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政經

정경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肅廟御製政經贊(幷小序)
宋文忠公眞德秀心政二經 梓行久矣 然而政經 首以經訓하고 其下附錄 固多切要 而其皆出於文忠之手訂 有未可知者하니 心經篇末程敏政所云是也 乃以經訓作贊하고 仍次四韻이라
經訓贊
一編之首
古訓炳炳하니
節用愛人
寔爲綱領이라
千古格言하니
大哉孔聖이여
約而盡矣하니
何有爲政이리오
次眞文忠公韻
邦家休戚係生民하니
百里分憂日與親이라
爲政必先嚴律己하고
居官須貴謹持身이라
簡廉未易人多困하고
貪墨成風吏寡循이라
誠以撫摩如視子
自然感惠若逢春이라
歲在戊子冬十二月丙寅題


숙종肅宗 어제御製정경政經≫찬(짧은 서문을 병기하다)
나라 문충공文忠公 과 ≪정경政經≫ 두 책이 간행된 지 오래이다. 그러나 ≪정경≫은 경전經傳의 가르침을 앞에 놓고 그 아래에 붙여 기록한 것들이 실로 대부분 긴요하고 절실하지만 모두 문충공의 직접적인 수정修訂을 거쳐 나온 것인지는 알 수 없으니, ≪심경부주心經附註≫의 편말篇末에서 이 이것이다. 이에 경전의 가르침으로 을 짓고 이어 사운시四韻詩 1차운次韻한다.
경훈찬
한 책의 첫머리에
고인의 가르침이 분명하니

이것이 강령이 되었네
이에 천고의 격언이 되었으니
위대하도다 공성이여
그 말씀 간략하면서도 뜻이 극진하였으니
정사를 함에 무슨 어려움이 있으랴
문충공文忠公의 시에 차운次韻하다
나라의 기쁨과 근심은 백성에게 달렸으니
날로 백성을 친근히 대해야 하네
정사를 하려면 반드시 먼저 자신을 엄히 단속해야 하고
관직에 있을 때는 모름지기 몸가짐을 조심해야 한다네
쉽지 않으니 곤궁한 사람 많아지고
탐욕이 풍속을 이루면 가 적어진다네
진실로 쓰다듬어 돌보기를 자식처럼 한다면
자연히 감화되어 온화한 봄빛을 만난 듯 편안하리
무자년(1708, 숙종 34) 겨울 12월 병인일에 적다


역주
역주1 眞德秀 : 1178~1235. 南宋의 학자로 建州 浦城 사람이다. 자는 景元․希元이고, 호는 西山이며, 시호는 文忠이다. 벼슬이 參知政事에 이르렀으며 강직하기로 유명하였다. 朱子學派의 학자로 그가 남긴 저술 가운데 ≪大學衍義≫, ≪心經≫ 등은 조선 儒學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 외 ≪唐書考疑≫, ≪讀書記≫, ≪政經≫ 등의 저술이 있다.
역주2 心經 : ‘마음을 다스리는 글’이란 뜻으로 원래 南宋의 朱子學派인 西山 眞德秀가 四書와 三經, 그리고 周濂溪와 程伊川, 范浚, 朱子의 글에서 마음공부[心學]에 관한 내용을 모아 편집한 책인데, 明나라 초기의 성리학자인 篁墩 程敏政이 이에 관계되는 해석과 송나라 유학자들의 학설을 발췌하고 보완하여 ≪心經附註≫라 명명하였다.
역주3 程敏政 : 1445~1499. 明나라 때의 학자로 安徽省 徽州府 休寧 사람이다. 자는 克勤, 호는 篁墩이다. 벼슬이 禮部右侍郞 兼侍讀學士에 이르렀다. 陸九淵의 學派로 알려져 있고, 朱熹 또한 尊崇하였다. ≪篁墩集≫을 비롯한 저술이 매우 많으나, 眞德秀의 ≪心經≫에 대한 諸家의 註를 종합․보완한 ≪心經附註≫가 가장 유명하다.
역주4 程敏政이 한 말 : 程敏政이 ≪心經附註≫를 편찬하고 그 말미에 붙인 〈心經後序〉에서 “西山先生의 ≪心經≫과 ≪政經≫ 두 책이 간행된 지 이미 오래이다. 그러나 일찍이 자세히 살펴보니 ≪심경≫은 선생이 스스로 지은 贊이 있어서 직접적인 修訂을 거쳐 나왔다는 데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정경≫과 같은 경우에는 비록 경전의 가르침을 앞에 놓았지만 漢ㆍ晉ㆍ隋ㆍ唐나라 수령들의 일을 붙이고 무릇 선생이 역임했던 州郡에 榜文으로 揭示하고 諭示했던 글들 또한 섞어 붙였으니, 스스로 經이라 명명한 것은 옳지 않은 듯하다. 아마 선생은 經書와 史書 가운데 백성을 다스리는 요점이 되는 내용을 손수 기록한 뒤에 보고 살피는 데에 대비하려 했는데, 후인들이 附會하여 책으로 만든 다음 ≪심경≫과 서로 짝하게 하려 했던 까닭이 아니겠는가.[西山先生心政二經 梓行已久 然嘗諦觀之 心經 有先生所自贊 其出于手訂 無可疑者 若政經則雖首以經訓 而附以漢晉隋唐守令之事 凡先生所歷州郡榜示諭告之文 亦雜附之 乃自名之爲經 竊恐未然 豈先生 嘗手錄經史牧民之要 備省覽 而後人 附會以成之 欲與心經相媲故邪]”라고 한 말을 가리킨다.
역주5 쓰기를……사랑함 : ≪論語≫ 〈學而〉의 “千乘의 나라를 다스리되 일을 공경하고 믿게 하며, 쓰기를 절도 있게 하고 백성을 사랑하며, 백성을 부리기를 때에 맞게 하여야 한다.[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라는 구절에서 온 말이다.
역주6 백……나누어 : ‘백 리’는 옛날 한 縣의 관할지가 백 리였던 데서 유래하여 흔히 郡縣을 가리키는 말로 轉用된다. ‘근심을 나눈다’는 것은 임금의 근심을 분담한다는 뜻으로, 지방관이 된 것을 이른 말이다.
역주7 간략하고 방정한 德 : 간략하고 방정하게 시행하는 政事로, 皐陶가 禹임금에게 진언한 아홉 가지 덕[九德] 가운데 하나이다. 아홉 가지 덕은 너그러우면서도 장중함[寬而栗], 유순하면서도 꼿꼿함[柔而立], 삼가면서도 공손함[愿而恭], 잘 다스려지면서도 공경함[亂而敬], 익숙하면서도 굳셈[擾而毅], 곧으면서도 온화함[直而溫], 간략하면서도 방정함[簡而廉], 굳세면서도 독실함[剛而塞], 강하면서도 의를 좋아함[彊而義]이다.(≪書經≫ 〈皐陶謨〉)
역주8 循吏 : 법을 지키고 이치를 따라 公法을 잘 수행하는 관리를 말하는데, 漢나라 때에 특히 순리가 많아서 모두 법률 문안 적용에 유능하였다고 한다. ≪史記≫ 권130 〈太史公自序〉에 “법을 지키고 이치를 따르는 관리는 자신의 공을 자랑하지 않고 재능을 과시하지 않아서 백성들이 칭송하지 않고 또한 과실도 없다.[奉法循理之吏 不伐功矜能 百姓無稱 亦無過行]”라고 하였다.

정경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