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戰威者 論戰之威也 戰無威 奚足以制勝이리오
取其義以名篇하니라
凡兵 有以道勝하고 有以威勝하고 有以力勝하니
講武料敵하여 使敵之氣失而師散하여 雖形全而不爲之用이면 道勝也
審法制하고 明賞罰하고 便器用하여 使民有必戰之心이면 威勝也
破軍殺將하고發機하며 潰衆奪地하여 成功乃返이면 力勝也
王侯知此所以三勝者 畢矣니라
原注
凡用兵 有以道勝者하고 有以威勝者하고 有以力勝者하니
講究吾國之武事하고 料度敵勢之虛實하여 使敵之氣喪失而師散亂하여 形雖全備 而不能爲之用이면 所謂道勝也
夫道 不止講武料敵이요 必先修德行政하고 養民致賢而已
審吾法度號令하고 明吾賞刑罰하고 便吾攻守之器하여 使吾民有必戰之心이면 所謂威勝이니
病者亦爭奮赴敵하니 燕晉聞之而退 是也
破敵人之軍하여 而殺其將하고 乗敵人之城闉하여 而發吾兵機以決勝하고 潰散敵衆하여 而奪彼之地하고 旣成功乃返國이면 所謂力勝也
하여 斬陳餘하고 收趙地하며 登城하여 周麾而呼한대 鄭師畢登하여 遂入許 是也
爲王侯而知此所以三勝者 能事畢矣
干羽格苗圖干羽格苗圖
夫將之所以戰者 民也 民之所以戰者 氣也 氣實則闘하고 氣奪則走하나니라
原注
夫將之所以戰者 民爲之本也 民之所以戰者 氣爲之主也 氣充實이면 則能與敵戰하고 氣爲彼所奪이면 則敗走矣
氣實者 靜也, 治也, 飽也, 佚也 氣奪者 飢也, 勞也, 亂也,
刑未加하고 兵未接 而所以奪敵者五 一曰 廟勝之論이요 二曰 受命之論이요 三曰 踰之論이요 四曰 深溝高壘之論이요 五曰 擧陳加刑之論이니
此五者 先料敵而後動이라
是以 擊虛奪之也니라
原注
刑未加人하고 兵未接戰 而所以能奪敵者 有五事하니
次二曰 受命之論이니
次三曰 踰垠之論이니 是岸也
次四曰 深溝高壘之論이니 深溝高壘守而欲其固也
次五曰 擧陣加刑之論이니 擧陣加刑 所(以)[謂]戰而欲其勝也
此五者 先料敵之強弱虛實而後 可動이니 此所以能擊敵人之虛而奪彼之氣也
善用兵者 能奪人而不奪於人하나니 奪者 心之機也 令者 一衆心也
衆不審이면이요 數變이면 則令雖出이나 衆不信矣니라
原注
善用兵者 能奪人之氣하고 不可奪於人也 奪人者 吾心之機也 號令者 齊一衆心者也 衆人之心
吾不能審而察之 則是非邪正之分 而事必數更變이요 事數更變이면 則號令雖出이나 衆人亦不信矣리라
令之之法 小過無하고 小疑無中이라
上無疑令이면 則衆不二聽하고 動無疑事 則衆不二志하나니 未有不信其心而能得其力者也 未有不得其力而能致其死戰者也니라
原注
施令之法 小過 無得而更하고 小疑 無以爲中이라
上無疑二之令이면 則衆人亦不疑二於聽하니 二亦疑也
動無疑惑之事 則衆人亦不疑二其志하니 言上之令一이면 則下之聽自專이요 上之事一이면 則下之志自定이니
未有不信其心而能得其力者也 亦未有不先得其力而能致衆人之死戰者也
國必有禮信親愛之義 則可以飢易飽 國必有孝慈廉恥之俗이면 則可以死易生이니라
原注
國家必有禮信親愛之義 則可以飢易而爲飽
禮者 敬之理 信者 實之理 親愛則仁之用也 以飢易飽 是飢可易而爲飽也
國家必有孝慈廉恥之俗이면 則可以死易而爲生이라
孝者 善能事親이요 慈者 善能字幼 廉者 守己以不貪이요 恥者 羞己之不善이며 以死易生 是雖處死地 可易而爲生也
謂上能以道率下 則下以死事上이니
古者率民 必先禮信而後爵祿하고 先廉恥而後刑罰하고 先親愛而後律其身하니라
原注
古者 人君之率民 必先以禮信服之而後 用爵祿勸之하고
先以廉恥化之而後 用刑罰威之하고
先以親愛結之而後 用法以律其身하니
戰者 必本乎率身以勵衆士하여 如心之使四支也
志不勵 則士不死節이요 士不死節이면 則衆不戰이니라
原注
戰者 必本乎上之人 率身以激勵衆士하여 如一心之使四肢也
志不激勵 則士不死節이요 士旣不死節이면 則衆必不可用之而戰이라
勵士之道 民之生 不可不厚也 爵列之等 死喪之親 民之所營 不可不顯也
必也因民所生而制之하고 因民所營而顯之하여 田祿之實하고 飮食之親하여 鄕里相勸하고 死喪相救하고 兵役相從이니 民之所勵也
原注
激勵士衆之道 民之生命 不可不厚也 厚生 是也
官爵班列之等 死亡喪葬之親 民之所謀爲者 不可不章顯之也 必也因民之所生而制節之之類 是也
因民所謀爲而章顯之하고功緦麻之有服 棺槨衣衾之有制之類 是也
分田制祿之以實하고 飮食聚會之相親하여 使同鄕同里而相勸하고 死亡喪葬而相救하고 兵役出入而相從이니 民之所以勵也
使什伍如親戚하고 卒伯如朋友하여 止如堵墻하고 動如風雨하여 車不結轍하고 士不旋踵이니 本戰之道也
