧의劓‧비剕‧궁宮‧대벽大辟의 다섯 가지 형벌을 제정하였다.
예禮는 도수度數의 절문節文(절도와 형식)이니 백성들에게 중中을 가르치는 것이고, 악樂은 음률의 높고 낮음이니 백성들에게 화和를 가르치는 것이다.
옛날에 예禮가 다섯 가지가 있었으니 길례吉禮‧흉례凶禮‧빈례賓禮‧군례軍禮‧가례嘉禮이고, 옛날에 음악이 여섯 가지가 있었으니 운문雲門‧함지咸池‧대소大韶‧대하大夏‧대호大濩‧대무大武이다.
5는 하늘과 땅의 중간 수이니, 형벌을 반드시 다섯 가지를 사용한 것은 백성들이 중도에 맞게 하고자 한 것이다.
갑병甲兵(군대)을 일으켜서 의義롭지 못한 자들을 토벌하고, 제후諸侯의 나라를 순수하여 사방을 살펴보며 제후諸侯들을 모아 똑같지 않음을 상고하였다.
原注
갑병甲兵을 일으켜서 의롭지 못한 사람을 토벌하고, 제후諸侯가 지키는 나라를 순수하여 방국方國(사방 제후국)의 선善과 악惡을 살피며 천하의 제후諸侯들을 모아 똑같지 않은 자들을 상고하는 것이니,
《
서경書經》의 ‘
오서五瑞를 모은다.’는 것과 ‘밝게 시험하기를
공功으로써 한다.’는
유類가 이것이다.
五瑞
왕명王命을 어기고 떳떳함을 어지럽히며 도덕道德을 위배하고 하늘의 때를 거스르며 공功이 있는 군주(제후)를 위태롭게 하는 자가 있거든,
原注
그 아래에 위(천자)의 명령을 어기고 떳떳한 법을 어지럽히며 도덕을 배반하고 하늘의 때를 순히 하지 않으며 공功이 있는 군주를 위태롭게 하고자 하는 자가 있는 것이다.
제후諸侯들에게 두루 고하여 그의 죄를 드러내어 밝히고,
原注
천하의 제후諸侯들에게 두루 고하여 죄가 있는 사람을 드러내어 밝히는 것이다.
이에 황천皇天과 상제上帝, 일日‧월月과 성星‧신辰에게 제사하여 고하고 후토后土와 사해四海의 신지神祗(天神과 지기地祇)와 산천山川과 총사冢社에 기도하며,
原注
이에 황천皇天과 상제上帝, 일日‧월月, 성星‧신辰에 제사하여 고하고, 후토后土와 사해四海의 신지神祗와 산천山川과 총사冢社에게 기도하는 것이다.
천天은 형체形體로서 말하였고 제帝는 주재主宰로서 말하였다.
일日은 양陽의 정기이고 월月은 음陰의 정기이다.
성星은 오성五星이니, 목성木星을 세성歲星이라 하고 화성火星을 형혹熒惑이라 하고 금성金星을 태백太白이라 하고 수성水星을 진성辰星이라 하고 토성土星을 진성鎮星이라 하는 것이 이것이다.
진辰은 열두 방위이니, 자子를 현효玄枵라 하고 축丑을 성기星紀라 하고 인寅을 석목析木이라 하고 묘卯을 대화大火라 하고 진辰을 수성壽星이라 하고 사巳를 순미鶉尾라 하고 오午을 순화鶉火라 하고 미未를 순수鶉首라 하고 신申을 실침實沈이라 하고 유酉를 대량大梁이라 하고 술戌을 강루降婁라 하고 해亥를 추자陬訾라 하는 것이 이것이다.
사해四海는 동쪽을 창해滄海라 하고 남쪽을 명해溟海라 하고 서쪽을 한해瀚海라 하고 북쪽을 발해渤海라 한다.
혹자는 “무릇 사전祀典에 실려 있는 신지神祗이다.”라고 말한다.
산천山川은 유명한 산과 큰 냇물이니, 오악五嶽과 사독四瀆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原注
선왕先王은 주周나라의 문왕文王, 무왕武王과 같은 분이다.
‘선왕先王에게 나아간다.’는 것은 선조의 사당에 고하는 것이다.
그런 뒤에 총재冢宰가 제후諸侯들에게서 군대를 징발하며 말하기를 “모국某國이 무도無道한 일을 자행하여 정벌하노니, 모년某年 모월某月 모일某日에 군대가 모국某國에 이르러서 천자天子와 모여 형벌을 바로잡는다.”라고 한다.
