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攻權者 攻人之權法也 攻人而知權變之法이면 則攻而必取矣
取書義以名篇하니라
以靜勝하고 以專勝이니 力分者하고 心疑者하나니라
原注
以安靜無譁而勝하고 以專一無二而勝하니 兵之力分者 則勢弱하고 將之心疑者 則下背
夫力弱故 進退不豪하고 縱敵不이라
將吏士卒 動靜一身이니 心旣疑背 則計決而不動하고 이라
異口虛言하여 將無修容하고 卒無常試 發攻必이니
是謂疾陵之兵이라하니 無足與闘니라
原注
夫兵力弱이면 則進退不雄豪하고 縱敵而不能禽矣
將吏與士卒 動靜猶一身也 上下之心 旣疑且背 則上之計決而下不動하고 下之人動決而上不禁이라
衆人異口虛言하여 爲將帥者 無修整之容하고 爲士卒者 無常試之職이면 發動攻人 必致敗衂이니
是謂急疾憑陵之兵이라 不足與戰闘耳
將帥者 心也 群下者 支節也 其心 動以誠이면 則支節必力하고 其心 動以疑 則支節必背
夫將不心制하고 卒不節動이면 雖勝이나 幸勝也 非攻權也니라
原注
將帥者 譬如人之心也 群下者 譬如人之支節也
其心 動以誠實이면 則四支百節 必有力이요 其心 動以疑二 則四支百節 必違背
夫爲將帥者 不以心制下하고 爲士卒者 不以支節奉上이면 雖勝敵이나 但僥幸而勝也 非攻權之道也
夫民 無兩畏也
畏我 侮敵하고 畏敵이면 侮我하니 見侮者하고 立威者하나니라
原注
夫民 無兩畏者也
畏我 必輕侮於敵하고 畏敵이면 必輕侮於我하니 所謂卒畏將 甚於敵者하고 卒畏敵 甚於將者 敗 是也
將見輕侮於下者하고 將能立威於上者이라
凡將能其道者 吏畏其將也 吏畏其將者 民畏其吏也 民畏其吏者 敵畏其民也니라
原注
凡將帥能其立威之道者 吏必畏懼其將也 指大將而言이요 如春秋時上軍大夫, 中軍大夫, 下軍大夫, 司馬及軍中有職掌者 皆是也
吏畏懼其將者 民必畏懼其百職事之吏也 民畏懼其吏者 敵人必畏懼其民也
是故 知勝敗之道者 必先知畏侮之權하나니
夫不愛其心者 不我用也 不嚴畏其心者 不我擧也
愛在下順하고 威在上立이라
愛故 不二하고 威故 不犯이니
善將者 愛與威而已니라
原注
是故 能知勝敗之道者 必先要知畏侮之權이라
夫不愛說其士卒之心者 不爲我用也 不嚴畏其士卒之心者 不爲我擧也
在夫爲下者之能順이요 在夫爲上者之能立也
能愛故 心不二하고 有威故 下不犯이라
善將者 愛與威而已矣
戰不必勝이면 不可以言戰이요 攻不必拔이면 不可以言攻이니
不然이면 信在期前이요 事在未兆니라
原注
與人戰 不能必勝이면 不可以言戰陣之事 攻人之城壘 不能必拔이면 不可以言攻取之事 不如此 雖用刑賞이나 不足取信於人也
信在於期前하고 事在於未兆하니 謂信當先期而孚於人이요 事當未兆而預防之也
衆已聚 不虛散이요 兵已出이면 不徒歸
求敵 若求亡子하고 撃敵 若救溺人이니라
原注
士衆已聚 不虛散也 必欲成事立功하며 兵卒已出이면 不徒歸也 必欲破軍擒將이라
求敵人 如求逃亡之子하여 必務獲也하고 擊敵人 如救沈溺之人하여 必務濟也
分險者 無戰心이니
闘戰者 無勝兵이니라
原注
敵若分險而守 是無戰心也
若來挑戰者 我無以全氣擊之 若來闘戰者 我無以勝兵應之
勝恐作盛이니 傳寫之誤耳
挑戰闘戰 頗異하니
挑戰者 是以勇將獨出하여 挑我之戰이요 闘戰者 是以奇兵輕出하여 與我闘戰이니 二者 皆誘我之進也
不可以全氣盛兵應之
凡挾義而戰者 貴從我起하고 爭私結怨 應不得已 怨結雖起 待之貴後
爭必當待之 息必當備之니라
原注
凡挾義而戰者 貴從我先起하니 則我有義擧之名이니