原注
使什伍之人으로 如親戚之相救하고 卒伯之士 如朋友之相信이라
止如堵墻 言持重也 動如風雨 言迅速也 車不結轍 言務進而不務退 士不旋踵 言務勝而不務北 此乃本戰之道也
本戰者 戰陣之本也
所以養民也 所以守地也 所以守城也
務耕者 民不飢하고 務守者 地不危하고 務戰者 城不圍하나니 三者 先王之本務也
原注
土地 所以養民也 城池 所以守地也 戰鬪 所以守城也
務耕種者 民不飢餒하고 務固守者 地不傾危하고 務戰鬪者 城不被圍하나니 三者 乃先王之本務也
本務者 兵最急이라
先王專於兵 有五焉하니 委積不多 則士不行하고 賞祿不厚 則民不勸하고 武士不選이면 則衆不強하고 器用不備 則力不壯하고 刑賞不中이면 則衆不畏하니 務此五者하면 靜能守其所固하고 動能成其所欲이니라
原注
本務者 唯兵最爲急이라
先王專於兵 有五事焉이라
糧食也 糧食積聚不多 則士衆不行하고 賞賚爵祿不厚 則民不勸하고 武士不選簡이면 則衆不強하고 器用不完備 則力不壯하고 刑賞不中節이면 則衆不畏하니 務此五事하면 靜能保守其所固하고 動能成就其所欲이라
夫以居攻出이면 則居欲重하고 陳欲堅하고 發欲畢하고 鬪欲齊니라
原注
夫以居守之法으로 而較攻出之法이면 則居守欲持重하고 布陣欲堅固하고 發伏欲併力而出하고 戰鬪欲齊心而進이라
○愚按居攻出上下 恐有闕文誤字
王國 富民하고 霸國 富士하고 僅存之國 富大夫하고 亡國 富倉府하나니 所謂上滿下漏하여 患無所救니라
原注
王者之國 務富其民하고 霸者之國 務富其士하고 僅存之國 富強僭之大夫하고 將亡之國 止富倉府하나니
言不肯周貧恤匱하고 勞賞軍士之類 是也
所謂上滿而下漏하여 禍患 無所救矣
曰 擧賢任能이면 不時日而事利하고 明法審令이면 不卜筮而獲吉하고 貴功養勞 不禱祠而得福이라하니라
原注
曰 擧薦賢德하고 任使才能이면 不用時日支干而事自利
申明法度하고 審察號令이면 不用龜卜筮而自獲吉이요
貴有功者하고 養有勞者하면 用禱祠神明而自得福이라
又曰 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라하니 聖人所貴 人事而已니라
原注
又曰 天時之吉 不如得地之利 得地之利 不如得人心之和라하니 聖人所貴 在人事而已
天時之屬이요 地利 謂險阻城池之固 人和 得人心之和也
夫勤勞之師 將必先己하여 暑不張蓋하고 寒不重衣하고 險必下步하며 軍井成而後飮하고 軍食熟而後飯하고 軍壘成而後舍하여 勞佚 必以身同之 如此 師雖久 而不老不弊하나니라
原注
夫勤勞之師 將必以己身先之하여 盛暑之月 不張設傘蓋하고 隆寒之月 不重襲衣服하고 遇險阻之地 必先下步하며 三軍鑿井旣成이어든 而將然後飮하고 三軍旣熟이어든 而將然後飯하고 三軍之壘旣成이어든 而將然後舍하여 或勞或佚 必以身與士卒同之하니 若能如此하면 出師雖久 而不老不弊
[如鄭文公惡高克하여 使將淸邑之兵하여 禦敵於河上하고 久而不召한대 師散而歸


原注
전위戰威전투戰鬪위엄威嚴한 것이니, 전투에 위엄이 없으면 어떻게 승리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그 뜻을 취하여 의 이름으로 삼은 것이다.
무릇 군대는 로써 승리함이 있고, 위엄威嚴으로써 승리함이 있고, 힘으로써 승리함이 있다.
무예武藝를 강습하고 을 헤아려서 으로 하여금 사기를 잃게 하고 군대가 흩어지게 하여, 비록 형체는 온전하나 제대로 쓰지 못하게 하면, 이는 로써 승리하는 것이다.
법제法制를 살피고 상벌賞罰을 분명히 하고 병기兵器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필전必戰의 마음을 갖게 하면, 이는 위엄으로써 승리하는 것이다.
적군敵軍을 격파하여 적장敵將을 죽이고, 적의 성문을 타고 들어가 기지機智를 내며 적의 무리를 궤멸시키고 적의 영토를 빼앗아서 성공하고 돌아오면, 이는 힘으로써 승리하는 것이다.
왕자王者제후諸侯가 이 세 가지 승리하는 방법을 알면 끝나는 것이다.
原注
무릇 용병用兵에는 로써 승리함이 있고, 위엄으로써 승리함이 있고, 힘으로써 승리함이 있다.
자기 나라의 무예武藝의 일을 강구講究하고 의 형세의 허실을 자세히 헤아려 으로 하여금 사기를 잃어 군대가 흩어지고 혼란하게 만들어서, 형체는 비록 온전히 갖추어졌으나 제대로 쓰지 못하게 하면, 이는 이른바 로써 승리한다는 것이다.
