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喻其高也大也 將帥有威有惠하고 識機善戰하며 善攻能守하고 無過無困하며 敬愼多智하고 能除害하고 能果斷하여 十二事全備 則可以憑陵敵國矣
將帥多悔, 作, 偏私하고 又多不祥, 不度, 不明, 不實, 固陋, 禍, 害, 危, 亡之事하면 則卑鄙怯弱하여 救敗之不暇리니 況敢憑陵敵國乎
二十四事로되 而只以前十二事 爲十二陵也라하니 其說 未知是否로라
在於不變이요 在於因時 在於應事 在於治氣 在於意表 在於外飾이니라
原注
立威 在於不輕易變動이요 施惠 在於因時布恩이요 機謀 在於應接事務 戰闘 在治士衆之氣 攻擊 在出敵之意表 出意表 則難禦 固守 務在飾其外하니 飾其外 則難測이라
無過 在於度數 無困 在於豫備 在於畏小 在於治大 除害 在於敢斷이요 得衆 在於下人이니라
原注
動無過擧者 在於度數之精이요 力無困憊者 在於豫備之周
敬愼 在於畏其小者하니 小者尙畏 則大者可知 智謀 在於治其大者하니 大者能治 則小者可知
除國之害 在於敢斷하니 是也
得衆之心 在於以身下人하니是也
此已上十二事 爲十二陵也
在於任疑 在於屠戮이요 在於多私 不祥 在於聞己過 不度 在於竭民財 不明 在於受間이요 不實 在於輕發이요 固陋 在於離賢이요 在於好利 在於親小人이요 在於無所守 在於無號令이니라
原注
作事悔 在於任用其所疑 作孽 在於屠戮其無罪 偏邪 在於多私心이요 不祥 在於惡聞自己之過하니 不祥 身不迪吉也
不度 在於殫竭人民之財하니 不度者 無檢制也
不明 在於聽受讒邪離間之言이요 不實 在於輕易發動이니 不實者 事不務實而輕發也
固陋 在於離去賢德之人이니 離賢이면 則不聞善言이니 所以執固鄙陋也
禍生 在於好愛貨利하니하고 是也
害起 在於親近小人하니 小人 妨賢病國이어늘 人君近之 皆能爲害하니
하니 爲害豈不博哉
亡滅 在於國家無所守하고 危殆 在於主將無號令하니 十二陵之反也


原注
은 그 높고 큼을 비유한 것이니, 장수가 위엄이 있고 은혜가 있고 기지機智를 알고 전투를 잘하며, 공격을 잘하고 수비를 잘하고 허물이 없고 곤궁함이 없으며, 신중하고 지혜가 많고 폐해를 제거하고 잘 과단하여 열두 가지 일이 완전히 구비되면, 적국을 능멸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장수가 뉘우칠 일이 많고 재앙을 만들고 사사로움에 편벽되고 또 상서롭지 못하고 절도가 없고 밝지 못하고 성실하지 못하고 고루하며, 와 위태로움과 멸망의 일이 많으면, 비루하고 나약하여 패전을 구원하기에도 겨를이 없을 것이니, 하물며 감히 적국을 능멸할 수 있겠는가.
이는 스물네 가지 일인데, 앞에 열두 가지 일만을 가지고 12이라 했다 하니, 그 이 옳은지는 모르겠다.
위엄은 변치 않음에 있고, 은혜는 때에 따름에 있고, 기지機智는 일에 응함에 있고, 전투는 기운을 다스림에 있고, 공격은 의표를 찌름에 있고, 수비는 밖을 꾸밈에 있는 것이다.
原注
위엄을 세움은 가볍게 변동하지 않음에 있고, 은혜를 베풂은 때에 따라 은혜를 베풂에 있고, 기지機智사무事務를 대응함에 있고, 전투는 군사들의 기운을 다스림에 있고, 공격은 적의 의표를 찌름에 있으니 의표를 찌르면 막기가 어렵고, 굳게 수비함은 밖을 꾸밈을 힘씀에 있으니 밖을 꾸미면 측량하기가 어렵다.
잘못이 없음은 도수度數에 있고, 곤궁함이 없음은 미리 대비함에 있고, 신중함은 작은 것을 두려워함에 있고, 지혜는 큰 것을 다스림에 있고, 폐해를 제거함은 과감하게 결단함에 있고, 여러 사람의 마음을 얻음은 남에게 낮춤에 있다.
原注
함에 잘못이 없는 것은 도수度數의 정밀함에 있고, 힘에 곤궁함이 없는 것은 미리 철저히 대비함에 있는 것이다.
신중함은 작은 것을 두려워함에 있으니 작은 것을 두려워하면 큰 것을 대하는 태도를 알 수 있고, 지모는 큰 것을 다스림에 있으니 큰 것을 잘 다스리면 작은 것을 다스리는 능력을 알 수 있다.
나라의 폐해를 제거함은 과감하게 결단함에 있으니, 예컨대 헌종憲宗이 잘 결단하여 회서淮西를 평정한 것과 같은 것이다.
여러 사람의 마음을 얻음은 자신을 남에게 낮춤에 있으니, 소왕昭王곽외郭隗에게 행한 일이 이것이다.
이 이상의 열두 가지 일이 12이다.
뉘우침은 의심스러운 사람을 임용함에 있고, 재앙은 사람을 도륙함에 있고, 편벽됨은 사사로움이 많음에 있고, 상서롭지 못함은 자신의 잘못을 듣기 싫어함에 있고, 절도가 없음은 백성들의 재물을 고갈시킴에 있고, 밝지 못함은 이간질을 받아들임에 있고, 성실하지 못함은 가볍게 발동함에 있고, 고루함은 현자賢者를 떠나가게 함에 있고, 는 이익을 좋아함에 있고, 소인小人을 가까이함에 있고, 함은 지키는 바가 없는 데에 있고, 위태로움은 호령號令이 없는 데에 있는 것이다.