原注
그런 뒤에 총재冢宰가 제후들에게서 군대를 징발하며 말하기를
“모국某國이 이제 무도無道한 일을 자행하여 마땅히 가서 정벌해야 하니, 모년某年 모월某月 모일某日에 군대가 모국某國에 이르러서 서로 천자天子와 만나 마침내 그에 대한 형벌을 밝혀 바로잡는다.”라고 한다.
총재冢宰는 육경六卿의 우두머리이니,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사해四海를 고르게 하는 자이다.
총재冢宰가 백관百官과 함께 군중軍中에 명령을 선포하기를
“죄인의 땅에 들어가서 신지神祗를 포악히 하지 말고 전렵田獵(수렵)을 행하지 말며, 토목공사를 훼손하지 말고 담장과 지붕에 불을 지르지 말며, 산림에 나무를 베지 말고 육축六畜과 벼와 기장과 기계器械를 취하지 말며,
原注
총재冢宰가 백관百官과 함께 군중軍中에 호령을 선포하기를
“무릇 죄인의 땅(무도한 일을 자행한 제후국)에 쳐들어가서 국내에 마땅히 제사해야 할 신지神祗를 포학히 하지 말고 사냥하는 일을 행하여 농사를 방해하거나 물건을 해치지 말며,
토목공사를 훼손하지 말고 담장과 지붕을 불태우지 말며, 산림의 나무를 베지 말고 백성들의 육축六畜을 노략질하지 말라.” 하였으니,
육축六畜은 말‧소‧양‧개‧돼지‧닭이고, 화서禾黍는 곡식으로 들판에 있는 것이고, 기계器械는 민가民家에서 사용하는 기물이다.
적의 늙은이와 어린이를 보거든 상해하지 말고 받들어 돌려보내고, 비록 건장한 자를 만나더라도 다투려 하지 않거든 적이 되지 말며,
原注
적의 늙은이와 어린이를 보면 상해하지 말고 받들어 돌려보내고, 비록 젊고 건장한 사람을 만나더라도 그가 만약 감히 다투려 하지 않으면 원수와 적이 되지 말아야 한다.
혹자는 말하기를 “불교不校는 적과 더불어 잘잘못을 따지지 않는 것이요, 물적勿敵은 적과 대적하지 말라는 것이다.”라고 하니, 또한 통한다.
왕자王者의 군대는 죄가 있는 자를 주벌하고 죄가 없는 자를 위문하니, 저들이 죄가 없다면 어찌 굳이 다툴 것이 있으며 또 굳이 적이 될 것이 있겠는가.
적이 만약 부상을 당했거든 의약醫藥으로 치료하여 돌려보내라.”라고 한다.
原注
적 중에 만약 부상한 자가 있으면 명하여 의약醫藥으로 조리하고 치료해서 자기 나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죄가 있는 자를 주벌하였으면 왕과 제후諸侯가 그 나라를 닦아 바로잡고,
原注
죄가 있는 사람(제후)을 주벌하였으면 천자가 천하의 제후들과 함께 정벌한 나라를 닦아 바로잡는 것이다.
어진 이를 등용하고 현명한 자를 세워서 그 나라의 직책을 바로잡아 회복하게 한다.
原注
어진 선비를 등용하고 현명한 군주를 다시 세워서 상하의 직책을 바로잡고 회복하는 것이다.
왕자와 패자가 제후를 다스리는 것이 여섯 가지이니,
原注
왕王은 사람들이 몰려간다는 뜻이니 천하 사람들이 가서 귀의하는 바를 말한 것이요, 패霸는 우두머리이니 천하 제후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다.
왕자와 패자가 천하의 제후를 고르게 다스리는 것에 여섯 가지 일이 있다.
토지를 가지고 제후의 강하고 약함을 드러내며,
原注
토지의 넓고 좁음을 가지고 강하고 약한 형태를 천하의 제후들에게 보이는 것이니, 예컨대 천자의 나라는 땅이 사방(넓이) 천 리이고 제후 중에 큰 나라는 땅이 백 리이며 작은 나라는 땅이 오십 리인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정사政事와 법령法令을 가지고 제후들을 고르게 다스리며,
原注
정사政事와 법령法令을 가지고 천하의 제후들을 고르게 다스리는 것이다.
原注
예禮와 신信을 가지고 천하의 제후들을 친애하는 것이다.