무예武藝의 일을 강구講究하고 을 헤아림에 그치지 않고, 반드시 먼저 을 닦고 인정仁政을 행하며 백성을 기르고 현자賢者초치招致해야 한다.
예컨대 문왕文王나라를 정벌할 적에 30일이 되어도 승리하지 못하자 물러가 문교文敎를 닦고 다시 정벌하였는데, 전에 있던 보루를 그대로 이용하여 나라를 항복시켰고, 임금이 우왕禹王에게 명하여 유묘有苗를 정벌하게 하였으나, 유묘有苗의 백성들이 따르지 않자 우왕禹王이 회군하니, 임금이 마침내 문덕文德을 크게 펴서 두 뜰에서 방패와 깃털로 춤을 추었는데, 70일 만에 유묘有苗가 와서 복종한 것이 이것이다.
우리의 법도法度호령號令을 자세히 살펴 내리고 우리의 상벌賞罰을 분명히 시행하며, 우리의 공격하고 수비하는 병기兵器를 편리하게 하여 우리의 백성(병사)들로 하여금 필전必戰의 마음을 갖게 하면, 이는 이른바 위엄으로써 승리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전양저田穰苴법령法令을 밝히고 병사들을 어루만지자, 병든 병사들도 다투어 에게 달려가니, 나라와 나라에서 이 말을 듣고 군대를 후퇴한 것이 이것이다.
의 군대를 격파하여 적의 장수를 죽이고, 적의 성문을 타고 들어가서 우리 군대의 기지機智를 내어 승리를 거두며, 적의 군대를 궤멸시키고 흩어지게 해서 저들의 땅을 빼앗고 성공한 뒤에 나라로 돌아오면, 이는 이른바 힘으로써 이긴다는 것이다.
예컨대 한신韓信이 군대를 이끌고 정형井陘으로 내려가서 진여陳餘의 목을 베고 나라 땅을 차지하였으며, 정백鄭伯나라를 정벌할 적에 하숙영瑕叔盈무호蝥弧 깃발을 가지고 으로 올라가 사방으로 휘두르면서 고함치자, 나라 군대가 모두 으로 올라가 마침내 나라로 쳐들어간 것이 이것이다.
왕자王者제후諸侯가 되어서 이 승리하는 세 가지 방법을 알면 훌륭한 일이 끝나는 것이다.
장수가 싸울 수 있는 것은 백성 때문이요 백성들이 싸울 수 있는 것은 기운 때문이니, 기운이 충실하면 싸우고 기운을 빼앗기면 패주한다.
原注
장수가 싸울 수 있는 것은 백성(병사)이 근본이 되고, 백성들이 싸울 수 있는 것은 기운(士氣)이 주장이 되니, 기운이 충실하면 적과 잘 싸우고 기운을 적에게 빼앗기면 패주하는 것이다.
기운이 충실한 것은 군대가 고요하고 다스려지고 배부르고 편안한 것이요, 기운을 빼앗기는 것은 군대가 굶주리고 수고롭고 혼란하고 시끄럽게 떠드는 것이다.
형벌을 아직 가하지 않고 병기兵器를 접촉하기 전에 의 기운을 빼앗는 것이 다섯 가지이니, 첫 번째는 묘당廟堂에서 승리하는 이요, 두 번째는 장수가 임명을 받는 이요, 세 번째는 강안江岸을 넘어가는 이요, 네 번째는 해자를 깊이 파고 보루를 높이 쌓는 이요, 다섯 번째는 온 진영에 형벌을 가하는 이다.
이 다섯 가지는 먼저 을 헤아린 뒤에 출동한다.
이 때문에 의 허약한 곳을 공격하여 의 기운을 빼앗는 것이다.
原注
형벌을 아직 적에게 가하지 않고 병기로 접전하여 싸우기 전에 의 기운을 빼앗을 수 있는 것이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 번째는 묘당廟堂(조정)에서 승리하는 이니, 바로 《손자孫子》에 이른바 ‘싸우기 전에 묘당廟堂승산勝算이 우세한 자는 좋은 계책이 많다.’는 뜻이다.
다음 두 번째는 장수가 임명을 받는 이니, 바로 태공太公이 장수를 세우는 뜻을 한 내용이다.
다음 세 번째는 강안江岸을 넘어가는 으로, 강안江岸이니, 바로 태공太公의 이른바 ‘강하江河를 넘고 도랑과 참호를 건너간다.’는 뜻이다.
다음 네 번째는 해자를 깊이 파고 보루를 높이 쌓는 이니, 해자를 깊이 파고 보루를 높이 쌓음은 이른바 ‘지키면서 견고히 하고자 한다.’는 뜻이다.
다음 다섯 번째는 온 진영에 형벌을 가하는 이니, 진영에 형벌을 가한다는 것은 이른바 ‘〈기율을 엄격히 하여〉 싸움에 승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이 다섯 가지는 먼저 강약強弱허실虛實을 헤아린 뒤에 출동할 수 있으니, 이는 의 허약한 곳을 공격하여 의 기운을 빼앗을 수 있는 방법이다.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적을 빼앗고 적에게 빼앗기지 않으니, 적을 빼앗는 것은 내 마음의 기지機智이고, 호령號令은 병사들의 마음을 통일시키는 것이다.
병사들을 자세히 살피지 못하면 일을 자주 변경하게 되고, 일을 자주 변경하면 장수가 비록 명령을 내더라도 병사들이 믿지 않는다.
