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童蒙先習

동몽선습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父子有親
하며 子而不父其父하면 리오
雖然이나 天下 父雖不慈
三千이로되 라하시니라.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모와 자식은 하늘이 정해준 친한 관계이기 때문에 〈부모는〉 자식을 낳아서 기르고 사랑하고 가르쳐야 하며, 〈자식은〉 부모를 받들어 부모님의 뜻을 이어가고 효도하면서 봉양해야 한다.
이 때문에 〈부모는〉 자식을 올바른 도리로 가르쳐서 부정한 곳에 발을 들여 놓지 않게 해야 하며, 〈자식은〉 부모에게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려서 고을에서 죄를 얻지 않게 해야 한다.
[출전] ○ 敎之以義方 弗納於邪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은공隱公 3》에 “신은 들으니 자식을 사랑하면 올바른 도리로 가르쳐서 부정한 데 발을 들여놓지 않게 한다고 했습니다.[臣聞 愛子敎之以義方 弗納於邪]”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柔聲以諫 : 《예기禮記내칙內則》에 나오는 문장이다. “부모님께서 과실을 저지르시면 기운을 낮추고 얼굴색을 온화하게 하고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말린다.[父母有過 下氣怡色 柔聲以諫 ]”○ 不使得罪於鄕黨州閭 : 원래의 문장은 “부모로 하여금 고을에서 죄를 짓게 하느니 차라리 끊임없이 말리는 것이 낫다.[與其得罪於鄕黨州閭 寧孰諫]”로 《예기禮記내칙內則》에 나온다.
[해설]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1차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보아 인위적으로 형성된 2차적인 관계(사회적으로 형성된 관계, 예를 들면 군신 관계나 붕우 관계)와 구별하여 하늘이 만들어준 관계라고 파악하고 있다. 2차적인 관계는 의리를 기준으로 부합된 관계이기 때문에 추구하는 목적이 일치하지 않으면 때에 따라서 끊어버릴 수 있지만 1차적인 관계는 어떤 경우에라도 끊을 수 없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이와 같이 규정하는 것은 가족 윤리를 모든 윤리 행위의 출발점으로 삼는 유학 사상의 기본적인 특성이다. 그 때문에 유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부자천합父子天合 군신의합君臣義合(부자관계는 하늘이 맺어준 관계이고 군신관계는 의리를 기준으로 만난 관계라는 뜻)’이라고 하여 부자관계가 군신관계보다 우선하는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때문에 자식이 그릇된 행동을 저지르지 않도록 부모는 자식에게 올바른 도리가 무엇인지 가르쳐야 하고, 또 반대로 자식은 부모의 잘못을 끝까지 말려서 사회에서 부도덕한 사람으로 낙인 찍히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만약 혹시라도 부모이면서 자기 자식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자식이면서 자기 부모를 사랑하지 아니하면 어떻게 세상에서 자립할 수 있겠는가.
비록 그렇지만 천하에는 하지 않은 부모가 없는지라 부모가 비록 자식을 사랑하지 않더라도 자식은 효도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출전] ○ 天下 無不是底父母 父雖不慈 子不可以不孝 : 이 문장은 일찍이 정이程頤(程伊川)가 ‘吾道在南 : 내 도는 남쪽에 있다’고 인정했던 제자 나종언羅從彦이 한 말이다. 《맹자孟子이루상離婁上》에는 임금이 아버지 고수를 잘 섬겨서 마침내 천하를 교화시켰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나종언은 순임금이 이와 같은 효도를 실천할 수 있었던 것은 천하에 하지 않은 부모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내용은 《맹자집주孟子集註》에도 보이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중소羅仲素(羅從彦)가 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단지 천하에 하지 않은 부모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요옹了翁(陳瓘)이 그 말을 듣고 훌륭하게 여겨 이렇게 말했다. 이와 같이 한 뒤에야 천하의 부자父子들이 안정될 수 있다. 신하로서 임금을 시해하고 자식으로서 부모를 시해하는 일들은 항상 〈부모나 임금의〉 하지 않은 부분을 보는 데서 비롯된다.[羅仲素語此云 只爲天下無不是底父母 了翁聞而善之曰 唯如此而後 天下之爲父子者定 彼臣弑其君 子弑其父者 常始於見其有不是處耳]”
