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宋之諸儒 言兵事
하고 策戰略也
에 莫不
而折(衷)[衝]之
하니 則儒而不知兵
이면 非通儒也
라 
                        		
                        		
                        		
	                     		
			                       	
			                       	
	                     		
	                     		
		                        
                        	
                        	
                        	
                        	
                        		
                        			
                        			
			                        
			                        	昔孫武著書十三篇에 凡攻守戰備之要 在於知彼知己知天知地之理라
			                         
                        		
                        		
                        		
	                     		
			                       	
			                       	
	                     		
	                     		
		                        
                        	
                        	
                        	
                        	
                        		
                        			
                        			
			                        
                        		
                        		
                        		
	                     		
			                       	
			                       	
	                     		
	                     		
		                        
                        	
                        	
                        	
                        	
                        		
                        			
                        			
			                        
                        		
                        		
                        		
	                     		
			                       	
			                       	
	                     		
	                     		
		                        
                        	
                        	
                        	
                        	
                        		
                        			
                        			
			                        
			                        	近閱趙君羲純所撰註釋하니 本諸儒術하고 參以武經하여 辨難舊註之穿鑿하고 折衷群言之同異하며 間附己意하여 發前未發者多하고 迂直岐逕이 井井若航海之分針이라
			                         
                        		
                        		
                        		
	                     		
			                       	
			                       	
	                     		
	                     		
		                        
                        	
                        	
                        	
                        	
                        		
                        			
                        			
			                        
                        		
                        		
                        		
	                     		
			                       	
			                       	
	                     		
	                     		
		                        
                        	
                        	
                        	
                        	
                        		
                        			
                        			
			                        
                        		
                        		
                        		
	                     		
			                       	
			                       	
	                     		
	                     		
		                        
                        	
                        	
                        	
                        	
                        		
                        			
                        			
			                        
			                        	於書無不讀
하고 讀而悟其眞諦
하여 하여 妙有自得之神
이요 而尤長於
하여 分析古作者微奧
하여 釐爲一家之藏
하니 雖謂之
이라도 未爲侈語也
라 
                        		
                        		
                        		
	                     		
			                       	
			                       	
	                     		
	                     		
		                        
                        	
                        	
                        	
                        	
                        		
                        			
                        			
			                        
			                        	要余訂定
하여 弁之于卷
하니 余以爲
하고 로되 而以余所未嘗學者
로 顧安所質劑於此乎
아 
                        		
                        		
                        		
	                     		
			                       	
			                       	
	                     		
	                     		
		                        
                        	
                        	
                        	
                        	
                        		
                        			
                        			
			                        
			                        	然竊自有得於涉獵中일새 略敍兵家源委하여 以明儒者不得不知하노라
			                         
                        		
                        		
                        		
	                     		
			                       	
			                       	
	                     		
	                     		
		                        
                        	
                        	
                        	
                        	
                        		
                        			
                        			
			                        
			                        	 라하니 夫甲冑干櫓之尙忠信禮義
는 是爲用兵之本
이니 讀兵者又不可不知此也
라 
			                         
                        		
                        		
                        		
	                     		
			                       	
			                       	
	                     		
	                     		
		                        
                        	
                        	
                        	
                        	
                        		
                        			
                        			
			                        
                        		
                        		
                        		
	                     		
			                       	
			                       	
	                     		
	                     		
		                        
                        	
                        	
                        	
                        	
                   			
                        	
                        	
                        	
                        	
	                       	
	                       	
	                       	
	                       	
							                       	
	                        
	                        
	                        	
	                        
	                        	
	                        
	                        	
	                        
	                        	
	                        
	                        	
	                        
	                        	
	                        
	                        	
	                        
	                        	
	                        
	                        	
	                        
	                        	
	                        
	                        	
	                        
	                        	
	                        
	                        	
	                        
	                        	
	                        
	                        	
	                        
	                        	
	                        