如禁暴救亂, 濟弱扶傾之類 是也
爭私忿而與人結怨 應在不得已焉耳 怨旣結而兵雖當起 待之貴在後
與人爭 必當待彼之先發이요 息兵 必當防彼之乗我
有勝於朝廷하고 有勝於原野하고 有勝於市井하니
闘則得하고 服則失 幸以不敗
此不意 彼驚懼而曲勝之也 曲勝 言非全也니라
原注
하니 是也 하니 是也 有制勝於市井者하니
公子高入楚 遇箴尹固하여 與國人攻白公而敗之 是也
若與彼闘則有得하고 彼若服降則有失 僥倖以不敗耳
蓋不意 彼軍驚懼而曲勝之也 曲勝者 言非全勝也
非全勝者 無權名이라
明主戰攻之日 合鼓合角하여 節以兵刃이면 不求勝而勝也니라
原注
非完全取勝於人者 無威權之名이라
明哲之主 戰攻之日 合鼓合角하여 節之以兵刃이면 不求勝而自然勝也
合鼓者 鼓之則進也 合角者 一吹而行하고 再吹而聚也
兵有去備徹威而勝者 以其有法故也 有器用之定也 其應敵也周하고 其總率也極이니라
原注
兵有去守備徹威勢而取勝於人者 以其有法故也 去守備者 示之以不虞也 徹威勢者 示之以怯弱也 此蓋有器用之蚤定也
其應敵也周密하고 其總率也極至
五人而伍하고 十人而什하고 百人而卒하고 千人而하고 萬人而將하여 已周已極하여 其朝死則朝代하고 暮死則暮代하여 權敵審將而後 擧兵하나니라
原注
五人而爲一伍하고 十人而爲一什하고 百人而爲一卒하며 千人而爲一率하고 萬人而立一將하여 爲法 已周已極하여
其將 朝死則朝令人代之하고 暮死則暮令人代之하여 稱量敵人之虛實强弱하고 審察將帥之智愚勇怯이니 然後 擧兵而出戰이라
凡集兵千里者 旬日이요 百里者 一日 必集敵境하여
卒聚將至하면 深入其地하여 錯絶其道하고 棲其大城大邑하여 使之登城逼危
男女數重 各逼地形而攻要塞하고 據一城邑而數道絶이어든 從而攻之호되 敵將帥不能信하고 吏卒不能和하며 刑有所不從者하면 則我敗之矣 敵救未至 而一城已降이니라
原注
凡集兵千里者 期在旬日之内하고 百里者 期在一日之内하여 必要會集敵人之境하여
卒已集하고 將已至然後 深入其地하여 交錯越絶其道路하고 棲其大城大邑하여 使吾士卒 登敵人之城邑하고 逼敵人之危險이니
彼男女數重 各逼地形하여 而攻要塞之處하고 據守一城邑하여 而數道隔絶이어든 吾從而攻之호되 敵將帥上下不能相信하고 吏卒大小不能相和하며 齊之以刑호되 又有不從者어든 則我必能敗之 敵人救援未至 而一城已降服矣
津梁未發하고 要塞未修하고 城險未設하고 渠答未張이면 則雖有城이나 無守矣 遠堡未入하고 戍客未歸하면 則雖有人이나 無人矣 未聚하고 未收하고 財用未斂이면 則雖有資 無資矣
夫城邑空虛而資盡者 我因其虛而攻之니라
原注
若敵人 關津橋梁 未曾開發하고 要塞之處 未曾修理하며 城之溝塹樓櫓 依倚而爲險者 未曾施設하고 渠答之具 未曾張布하면 則雖有城이나 無守備矣
渠答 鐡蒺藜也
遠堡之兵未入하고 戍邊之客未歸하면 則雖有人이나 如無人矣
六畜在野者 未曾聚集하고 五榖成熟者 未曾收穫하고 財用在外者 未曾斂藏이면 則雖有資 如無資矣
夫城邑空虛而資財盡者 我當因其空虛而攻擊之
法曰 獨出獨入하여 敵人不接刃而致之 此之謂也니라
原注
兵法曰 獨出獨入하여 敵人不得與我接刃而我能致之 卽此之謂也
獨出獨入 言無敵也


原注
공권攻權이란 적을 공격하는 권법權法(임기응변하는 방법)이니, 적을 공격하면서 권변權變의 방법을 알면 공격하여 반드시 점령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글의 뜻을 취하여 을 이름한 것이다.