原注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적의 기운을 빼앗고 적에게 기운을 빼앗기지 않으니, 적의 기운을 빼앗는 것은 내(장수) 마음의 기지機智이고, 호령號令은 병사들의 마음을 가지런히 하고 통일시키는 것이다.
병사들의 마음을 내가 자세히 살피지 못하면 시비是非사정邪正을 분별함에 있어 일을 반드시 자주 변경하게 될 것이요, 일을 자주 변경하면 장수가 비록 호령號令을 내더라도 병사들이 믿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병사들을 명령하는 방법은, 조금 잘못된 것은 변경하지 말고, 작은 의심은 중지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하여 위에서 의심스러운 명령이 없으면 사람들이 의심하여 듣지 않고, 출동함에 의심하는 일이 없으면 병사들이 의심하는 마음을 품지 않으니, 병사들의 마음을 믿게 하지 못하고서 병사들의 힘을 얻는 장수는 있지 않으며, 병사들의 힘을 얻지 못하고서 결사적으로 싸우게 하는 장수는 있지 않은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명령을 시행하는 방법은, 조금 잘못된 것은 변경하지 말고 그대로 밀고 나가고, 작은 의심은 중지하지 말고 그대로 추진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위에서 의심하는 명령이 없으면 병사들 또한 명령을 들음에 의심[二]하지 않으니, ‘’ 또한 의심하는 것이다.
출동함에 의혹하는 일이 없으면 병사들 또한 마음에 의심하지 않으니, 윗사람의 명령이 전일하면 아랫사람들의 들음이 저절로 전일해지고 윗사람의 일이 전일하면 아랫사람들의 뜻이 저절로 해짐을 말한 것이다.
병사들의 마음을 믿게 하지 못하고서 병사들의 힘을 얻는 자는 있지 않으며, 또한 먼저 병사들의 힘을 얻지 못하고서 병사들을 결사적으로 싸우게 만드는 자는 있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나라에 만일 친애親愛가 있으면 굶주림을 배부름으로 바꿀 수 있고, 나라에 만일 효자孝慈염치廉恥의 풍속이 있으면 죽음을 삶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국가國家에 만일 친애親愛가 있으면 굶주림을 바꾸어 배부르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공경恭敬하는 이치요, 진실眞實의 이치요, 친애親愛이며, 굶주림을 배부름으로 바꾼다는 것은 굶주린 것을 바꾸어 배부르게 만드는 것이다.
국가國家에 반드시 효자孝慈염치廉恥의 풍속이 있으면 죽음을 삶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는 어버이를 잘 섬기는 것이요, 는 어린아이를 잘 사랑하는 것이요, 은 자기 몸을 탐욕하지 않음으로써 지키는 것이요, 는 자신이 하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며, 죽음을 삶으로 바꾼다는 것은 비록 죽을 땅에 처하였으나 바꾸어 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윗사람이 능히 로써 아랫사람들을 통솔하면 아랫사람들이 죽음으로써 윗사람을 섬김을 말한 것이니,
바로 《손자孫子》에 이른바 ‘백성들로 하여금 윗사람과 마음을 함께하여 함께 죽고 함께 살 수 있다.’는 것이요,
맹자孟子》에 이른바 ‘장성한 자들이 한가로운 날을 이용하여 효제孝悌충신忠信을 닦아서 들어가서는 부형父兄을 섬기고 나가서는 장상長上을 섬기면, 백성들로 하여금 몽둥이를 만들어 나라와 나라의 군대를 매질하게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옛날 백성들을 통솔할 적에 반드시 을 먼저 하고 작록爵祿을 뒤에 하였으며, 염치廉恥를 먼저 하고 형벌刑罰을 뒤에 하였으며, 친애親愛를 먼저 한 뒤에 병사들의 몸을 다스렸다.
原注
옛날에 인군人君이 백성을 통솔할 적에 반드시 먼저 으로써 백성들을 복종시킨 뒤에 작록爵祿을 사용하여 권면하였고,
먼저 염치廉恥로써 백성들을 교화한 뒤에 형벌을 사용하여 위엄을 보였고,
친애親愛로써 백성들을 결속시킨 뒤에 법을 사용하여 병사들의 몸을 다스렸으니,
이는 바로 이위공李衛公(李靖)의 이른바 ‘사랑은 먼저 베풀고 위엄은 뒤에 가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전쟁을 하는 자는 반드시 윗사람이 몸소 솔선하여 병사들을 격려함을 근본으로 삼아서 마치 마음이 사지四肢를 부리듯이 하여야 하는 것이다.
마음이 격려되지 않으면 장병들이 충절忠節에 죽지 않고, 장병들이 충절忠節에 죽지 않으면 병사들이 싸우지 않게 된다.
原注
그러므로 전투戰鬪는 반드시 윗사람이 몸소 솔선하여 병사들을 격려해서 한 마음이 사지四肢를 부리는 것과 같이 하여야 하는 것이다.
마음이 격려되지 않으면 장병들이 충절忠節에 죽지 않고, 장병들이 충절에 죽지 않으면 병사들이 반드시 쓰여져 싸울 수 없는 것이다.
병사들을 격려하는 방도는 병사들의 생활을 후하게 해주지 않으면 안 되고, 작렬爵列의 등급과 친척의 죽음과 초상初喪에 백성들이 경영하는 바를 드러내주지 않으면 안 된다.
반드시 백성들이 생활하는 것을 인하여 절제節制하고, 백성들이 경영하는 바를 인하여 드러내 밝혀주어서 전지田地의 녹봉을 충실하게 해주고 음식을 마련하여 서로 친하게 해주어서 향리鄕里에서 서로 권면하고 사망과 초상에 서로 구원하고 병역에 서로 따르게 하여야 하니, 이것이 백성들을 격려하는 방법이다.