	                        	
	                        
	                        	
	                        
	                        	
	                        
	                        	
	                        
	                        	
	                        
	                        	
	                        
	                        	
	                        
	                        	
	                        
	                        	
	                        
	                        	
	                        
	                        	
	                        
	                        	
	                        
	                        	
	                        
	                        	
	                        
	                        
	                        
                        	
		                        
		                        
		                        
		                        
                        		
                        	
		                        
		                        
		                        
		                        	
		                        	
		                        
		                        
                        		
                        		
                        			
			                             
                        			
                        		
                        		
	                     		
			                       	
			                       	
	                     		
		                        
                        	
		                        
		                        
		                        
		                        
                        		
                        	
		                        
		                        
		                        
		                        	
		                        	
		                        
		                        
                        		
                        		
                        			
			                        
			                        	지수地水의 상象이 복희伏羲와 문왕文王에게서 시작되었고, 감비甘費의 글이 우왕禹王과 주周나라 때에 가법家法이 되었으니, 이는 참으로 오래되었다.
			                              
                        			
                        		
                        		
	                     		
			                       	
			                       	
	                     		
		                        
                        	
		                        
		                        
		                        
		                        
                        		
                        	
		                        
		                        
		                        
		                        	
		                        	
		                        
		                        
                        		
                        		
                        			
			                        
			                        	태공太公이 도략韜略을 짓고 오자吳子(吳起)가 병법兵法을 논할 적에 반드시 도덕道德과 인의仁義를 말하였고, 중니仲尼의 문사文事와 무비武備와 맹씨孟氏의 지리地利와 인화人和는 모두 천고千古에 없앨 수 없는 도금韜靲(韜略)이다.
			                              
                        			
                        		
                        		
	                     		
			                       	
			                       	
	                     		
		                        
                        	
		                        
		                        
		                        
		                        
                        		
                        	
		                        
		                        
		                        
		                        	
		                        	
		                        
		                        
                        		
                        		
                        			
			                        
			                        	한漢‧송宋의 여러 학자들은 병사兵事를 말하고 전략戰略을 계책할 적에 존조尊俎에서 절충折衝하지 않음이 없었으니, 학자로서 병법兵法을 알지 못하면 통달한 선비가 아니다.
			                              
                        			
                        		
                        		
	                     		
			                       	
			                       	
	                     		
		                        
                        	
		                        
		                        
		                        
		                        
                        		
                        	
		                        
		                        
		                        
		                        	
		                        	
		                        
		                        
                        		
                        		
                        			
			                        
			                        	옛날 손무孫武가 병서兵書 13편篇을 지었는데, 공격과 수비, 전투에 대비하는 모든 요점이 적敵을 알고 자기를 알며, 천시天時를 알고 지리地理를 아는 데 있었다.
			                              
                        			
                        		
                        		
	                     		
			                       	
			                       	
	                     		
		                        
                        	
		                        
		                        
		                        
		                        
                        		
                        	
		                        
		                        
		                        
		                        	
		                        	
		                        
		                        
                        		
                        		
                        			
			                        
			                        	이른바 ‘적이 오도록 만들고 적에게 끌려가지 않는다.’라는 것과, ‘병력을 나타냄이 지극함은 형체가 없음에 이르는 것이다.’ 등의 말은 모두 우리 유가儒家의 정론正論에서 나왔으니, 네 가지 이로움과 일곱 가지 계산함과 아홉 가지 변함과 다섯 가지 간첩間諜의 비밀스러운 묘리뿐만이 아니다.
			                              
                        			
                        		
                        		
	                     		
			                       	
			                       	
	                     		
		                        
                        	
		                        
		                        
		                        
		                        
                        		
                        	
		                        
		                        
		                        
		                        	
		                        	
		                        
		                        
                        		
                        		
                        			
			                        
			                        	장구章句를 나누어 해석함과 뜻을 수정하고 보충한 것은 제가諸家의 주해註解에 이미 구비되어 있다.
			                              