[해설] 여기서 은 세상에서 자립한다는 뜻으로 사회적 탄생을 의미한다. 곧 생물학적 탄생을 거쳐 어엿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전통사회에서 가족에 대한 사랑이 그 어떤 가치보다 우선시되었음을 나타내 준다. 하지만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본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유지되었던 반면 자식의 부모 사랑은 상대적으로 약화되기 쉽다. 그 때문에 자식에 대한 사랑보다는 부모에 대한 사랑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는데 그것이 사상이다. 곧 자식에 대한 사랑은 생물학적 본성으로 타고나는 원초적인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사회적인 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부모에 대한 사랑은 2차적으로 학습되지 않으면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다는 가 강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여기서 비록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지 않더라도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지 않아서는 옳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유도 그런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해야만 하는 근거가 곧 천하에는 옳지 않은 부모가 없다는 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여기서 옳다는 표현은 부모가 항상 논리적으로 옳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통유학에서는 논리적인 타당성을 기준으로 시비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기준으로 시비를 가름한다. 곧 천하에 옳지 않은 부모가 없다는 말은 천하에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부모, 곧 자식에게 악의를 가진 부모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모의 행위가 무조건 타당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식에 대한 부모의 무조건적이고 본능적인 사랑을 강조하기 위한 구절로 이해해야 한다.
옛적에 위대하신 임금이 아버지는 완악하고 어머니는 모질어서 일찍이 순을 죽이려 하거늘 순은 효도로써 화합하고 끊임없이 다스려 악한 일을 하지 않게 하셨으니 효자의 도리가 여기에서 지극하였다.
공자께서는 “오형五刑에 해당하는 죄목이 삼천 가지이지만 그 중에서 불효보다 더 큰 죄가 없다.”고 말씀하셨다.
[출전] ○ 克諧以孝 烝烝乂 不格姦 : 《서경書經요전堯典》에 나온다. 장님의 아들인데 아버지는 완악하고 어머니는 모질며 (舜임금의 이복 동생)은 오만한데 효도로 잘 화합하고 끊임없이 다스려 악한 일을 하지 않게 하였다.[瞽子 父頑母嚚 象傲 克諧以孝 烝烝乂 不格姦]○ 孔子曰 五刑之屬 三千而罪莫大於不孝 : 《효경孝經》에 나오는 구절로 불효를 경계하기 위해서 중죄重罪임을 강조한 내용이다.
[해설] 이 부분에서는 앞에서 강조했던 부모에 대한 효도를 직접 실천한 인물이 역사적으로 실존實存한다는 사실을 들어 설득력을 강화하는 한편, 성인인 공자의 말씀을 인용하여 글쓴이의 권위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하나의 주제를 총괄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물론 뒤의 네 조목도 모두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다. 순임금의 효도와 관련된 이야기는 《맹자孟子만장萬章》에 자세히 전한다.순임금의 효도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악을 포용하는 것만이 공동체의 존속과 유지를 보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곧 가까운 사람들과의 갈등을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악인도 같이 살 수 있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유가儒家의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농경 사회에 필요한 조직적인 협력과 공동체의 결속력을 다지기 위해서는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도 인정할 수 있는 통합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天性之親 : 性은 生과 같다. 따라서 天性은 하늘이 만들어 주었다는 뜻이고 之는 관형격 조사로 天性이 親을 수식하는 문장 구조이다. 따라서 “하늘이 만들어준 친한 관계”라고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역주2 生而育之 愛而敎之 : 이 문장의 주어는 부모인데 생략되어 있다. 之는 대명사로 자식을 지칭하며 목적어 구실을 한다. 따라서 “부모는 자식을 낳아서 기르고, 사랑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번역하는 것이 좋다.
역주3 奉而承之 孝而養之 : 이 문장도 위와 같은 구조이지만 여기서의 주어는 자식이고 之는 모두 부모를 지칭하는 대명사이다. 따라서 “자식은 부모를 받들어 뜻을 이어야 하고 효도하면서 봉양해야 한다.”고 번역하는 것이 좋다.
역주4 敎之以義方 : 之는 가르침의 대상이 되는 자식을 지칭하는 대명사이다. 以는 ‘~로써’에 해당하는 기구격 조사이지만 통상 ‘~을, ~를’에 해당하는 목적격 조사로도 쓰인다. 義와 方은 모두 正道, 法 곧 ‘올바른 도리’를 뜻한다. 용례) 方外之士 : 유학 이외의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를 지칭한다.