군대는 고요함으로써 승리하고 나라는 전일專一함으로써 승리하니, 힘이 분산되는 자는 세력이 약해지고, 마음에 의심을 품는 자는 아랫사람들이 배반한다.
原注
군대는 안정安靜하여 떠들지 않음으로써 승리하고 나라는 전일專一하여 두 마음이 없음으로써 승리하니, 군대의 힘이 분산되는 자는 세력이 약해지고, 장수의 마음이 의심하는 자는 아랫사람들의 마음이 이반된다.
병사들의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전진과 후퇴가 호방하지 못하고, 을 놓아주고 사로잡지 못하는 것이다.
장리將吏와 병사들이 동정動靜을 한 몸처럼 해야 하니, 마음이 이미 의심하여 이반되면, 계책이 결정되어도 움직이지 않고, 움직임이 결정되어도 금지하지 못한다.
딴 말을 하고 헛된 말을 하여 장수가 닦여진 모습이 없고 병사들이 일정하게 쓰여지는 직책이 없으면 출동하여 공격함에 반드시 패한다.
이것을 일러 ‘성급하고 능멸하는 군대’라 하니, 함께 전투할 수가 없는 것이다.
原注
병사들의 힘이 약하면 전진과 후퇴가 웅장하고 호방하지 못하며, 을 놓아주고 사로잡지 못한다.
장리將吏와 병사들이 동정動靜을 한 몸처럼 해야 하니, 윗사람이 의심하고 아랫사람의 마음이 이반되면, 윗사람의 계책이 결정되어도 아랫사람들이 움직이지 않고, 아랫사람들의 움직임이 결정되어도 윗사람이 금지하지 못한다.
사람들이 딴 말을 하고 헛된 말을 하여, 장수에게 근엄하고 정돈된 용모가 없고, 병사들에게 일정하게 쓰여지는 직책이 없으면 출동하여 적을 공격함에 반드시 패하게 된다.
이것을 일러 ‘너무 성급하고 능멸하는 군대’라 하니, 이런 군대와는 함께 전투할 수 없는 것이다.
비유하면 장수는 마음이고 여러 부하들은 사지와 관절이니, 마음이 할 적에 성실하게 하면 사지와 관절이 반드시 힘을 쓰고, 마음이 할 적에 의심하면 사지와 관절이 반드시 이반된다.
장수가 마음이 되어 제재하지 못하고 병사들이 관절이 되어 움직이지 못하면, 비록 승리하더라도 요행으로 승리한 것이니, 공격의 권변權變이 아니다.
原注
장수는 비유하면 사람의 마음과 같고, 여러 부하들은 비유하면 사람의 사지와 관절과 같다.
마음이 할 적에 성실하게 하면 사지와 온갖 관절이 반드시 힘이 있고, 마음이 할 적에 의심하면 사지와 온갖 관절이 반드시 이반된다.
장수가 마음이 되어 아랫사람들을 제재하지 못하고 병사가 사지와 관절이 되어 윗사람을 받들지 못하면, 비록 적을 이기더라도 요행으로 이긴 것이니, 공격의 권변權變이 아니다.