原注
일을 함에 뉘우침이 생기는 것은 의심스러운 사람을 임용함에 있고, 재앙이 생기는 것은 죄 없는 사람을 도륙함에 있고, 편벽되고 간사함은 사심私心이 많음에 있고, 상서롭지 못함은 자신의 잘못을 듣기 싫어함에 있으니, 상서롭지 못하다는 것은 몸이 길선吉善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절도가 없음은 인민의 재정을 고갈함에 있으니, 절도가 없다는 것은 검속檢束하고 제재함이 없는 것이다.
밝지 못함은 참소하는 자의 이간하는 말을 받아들임에 있고, 성실하지 못함은 가볍게 발동함에 있으니, 성실하지 못하다는 것은 일의 실제를 힘쓰지 아니하여 가볍게 처리하는 것이다.
고루함은 어질고 덕 있는 사람을 떠나가게 함에 있으니, 어진 이를 떠나가게 하면 한 말을 듣지 못하므로 고집스럽고 비루한 것이다.
가 생겨남은 이익을 좋아함에 있으니, 주왕紂王녹대鹿臺에 재물을 쌓자 나라가 망하는 가 생겨나고, 지백智伯나라 고랑皐狼의 땅을 탐하다가 몸을 죽이는 가 생긴 것이 이것이다.
로움이 일어남은 소인小人을 가까이함에 있으니, 소인小人은 어진 이를 방해하고 나라를 병들게 하는데 군주君主가 이를 가까이하면 모두 해가 된다.
현종玄宗이임보李林甫를 등용하고 덕종德宗노기盧杞를 등용한 것과 같으니, 그 폐해가 어찌 넓지 않겠는가.
망함은 국가에 지킴이 없는 데에 있고 위태로움은 주장主將에게 호령號令이 없음에 있으니, 이는 12의 반대이다.


역주
역주1 : 얼
역주2 唐憲宗能斷而平淮西 : 憲宗은 李純(778~820)으로 唐나라의 제11대 황제(재위 805~820)이다. 安祿山의 난 이후 피폐해진 국정을 일으켜 세우고 지방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절도사들에게 강경하게 대응하여 나라의 기강을 바로잡았다. 淮西를 평정하였다는 것은, 憲宗 元和 10년(815)에 일어난 淮西節度使 吳元濟의 반란을 3년에 걸쳐 국력을 총동원해서 평정한 것을 말한다.
역주3 燕昭王之於郭隗(외) : 昭王(B.C. 311〜B.C. 279)은 전국시대 말기 燕나라의 임금으로 齊나라의 침공을 받아 나라가 멸망 직전에 이르렀을 적에 즉위하여 여러 제후국의 도움으로 나라를 회복하고 魏나라 출신의 명장 樂毅를 얻어 齊나라에 복수한 明君이다.
昭王은 즉위하자 절치부심하고 부국강병을 도모하여 천하의 인재를 구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신하인 郭隗에게 그 방법을 묻자, 郭隗가 “왕께서 현자를 구하고자 하신다면 먼저 저부터 우대하십시오. 그렇게 하시면 저보다 더 현명한 자들이 어찌 천 리를 멀다 하여 오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이에 昭王이 황금대를 지어 郭隗를 스승으로 섬기자, 훌륭한 인재들이 계속하여 燕나라를 찾아와 마침내 魏의 樂毅를 얻어 齊나라에 복수할 수 있었다. 《史記 권80 樂毅列傳》
역주4 : 외
역주5 : 오
역주6 紂積鹿臺之財而亡國之禍生 : 紂는 紂王으로, 殷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受인데 포악하고 탐욕스러워 나라를 멸망에 빠뜨렸다. 鹿臺는 紂王이 재물을 저장한 창고의 이름이다.
역주7 智伯貪蔡皐狼之地而殺身之禍生 : 智伯은 春秋時代 말기 晉나라의 六卿 가운데 가장 강성했던 智氏 집안의 智襄子 瑤를 가리키며, 皐狼은 원래 蔡나라 땅으로, 晉나라 六卿의 하나인 趙氏가 빼앗아 갖고 있던 땅이다. 智伯 瑤가 卿을 세습한 다음 韓氏와 魏氏에게 땅을 떼어달라고 요구하여 뜻대로 되자 趙襄子에게도 땅을 떼어줄 것을 요구하였다. 趙襄子가 이를 거절하자 智伯 瑤가 韓氏와 魏氏와 함께 趙襄子를 공격하니, 趙襄子는 晉陽으로 도망하였다. 趙襄子는 晉陽城에서 농성하면서 韓氏와 魏氏를 설득하여 밀약을 맺고 함께 智伯 瑤를 협공하여 智氏를 멸망시켰다. 《資治通鑑 권1 周紀》
역주8 唐玄宗用李林甫 唐德宗用盧杞 : 李林甫(683〜752)와 盧杞(?~785)는 모두 唐나라 때 재상으로 나라를 위기에 빠뜨린 奸臣들이다. 李林甫는 玄宗 때 재상이 되어 楊國忠과 함께 국정을 전횡하고, 끝내는 安祿山의 亂을 촉발하여 천하를 피폐하게 한 자이다. 盧杞는 字가 子良으로 玄宗 때 名相이었던 盧懷愼의 손자인데, 성품이 음험하고 간사하여 德宗 때 재상으로 발탁되자 수많은 충신들을 모함하여 죽였으며, 황제에게 刑名學으로 나라를 다스릴 것을 권하여 가혹한 政事를 펴서, 마침내 朱泚의 난이 일어나 德宗이 奉天으로 播遷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