역주5 弗納於邪 : 자식으로 하여금 부정한 곳에 발을 들여 놓지 않게 함. 이 문장의 주어는 부모이지만 생략되어 있다. 또 弗과 納 사이에는 ‘使子’ 두 글자가 생략되어 있다. 納於邪에서 納은 ‘발을 들여 놓다’, 곧 ‘행위한다’는 뜻이고 於는 ‘~에, ~에서’로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이다. 邪는 正과 반대로 부정한 곳, 부정한 행실 등을 의미한다.
역주6 柔聲以諫 : 以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기구격 조사. 글자의 순서를 바꾸어 以柔聲諫으로 해도 뜻이 통한다. 柔聲은 통상 부드러운 목소리로 번역하지만 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로 보아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다’로 번역해도 무리가 없다.
역주7 不使得罪於鄕黨州閭 : 역시 使와 得사이에 父가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부모님으로 하여금 고을에서 죄를 얻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뜻이다. 鄕黨州閭는 모두 고을의 규모를 나타내는 행정단위이다. 鄕은 1만 2천 5백 가구, 州는 2천 5백 가구, 黨은 5백 가구, 閭는 25 가구가 사는 고을을 의미한다. 물론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기준이 조금씩 다르다.
역주8 苟或 : 苟는 만약, 或은 혹시라도, 모두 부사로서 如或과 같이 쓰인다.
역주9 父而不子其子 子而不父其父 : 而는 동시성을 표시하는 접속사로 우리말의 ‘~이면서’에 해당한다. 따라서 父而는 ‘아버지이면서’, 子而는 ‘자식이면서’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不子其子에서 앞의 子는 ‘자식으로 사랑하다’는 뜻의 동사이면서 서술어이고 뒤의 子는 자식을 의미하는 명사이면서 목적어 구실을 한다. 父雖不慈의 慈도 역시 동사인데 여기서는 목적어에 해당하는 子는 생략되어 있다.
역주10 其何以立於世乎 : 其는 語氣詞로 일종의 조사. 우리말로 옮길 때는 생략하는 것이 좋다. 何以에서 以는 방법을 의미, 따라서 ‘무슨 방법으로’라고 해석한다. 立於世에서 於는 ‘~에서’로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 乎는 통상 의문사로 문장 부호 ‘?’에 해당하지만 여기서처럼 몰라서 묻는 경우가 아닐 경우에는 ‘!’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역주11 無不是底父母 : 是는 善과 같은 뜻. 이 구절은 해설에서 설명한 것처럼 ‘善하지 않은 부모, 곧 악한 부모는 없다’는 뜻으로 이해하여야 올바른 의미가 드러난다. 《孟子集註》에서 주희는 맹자가 강조했던 四端 중의 是非之心을 해설하면서 ‘是 知其善而以爲是 : 옳다는 것은 善하다는 것을 알아서 옳다고 여기는 것’이라고 했고 ‘非 知其不善而以爲非 : 그르다는 것은 善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서 그르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여기서의 是도 논리적인 타당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식에 대한 사랑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底(어조사 저)는 관형격 조사, 따라서 不是가 父母를 수식하는 문장 구조이다.
역주12 子不可以不孝 : 不可는 통상 ‘~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부당성을 표현하기도 하고 ‘~할 수 없다’는 의미로 불가능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앞의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로 번역하는 것이 무난하다.
역주13 昔者 : 옛적에. 이 때 者는 시기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따라서 ‘옛적에’로 번역하는 것이 무난하다. 용례) 近者 : 최근에, 古者 : 옛적에.
역주14 大舜 : 大는 위대하다는 뜻으로 舜을 수식하는 관형사이다. 영어의 ‘great’ 정도에 해당한다.
역주15 父頑母嚚 : 아버지는 완악하고 어머니는 모질다. 頑은 頑惡 곧 완고하여 고칠 수 없는 악행을 의미하며 嚚은 모진 성격을 나타낸다.