백성들은 두 가지를 다 두려워하지는 않는다.
나를 두려워하면 적을 업신여기고, 적을 두려워하면 나를 업신여기니, 업신여김을 당하는 장수는 패하고, 위엄을 세우는 장수는 승리한다.
原注
병사들은 〈장수와 적〉 두 가지를 다 두려워하지는 않는다.
나(장수)를 두려워하면 반드시 적을 가볍게 보아 업신여기고, 적을 두려워하면 반드시 나를 가볍게 보아 업신여기니, 이른바 ‘병사들이 적보다 장수를 더 두려워하면 승리하고, 병사들이 장수보다 적을 더 두려워하면 패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부하들에게 얕잡아 보이고 업신여김을 당하는 장수는 패하고, 위에서 위엄을 세울 수 있는 장수는 승리하는 것이다.
무릇 장수가 이 방도에 능한 군대는 관리들이 자기 장수를 두려워하고, 관리들이 자기 장수를 두려워하는 군대는 병사들이 자기 관리를 두려워하고, 병사들이 자기 관리를 두려워하는 군대는 적이 이 병사들을 두려워한다.
原注
무릇 장수가 위엄을 제대로 세우는 군대는 관리들이 반드시 자기 장수를 두려워하니, 장수는 대장大將을 가리켜 말하고, 관리는 춘추春秋 때의 상군대부上軍大夫중군대부中軍大夫, 하군대부下軍大夫사마司馬군중軍中에서 직책을 맡은 자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관리가 자기 장수를 두려워하는 군대는 병사들이 반드시 여러 직책을 맡은 관리들을 두려워하고, 병사들이 자기 관리를 두려워하는 군대는 적이 반드시 이 병사들을 두려워한다.
이 때문에 승패勝敗의 방도를 아는 장수는 반드시 먼저 두려워하고 업신여기는 권도權道를 아는 것이다.
병사들의 마음을 기쁘게 하지 못하는 장수는 병사들이 자신의 쓰임이 되지 못하고, 병사들의 마음을 두렵게 하지 못하는 장수는 병사들이 자신을 위해 출동하지 않는다.
사랑은 아랫사람들의 순종함에 달려있고, 위엄은 윗사람의 세움에 달려있다.
아랫사람을 사랑하기 때문에 의심하지 않고, 위엄이 있기 때문에 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수 노릇을 잘하는 것은 사랑과 위엄에 달려있을 뿐이다.
原注
이 때문에 승패勝敗의 방도를 아는 장수는 반드시 먼저 두려워하고 업신여기는 권도權道를 아는 것이다.
장수로서 병사들의 마음을 기쁘게 하지 못하는 자는 병사들이 장수의 쓰임이 되지 못하고, 병사들의 마음을 두렵게 하지 못하는 장수는 병사들이 자신을 위하여 출동하지 않는다.
사랑은 아랫사람들의 순종함에 달려있고, 위엄은 윗사람의 세움에 달려있다.
아랫사람을 사랑하기 때문에 병사들이 마음에 의심하지 않고, 장수가 위엄이 있기 때문에 아랫사람이 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수 노릇을 잘하는 것은 사랑과 위엄에 달려있을 뿐인 것이다.
전투에 승리를 기필할 수 없으면 전투를 말할 수 없고, 공격함에 반드시 함락시킬 수 없으면 공격을 말할 수 없다.
그렇지 않으면 형벌과 으로도 믿게 할 수 없으니, 믿음은 기약에 앞서 하고, 일은 조짐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다.
原注
적과 싸울 적에 승리를 기필할 수 없으면 전진戰陣의 일을 말할 수 없고, 적의 과 보루를 공격할 적에 함락시킬 수 없으면 공격하여 점령하는 일을 말할 수 없으니,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비록 형벌과 을 시행하더라도 병사들에게 믿음을 취할 수가 없다.