재주와 힘이 있는 사람을 가지고 제후들을 설득하며,
原注
재주와 힘이 있는 선비를 가지고 천하의 제후들을 설득하여 회유하는 것이다.
지모가 있는 사람을 가지고 제후들을 동여매며,
原注
지모가 있는 사람을 가지고 천하의 제후諸侯들을 동여매는 것이다.
原注
병기와 갑옷의 힘을 가지고 천하의 제후들을 두렵게 하여 복종시키는 것이다.
환란을 함께하고 이로움을 함께하여 제후들을 모으며,
原注
제후들과 환란을 함께하고 제후들과 이익을 함께하여 천하의 제후들을 회합하는 것이다.
작은 나라를 친애하고 큰 나라를 섬겨서 제후들을 화합하게 한다.
原注
비比는 친애함이니, 작은 나라를 친애하고 큰 나라를 섬겨서 천하의 제후들을 화목하게 하는 것이다.
법도法度와 금령禁令으로 제후들을 모으는 것이 아홉 가지이니,
原注
제후를 회합할 적에 법도와 금령을 사용하는 것이 아홉 가지 일이 있으니, 바로 《주례周禮》 〈대사마大司馬〉에 보이는 구벌九伐의 법이다.
약한 나라를 능멸하고 백성이 적은 나라를 침범하면 재앙을 내리고,
原注
영토와 백성이 적고 약한 나라를 능멸하고 침범하는 자에게는 재앙을 내리니, 사면으로 그 영토(영지)를 삭탈함을 이른다.
原注
어진 사람을 죽이고 양민을 소요騷擾하여 해치면 정벌하니, 그 죄를 성토하여 토벌함을 이른다.
국내의 백성을 포학히 하고 국외의 백성을 능멸하면 그 군주를 빈터에 가두고,
原注
국내의 백성을 포학히 하고 국경 밖의 나라를 능멸하면 그 군주를 빈터에 가두는 것이다.
단壇은 선墠으로 읽는데, 빈 땅에 군주를 가둠을 이르니, 그 군주를 내쫓고 그 다음의 어진 자를 다시 세우는 것이다.
들이 황폐하고 백성들이 흩어지면 깎아 내리고,
原注
밭과 들이 황폐하고 인민이 도망하여 흩어지면 깎아 내리니, 영토를 삭탈하고 작위를 낮춤을 이른다.
지형의 험고함을 믿고 복종하지 않으면 침략하고,
原注
지형의 험고함을 믿고서 복종하려고 하지 않는 자는 침략하니, 깃발을 내리고 북소리를 죽인 채 습격하여 침략함을 이른다.
原注
동성의 친족을 해쳐 죽이면 바로잡으니, 그 죄를 다스림을 이른다.
자기 나라의 군주를 추방하고 시해하면 잔멸하고,
原注
본국의 군주를 추방하고 시해하면 잔멸하니, 그 나라를 잔멸함을 이른다.
천자의 명령을 어기고 정사를 능멸하면 외교를 막고,
原注
윗사람(천자)의 명령을 어기고 나라의 정사를 능멸하면 외교를 막으니, 막아서 이웃 나라와 교통하지 못하게 함을 이른다.
내외가 문란하여 금수禽獸의 행실을 하면 멸망시킨다.
原注
내외가 문란하여 금수와 똑같은 행동을 하면 멸망시키니, 그 나라를 멸하고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을 부숨을 이른다.
原注
“무릇 군대가 죄를 성토하여 토벌하는 것을 벌伐이라 하고, 군대를 은밀히 출동하여 적의 국경으로 쳐들어가는 것을 침侵이라 한다.
두 군대가 서로 접전하는 것을 전戰이라 하고, 성읍을 삥 둘러싸는 것을 위圍라 한다.
적의 국도로 쳐들어가는 것을 입入이라 하고, 조정과 시장을 옮김을 천遷이라 한다.
종묘와 사직을 허무는 것을 멸滅이라 하고, 속이는 방법으로 승리하는 것을 패敗라 한다.
모두 사로잡아 포로로 삼는 것을 취取라 하고, 경무장한 군대로 가서 습격하는 것을 습襲이라 한다.
적이 이미 떠나갔는데 뒤따라가는 것을 추追라 하고, 군대를 모아 지키는 것을 수戍라 하며, 약함으로써 강함을 빌려 좌지우지하는 것을 이以라 한다.
이는 모두 그 사실을 기록하여 경중을 밝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