역주16 嘗欲殺舜 : 일찍이 舜을 죽이려고 하다. 嘗은 과거시제를 나타낸다. 보통 ‘일찍이’로 번역하지만 때로는 ‘~한 적이 있다’로 번역하든가 아예 번역을 생략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때가 많다. 이 문장의 주어는 앞 구절의 父母이다.
역주17 舜克諧以孝 : 克은 能과 같고 諧는 和와 같다. 원래 《書經》에 나오는 문장으로 《書經》에 나오는 克자는 거의 대부분이 能자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克諧는 잘 화합했다는 뜻. 목적어인 父母는 생략되어 있다. 용례) 克明俊德 以親九族 : 能히 큰 德을 밝혀서 九族을 화목하게 하였다.《書經‧堯典》
역주18 烝烝乂 : 烝烝은 끊임없는 모양을 표시하는 부사, 여기서는 乂를 수식하고 있다. 乂는 刈와 같은데 원래 곡식을 수확한 후 잘라진 모습이 가지런한 것을 표현한 글자이다. 따라서 齊家, 治國, 平天下의 齊, 治, 平과 같은 뜻으로 모두 ‘다스리다’는 동사로 쓰인다.
역주19 不格姦 : 格은 이르다, 또는 바로잡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 문장에는 不과 格 사이에 使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부모)로 하여금 간악함에 이르지 않게 하였다로 번역해야 한다. 용례) 格君心之非 : 임금의 그릇된 마음을 바로잡다. 《孟子》. 이 외에 格이 이르다는 뜻으로 쓰일 경우도 많다. 光被四表 格于上下 : 〈요임금의 덕화가〉 사방에 미치고 상 하[天地]에 이르렀다. 《書經‧堯典》, 格物致知 : 사물상에 나아가서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다.《大學‧經1章》
역주20 孝子之道 : 효자의 도리. 道가 나올 때는 그냥 도라고 번역하지 말고 항상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는 것이 좋다. 도는 여기서처럼 도리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길(周道 : 큰 길), 방법(無他道也 : 다른 방법이 없다), 목적(大學之道 在明明德 : 대학의 목적은 명덕을 밝히는 데 있다), 행복(道不載 : 행복이 구현되지 않는다), 정치적 이념(王道 : 왕도정치, 覇道 : 패도정치), 법칙(天道 : 하늘의 운행 법칙), 다스리다(道千乘之國 : 천승의 나라를 다스리다), 인도하다(道之以德 : 덕으로 인도하다) 등 다양한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그냥 도로만 번역하면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역주21 於斯至矣 : 여기에서 지극하였다. 곧 순임금의 고사를 통해서 효자의 도리가 무엇인지 분명히 알 수 있다는 뜻. 於는 ‘~에서’로 전치사. 矣는 종결사.
역주22 孔子曰 : 앞의 맹자와 마찬가지로 孔은 성이고, 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존칭이다. 공자의 경우는 앞시대에 다른 스승이 없었기 때문에 성을 붙이지 않고 子曰만으로도 모두 孔子曰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역주23 五刑之屬 :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五刑의 등속, 곧 오형의 종류이지만 의미는 오형에 해당하는 罪의 종류를 말한다. 오형은 大辟, 宮刑, 劓刑, 剕刑, 墨刑의 다섯 가지를 말하는데 대벽은 머리를 자르는 斬首刑으로 死刑을 뜻하며, 궁형은 남자는 去勢하고 여자는 생식기능을 제거하는 형, 의형은 코를 베어내는 형벌, 비형은 刖刑이라고도 하는데 발뒤꿈치를 잘라내는 형벌이고, 묵형은 죄목을 이마에 새기는 刺字刑이다. 하지만 통상 오형이라고 하면 이 다섯 가지를 지칭하기 보다는 모든 형벌을 통칭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도 마찬가지이다. 屬은 等屬, 곧 등급이 비슷한 종류를 의미하는 類에 해당하므로 종류이다.
역주24 而罪莫大於不孝 : 죄가 不孝보다 더 큰 것이 없다. 여기서 於는 비교형 조사로 ‘~보다 더’로 번역한다. 용례) 靑取之於藍而靑於藍 氷水爲之而寒於水(푸른 색은 쪽빛에서 나왔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고, 얼음은 물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물보다 더 차다.《荀子‧勸學》)의 경우 앞의 於는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쓰였고, 뒤의 於는 모두 비교형 조사로 쓰였다.

동몽선습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