믿음은 기약하기 전에 있고 일은 조짐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 있어야 하니, 믿음은 마땅히 기약에 앞서 사람들을 믿게 하여야 하고, 일은 마땅히 조짐이 나타나지 않았을 때에 미리 대비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병력이 이미 모였으면 헛되이 해산할 수가 없고, 군대가 이미 출동하였으면 그대로 돌아갈 수가 없는 것이다.
을 찾기를 도망한(잃어버린) 자식을 찾듯이 하고, 을 공격하기를 물에 빠진 사람을 구제하듯이 하는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병사들이 이미 모였으면 헛되이 해산하지 않고 반드시 일을 이루고 을 세우고자 하며, 군대가 이미 출동하였으면 그대로 돌아가지 않고 반드시 적군을 격파하고 적장을 사로잡고자 하는 것이다.
을 찾기를 도망한(잃어버린) 자식을 찾듯이 간절히 하여 반드시 얻기를 힘쓰고, 을 공격하기를 물에 빠진 사람을 구제하듯이 급히 하여 반드시 이루기를 힘쓰는 것이다.
험한 지역을 나누어 지키는 적은 싸우려는 마음이 없는 것이다.
도전해 오는 자는 온전한 기운으로 대항하지 말고, 싸움을 걸어오는 자는 강성한 군대로 대응하지 말아야 한다.
原注
그러나 적의 허실을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만약 험한 곳을 나누어 지키면 이는 싸울 마음이 없는 것이다.
도전해 오는 자는 내가 온전한 기운으로 공격하지 말아야 하고, 싸움을 걸어오는 자는 내가 승병勝兵으로 대응하지 말아야 한다.
자가 되어야 할 듯하니, 전사傳寫의 잘못이다.
도전挑戰투전闘戰은 자못 다르다.
도전挑戰이란 용맹한 장수가 단독으로 출전하여 우리에게 싸움을 도발하는 것이요, 투전闘戰이란 기병奇兵을 가지고 가볍게 출동하여 우리에게 싸움을 걸어오는 것이니, 두 가지는 모두 우리가 출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온전한 기운과 많은 군대[盛兵]로 대응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무릇 대의大義를 내세워서 하는 전쟁은 우리가 먼저 군대를 일으키는 것을 소중하게 여기고, 사사로움을 다투어 원한을 맺는 전쟁은 부득이하여 응해야 하니, 원한이 쌓여 비록 군대를 일으키더라도, 기다려서 뒤에 군대를 일으키는 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그러므로 다툴 때에는 마땅히 기다려서 뒤에 하여야 하고, 쉴 때에는 마땅히 적을 대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原注
이는 용병用兵선후先後를 말한 것이니, 더욱 알지 않으면 안 된다. 무릇 대의大義의 명분을 내세워서 하는 전쟁은 우리 측에서 먼저 출동함을 소중하게 여기니, 이렇게 하면 우리가 대의大義로 출동하는 명분이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포악한 것을 금지하고 혼란을 구제하며, 약한 자를 구제하고 기우는 나라를 붙들어주는 따위가 이것이다.
사사로운 감정을 다투어 남과 원한을 맺는 전쟁은 부득이하여 응할 뿐이니, 원한이 쌓여 비록 군대를 일으키나, 기다려서 뒤에 함을 소중하게 여긴다.
그러므로 적과 다툴 때에는 마땅히 저들이 먼저 군대를 일으키기를 기다려야 하고, 군대를 휴식시킬 때에는 마땅히 저들이 우리를 틈타 공격하는 것을 미리 대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군대는 조정朝廷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있고, 원야原野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있고, 시정市井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있다.