                        			
                        		
                        		
	                     		
			                       	
			                       	
	                     		
		                        
                        	
		                        
		                        
		                        
		                        
                        		
                        	
		                        
		                        
		                        
		                        	
		                        	
		                        
		                        
                        		
                        		
                        			
			                        
			                        	근간에 조군趙君 희순羲純이 지은 주석을 보니, 유학儒學에 근본하고 무경武經을 참작해서 옛 주석의 천착穿鑿함을 변론하고 여러 말의 동이同異를 절충하였으며, 중간에 자기 뜻을 붙여서 예전에 아직 드러내지 못한 뜻을 발명함이 많았고, 우회와 직선, 갈림길과 오솔길이 분명하여 항해航海의 분침分針과 같았다.
			                              
                        			
                        		
                        		
	                     		
			                       	
			                       	
	                     		
		                        
                        	
		                        
		                        
		                        
		                        
                        		
                        	
		                        
		                        
		                        
		                        	
		                        	
		                        
		                        
                        		
                        		
                        			
			                             
                        			
                        		
                        		
	                     		
			                       	
			                       	
	                     		
		                        
                        	
		                        
		                        
		                        
		                        
                        		
                        	
		                        
		                        
		                        
		                        	
		                        	
		                        
		                        
                        		
                        		
                        			
			                        
			                        	조군趙君은 무신武臣의 이름으로 선비의 행실을 하는 자이다.
			                              
                        			
                        		
                        		
	                     		
			                       	
			                       	
	                     		
		                        
                        	
		                        
		                        
		                        
		                        
                        		
                        	
		                        
		                        
		                        
		                        	
		                        	
		                        
		                        
                        		
                        		
                        			
			                        
			                        	책을 읽지 않은 것이 없고, 읽으면 그 참된 뜻을 깨달아서 식견이 고매하여 스스로 터득하는 신묘함이 있고, 더더욱 동보同甫의 병법兵法을 논함과 서산西山의 진법陣法을 부연함에 장점이 있어서 옛날 작자作者들의 은미하고 심오한 뜻을 분석하여 한 사람의 장서藏書로 정리하여 만드니, 비록 후세의 자운子雲이라고 평하더라도 지나친 말이 되지 않을 것이다.
			                              
                        			
                        		
                        		
	                     		
			                       	
			                       	
	                     		
		                        
                        	
		                        
		                        
		                        
		                        
                        		
                        	
		                        
		                        
		                        
		                        	
		                        	
		                        
		                        
                        		
                        		
                        			
			                        
			                        	나에게 이것을 수정하여 책의 머리글을 써줄 것을 요구하니, 내 생각건대 자유子游의 《시서詩序》가 모씨毛氏의 전의箋義에 취해졌고 강성康成의 예소禮疏가 진씨秦氏의 《통고通考》에 산정刪正되었으나, 나는 일찍이 병서兵書를 배우지 않은 자로서, 돌아보건대 어찌 여기에 대해 질정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적이 이 책을 섭렵하는 가운데 얻음이 있었으므로 병가兵家의 원류源流를 간략히 서술하여 선비가 병법兵法을 알지 않으면 안 됨을 밝히는 것이다.
			                              
                        			
                        		
                        		
	                     		
			                       	
			                       	
	                     		
		                        
                        	
		                        
		                        
		                        
		                        
                        		
                        	
		                        
		                        
		                        
		                        	
		                        	
		                        
		                        
                        		
                        		
                        			
			                        
			                        	오기吳起가 말하기를 “선비는 충신忠信으로써 갑주甲冑를 삼고 예의禮義로써 방패를 삼는다.” 하였으니, 갑주甲冑와 방패를 사용하면서도 충신忠信과 예의禮義를 숭상함은 이것이 용병用兵하는 근본이 되니, 병서兵書를 읽는 자가 또 이것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