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孫武子直解

손무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武經直解讀法
○ 讀兵書 要活潑潑地하여 如珠走盤中하여 無一定之理니라
○ 讀兵書 要下手從實做工夫 若只以口誦過 亦濟리오
○ 讀兵書 要將古來名將行過事蹟하여 體貼分曉何人用此而勝하고 何人不用此而敗오라야 庶有益이니라
○ 讀兵法 不可易言之 若易言之 則爲之談兵矣리라
○ 讀兵書 先要識得虛實後 要會用奇正이니 若不識虛實이면 雖能用奇正이라도 亦無以制勝이니라
○ 讀兵書 要知變이니 但知常而不知變이면이니 何益於事리오
○ 讀兵書 要知오하여 每事如此校量이라야 方有得이니라
○ 讀兵書 未讀時 一計不通曉하고 讀了後 又只如此 便是不曾讀이니라
○ 讀兵書兩句하여 子細思量이니 我若無備 敵來必乘我 敵若有備 我如何去攻他리오
書云 惟事事라야 乃有其備 有備라야 無患이라하니 況用兵乎
○ 兵書 非異端之言이라
異端之言 誣民惑衆이어니와 兵書 是戡定禍亂之道 有國者 不可不講이요 爲將者 不可不學이니라
○ 讀兵書 要知得是孫吳權詐之兵이요 甚得是桓文節制之兵이요 甚得是湯武仁義之兵이니 將此三者하여 心融意會라야 方可爲將이니라
○ 讀兵書 要知之法이니 我誤則彼勝하고 彼誤則我勝이라
古人爲人所誤者甚多하니 此處 不可不着意니라
○ 兵書 是許多大事어늘 今人 却輕易看過하여 便要料敵制勝이나 到得臨陳하여는 却不理會得이니라
○ 兵書 全在道天地將法五事하니 雖湯武 亦不離此
今人因此하여 看得輕易하니 道字 語大 不可載 語小 不可破니라
○ 讀兵書 皮膚하고 便說道他知兵이면 只是自欺니라
○ 讀兵書 要曉八如何用하여 知得根本하고 方可學則箇陳法이니 如此 則方亦勝이요 圓亦勝이며 리라


무경칠서직해武經七書直解를 읽는 방법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요컨대 활용을 잘하여 구슬이 쟁반 가운데 구르는 것과 같이 일정한 이치가 없게 하여야 한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손을 써서 실제로 공부를 하여야 하니, 만약 다만 입으로만 외우고 지나가면 또한 무슨 일을 이룰 수 있겠는가.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요컨대 옛날 명장들이 실행해온 사적을 가지고 어떤 사람은 이 방법을 사용하여 승리하였고 어떤 사람은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아니하여 패하였는가를 자세히 체인體認하여 분명히 알아야 유익할 것이다.
병법兵法을 읽을 적에는 쉽게 말해서는 안 되니, 만약 쉽게 말하면 조괄趙括이 병법을 말한 것이 된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먼저 ㆍ實을 안 뒤에 ㆍ正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하니, 만약 ㆍ實을 알지 못하면 비록 ㆍ正을 사용하더라도 또한 승리할 수가 없는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요컨대 변통할 줄을 알아야 하니, 정상적인 방법만 알고 변통할 줄을 알지 못하면 마치 뱃전에 표시해놓고 을 찾는 것과 같으니, 어찌 일에 유익함이 있겠는가.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요컨대 한신韓信배수진背水陣은 어떻게 하여 승리를 취하였고 고조高祖의 배수진에 이르러서는 어떻게 하여 실패하였는가를 알아서 매사를 이와 같이 비교하고 헤아려야 비로소 얻음이 있을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읽기 전에도 한 계책도 통달하지 못하고 읽고 난 뒤에도 이와 같다면 이것은 바로 읽지 않은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적이 대비함이 없는 곳을 공격하고 적이 뜻하지 않은 곳으로 출동하여야 한다.’는 두 구절을 가지고 자세히 생각하고 헤아려야 하니, 우리가 만약 대비함이 없으면 적이 와서 반드시 우리를 노릴 것이요, 적이 만약 대비함이 있으면 우리가 어떻게 가서 저들을 공격할 수 있겠는가.
서경書經》 〈상서商書 열명說命〉에 이르기를 ‘대비함이 있어야 근심이 없다.’ 하였으니, 하물며 용병用兵에 있어서랴.
병서兵書이단異端의 말이 아니다.
이단의 말은 백성을 속이고 사람들을 의혹하게 하지만, 병서兵書와 혼란을 이겨 평정하는 방도이니, 나라를 소유한 자가 강구하지 않을 수 없고 장수將帥 된 자가 배우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요컨대 무엇이 손자孫子오자吳子권도權道와 속임수의 군대이며, 무엇이 환공桓公 문공文公절제節制하는 군대이며, 무엇이 탕왕湯王무왕武王인의仁義의 군대인가를 알아야 하니, 이 세 가지를 가지고 마음속으로 이해하고 생각하여 알아야 비로소 장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요컨대 ‘다방면으로 을 그르치는 방법’을 알아야 하니, 내가 그르치면 적이 승리하고 적이 그르치면 내가 승리하는 것이다.
옛사람 중에 남에게 그르침을 당한 경우가 매우 많으니, 이곳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병서兵書는 얼마나 중요한 것인데, 지금 사람들은 도리어 가볍고 쉽게 간과하면서 곧바로 적을 헤아려서 승리하려 하나, 진영을 배치하게 되면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병서兵書는 전적으로 ㆍ天ㆍ地ㆍ將ㆍ法 다섯 가지 일에 달려있으니, 비록 탕왕湯王무왕武王이라도 또한 이것을 떠날 수가 없는 것이다.
손자孫子도자道字를 가지고 다만 ‘백성들로 하여금 윗사람과 뜻을 같이하여 함께 죽을 수도 있고 함께 살 수도 있다고 여겨 위태로움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지금 사람들은 이로 인하여 도자道字를 너무 가볍고 쉽게 보는데, 도자道字는 크게 말하면 너무 커서 실을 수가 없고 작게 말하면 너무 작아서 깨뜨릴 수가 없는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음에 겨우 겉만 깨닫고 곧바로 자신이 병법을 안다고 말하면 단지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다.
병서兵書를 읽을 적에는 팔진八陣육화진六花陣을 어떻게 운용하는가를 알아서, 근본根本을 알아야 비로소 진법陣法을 배울 수 있는 것이니, 이와 같으면 방형方形으로도 승리하고 원형圓形으로도 승리하며 양장羊腸으로도 승리하고 거치鋸齒으로도 승리할 것이다.