적과 싸워 승리하고 적이 굴복하여 잃는 것은 요행으로 패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뜻밖에 적이 놀라고 두려워하여 곡승曲勝한 것이니, 곡승曲勝은 완전한 것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原注
군대는 조정에서 적을 제압하여 승리하는 경우가 있으니, 안영晏嬰범소范昭의 계책을 깨뜨리자 나라가 감히 나라에 침공을 가하지 못한 것이 이것이요, 원야原野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있으니, 한신韓信나라를 격파하고 나라를 점령할 적에 모두 야전野戰으로 승리한 것이 이것이요, 시정市井에서 승리하는 경우가 있으니, 섭공葉公 자고子高나라에 들어갈 적에 잠윤箴尹 를 만나 국인國人들과 함께 백공白公을 공격해서 패퇴시킨 것이 이것이다.
만약 적과 싸워 우연히 승리를 얻고 적들이 항복하여 잃음이 있는 것은 〈우리가〉 요행으로 패하지 않은 것일 뿐이다.
뜻밖에 적군이 놀라고 두려워하여 곡승曲勝(가까스로 거둔 승리)한 것이니, 곡승曲勝이란 완전한 승리가 아님을 말한 것이다.
완전한 승리가 아닌 것은 권위의 명성名聲이 없다.
그러므로 명철한 군주는 싸우고 공격하는 날에 북소리에 맞추고 나팔소리에 맞추어서 병기兵器와 칼날로써 절도를 삼으니, 승리하기를 바라지 않아도 승리하는 것이다.
原注
적에게서 완전한 승리를 쟁취한 것이 아니면 위엄과 권세의 명성名聲이 없다.
그러므로 명철한 군주는 싸우고 공격하는 날에 북소리에 맞추고 나팔소리에 맞추어서 병기兵器와 칼날로써 절도를 삼으니, 〈이렇게 하면〉 승리하기를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승리하는 것이다.
‘북소리에 맞춘다.’는 것은 북을 치면 전진하는 것이요, ‘나팔소리에 맞춘다.’는 것은 나팔을 한 번 불면 행군하고 두 번 불면 집합하는 것이다.
군대가 수비를 철거하고 위세를 거두고도 승리하는 것은 법도가 있기 때문이요 기용器用이 일찍 정해져 있기 때문이니, 이는 적에게 대응함이 완벽하고 병사들을 통솔함이 지극한 것이다.
原注
군대가 수비를 철거하고 위세를 거두고도 적에게 승리를 취하는 것은 법도가 있기 때문이니, 수비를 철거하는 것은 적에게 대비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요, 위세를 거두는 것은 적에게 겁이 많고 나약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니, 이는 기용器用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적을 대응함이 주밀하고 병사들을 통솔함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다섯 명을 로 만들고 열 명을 으로 만들고 백 명을 로 만들며, 천 명에는 (帥)가 있고 만 명에는 장수가 있어서 주밀周密하고도 지극하니, 장수가 아침에 죽으면 아침에 교체시키고 저녁에 죽으면 저녁에 교체시켜서 을 저울질하고 적장敵將을 살핀 뒤에 군대를 출동하는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다섯 명을 1로 만들고 열 명을 1으로 만들고 백 명을 1로 만들며, 천 명의 병력에 한 를 두고 만 명의 병력에 한 장수를 세워서, 법을 만듦이 주밀周密하고도 지극하다.
장수가 아침에 전사하면 아침에 즉시 다른 사람으로 교체시키고 저녁에 전사하면 저녁에 즉시 다른 사람으로 교체시켜서, 허실虛實강약强弱을 헤아리고 적장의 지혜롭고 어리석음과 용맹하고 겁이 많음을 자세하게 살펴야 하니, 그런 뒤에 군대를 출동하여 나가 싸우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릇 천 리 밖에 군대를 집결할 적에는 열흘의 시기를 주고, 백 리 밖에 군대를 집결할 적에는 하루의 시기를 주어 반드시 의 경내에 집결하도록 한다.
병사들이 모이고 장수가 도착하면 의 지역으로 깊숙이 쳐들어가서 도로를 교차하여 끊고 큰 성읍城邑에 주둔하여 병사들로 하여금 에 올라가 의 험한 요새를 핍박하게 하여야 한다.