原注
장병들을 격려하는 방도는 백성(병사)들의 생활을 후하게 해주지 않을 수 없으니, 후생厚生은 바로 《서경書經》에 이른바 ‘이용利用후생厚生’이 이것이다.
관작官爵 반열의 등급과 친척의 사망과 장례에 백성들이 도모(경영)하는 것을 드러내 보여주지 않을 수 없고, 반드시 백성들의 생활하는 것을 인하여 절제해야 하니, 5의 집에 뽕나무를 심으면 50세가 된 자가 비단옷을 입을 수 있고, 닭과 돼지와 개 등의 가축을 번식하는 시기를 놓치지 않으면 70세가 된 자가 고기를 먹을 수 있고, 100의 토지를 농사철을 빼앗지 않으면 몇 식구의 집안이 굶주림이 없을 수 있는 것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백성들이 도모하는 바를 인하여 드러내어 밝혀준다.’는 것은, 하늘이 이 있는 자에게 관직을 하거든 다섯 등급의 관복官服으로 밝히고, 또 상례喪禮쇠공衰功시마緦麻의 상복과 관곽棺槨의금衣衾의 제도가 있는 것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전지田地를 나누어 녹봉을 제정하기를 충실하게 하고 음식飮食을 마련하여 서로 모이고 친하게 해서, 동향同鄕동리同里 사람들끼리 서로 권면하고, 사망과 장례에 서로 구원하고, 병역으로 출입出入함에 서로 따르게 하여야 하니, 이는 백성들을 격려하는 방법이다.
로 하여금 친척처럼 서로 구원하게 하고, 졸백卒伯(100명)으로 하여금 붕우朋友처럼 만들어서, 멈춰 있을 때에는 담과 같고 출동할 때에는 폭풍우와 같아서, 수레는 바퀴를 묶지 않고 병사들은 발길을 되돌리지 않으니, 이는 전진戰陣의 기본 방도이다.
原注
의 사람들로 하여금 친척親戚이 서로 구원하듯 하게 하고, 졸백卒伯의 병사들로 하여금 붕우朋友가 서로 믿는 것처럼 하게 하는 것이다.
‘멈춰 있을 때에는 튼튼한 담과 같다.’는 것은 신중히 유지함을 말한 것이요, ‘출동할 때에는 폭풍우와 같다.’는 것은 신속함을 말한 것이요, ‘수레는 바퀴를 묶지 않는다.’는 것은 전진을 힘쓰고 후퇴를 힘쓰지 않음을 말한 것이요, ‘병사들이 발길을 되돌리지 않는다.’는 것은 승리를 힘쓰고 패주를 힘쓰지 않음을 말한 것이니, 이는 바로 본전本戰의 방도이다.
본전本戰이란 전진戰陣의 기본이다.
토지土地는 백성을 기르는 것이요, 성곽城郭은 땅을 지키는 것이요, 전투戰鬪을 지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작耕作을 힘쓰는 자는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고, 지키기를 힘쓰는 자는 땅이 위태롭지 않고, 전투戰鬪를 힘쓰는 자는 이 포위되지 않으니, 이 세 가지는 선왕先王의 본분의 일이다.
原注
토지土地는 백성을 기르는 것이요, 과 해자는 땅을 지키는 것이요, 전투는 을 지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작耕作을 힘쓰는 자는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고, 굳게 수비함을 힘쓰는 자는 땅(영토)이 기울거나 위태롭지 않고, 전투를 힘쓰는 자는 이 포위당하지 않으니, 이 세 가지는 바로 선왕先王의 본분의 일이다.
본분의 일은 군대에서 가장 우선으로 여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왕先王이 군대에 전일專一하게 함이 다섯 가지가 있으니, 양식의 저축이 많지 않으면 병사들이 출동하지 못하고, 祿이 많지 않으면 백성들이 권면되지 못하고, 무사武士를 선발하지 않으면 병사들이 강하지 못하고, 병기兵器가 구비되지 않으면 힘이 건장하지 못하고, 형벌과 이 도리에 맞지 않으면 병사들이 법령을 두려워하지 않으니, 이 다섯 가지를 힘쓰면 고요할 때에는 견고함을 지킬 수 있고, 출동할 때에는 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原注
본분의 일은 군대를 가장 우선으로 여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왕先王이 군대에 전일專一하게 함이 다섯 가지 일이 있는 것이다.
양식糧食이니, 양식이 많이 쌓여있지 않으면 병사들이 출동하지 못하고, 작록爵祿이 많지 않으면 백성들이 권면되지 못하고, 무사武士를 제대로 선발하지 않으면 병사들이 강하지 못하고, 기용器用이 완전히 구비되지 못하면 힘이 건장하지 못하고, 형벌과 이 도리에 맞지 않으면 병사들이 법령을 두려워하지 않으니, 이 다섯 가지 일을 힘쓰면 고요할 때에는 견고함을 보존하여 지키고, 출동할 때에는 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거수居守를 공격과 출동에 비교하면, 거수居守할 때에는 신중하고자 하고 진영은 견고하고자 하며, 출동할 때에는 일제히 일어나고자 하고 전투戰鬪할 때에는 똑같이 힘을 쏟고자 하는 것이다.
