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推句

추구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日華川上動이요
風光草際浮
明月松間照
淸泉石上流


햇빛은 시냇물 위에서 넘실거리고
바람 빛은 풀 사이에 떠 있다네.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로 비추고
맑은 샘은 돌 위를 흐르는구나.


신습
한자
[華]艸 총12획, 꽃 화; 화실華實, 춘화春華. | 빛날 화; 화미華美, 광화光華. | 번성할 화; 화사華奢, 영화榮華.
[川]巛 총3획, 내 천; 천곡川谷, 하천河川.
[際]阜 총14획, 사이 제; 제반際畔, 국제國際. | 사귈 제; 제우際遇, 교제交際.
[照]火 총13획, 비칠 조; 조명照明, 관조觀照.
[泉]水 총9획, 샘 천; 천원泉原, 온천溫泉.
[石]石 총5획, 돌 석; 석불石佛, 호석互石.
[流]水 총9획, 흐를 류; 유행流行, 조류潮流.
감상
1, 2 구 : 사현휘(謝玄暉)의 〈화서도조(和徐都曹)〉라는 시의 일부이다. 빛의 파장은 눈으로 감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햇빛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없는데, 물에 햇빛이 비치면 물결이 일렁일 때마다 빛이 반사되어 물결이 반짝이며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시인은 햇빛이 물 위에서 넘실거린다고 한 것이다. 바람 역시 빛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촉촉히 윤기가 흐르는 풀잎이 바람에 흔들리면 그것에 따라 풀잎에 감도는 영롱한 빛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바람 빛이 풀 위에 떠 있다고 본 것이다. 아침 햇빛이 물결 위에서 찬란히 빛나고, 또 햇빛을 받은 방초 위를 부는 바람은 싱싱하게 자라는 풀밭을 마치 물결인양 일렁이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사현휘(謝玄暉, 464~499)
중국 남조(南朝)때 남제(南齊)의 시인. 이름은 조(脁)이며 현휘(玄暉)는 그의 자(字)이다. 오언시(五言詩)를 잘 썼으며, 선성(宣城)의 태수가 되었으므로 사선성(謝宣城)이라고도 불렀다. 문집으로는 《사선성집(謝宣城集)》5권이 있다.
화서도조和徐都曹
완락가오유宛洛佳遨遊 : 완땅이나 낙양이 놀기 좋지만
춘색만황주春色滿皇州 : 황주에도 봄 빛은 가득하다네.
결진청교로結軫靑郊路 : 수레 타고 푸른 들길로 나와
회감창강류回瞰蒼江流 : 돌아보니 푸른 강이 흐르고 있네.
일화천상동日華川上動 : 햇빛은 시냇물 위에서 넘실거리고,
풍광초제부風光草際浮 : 바람 빛은 풀 사이에 떠있다네.
도이성혜경桃李成蹊徑 : 복숭아 오얏꽃 지름길을 이루고,
상유음도주桑楡廕道周 : 온통 길에는 뽕나무 느릅나무 그늘지네.
동도이숙재東都已俶載 : 동도엔 이미 농사가 시작되니,
언귀망록주言歸望綠疇 : 돌아가 푸른 밭두둑 바라볼라네.
3, 4 구 : 왕유(王維)의 〈산거추명山居秋暝〉이라는 시에 나오는 구절이다. 왕유는 당시 관리생활을 하면서도 광대한 별장을 가지고 은일생활을 즐겼다고 하는데, 이 시는 어느 가을 저녁에 별장에서 느껴지는 경치를 노래한 것이다.
※ 왕유(王維, 699~759)
중국 당(唐)나라의 궁정시인. 자(字)는 마힐(摩詰)이며, 산서성(山西省) 태원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었다고 함. 개원 9년에 진사가 되었고, 좌습유, 관찰어사, 이부랑중을 거쳐 천보 원년에 급사중(給事中)이 되었다. 왕유는 관리가 된 뒤에 도성의 동남쪽 섬서성 남전현 종남산에 망천장이라는 별장을 가졌는데, 매우 광대하였다고 한다. 저서로는 《왕우승집(王右丞集)》6권이 있다.
산거추명山居秋暝
공산신우후空山新雨后 : 쓸쓸한 가을산에 비가 그치니,
천기만래추天氣晩來秋 : 해질녘 날씨는 가을 기분이 도네.
명월송간조明月松間照 :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로 비추고
청천석상류淸泉石上流 : 맑은 샘은 돌 위를 흐르는구나.
죽훤귀완녀竹喧歸浣女 : 대숲의 수다는 빨래하던 아낙들 돌아가는 것일 게이고,
연동하어주蓮動下漁舟 : 연잎의 일렁임은 고기배 흐르는 것일 게이다.
수의춘방헐隨意春芳歇 : 제멋대로 봄꽃이 진들 어떠리!
왕손자가류王孫自可留 : 왕손은 스스로 머무를 것을.
동영상 재생
1 53. 일화천상동이요 217

추구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