적이 각각 지형을 따라 남녀가 몇 겹으로 우리의 요새를 공격하고 한 성읍城邑을 점거하여 여러 도로가 모두 단절되었으면 우리가 따라서 적을 공격하되, 의 장수가 부하 병사들에게 신임을 받지 못하고, 의 관리와 병사들이 능히 화합하지 못하며 형벌을 시행하여도 따르지 않는 자가 있으면, 우리가 을 패퇴시킬 수 있고, 의 구원병이 오기 전에 한 을 항복시킬 수 있는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무릇 천 리 밖에 군대를 집결할 적에는 모이는 시기를 열흘 이내로 하고, 백 리 밖에 군대를 집결할 적에는 모이는 시기를 하루 이내로 하여, 반드시 의 경내에 집결하도록 한다.
병사들이 모이고 장수가 도착한 뒤에 의 지역에 깊숙이 쳐들어가서 의 도로를 교차하여 끊고 큰 성읍城邑에 주둔하여, 우리 병사들로 하여금 성읍城邑에 올라가게 하고 의 험한 요새를 핍박하게 하여야 한다.
이 각기 지형을 따라 남녀가 몇 겹으로 우리의 요새를 공격하고 한 성읍城邑을 점거하여 지켜서 여러 도로가 단절되었으면 우리가 따라서 적을 공격하되, 의 장수가 상하간에 서로 믿지 못하고 관리와 병사들이 대소간에 서로 능히 화합하지 못하며 형벌을 가하여 통일시켜도 병사 중에 따르지 않는 자가 있으면, 우리가 을 공격하여 반드시 패퇴시킬 수 있고, 의 구원병이 오기 전에 한 을 항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적이 나루터와 교량을 만들지 못하고 요새를 수리하지 못하고 의 방어 시설을 설치하지 못하고 거답渠答을 펼쳐놓지 못하였으면, 비록 이 있으나 지킴이 없는 것이요, 멀리 있는 보루의 적병들이 미처 들어오지 못하고 변방을 지키는 적병들이 미처 돌아오지 못했으면, 비록 사람(적군)이 있으나 사람이 없는 것이요, 육축六畜을 미처 모으지 못하고 오곡五榖을 거두지 못하며 재용財用을 거두어 보관하지 못했으면, 비록 물자가 있으나 물자가 없는 것이다.
성읍城邑이 공허하고 물자가 다한 경우에는 우리가 그 허약한 틈을 타서 공격하여야 한다.
原注
만약 적들이 관문과 나루터와 교량을 만들어놓지 못하고 요새의 중요한 곳을 수리해놓지 못하였으며, 의 해자와 망루 등 의지하여 방어할 곳을 설치해놓지 못하고 거답渠答의 장비를 펼쳐 놓지 못하였으면, 비록 이 있으나 수비함이 없는 것이다.
거답渠答철질려鐡蒺藜(쇠 마름쇠)이다.
먼 보루에 있는 적병들이 아직 성에 들어오지 못하고 변방을 수비하는 적병들이 아직 돌아오지 못했으면, 비록 사람이 있으나 사람이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들에 있는 육축六畜을 모아놓지 못하고 다 익은 오곡五榖을 수확해놓지 못하고 밖에 있는 재용財用을 거두어 보관해놓지 못하였으면, 비록 물자가 있으나 물자가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성읍城邑이 공허하고 물자와 재물이 다 고갈된 경우에는 우리가 마땅히 그 공허함을 틈타서 공격해야 하는 것이다.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홀로 나가고 홀로 들어와서 과 칼날을 접하지 않고도 패하도록 만든다.”라고 함은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原注
병법兵法에 이르기를 “홀로 나가고 홀로 들어와서 이 우리와 칼날을 접하지 않고도 우리가 적을 패하도록 만든다.”라고 함은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홀로 나가고 홀로 들어온다.’는 것은 나가고 들어옴에 대적할 자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擒과 통용한다.