原注
거수居守(거주하여 수비함)하는 방법을 가지고 공격하고 출동하는 방법에 비교하면, 거수居守할 때에는 신중하고자 하고 포진은 견고하고자 하며, 매복한 군대를 출동시킬 때에는 힘을 모두 모아 출동시키고자 하고 전투할 때에는 합심하여 전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내가 살펴보건대 ‘거공출居攻出’ 위아래에 빠진 글이나 오자誤字가 있는 듯하다.
왕자王者의 나라는 백성을 부유하게 하고, 패자霸者의 나라는 병사를 부유하게 하고, 겨우 버텨나가는 나라는 대부大夫를 부유하게 하고, 망하는 나라는 창고를 부유하게 하니, 이른바 ‘위가 가득하면 아래가 새어서 환난患難을 구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原注
왕자王者의 나라는 백성을 부유하게 하기를 힘쓰고, 패자霸者의 나라는 병사를 부유하게 하기를 힘쓰고, 겨우 버텨나가는 나라는 강하고 참람된 대부大夫를 부강하게 하고, 장차 망할 나라는 다만 창고를 부유하게 한다.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구휼하지 않고, 병사들을 위로하고 을 주지 않음을 말한 것이니, 후당後唐장종莊宗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이는 이른바 ‘위가 가득하면 아래가 새어서 화환禍患을 구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어진 이를 등용하고 유능한 자에게 맡기면 시일時日을 가리지 않고도 일이 이롭고, 법령法令을 분명히 하고 자세히 살피면 복서卜筮를 하지 않고도 함을 얻고, 이 있는 자를 하게 해주고 수고한 자를 길러주면 신명神明에게 기도하지 않아도 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原注
그러므로 말하기를 “어질고 이 있는 자를 천거하고 재능이 있는 자에게 맡기면 시일時日간지干支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이 저절로 이롭고,
법령法令을 거듭 밝히고 호령號令을 자세히 살펴서 내리면 시초蓍草와 거북껍질을 사용하여 복서卜筮하지 않아도 저절로 함을 얻고,
이 있는 자를 하게 해주고 수고한 자를 길러주면 신명神明에게 기도하고 제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또 말하기를 “천시天時지리地利만 못하고 지리地利인화人和만 못하다.” 하였으니, 성인聖人하게 여긴 것은 사람의 일일 뿐이다.
原注
또 말하기를 “천시天時함이 땅의 이로움을 얻는 것만 못하고, 땅의 이로움을 얻는 것이 인심人心화합和合을 얻는 것만 못하다.” 하였으니, 성인聖人하게 여긴 것은 사람의 일에 있을 뿐이다.
천시天時시일時日간지干支고허孤虛왕상旺相의 등속을 이르고, 지리地利는 지형의 험조險阻과 해자의 견고함을 이르고, 인화人和인심人心의 화합함을 얻는 것이다.
장수가 근로하는 군대는 장수가 반드시 몸소 솔선해서, 더워도 일산을 펴지 않고 추워도 옷을 껴입지 않으며, 험한 곳에서는 반드시 수레에서 내려서 걸어가며, 군대의 우물을 만든 뒤에야 물을 마시고 군대의 밥이 지어진 뒤에야 밥을 먹고 군대의 보루가 이루어진 뒤에야 머물러 쉬어서, 수고로움과 편안함을 반드시 병사들과 함께하니, 이와 같이 하면 군대가 출동한 지 비록 오래더라도 병사들이 지치거나 피폐하지 않게 된다.
原注
장수가 근로勤勞하는 군대는 장수가 반드시 몸소 솔선해서, 무더운 여름철에도 일산을 펴지 않고 매우 추운 겨울철에도 의복을 껴입지 않으며, 험한 지역을 만났을 때에는 반드시 먼저 수레에서 내려 도보로 걸어가며, 삼군三軍이 우물을 파서 이루어진 뒤에야 장수가 비로소 물을 마시고, 삼군三軍이 밥을 지어 익은 뒤에야 장수가 비로소 밥을 먹고, 삼군三軍의 보루가 이루어진 뒤에야 장수가 비로소 장막에 들어가 휴식해서, 수고로움과 편안함을 반드시 병사들과 함께하니, 장수가 만약 이와 같이 할 수 있으면 군대가 출동한 지 비록 오래더라도 병사들이 지치지 않고 피폐해지지 않는다.
예컨대 문공文公고극高克을 미워하여 고극高克으로 하여금 청읍淸邑의 병사들을 거느리고 하수河水 가에서 적을 막게 하고는 오랫동안 부르지 않자 군대가 흩어져 돌아간 것과 같은 경우이다.
이는 장수가 병사들과 고락苦樂을 함께하지 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인
역주2 文王伐崇……因壘而降 : 崇은 國名으로, 崇나라 제후인 虎는 周 文王을 殷나라의 紂王에게 참소한 자이다.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僖公 19년 조에 “宋나라 사람이 曹나라를 포위하였으니, 복종하지 않는다 하여 토벌한 것이었다. 宋나라의 子魚가 宋公에게 아뢰기를 ‘옛날 文王은 崇나라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정벌하였는데, 30일이 지나도 항복하지 않자 물러가 文敎를 닦고 다시 정벌하여 예전의 보루를 증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서 항복받았습니다.[文公聞崇德亂而伐之 軍三旬而不降 退修敎而復伐之 因壘而降]’ 하였다.”라고 보인다.