역주
역주1 : 삼
역주2 趙括(괄) : 전국시대 趙나라 장수로 名將인 馬服君 趙奢의 아들이다. 趙奢에게 兵法을 배웠으나 兵法을 쉽게 말하며 신중한 태도가 없으므로, 趙奢는 趙나라에서 만일 趙括을 장수로 임명하면 반드시 패전할 것이라고 우려했었는데, 뒤에 廉頗를 대신하여 장수가 되고 秦나라의 白起와 싸우다가 속임수에 넘어가 대패하고 자신도 죽임을 당하였다.
역주3 : 괄
역주4 刻舟而求劍 : 미련한 사람이 배 위에서 劍을 놓쳐 잃고는 劍을 잃은 곳의 뱃전을 칼로 깎아 표시해놓았다가 배가 정박한 다음 물속으로 뛰어들어 뱃전에 표시해두었던 곳에서 찾으려 했다는 故事로, 고지식하고 미련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呂氏春秋》 〈察今〉에 보인다.
역주5 韓信背水陳……如何却敗了 : 韓信은 趙나라의 成安君 陳餘와 井陘에서 싸울 적에 背水陣을 쳐서 大勝을 거둔 반면, 漢 高祖 劉邦은 楚나라의 項羽와 睢水에서 싸울 적에 背水陣을 쳤다가 大敗한 일을 가리킨다. ‘陳’은 ‘陣’의 뜻이다.
역주6 攻其無備 出其不意 : 위의 두 句는 《孫武子》 〈始計〉篇에 보인다.
역주7 : 삼
역주8 多方以誤之 : 春秋시대 楚나라에서 滅門의 禍를 당하고 吳나라로 망명한 伍員은 吳王 夫差에게 楚나라를 토벌할 계책으로 “자주 습격하였다가 후퇴하여 저들을 지치게 하고 여러 방법으로 저들을 그르치게 하여, 저들이 지친 뒤에 三軍이 뒤를 이어 공격하면 반드시 크게 승리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그의 계책을 따른 결과 楚나라는 큰 곤경에 빠졌다. 《春秋左氏傳 魯 昭公 30년》
역주9 孫子……而不畏危 : 이 내용은 《孫武子》 〈始計〉篇에 보인다.
역주10 : 纔(겨우)와 같다.
역주11 : 사
역주12 八陳六花陳 : 八陳은 여덟 개의 陣形으로 諸葛亮이 만들었는데, 洞當ㆍ中費ㆍ龍騰ㆍ鳥飛ㆍ折衝ㆍ虎翼ㆍ握機ㆍ天衡이며, 天ㆍ地ㆍ風ㆍ雲ㆍ龍ㆍ虎ㆍ鳥ㆍ蛇라고도 한다. 六花陳은 李靖이 諸葛亮의 八陳을 근거하여 만든 것으로 中軍을 합하여 7軍이 되기 때문에 七軍陣이라고도 한다. 밖에 위치한 6軍은 正兵, 나머지 안에 있는 中軍은 奇兵으로 배치한다. 《李衛公問對》 中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3 羊腸亦勝 鋸齒亦勝 : 羊腸과 鋸齒는 모두 陣의 이름으로, 羊腸은 羊의 창자처럼 꼬불꼬불한 지형에 진을 치는 것이고, 鋸齒는 톱니 모양으로 진을 침을 이른다.

손무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