역주2 動決而不禁 : 漢文大系本 〈補註〉에는 이 구절에 대해 “이미 움직이면 둑이 터져 무너지듯 하여 금하지 못한다.[旣動而潰決不能禁]”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 뉵
역주4 : 열
역주5 刑賞 不足信也 : 漢文大系本 〈補註〉에는 이 구절에 대해 “전투에 승리하지 못하고 공격하여 함락하지 못하는 것은, 형벌과 상이 믿음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不能戰勝攻拔者 由刑賞之不信也]”라고 풀이하고 있다.
역주6 挑戰者 無全氣 : 漢文大系本 〈補註〉에는 이 구절에 대해 “용맹한 장수라도 홀로 출전하면 그 기세가 반드시 온전하지 못하다.[若勇將獨出戰 其氣必不全]”라고 풀이하고 있다.
역주7 [然敵之虛實 猶不可不審也]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8 [此言用兵之先後 尤不可不知也] :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9 兵有制勝於朝廷者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무릇 군대는 계책이 조정에서 정해져서 적이 스스로 항복하는 경우가 있으니[凡兵有謀定於朝廷而 敵自服者]”라고 표기되어 있다.
역주10 晏嬰破范昭之謀 而晉不敢加兵於齊 : 晏嬰(?〜B.C. 500)은 春秋時代 齊나라의 名相이고, 范昭는 동시대 晉나라의 大夫이다. 晉 平公이 齊나라를 공격하기 전에 먼저 정세를 탐지하기 위해 范昭를 사신으로 보냈다. 齊 景公이 연회를 베풀었는데, 이때 范昭가 景公에게 청하여 景公의 술잔을 받아 마시니, 晏嬰이 바로 술잔을 치우고 다른 술잔을 가져오게 하였다. 范昭가 晉나라에 돌아와서 平公에게 아뢰기를 “지금은 齊나라를 공격할 수 없습니다. 제가 그 군주를 시험해보고자 하였더니, 晏嬰이 이를 알아차렸습니다.”라고 하였다. 孔子가 이 말을 듣고 “술동이와 도마를 벗어나지 않고도 천 리 밖의 적을 꺾었다.” 하고 晏嬰을 칭찬하였다. 《晏子春秋 권5》
역주11 有制勝於原野者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原野에서 싸운 뒤에 승리를 취하는 경우가 있으니[有戰於原野而後取勝者]”라고 표기되어 있다.
역주12 韓信破趙取齊 皆以野戰而勝 : 韓信(?〜B.C. 196)은 漢나라의 개국공신으로 高祖를 도와 천하를 통일한 명장이다. B.C. 204년에 韓信이 수만의 병력으로 井陘에서 趙王 歇과 成安君 陳餘가 거느린 20만 대군과 싸워 背水陣과 奇兵으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다음 해에는 歷下에서 齊나라의 군대를 기습하여 격파하고 齊나라를 점령하였다. 《史記 권92 淮陰侯列傳》
역주13 葉(섭)公子高入楚……與國人攻白公而敗之 : 葉公은 춘추시대 楚나라 葉縣의 尹(수장)인 沈諸梁으로 子高는 그의 字이다. 白公은 이름이 勝으로 楚 平王의 손자이고 太子 建의 아들인데, 吳나라에 망명해 있다가 令尹인 子西의 주선으로 귀국하여 白公에 봉해졌다. 白公이 반란을 일으켜 令尹인 子西와 司馬인 子期를 살해하고 스스로 왕이 되자, 葉公이 이를 진압하기 위해 도성으로 급히 돌아오다가 병력을 이끌고 白公을 도우러 가던 箴尹 固를 市井에서 만났는데, 葉公이 반란의 무도함을 들어 箴尹 固를 설득하고 함께 白公을 쳐서 반란을 진압하였다. 《春秋左氏傳 哀公 16년》
역주14 : 섭
역주15 : 早와 통용된다.
역주16 : 수
역주17 六畜 : 집에서 기르는 소‧말‧돼지‧양‧닭‧개 등을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가축을 널리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역주18 五榖 : 쌀‧보리‧콩‧조‧기장의 다섯 가지 곡식을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곡식을 널리 이르는 말로 쓰인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