역주3 舜命禹征有苗……七旬而有苗格 : 이 내용은 《書經》 〈大禹謨〉에 “〈舜임금이 禹王에게 명하여 有苗를 정벌하였으나〉 30일을 有苗의 백성들이 명을 거역하자, 益이 禹王을 도와 이르기를 ‘德은 하늘을 감동시켜 멀어도 이르지 않음이 없으니, 자만하면 덜어짐을 부르고 겸손하면 더함을 받는 것이 바로 天道입니다. 舜임금이 처음 歷山에서 밭에 가시어 날마다 하늘과 부모에게 울부짖으시어 죄와 악을 자신에게 돌리시고 공경히 일하여 瞽瞍를 뵙되 공경하고 두려워하시니, 고수 또한 믿고 따랐습니다. 지극한 정성은 神明을 감동시키니, 하물며 이 有苗이겠습니까.’ 하였다. 禹王이 善言에 절하며 ‘아! 너의 말이 옳다.’ 하고는 回軍하고 군대를 거두자, 舜임금이 마침내 文德을 크게 펴시어 방패와 깃일산으로 두 뜰에서 춤을 추셨는데, 70일 만에 有苗가 와서 항복하였다.[三旬 苗民逆命 益贊于禹曰 惟德動天 無遠弗屆 滿招損 謙受益 時乃天道 帝初于歷山 往于田 日號泣于旻天 于父母 負罪引慝 祗載見瞽瞍 夔夔齊慄 瞽亦允若 至諴感神 矧玆有苗 禹拜昌言曰 兪 班師振旅 帝乃誕敷文德 舞干羽于兩階 七旬有苗格]”라고 보인다.
有苗는 바로 三苗이며, 瞽瞍는 舜임금의 아버지인데 後妻에게 미혹되어 孝子인 舜임금을 죽이려 한 자이다. 옛날 춤을 출 적에 방패와 창을 잡고 춤추는 것을 武舞라 하고, 깃으로 만든 부채나 일산을 잡고 춤추는 것을 文舞라 하였다.
역주4 : 뢰
역주5 田穰苴明法令 撫士卒 : 穰苴는 春秋時代 齊 景公 때의 名將으로 姓이 田氏인데, 뒤에 司馬 벼슬을 하여 司馬氏가 되었다. 晉나라와 燕나라가 연합하여 齊나라를 침공하자, 景公이 名相 晏嬰의 천거로 당시 미천하였던 穰苴를 大將으로 기용하였는데, 穰苴는 景公의 총신인 監軍 莊賈가 군령을 어기고 약속한 시간에 늦게 오자, 그를 참형에 처하여 시신을 군영에 돌려 법령을 밝혔다. 그리고 출정하여서는, 병사들이 머무는 곳과 우물과 부엌, 음식물을 살피고 병을 앓는 자를 문병하고 의약품을 챙겨주어 몸소 병사들을 어루만졌으며, 將軍의 물자와 양식을 모두 가져다가 병사들에게 宴享을 베풀고, 병사들과 공평하게 양식을 나누었다. 그리고 가장 몸이 허약한 자를 보호해서 3일 후에 군대를 무장시키니, 병석에 누워있던 자들이 모두 출전할 것을 요청하여 다투어 나와 싸움에 달려왔다. 晉나라와 燕나라의 군대가 이 말을 듣고 물을 건너가 해산하였다. 《史記 권64 司馬穰苴列傳》
역주6 韓信下井(徑)[陘]……收趙地 : B.C. 204년에, 漢나라의 將軍인 韓信이 張耳와 함께 수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趙나라를 공격하자, 趙王 歇과 成安君 陳餘가 병력을 井陘 어구에 집결시켜 대치하였다. 韓信은 井陘의 좁은 길로 내려가 背水陣을 치고 결사적으로 싸워서 승리하고, 몰래 奇兵을 내보내 趙나라 병사들이 성벽을 비운 틈을 타 趙軍의 성벽을 기습 점거함으로써, 趙軍을 대파하고 陳餘를 참수하고 趙王 歇을 사로잡아 趙나라를 점령하였다. 《史記 권92 淮陰侯列傳》
역주7 (徑)[陘] : 저본의 ‘徑’은 明本에 의거하여 ‘陘’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鄭伯伐許……遂入許 : 鄭伯은 춘추시대 鄭나라의 군주로, 제후는 公‧侯‧伯‧子‧男의 다섯 등급이 있었는데, 鄭나라가 伯爵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칭한 것이며, 蝥弧는 鄭伯이 사용하였던 旗의 이름이다.
B.C. 712년 7월에 鄭伯이 魯 隱公‧齊나라 군주와 許나라를 토벌했는데, 이때 鄭나라의 용사 穎考叔이 蝥弧를 들고 성으로 오르다가 화살을 맞고 죽자, 瑕叔盈이 다시 이 깃발을 가지고 성위로 올라가 鄭伯이 성에 올랐다고 고함치니, 사기가 오른 鄭나라 군대가 일제히 올라가 許나라의 성을 점령하였다. 《春秋左氏傳 隱公 11년》
역주9 瑕叔盈以蝥弧 : 모호
역주10 喧譁 : 훤화
역주11 : 은
역주12 孫子所謂未戰而廟算勝者 得算多也之義 : 이 내용은 《孫子》 〈始計〉에 “싸우기 전에 廟堂에서 계산하여 우세한 자는 승산을 얻음이 많은 것이요, 싸우기 전에 묘당에서 계산하여 우세하지 못한 자는 승산을 얻음이 적은 것이다.[夫未戰而廟算勝者 得算多也 未戰而廟算不勝者 得算少也]”라고 보이는데, 劉寅은 《直解》에서 “싸우기 전에 묘당의 위에서 미리 다섯 가지 일과 일곱 가지 계략을 가지고 비교하고 헤아려서 혹 8, 9를 얻으면 이는 승산을 얻음이 많아 반드시 승리하는 것이요, 싸우기 전에 묘당의 위에서 다섯 가지 일과 일곱 가지 계책으로 비교하고 헤아려서 혹 4, 5를 얻으면 이는 승산을 얻음이 적어서 승리하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다섯 가지 일과 일곱 가지 계략은 〈始計〉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3 太公論立將之義 : 太公이 大將을 세우는 방도에 대해 논한 것으로 《六韜直解》 〈立將〉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4 太公所謂越江河渡溝塹之義 : 太公이 武王과 함께 강하와 같은 큰 물을 건너는 장비와 도랑과 참호를 건너는 장비를 논한 내용이 《六韜直解》 〈軍用〉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5 (以)[謂] : 저본의 ‘以’는 明本에 의거하여 ‘謂’로 바로잡았다.
역주16 : 삭
역주17 : 경
역주18 孫子所謂令民與上同意 可與之同死同生 : 이 내용은 《孫子》 〈始計〉의 “道란 백성(병사)들로 하여금 윗사람과 뜻을 함께하여 함께 죽고 함께 살아서 위태로움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道者 令民與上同意 可與之死 可與之生 而不畏危也]”라는 구절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19 孟子所謂壯者以暇日……以撻秦楚 : 이 내용은 《孟子》 〈梁惠王 上〉의 “장성한 자들이 한가한 날을 이용하여 孝悌와 忠信을 닦아서 들어가서는 父兄을 섬기고 나가서는 長上을 섬길 것이니, 이들로 하여금 몽둥이를 만들어 秦나라와 楚나라의 견고한 갑옷과 예리한 병기를 매질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壯者以暇日 修其孝悌忠信 入以事其父兄 出以事其長上 可使制梃 以撻秦楚之堅甲利兵矣]”라는 구절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20 李衛公所謂愛設於先 威加於後之義 : 이 내용은 《李衛公問對》 中卷에 “사랑을 앞에 베풀고 위엄을 뒤에 베풀어야 하니, 이것을 반대로 해서는 안 된다.[愛設於先 威設於後 不可相反是也]”라고 보인다.
역주21 書所謂利用厚生 : 利用과 厚生은 《書經》 〈大禹謨〉에 “水‧火‧金‧木‧土와 곡식이 잘 닦여지며, 正德과 利用이 조화를 이루어, 아홉 가지 功이 펴져서 아홉 가지 펴진 것을 노래로 읊거든, 경계하고 깨우쳐서 아름답게 여기며 독려하여 두렵게 하며 九歌로 권면하여 무너지지 않게 한다.[水火金木土穀 惟修 正德利用厚生 惟和 九功惟敍 九敍惟歌 戒之用休 董之用威 勸之以九歌 俾勿壞]”라고 보이는데, 蔡沈은 《集傳》에서 “利用은 工人이 什器를 만들고 商人이 재화를 소통하는 따위이니 백성들의 씀을 이롭게 하는 것이며, 厚生은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굶주리지 않고 춥지 않게 하는 따위이니 백성들의 삶을 후하게 하는 것이며, 九歌는 水‧火‧木‧金‧土‧穀과 正德‧利用‧厚生이 제대로 펴진 것을 노래하는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2 (伍)[五]畝之宅……可以無飢 : 저본의 ‘伍’는 ‘五’의 誤字이다. 이 내용은 《孟子》 〈梁惠王 上〉에 그대로 보인다.
역주23 天命有德 五服五章 : 이 구절은 《書經》 〈皐陶謨〉에 보이는데, 蔡沈은 《集傳》에서 “五服은 다섯 등급의 服色이니, 9章부터 1章까지가 이것이다.”라고 주하였는바, 다섯 등급의 服色은 公이 입는 袞冕九章과 侯‧伯이 입는 鷩冕七章, 子‧男이 입는 毳冕五章과 孤가 입는 希(絺)冕三章, 大夫가 입는 玄冕一章을 이른다. 章은 옷에 그림을 그리고 치마에 자수를 놓는 문양을 이른다.
역주24 喪禮衰(최)功緦麻之有服 : 喪禮에 입는 다섯 가지 喪服으로, 斬衰三年과 齊衰三年‧期年服‧大功 9월‧小功 5월‧緦麻 3월을 가리킨다.
역주25 : 최
역주26 後唐莊宗 : 五代 後唐의 초대 황제로 이름은 存勖이다. 본래는 西突厥族으로 姓이 朱耶氏였는데, 아버지 克用이 唐나라에 귀부하여 李氏 姓을 하사받고 晉王에 봉해졌다. 아버지를 승계하여 晉王이 되어 後唐을 건국하고 梁나라를 멸망시켜 중국 북부의 대부분을 점령하였으나, 환관과 간신들의 참소를 믿고 장수와 병사들을 돌보지 않다가 반란군의 流矢를 맞고 죽었다.
역주27 : 시
역주28 (下)[不] : 저본의 ‘下’는 明本과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不’로 바로잡았다.
역주29 時日支干孤虛旺相 : 時는 四時이고 日은 날짜이며, 支는 十二支이고 干은 十干이다. 孤虛는 日辰에 기운이 완전하지 않음을 이르며, 旺相은 기운이 왕성하고 딴 기운이 도와줌이 있음을 이른다. 자세한 내용은 본서 59쪽의 주 1) 참조.
역주30 炊㸑 : 취찬
역주31 [如鄭文公惡高克……蓋不與士卒同甘苦也] : 鄭 文公은 春秋時代 鄭나라의 군주로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閔公 2년 조에 보인다. 이 구절은 저본에는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